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반은 독일어 'Untergrundbahn'의 약자로,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도시에서 운행되는 지하철 시스템을 의미한다. 20세기 초 베를린에서 고가 철도 회사가 S반과 구분하기 위해 U반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함부르크를 비롯한 여러 도시에서 트램 시스템을 대체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U반은 요금 지불 증명 시스템을 사용하며, 베를린, 함부르크, 뮌헨, 뉘른베르크, 빈 등에서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U반 | |
---|---|
개요 | |
유형 | 도시 철도 |
시스템 | U반 S반 슈타트반 |
국가 | 독일 |
U반 (Untergrundbahn) | |
정의 | "지하철"을 의미하며, 완전한 독립 노선을 갖춘 고용량 시스템임. |
특징 | 대부분 지하 구간 운행. 높은 플랫폼, 급전 레일, 자동 열차 보호 시스템. |
도시 | 베를린 함부르크 뮌헨 쾰른 프랑크푸르트 뉘른베르크 |
슈타트반 (Stadtbahn) | |
정의 | "도시 철도"를 의미하며, 트램과 U반의 중간 형태. |
특징 | 노면 구간, 지하 구간, 고가 구간 혼합. 일부 구간은 트램과 공유. |
도시 | 슈투트가르트 하노버 뒤셀도르프 보훔/겔젠키르헨 본 에센 도르트문트 |
U-슈타트반 (U-Stadtbahn) | |
정의 | U반 표준에 따라 건설되었으나, 슈타트반 차량이 운행되는 시스템. |
도시 | 빌레펠트 도르트문트 뒤셀도르프 쾰른 |
S반 (Stadtschnellbahn) | |
정의 | "도시 고속 철도"를 의미하며, 도시 및 교외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 철도 시스템. |
특징 | 간격이 넓은 역, 빠른 가속 및 감속. 도시 중심부에서는 지하 또는 고가 구간 운행, 외곽 지역에서는 지상 구간 운행. |
운영 | 대부분 도이치반에서 운영. 일부 지역은 지역 교통 회사에서 운영. |
도시 | 베를린 함부르크 뮌헨 프랑크푸르트 슈투트가르트 하노버 라인-루르 드레스덴 라이프치히 마그데부르크 뉘른베르크 로스토크 자르브뤼켄 에르푸르트 |
2. 역사
독일의 주요 도시철도 시스템인 S반(S-Bahn)과 U반(U-Bahn)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도시 교통 수요 변화에 대응하며 발전하기 시작했다.
S반은 주로 베를린, 함부르크와 같은 대도시에서 기존의 증기 기관차 기반 교외 철도가 전기 동력 시스템으로 전환되고 전용 노선과 요금 체계를 갖추면서 형성되었다. 1930년대에 이르러 지하 노선 중심의 U반과 구분하기 위해 'S반'이라는 명칭이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S반 시스템은 이후 독일 분단 시기를 거치며 동서독 양쪽에서 각기 다른 방식으로 발전했으며, 오늘날 많은 독일 도시의 핵심적인 통근 철도망으로 자리 잡았다.
U반은 20세기 초 베를린에서 지하 노선을 운영하던 회사가 자사의 시스템을 기존 철도와 구분하기 위해 '지하'를 의미하는 Untergrund|운터그룬트de의 첫 글자 'U'를 사용하여 명명한 데서 유래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독의 여러 도시에서는 증가하는 자동차 교통에 대응하고 도시 미관을 개선하기 위해 기존 트램 노선을 지하화하거나 U반으로 대체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했다. 이 과정에서 뮌헨, 뉘른베르크처럼 완전한 U반 시스템을 구축한 도시도 있지만, 많은 도시에서는 기존 트램 노선을 지하 터널로 이전한 경전철 형태의 Stadtbahn|슈타트반de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U반 또는 U-Stadtbahn|우-슈타트반de으로 칭하기도 했다.
이처럼 S반과 U반은 각기 다른 배경에서 출발했지만, 독일 도시 교통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며 발전해왔다. 각 시스템의 구체적인 발전 과정은 하위 항목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2. 1. S반의 발전
S반 시스템은 19세기 말 독일의 주요 도시에서 증가하는 교외 교통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등장했다. 특히 베를린과 함부르크에서는 증기 기관차를 이용한 초기 도시 및 교외 철도가 운행되었는데, 이는 점차 전용 선로 건설과 저렴한 요금 체계 도입을 통해 기존 철도와 차별화된 단거리 운송 서비스로 발전했다. 20세기 초, 증기 기관차 운행에 따른 불편함이 커지면서 전기 동력을 사용하는 열차 도입이 추진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등장한 새로운 형태의 도시 고속 철도 시스템은 기존의 지하철 시스템(U-반, U-Bahn|우반de)과 구분하기 위해 'S반'(S-Bahn|에스반de)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S반 시스템의 구체적인 시작과 발전은 베를린과 함부르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2. 1. 1. 베를린과 함부르크

1882년, 베를린 주변에서 증기 기관차로 운행되는 열차가 증가하자 프로이센 국립 철도는 교외 교통을 위한 별도의 철도 선로를 건설했다. 베를린 시 철도(Berliner Stadtbahn|베를리너 슈타트반de)는 베를린 시내 여러 곳에 흩어져 있던 8개의 도시 간 철도역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했다. 1891년 10월 1일에는 새로 설립된 베를린 시, 순환 및 교외 철도(Berliner Stadt-, Ring- und Vorortbahn|베를리너 슈타트-, 링- 운트 포어오르트반de)에 대해 저렴한 요금제가 도입되었다. 이 요금제와 열차 운행 증가는 단거리 운송 서비스를 다른 철도와 구분 짓는 특징이 되었다.
20세기 초에는 15,000V 교류 전차선을 사용하는 첫 전기 열차가 등장했다. 그러나 증기 기관차 운행이 점차 시민들에게 불편을 주게 되면서, 베를린 시, 순환 및 교외 철도는 직류 전동차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이 전동차는 750V의 제3 레일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방식이었다. 1924년에 첫 전철 노선이 운행을 시작했다. 제3 레일 방식은 특히 터널이나 교량 아래 구간에서 기존 선로를 개조하기 쉽고, 전기 열차와 증기 열차를 함께 운행하기 용이하다는 장점 때문에 채택되었다. 지하에서 운행하는 경쟁 노선인 U-반( U-Bahn|우반de )과 구분하기 위해 1930년부터는 시, 순환 및 교외 철도를 S-반( S-Bahn|에스반de )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기 시작했다.
한편, 함부르크에서는 프로이센 국립 철도의 알토나 사무소가 1906년에 증기 동력으로 운행하는 함부르크-알토나 시 및 교외 철도(Hamburg–Altonaer Stadt- und Vorortbahn|함부르크-알토나어 슈타트- 운트 포어오르트반de)를 설립하여 알토나, 블랑케네제 지역을 연결했다. 함부르크에서는 1907년에 실험적으로 교류 전력을 사용하는 노선을 구축하기도 했다. 하지만 전체 노선망은 1940년까지 여전히 증기 동력을 주로 사용했으며, 점차 기존 기관차를 1200V 직류(DC) 전기 기관차로 교체해 나갔다. 1934년에는 함부르크-알토나 시 및 교외 철도 역시 S-반( S-Bahn|에스반de )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2. 1. 2. 2세대 S반 시스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분단사 속에서 베를린 S반은 특수한 상황에 놓였다. 1984년까지 서베를린에서도 동독의 독일국영철도가 운영을 맡았는데, 이는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 이후 서베를린 시민들의 광범위한 S반 보이콧으로 이어지기도 했다.한편, 서독의 뮌헨, 슈투트가르트, 프랑크푸르트와 같은 주요 도시들은 1970년대에 기존의 종착역 아래로 새로운 터널을 건설하여 통근 열차 서비스가 도시를 관통하여 운행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이러한 새로운 시스템은 S반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동독 지역에서도 로스토크, 드레스덴, 라이프치히/할레, 에르푸르트 등의 도시에서 교외 철도 인프라 개선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소비에트 연방에 전쟁 배상으로 복선 선로 중 하나를 철거당하는 등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예를 들어 드레스덴의 경우, 혼잡했던 4선 주간선이 단선으로 축소되기도 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개선된 교외 철도 시스템은 S반으로 명명되었다.
이처럼 S반이라는 용어는 기존의 지하철과 유사한 베를린 및 함부르크 시스템뿐만 아니라, 여러 통근 열차가 도심의 핵심 구간(Stammstreckede)을 통해 운행하는 새로운 형태의 통근 철도 시스템을 지칭하는 용어로 점차 확장되었다. S반이라는 명칭 자체가 개선된 (교외) 철도 서비스의 상징처럼 여겨지면서, 19세기부터 주요 기차역이 통과형 역 구조였던 도시들조차 통근 철도 인프라를 개선하고 S반이라는 이름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뉘른베르크 S-Bahn의 경우, 전용 노선 건설이 최소화되어 S1 노선이 이용하는 뉘른베르크-밤베르크 철도와 같이 일부 구간에서는 장거리 및 지역 열차와 선로를 공유해야 하는 한계가 있으며, 이로 인해 운행 간격이 제한되고 일부 구간은 여전히 복선으로만 운영되고 있다.
2. 1. 3. 3세대 S반 시스템
S반이라는 용어는 새로운 교외 철도 서비스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로 인식되면서, 19세기부터 주요 기차역이 통과역 형태였던 도시에서도 통근 철도 인프라를 개선하고 S반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뉘른베르크 S-Bahn은 전용 인프라 건설이 최소화되어, S1 노선이 이용하는 뉘른베르크-밤베르크 철도처럼 일부 구간에서는 장거리 열차 및 지역 열차와 선로를 함께 사용해야 한다. 이로 인해 운행 간격에 제약이 있으며, 해당 노선 일부는 복선 구간으로만 운영되고 있다.
2. 2. U반의 등장과 발전
우반(U-Bahn)이라는 용어는 20세기 초 베를린에서 만들어졌다. 당시 고가 및 교외 노선을 운영하던 Hochbahngesellschaft|호흐반게젤샤프트de(고가 철도 회사)는 S반(S-Bahn)과 같이 자사의 시스템을 위한 짧고 기억하기 쉬운 이름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지하'를 의미하는 Untergrund|운터그룬트de의 첫 글자 'U'를 따서 우반(U-Bahn)으로 명명했다. 이 이름은 곧 함부르크의 시 소유 대중 교통 트램 노선에도 채택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건으로 서독에 부와 번영이 찾아오면서, 자동차 여행으로의 교통 수단 전환이 이루어졌다. 많은 대도시 의회는 자동차 교통에 방해가 된다고 여겨지던 트램 시스템을 우반 시스템과 버스 노선으로 대체할 계획을 세웠다.
뉘른베르크와 뮌헨은 기존 트램과 별도로 (베를린과 함부르크와 같은) 완전한 우반(U-Bahn)을 건설하기로 결정했으며, 이들 도시의 트램은 원래 단계적으로 폐지될 예정이었으나 현재 다시 확장되고 있다. 반면, 슈투트가르트, 프랑크푸르트, 쾰른, 본, 뒤셀도르프, 뒤스부르크, 보훔, 에센, 도르트문트, 겔젠키르헨, 헤르네, 뮐하임안데어루르, 하노버, 루드비히스하펜, 만하임 및 빌레펠트는 기존 트램을 위한 터널 건설을 시작하여 트램 노선을 지하로 재건설했다. 도심 지역의 터널 내 트램 시스템은 지하철의 기준을 충족하지 않으며, 대신 경전철 시스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때때로 우반(U-Bahn)이라고 불린다. 프랑크푸르트 네트워크를 제외하고, 이들은 공식적으로 Stadtbahn|슈타트반de(도시 철도) 또는 U-Stadtbahn|우-슈타트반de이라고 불린다.
1990년대에는, 원래 계획에 따르면 뉘른베르크와 뮌헨의 트램이 사라질 예정이었지만, 재편성 과정이 시작되었다. 자금 부족, 승객 수 증가, 그리고 더 넓은 도로가 더 많은 자동차를 유치할 뿐이라는 통찰력으로 인해 급행 교통 노선 건설이 둔화되었고, 트램을 잊었던 도시에서 트램의 르네상스가 일어났다. 뉘른베르크와 뮌헨에서는 30년 만에 새로운 차량이 구매되었고, 기존 노선이 현대화되었으며, 새로운 노선이 건설되어 새로운 통합 교통 개념이 도입되었다. 오늘날 베를린, 뮌헨, 뉘른베르크는 우반(U-Bahn) 시스템뿐만 아니라 별도의 트램 및 S반 시스템과 버스도 갖추고 있다.
3. 요금 체계
(내용 없음)
3. 1. 요금 지불 증명 시스템
대부분의 국가와는 달리, 독일의 급행 대중교통은 일반적으로 요금 징수 게이트로 통제되지 않고, 대신 요금 지불 증명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사복 차림의 요금 검사원(Fahrkartenkontrolleure|파르카르텐콘트롤로이레de)이 무작위로 승객의 승차권을 검사하며, 승차권이 없는 사람에게는 벌금(2016년 기준 60EUR)을 부과할 수 있다.4. 시스템 목록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여러 주요 도시에서는 U반(독: U-Bahnde) 및 S반(독: S-Bahnde)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도시철도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다. 이 시스템들은 각 도시 대중교통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며, 시민들의 이동 편의를 돕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베를린 U반, 빈 U반 등이 있으며, 각 도시별 상세한 시스템 목록과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독일
독일의 여러 주요 도시에서는 도시철도 시스템인 U반(독: U-Bahnde)과 S반(독: S-Bahnde)이 운영되고 있으며, 대중교통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대표적으로 베를린, 함부르크, 뮌헨 등에서 U반 노선을 찾아볼 수 있으며, 각 도시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형태의 도시철도 시스템이 발달해 있다. 상세한 노선 및 시스템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1. U반 시스템
다음은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U반 목록이다.
'''독일'''
- 베를린 - 베를린 U반 (참고: 베를린 S-Bahn)
- 프랑크푸르트 - 프랑크푸르트 U반
- 함부르크 - 함부르크 U반 (참고: 함부르크 S-Bahn)
- 뮌헨 - 뮌헨 U반 (참고: 뮌헨 S-Bahn)
- 뉘른베르크 - 뉘른베르크 U반 (참고: 뉘른베르크 S-Bahn)
'''오스트리아'''
- 빈 - 빈 U반
4. 1. 2. 슈타트반 시스템
- 빌레펠트 슈타트반
- 보훔 슈타트반
- 본 슈타트반
- 쾰른 슈타트반
- 도르트문트 슈타트반
- 뒤스부르크 슈타트반
- 뒤셀도르프 슈타트반
- 에센 슈타트반
- 프랑크푸르트 U-Bahn
- 하노버 슈타트반
- 슈투트가르트 슈타트반
4. 1. 3. S반 시스템
- 베를린 S반
- 브레멘 S반
- 드레스덴 S반
- 함부르크 S반
- 하노버 S반
- 마그데부르크 S반
- 미텔도이칠란트 S반 (라이프치히 / 할레 (잘레))
- 뮌헨 S반
- 뉘른베르크 S반
- 라인-마인 S반 (프랑크푸르트 / 오펜바흐 / 마인츠 / 비스바덴 / 다름슈타트)
- 라인-네카어 S반 (루트비히스하펜 / 만하임 / 하이델베르크 / 카를스루에)
- 라인-루르 S반 (루르 지방 / 베르기셰스 란트 / 뒤셀도르프 / 쾰른 / 본)
- 로스토크 S반
- 슈투트가르트 S반
4. 2.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에서는 빈에 빈 U반이 운영되고 있다.4. 2. 1. U반 시스템
다음은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U반 목록이다.
독일
오스트리아
- 빈 - 빈 U반
4. 3. 과거 시스템
20세기에 폐쇄된 수많은 트램 시스템 외에도, 과거의 명칭으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거나 운행이 중단된 시스템이 있다.
- 과거 독립시였던 쇤베르크에서 건설했던 U반 노선은 현재 베를린 지하철의 U4 노선으로 운영되고 있다.
- 에르푸르트 S반은 독일 통일 이후 운행이 중단된 교외 노선에 대해 비공식적으로 사용되던 명칭이다.
4. 3. 1. 베를린 쇤베르크 U반
현재 베를린 지하철의 U4 노선은 1920년 대(大)베를린법Groß-Berlin Gesetz|그로스베를린 게제츠de 시행 이전에 당시 독립시였던 쇤베르크에서 건설했다. 이 노선은 독일에서 세 번째로 건설된 지하철이며, 지방 자치 단체가 소유한 최초의 지하철이기도 하다. 아우토반 100호선 건설 과정에서 비영업 구간의 일부가 폐지되기도 했으나, 현재도 베를린 U반의 일부로서 기존과 동일한 역에서 운행되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Stadtbahn 2020
https://www.dresden.[...]
[2]
웹사이트
Stadtbahn
https://www.erfurt.d[...]
2013-03-20
[3]
문서
"Untergrund"は[[英語]]の"underground"にあたる単語で「地下」を、また"Bahn"は「道」や「軌道」を示す。後者は「鉄道」を意味する"Eisenbahn"の略語でもある。つまり"Untergrundbahn"という複合名詞は「地下鉄道」という意味であ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