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o Bright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oo Bright》는 2014년에 발매된 퍼퓸 지니어스의 세 번째 정규 앨범이다. 이 앨범은 발매와 동시에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극찬을 받았으며, 메타크리틱에서 87점을 기록했다. 앨범은 성적 취향, 권한 부여, 퀴어 정체성과 같은 주제를 탐구하며, 앨범 커버는 중성적인 모습의 퍼퓸 지니어스를 담고 있다. 《Too Bright》에는 "Queen", "Fool" 등 총 11곡이 수록되었으며, 보너스 트랙과 10주년 기념판이 발매되었다. 앨범에는 마이크 헤드리어스, 에이드리언 우틀리 등 여러 음악가가 참여했으며, 드라마와 영화에 삽입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퍼퓸 지니어스의 음반 - Learning (음반)
Learning 앨범은 "Learning"을 첫 번째 트랙으로 하여 "Mr. Peterson", "You Won't B Here" 등 다양한 곡들과 "Your Drum", "Divine Faxes" 보너스 트랙을 포함한다. - 퍼퓸 지니어스의 음반 - Put Your Back N 2 It
퍼퓸 지니어스의 2012년 앨범 《Put Your Back N 2 It》은 "Normal Song", "Dirge" 등을 포함한 12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피아노 기반의 섬세한 가사와 퀴어 문화, 성 정체성에 대한 탐구를 담고 있다. - 2014년 음반 - 신발장
에픽하이가 2014년 10월에 YG 엔터테인먼트를 통해 발매한 여덟 번째 정규 앨범인 신발장은 조원선, 태양, 김종완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피처링에 참여했으며, 발매 후 가온 앨범 차트 3위, 빌보드 월드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했다. - 2014년 음반 - 2014 S/S
2014 S/S는 위너 멤버들이 제작 전반에 참여해 음악적 역량을 드러낸 데뷔 앨범으로, 타이틀곡 "공허해"가 국내외 차트 1위를 석권하고 다양한 장르를 통해 위너만의 독특한 감성을 담아내 글로벌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oo Bright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음반 종류 | 정규 음반 |
아티스트 | 퍼퓸 지니어스 |
발매일 | 2014년 9월 23일 |
장르 | 로파이 팝 솔 |
길이 | 33분 38초 |
레이블 | 마타도르 |
프로듀서 | 에이드리언 우틀리, 알리 챈트 |
싱글 | |
싱글 1 | Queen |
싱글 1 발매일 | 2014년 7월 17일 |
싱글 2 | Grid |
싱글 2 발매일 | 2014년 9월 9일 |
관련 음반 | |
이전 음반 | Put Your Back N 2 It |
이전 음반 발매년도 | 2012년 |
다음 음반 | No Shape |
다음 음반 발매년도 | 2017년 |
2. 평가
《Too Bright》는 발매와 동시에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만장일치에 가까운 극찬을 받았다. 특히, 음악 리뷰 집계 사이트인 메타크리틱에서는 100점 만점에 평균 87점이라는 높은 점수를 기록하며, "대부분 찬사를 보내는(universal acclaim)" 앨범으로 평가되었다.[31]
피치포크의 브랜든 스토수이는 이 음반을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이 작품을 강하게 만드는 데 큰 부분은 피를 흘리는 관대한 인간의 정신이며, 《Too Bright》는 그가 자신의 두려움과 악마와 맞서는 것에 대한 최고의 예이다. 수록된 곡들은 노래라는 느낌이 적게 들고, 오히려 보물이라는 느낌이 더욱 많이 들며, 힘과 지혜로 사람들을 채우며, 그에 대한 결과로 《Too Bright》는 성적 지향과는 상관없이 소외감, 차별감, 혹은 '다른 사람'으로 느껴본 모든 사람에게 반향을 일으키며, 위로를 건네고, 감동시킬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말하였다.[29] 피치포크는 이 앨범에 8.5점을 주었고, 베스트 뉴 뮤직으로 선정하였다.[13]
2. 1. 주요 평가 내용
《Too Bright》는 비평가들에게 찬사를 받았다. 비평가들의 리뷰와 점수를 모아 100점 만점으로 하여 평균 점수를 매기는 메타크리틱에서는 총 87점이 나와 대부분 찬사를 보내는 음반이 되었다.[31] 피치포크의 브랜든 스토수이는 이 음반을 매우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이 작품을 강하게 만드는 데 차지한 많은 부분은 피를 흘리는 관대한 인간의 정신이며, 《Too Bright》는 그가 자신의 두려움과 악마와 맞서는 것에 대한 최고의 예이다. 수록된 곡들은 노래라는 느낌이 적게 들고, 오히려 보물이라는 느낌이 더욱 많이 들며, 힘과 지혜로 사람들을 채우며, 그에 대한 결과로 《Too Bright》는 성적 지향과는 상관없이 소외감, 차별감, 혹은 "다른 사람"으로 느껴본 모든 사람에게 반향을 일으키며, 위로를 건네고, 감동시킬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말하였다.[29] 이 앨범은 8.5점을 받았고, 베스트 뉴 뮤직으로 선정되었다.[13]3. 콘셉트와 제작 과정
퍼퓸 지니어스Perfume Genius영어는 리파이너리29(Refinery29)와의 인터뷰에서 "오랫동안 끊임없이 안도감을 찾고 어디에서나 인정을 받으려고 애썼고, 진지하게 받아들여지기를 원했지만, 누군가가 나 대신 해 주기를 바랐어요. 무슨 말인지 아시겠죠?"라고 말했다.[17][19][20] 그는 이 앨범을 만드는 데 더 진지한 접근 방식을 취했다고 설명한다. ''Too Bright''는 성적 취향, 권한 부여, 퀴어 정체성에 대한 주제를 더욱 탐구한다.[17][19][20]
3. 1. 앨범 커버
앨범 커버는 루크 길포드가 촬영했으며, 중성적인 모습의 퍼퓸 지니어스를 담아냈다.[37][38][39] 이는 앨범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 의식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17][18][19]4. 수록곡 목록
번호 | 제목 | 시간 |
---|---|---|
1 | I Decline | 1:58 |
2 | Queen | 3:50 |
3 | Fool | 3:55 |
4 | No Good | 3:49 |
5 | My Body | 2:17 |
6 | Don't Let Them In | 2:21 |
7 | Grid | 2:39 |
8 | Longpig | 2:50 |
9 | I'm a Mother | 3:30 |
10 | Too Bright | 3:25 |
11 | All Along | 2:34 |
총 11곡이 수록되었으며, 전체 길이는 33분 38초이다. 보너스 트랙 버전에는 "Thing"(2:55)이 추가되었다. 2024년 10주년 기념판에는 "Story of Love"(2:34), "My Place"(3:00), "When U Need Someone"(3:40)이 추가 수록되었다.
4. 1. 정규 앨범
wikitable번호 | 제목 | 시간 |
---|---|---|
1 | I Decline | 1:58 |
2 | Queen | 3:50 |
3 | Fool | 3:55 |
4 | No Good | 3:49 |
5 | My Body | 2:17 |
6 | Don't Let Them In | 2:21 |
7 | Grid | 2:39 |
8 | Longpig | 2:50 |
9 | I'm a Mother | 3:30 |
10 | Too Bright | 3:25 |
11 | All Along | 2:34 |
```
보너스 트랙 버전에는 "Thing"(2:55)이 추가되었다. 10주년 기념판에는 "Story of Love"(2:34), "My Place"(3:00), "When U Need Someone"(3:40)이 추가 수록되었다.
4. 2. 보너스 트랙 버전
"Thing"은 ''Too Bright'' 보너스 트랙 버전에 수록된 곡으로 길이는 2분 55초이다.4. 3. 10주년 기념판
2024년에 발매된 10주년 기념판에는 "Story of Love", "My Place", "When U Need Someone"이 추가되었다.5. 참여 음악가
'''주 참여자'''
- 마이크 헤드리어스 - 마이크 헤드리어스/Mike Hadreas영어 - 보컬, 피아노 (1, 4, 6, 10), 신디사이저 (3, 7, 9, 10), 키보드 (2, 8), 공 (5), 박수 (8), 월리처 (11), 작곡, 녹음
- 에이드리언 우틀리 - 신디사이저 (2, 3, 5, 7, 8), 베이스 기타 (2, 3, 5, 11), 기타 (1, 11), 와인박스 (5), 퓨즈 베이스 (7), 박수 (8), 엔지니어, 믹싱, 프로듀서
- 앨런 와이펠스 - 신스 (3, 4, 8, 10), 키보드 (2, 5), 피아노 (6)
- 짐 바 - 더블 베이스 (3, 4, 6)
- 허브 베가트 - 드럼 (3, 5, 8)
- 로스 휴스 - 베이스 클라리넷 (3, 4, 10), 색소폰 (7)
- 존 패리쉬 - 드럼 (2, 7, 8, 11), 셰이커 (5)
'''추가 참여자'''
- 그렉 칼비 - 마스터링
- 알리 챈트 - 엔지니어, 믹싱, 프로듀서, 박수 (8)
- 앨리슨 필딩 - 디자인
- 루크 길파드 - 사진
5. 1. 주요 참여자
마이크 헤드리어스는 보컬, 피아노(1, 4, 6, 10), 신디사이저(3, 7, 9, 10), 키보드(2, 8), 공(5), 박수(8), 월리처(11)를 담당하였고 작곡과 녹음에 참여했다. 에이드리언 우틀리는 신디사이저(2, 3, 5, 7, 8), 베이스 기타(2, 3, 5, 11), 기타(1, 11), 와인박스(5), 퓨즈 베이스(7), 박수(8)를 담당하고 엔지니어, 믹싱,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앨런 와이펠스는 신스(3, 4, 8, 10), 키보드(2, 5), 피아노(6)를 담당했다. 짐 바는 더블 베이스(3, 4, 6)를, 허브 베가트는 드럼(3, 5, 8)을, 로스 휴스는 베이스 클라리넷(3, 4, 10)과 색소폰(7)을 담당했다. 존 패리쉬는 드럼(2, 7, 8, 11)과 셰이커(5)를 담당했다.그 외에 그렉 칼비는 마스터링, 알리 챈트는 엔지니어, 믹싱, 프로듀서, 박수(8)를 담당했고, 앨리슨 필딩은 디자인, 루크 길파드는 사진을 담당했다.
5. 2. 추가 참여자
- 그렉 칼비 - 마스터링
- 알리 챈트 - 엔지니어, 믹싱, 프로듀서, 박수 (8)
- 앨리슨 필딩 - 디자인
- 루크 길파드 - 사진
6. 차트 성적
순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