Still Life (롤링 스톤스의 음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till Life》는 롤링 스톤스의 라이브 앨범으로, 1981년 북미 투어의 모습을 담아 1982년 유럽 투어에 맞춰 발매되었다. 이 앨범은 상업적으로 성공하여 영국 4위, 미국 5위를 기록하며 플래티넘 앨범을 획득했지만, 비평가들로부터는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앨범에는 "Going to a Go-Go" 등의 커버곡과 롤링 스톤스의 곡들이 수록되었으며, 일본인 화가 카즈 야마자키가 재킷 디자인을 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롤링 스톤스의 라이브 음반 - The Rolling Stones Rock and Roll Circus
The Rolling Stones Rock and Roll Circus는 1968년 롤링 스톤스가 기획한 서커스 콘셉트의 라이브 공연으로, 존 레논, 더 후 등 당대 최고의 뮤지션들이 참여했으며, 1968년 녹화되었으나 여러 이유로 보류되었다가 1996년 영화로 공개되었다. - 롤링 스톤스의 라이브 음반 - Love You Live
1975년부터 1977년 투어 실황과 엘 모캄보 클럽 공연을 담은 롤링 스톤스의 라이브 앨범 Love You Live는 1977년 발매되어 영국 3위, 미국 5위를 기록하고 골드 레코드를 달성했으며 앤디 워홀이 커버 디자인을 맡았다. - 1982년 라이브 음반 - Live Evil
《Live Evil》은 1982년 블랙 사바스가 발매한 라이브 앨범으로, 투어 중 녹음된 오지 오스본과 로니 제임스 디오 시절의 곡들을 담고 있으며, 발매 후 멤버 간 갈등을 심화시켜 디오와 드러머의 탈퇴를 야기했고 믹싱 과정에서의 이견과 약물 남용 논란을 낳았다. - 1982년 라이브 음반 - Extraterrestrial Live
《Extraterrestrial Live》는 블루 오이스터 컬트가 1982년에 발매한 라이브 음반으로, 다양한 장소에서 녹음된 13곡과 대표곡들을 포함하며, 로비 크리거 등의 추가 연주자와 샌디 펄먼 등의 제작진이 참여하여 캐나다, 영국, 미국 빌보드 차트에서 각각 37위, 39위, 29위를 기록했다. - 버진 레코드 음반 - Pocket Symphony
프랑스 듀오 에어가 2007년에 발표한 네 번째 정규 앨범인 Pocket Symphony는 JB Dunckel과 니콜라 고댕이 작사/작곡하고 자비스 코커, 닐 해넌 등 다양한 뮤지션이 협업하여 유럽 각국 및 미국 빌보드 200 차트에서 준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 버진 레코드 음반 - Steel Wheels
《Steel Wheels》는 1989년 롤링 스톤스가 발표한 앨범으로, 믹 재거와 키스 리처즈의 갈등을 극복하고 제작되었으며, 상업적으로 성공하여 대규모 월드 투어로 이어졌다.
| Still Life (롤링 스톤스의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 |
|---|---|
| 음반 정보 | |
| 음반명 | Still Life (스티르 라이프) |
| 종류 | 라이브 음반 |
| 아티스트 | 롤링 스톤스 |
| 발매일 | 1982년 6월 1일 |
| 녹음 기간 | 1981년 11월 5일 ~ 1981년 12월 19일 |
| 장르 | 록 |
| 길이 | 40분 08초 |
| 레이블 | Rolling Stones/Atlantic |
| 프로듀서 | 글리머 트윈스 |
| 롤링 스톤스 연표 | |
| 이전 음반 | Tattoo You (1981년) |
| 현재 음반 | Still Life (1982년) |
| 다음 음반 | Story of The Stones (1982년) 또는 Undercover (1983년) |
| 싱글 | |
| 싱글 1 | Going to a Go-Go (1982년 6월 1일) |
| 싱글 2 | Time Is on My Side (1982년 9월 13일) |
2. 발매 및 반응
이 음반은 1981년 롤링 스톤스의 북미 투어 실황을 담아 이듬해 유럽 투어 일정에 맞춰 발매되었다. 음반 재킷 디자인은 일본인 화가 카즈 야마자키가 맡았다.
음반 발매에 앞서 선행 싱글로 미라클스의 곡을 커버한 〈Going to a Go-Go〉가 발매되어 영국과 미국 차트에서 30위 안에 드는 히트를 기록했다. 그러나 후속 싱글로 발매된 〈Time Is on My Side〉는 영국 차트 하위권에 머무르는 데 그쳤다.
''Still Life''는 상업적으로는 성공하여 영국 음반 차트 4위, 미국 빌보드 차트 5위에 올랐으며, 미국과 캐나다에서 플래티넘, 영국에서는 골드 인증을 받았다. 하지만 비평가들로부터는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1] 투어 중에는 〈Satisfaction〉을 연주하던 중 한 팬이 무대 위로 뛰어드는 소동이 있었는데, 이때 키스 리처즈가 자신의 기타로 팬을 가격하는 장면이 포착되기도 했다.
1998년에는 버진 레코드에서 리마스터링하여 재발매했고, 2010년에는 유니버설 뮤직에서 다시 한번 리마스터링 버전을 발매했다. 2011년에는 유니버설 뮤직 재팬을 통해 SHM-SACD 포맷으로도 발매되었다.
2. 1. 평가
이 음반은 상업적으로는 성공하여 영국 음반 차트에서 4위, 미국 빌보드 200에서 5위를 기록하고 미국과 캐나다에서 플래티넘, 영국에서 골드 인증을 받는 등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비평가들로부터는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1] 많은 비평가들은 롤링 스톤스 공연에서 기대되는 거친 면이 부족하고 사운드가 너무 매끄럽게 다듬어졌다고 지적하며 호의적이지 않은 반응을 보였다.[1]음악 평론가들의 평가는 다음과 같다.
| 평론가 | 평가 |
|---|---|
| 올뮤직 | 5점 만점에 1점[1] |
| 로버트 크리스트가우 (크리스가우 레코드 가이드) | B− 등급[2] |
| 뮤직하운드 | 5점 만점에 1점[3] |
| 롤링 스톤 | 5점 만점에 3.5점[4] |
| 롤링 스톤 음반 가이드 | 5점 만점에 2점[5] |
| 톰 헐 | B+ 등급[6] |
모든 곡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믹 재거와 키스 리처즈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3. 곡 목록
3. 1. Side One
모든 곡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재거/리처즈에 의해 작사/작곡되었다.
| #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비고 (녹음 정보) |
|---|---|---|---|---|
| 1 | Intro: Take the A Train | 빌리 스트레이혼 | 0:27 | |
| 2 | Under My Thumb | 재거/리처즈 | 4:18 | 1981년 12월 11일, 이스트러더퍼드 |
| 3 | Let's Spend the Night Together | 재거/리처즈 | 3:51 | 1981년 12월 18일, 햄프턴 |
| 4 | Shattered | 재거/리처즈 | 4:11 | 1981년 12월 18일, 햄프턴 |
| 5 | Twenty Flight Rock | 에디 코크런, 네드 페어차일드 | 1:48 | 1981년 12월 9일, 라르고 |
| 6 | Going to a Go-Go | 스모키 로빈슨, 워렌 무어, 바비 로저스, 마브 타플린 | 3:21 | 1981년 12월 9일, 라르고 |
3. 2. Side Two
모든 곡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믹 재거와 키스 리처즈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곡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녹음 정보 |
|---|---|---|---|
| Let Me Go | 3:37 | 1981년 12월 8일, 라르고 | |
| Time Is on My Side | 제리 라고보이[1] | 3:39 | 1981년 12월 18일, 햄프턴 |
| Just My Imagination (Running Away with Me) | 노먼 휘트필드, 바렛 스트롱 | 5:23 | 1981년 12월 19일, 햄프턴 |
| Start Me Up | 4:21 | 1981년 11월 25일, 시카고, 일리노이 | |
| (I Can't Get No) Satisfaction | 4:24 | 1981년 12월 13일, 템피, 애리조나 | |
| 성조기 (Outro) | 전통곡 (편곡: 지미 헨드릭스) | 0:48 |
4. 참여
이 음반에는 롤링 스톤스 멤버들과 함께 추가 세션 멤버들이 참여했다.
'''기술'''
- '''녹음''': 밥 클리어마운틴 및 데이비드 휴이트 (레코드 플랜트 리모트, 뉴욕)
- '''믹싱''': 밥 클리어마운틴 (파워 스테이션 스튜디오)
- '''앞면 커버 페인팅''': 카즈히데 야마자키
- '''마스터링''': 밥 루드비히 (마스터디스크, 오리지널 LP 및 1998년 리마스터 CD)
4. 1. 롤링 스톤스
4. 2. 추가 세션
5. 차트 성적
이 음반은 발매 후 여러 국가의 음악 차트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다수의 국가에서 주간 차트 상위 10위 안에 들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연말 차트에도 이름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