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AG 대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SAG 대구는 대한민국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미국 육군 주둔지이다. 1950년 대구 기지사령부로 창설되어, 2007년 USAG 대구로 재편성되었다. 캠프 헨리, 워커, 조지, 캐럴을 포함하며, 약 10,000명의 미군, 카투사, 미국인 및 한국인 민간인, 계약자, 가족 구성원을 지원한다. 제19원정지원사령부, 제403육군야전지원여단 등 다양한 부대가 주둔하고 있으며, 부산 저장소도 관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남구 소재의 관공서 - 제19원정지원사령부
제19원정지원사령부는 1966년 창설되어 주한 미군의 군수 지원을 담당하며,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05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대구 남구 소재의 관공서 - 제403육군야전지원여단
제403육군야전지원여단은 1966년 서울에서 시작하여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07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주한 육군야전지원대대 등을 예하 부대로 두고 대한민국 캠프 험프리스와 일본 요코하마 북부부두에 주둔하는 미국 육군 소속 부대이다. - 2003년 설립된 단체 - 천안신대초등학교
천안신대초등학교는 2003년 설립 인가를 받아 2004년 개교했으며, 2005년 첫 졸업생을 배출하고 2012년 36학급으로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 2003년 설립된 단체 - 천안불당초등학교
2004년 개교한 천안불당초등학교는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불당동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로, 2023년 2월까지 6,097명의 졸업생을 배출하고 인공지능교육, 정보교육, 방과후학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수학교로 선정되어 교육감 표창을 받았다. - 주한 미군의 부대 및 편성 - 제65의무여단
제65의무여단은 1927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럽 전구에서 활약한 미 육군 의무 부대로, 한국에서 주둔하며 주한미군 의료 지원을 제공한 후 현재는 캠프 험프리스에서 브라이언 올굿 육군 지역병원을 중심으로 주한미군 및 한국군 장병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주한 미군의 부대 및 편성 - 제2전투항공여단
제2전투항공여단은 1957년 창설되어 2005년 통합 재편된 미 육군 제2보병사단 예하 전투항공여단으로, UH-60 블랙호크와 AH-64 아파치 헬기를 운용하며 다양한 작전 임무를 수행해왔고, 2013년 육군 우수부대 표창을 수여받았다.
USAG 대구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대구 미국 육군 주둔지 |
원어 명칭 | United States Army Garrison Daegu |
약칭 | USAG 대구 |
국가 | 미국 |
소속 | 미국 육군 |
종류 | 육군 주둔지, 시설관리부대 |
역할 | 제4지역 시설 및 부지 관리 |
상급 부대 | 시설관리사령부, 태평양 지부 |
주둔지 |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남구 캠프 헨리 |
별칭 | USAG 대구 |
표어 | Sustain, Support, Defend (유지, 지원, 방어) |
색상 | 빨강, 초록, 검정, 금색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연혁 | |
창설 | 1950년 |
현재 | 현재 |
활동 시작 | 2003년 10월 16일 |
지휘관 | |
사령관 | 데이비드 F. 헤닝 대령 |
주임원사 | 아스가르 카말루딘 원사 |
2. 역사
1950년, 대구 기지사령부(Taegu Base Command영어)가 창설되었다.[1]
USAG 대구는 캠프 헨리, 캠프 워커, 캠프 조지, 그리고 경상북도 왜관읍에 위치한 캠프 캐럴을 포함한다.[2] 대구광역시는 대한민국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로, 약 250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며, 서울에서 남쪽으로 약 약 321.87km 떨어져 있다. 왜관읍은 약 3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는 지역이다.
USAG 대구는 제4구역 시설에서 근무하거나 거주하는 약 10,000명의 미군, 카투사(KATUSA) 장병, 미국인 및 한국인 민간인, 계약자, 가족 구성원을 포함한 42개의 세입 부대 및 기관을 지원한다.
2003년 10월 16일, 제4지원지원처(Area IV Support Activity영어)로 창설되었다.[2]
제20지원단은 1985년 8월 16일부터 기지운영임무를 수행하였으며, 2006년 6월에 해당 임무를 제4지원지원처에 넘겨주었다.
2007년 3월 28일, 대구 미국 육군 주둔지(U.S. Army Garrison Daegu영어), 줄여서 USAG 대구로 재편성되었다. USAG 대구는 시설지원 최상위 표창과 육군 최상위 공동체 표창을 여러 차례 수상했다.
3. 지리
4. 인구
대구 앙클레이브(캠프 헨리, 캠프 워커, 캠프 조지)는 약 5,000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 중 약 1,100명의 미 육군 병사가 인구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공동체의 다른 구성원으로는 미국 육군 민간인, 계약자, 한국인 직원, 카투사(KATUSA) 장병 및 가족 구성원이 있다. 캠프 캐럴의 총 인구는 약 4,200명이다.
5. 구성 시설
6. 주둔 부대
- 제19원정지원사령부
- 제403육군야전지원여단
- 제36통신대대
- 제25수송대대
- 제6군수대대
- 제2대대, 제1방공포병연대
- 제168다기능의무대대
- 제524군사정보대대
- 제498전투지원대대
- 제188헌병중대 "오리지널 워파이터스"
- 제629의무중대(지역 지원)
- 미 육군 사관 후보생 사령부(ROTC)
- 대구중고등학교
- AFN 대구
USAG 대구에는 육군, 해군, 해병대(제3해병원정군(III MEF), G4, 군수 분견대), 공군(제607 SS, K2 비행장), 가족, 퇴역 군인, 초청된 미국 계약업체 및 국방부 민간인 직원이 포함된다.
참조
[1]
웹사이트
U.S. Army Garrison Daegu Official Website
https://www.army.mil[...]
[2]
웹인용
Leadership
https://home.army.mi[...]
United States Army Garrison Daegu Public affair office
2023-0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