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USCGC 버솔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SCGC 버솔프는 레전드급 경비함의 1번함으로, 환경 보호, 수색 구조, 어업 보호, 연안 경비, 대테러, 법 집행, 마약 단속, 불법 이민 단속, 해군 작전 참여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자동화된 무기 시스템과 57mm 중구경 갑판포, 헬리콥터 발착륙대, 소형 보트 발사 램프 등 첨단 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C4ISR 시스템을 통해 해안 경비대와 국방부 자산 간의 상호 운용성을 개선했다. 2019년에는 대만 해협 통과, 동중국해에서의 북한 불법 환적 단속, 한미 연합 훈련 등에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해안경비대 - 언제나 준비
    "언제나 준비"는 여러 국가와 단체에서 모토로 사용되는 문구로, 캐나다 육군, 조선소년단, 필리핀 소방서, 헝가리 재해 신원 확인팀, 홍콩 공군, 루마니아 스포츠 단체 등에서 사용되며, 영국에서는 가문, 학교, 소방대 등에서, 미국 해안경비대에서는 모토 및 행진곡 제목으로, 호주 소방 구조대, 연대, 포병 연대, 태즈메이니아 소방대, 공군 사관생도, 튀르키예 해군 등에서도 사용된다.
  • 2006년 선박 - 209형 잠수함
    209형 잠수함은 서독에서 개발된 수출형 디젤-전기 추진 잠수함으로, 경제성과 운용 편의성을 갖추어 다양한 서브 타입으로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해군의 장보고급 잠수함의 기반이 되기도 했다.
  • 2006년 선박 - SS-072 손원일
    손원일함(SS-072)은 대한민국 해군의 214급 잠수함 1번함으로, 손원일 제독의 이름을 사용하며, AIP 시스템을 탑재하여 장기간 잠수 작전이 가능하고, 현대중공업에서 건조되어 2007년 취역했으며, 다양한 무기를 탑재한 공격 능력을 갖추고 있다.
USCGC 버솔프 - [배(Ship)]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USCGC 버솔프 (WMSL-750)
USCGC 버솔프 (WMSL-750)
함선 국가미국
함선 명명 유래엘스워스 P. 버솔프 준장, USCG
함선 주문2001년 1월
함선 건조 회사노스럽 그러먼 조선 시스템, 미시시피주파스카굴라
함선 원가6억 4,100만 달러
함선 기공2005년 3월 29일
함선 진수2006년 9월 29일
함선 세례2006년 11월 11일
함선 취역2008년 8월 4일
함선 모항통합 지원 사령부 알라메다
함선 식별
콜사인: NBCQ
함선 모토전설은 여기서 시작된다
함선 상태현역 복무 중
USCGC 버솔프 문장
[[파일:USCGCBertholfCrest.jpg|left|125px]]
함선 특징
함선 배수량4500 LT
함선 추진복합 디젤 및 가스
2 × 7.400 kW 디젤 엔진
1 × 22.000 kW 가스 터빈 엔진
함선 속도28+ 노트
함선 항속 거리12,000 nm
함선 승무원113명 (장교 14명 + 사병 99명) 임무에 따라 최대 167명까지 수용 가능
함선 센서EADS 3D TRS-16 AN/SPS-75 공중 탐색 레이더
SPQ-9B 화력 통제 레이더
AN/SPS-73 지상 탐색 레이더
AN/SLQ-32
함선 전자전AN/SLQ-32 전자전 시스템
2 SRBOC/ 2 x NULKA 대응책 채프/급속 기만기 발사기
함선 무장1 x MK 110 57mm 포 보포스 57 mm 포 및 사격 통제 시스템의 변형
1 × 20 mm Block 1B Phalanx 근접 방어 무기 체계
4 × .50 구경 기관총
2 × M240B 7.62 mm 기관총
함선 장갑주포에 대한 탄도 보호
함선 항공기2 x MH-65C 돌고래 MCH, 또는 4 x VUAV 또는 1 x MH-65C 돌고래 MCH 및 2 x VUAV
함선 항공기 시설비행 갑판, 모든 항공기 격납고
함선 종류
함선 종류Legend급 커터함

2. 레전드급 경비함

버솔프함은 레전드급 경비함의 첫 번째 함선이다. 환경 보호, 탐색 구조, 어업 보호, 연안 경비, 대테러, 법 집행, 마약 단속, 불법 이민 단속, 해군 작전 참여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기관포와 작전용 헬기 등으로 무장했으며, 마약 밀수 단속과 같은 해양 감시 활동에 특화되어 있다.

2019년 3월 3일, 버솔프함은 일본 나가사키현 사세보항에 입항했다. 같은 해 3월 25일에는 미국 해군의 이지스 구축함 커티스 윌버함과 함께 대만해협을 통과했는데, 이는 그해 들어 미국 해군 함정의 세 번째 대만해협 통과였다.

2019년 3월 27일, 버솔프함은 북한의 불법 환적 단속 임무를 위해 동중국해에 투입되었으며,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에 도착했다. 버솔프함은 헬기와 무인 정찰기, 첨단 레이저 장비, 수중 잠수정 위치 파악 시스템, 특수부대원이 사용하는 고속정 등을 탑재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미국 본토 해안 경비를 주 임무로 하는 버솔프함이 이례적으로 동중국해에 급파된 것을 두고, 일각에서는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한 미국의 불신이 반영된 대북 해상 봉쇄 조치의 일환이라는 시각도 제기되었다.[16]

2019년 3월 28일에는 제주도 서귀포 남쪽 10km 해상에서 제주해경 소속 5002함(이청호함, 6500ton급)과 함께 2시간 동안 마약 단속 한미 합동 훈련을 실시했다. 이 훈련에는 양측에서 각각 경비함 1척, 고속보트 2척, 헬기 1대가 동원되었으며, 미국 측은 이례적으로 훈련의 상세 내용을 모두 공개할 것을 강하게 요청하기도 했다.

미국은 북한의 불법 환적 의심 선박 95척을 적발해 발표했는데, 여기에는 한국 국적의 유조선 '루니스(LUNIS)'호(5412ton급, 1999년 건조)도 포함되어 있었다. 루니스호는 부산 소재 해운사가 소유하고 다른 업체가 운항해왔으며, 선박 간 환적 전후로 부산, 여수, 광양 등 한국 항구에도 기항한 기록이 있다. 다만 한국 정부는 2018년 10월 해당 선박에 대해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

버솔프함은 레전드급 경비함 설계의 선도함이며, 미국 해안경비대의 다년간에 걸친 통합 심해 시스템 프로그램에 따라 건조된 최초의 대형 선박이다. 이 함선은 1960년대에 건조된 노후한 378피트급 해밀턴급 경비함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3. 특징

USCGC 버솔프는 미국 해안경비대의 레전드급 초계함(National Security Cutter, NSC) 중 첫 번째로 건조된 함선이다. 해안경비대의 현대화 계획인 '딥워터 프로그램'의 핵심 전력으로, 기존 노후 함정을 대체하고 21세기 해양 안보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설계되었다.[13][14]

이 함선은 광범위한 해양 작전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해상 보안 유지, 마약 밀수 단속, 불법 조업 감시, 수색 및 구조, 환경 보호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동화된 무기 시스템, 헬리콥터 운용 시설, 소형 보트 발사 및 회수 시스템 등 다목적 임무 수행에 필요한 설비를 갖추고 있다.[13]

또한, 최첨단 C4ISR 시스템과 다양한 센서를 탑재하여 뛰어난 정보 수집 및 상황 인식 능력을 제공하며, 미국 국방부 자산과의 상호 운용성도 확보했다.[14] 선박 통합 제어 시스템을 통해 자동화를 강화하고 운용 인력을 효율화했으며, 화학, 생물학, 방사능 위협에 대한 방호 능력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첨단 기술과 다목적 성능은 버솔프함이 복잡하고 다양한 해양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15]

3. 1. 무장 및 장비


  • 자동화된 무기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 중구경 갑판포(57 mm)를 탑재하여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불량 상선을 제지할 수 있다.[13]
  • 헬리콥터 발착륙대, 레일 기반 항공기 회수 시스템, 항공기 격납고 2개를 보유하고 있다.
  • 소형 보트의 신속한 발사 및 회수를 위한 선미 발사 램프가 설치되어 있다.
  • 기동성 향상을 위한 활 측면 추진기를 장착했다.
  • 최첨단 C4ISR 시스템을 통해 해안 경비대국방부 자산 간의 상호 운용성을 높였다.[14]
  • 화학, 생물학, 또는 방사능 공격에 대한 탐지 및 방어 능력을 갖추고 있다.
  • 정보 수집 및 공유를 위한 첨단 센서를 다수 탑재했다.
  • Rescue 21 시스템과 통합되어 실시간 추적 및 원활한 공통 작전 상황 파악, 해양 영역 인식이 가능하다.[14]
  • 최첨단 선박 통합 제어 시스템(기계 제어, 조향, 항법)을 통해 인력 요구 사항을 줄이고 자동화를 개선했다.
  • 구역 감시를 위해 Cassidian(EADS) TRS-3D/16-ES 대공 수색 레이더를 사용한다.[15]
  • 대테러 및 전력 보호를 위한 설비를 갖출 수 있으며, 여기에는 수중 음파 탐지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항구, 접근로, 시설 및 고가치 자산을 대상으로 수중 기뢰 및 기뢰 유사 장치를 탐색하고 잠수부를 감지할 수 있다.

3. 2. 첨단 기술

USCGC 버솔프는 다양한 첨단 기술을 탑재하여 임무 수행 능력을 극대화하고 있다. 주요 기술은 다음과 같다.

  • 무기 및 제압 시스템: 자동화된 무기 시스템과 함께,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불량 선박을 효과적으로 제압할 수 있는 57mm 중구경 갑판포를 갖추고 있다.[13]
  • 항공 운용 능력: 헬리콥터 발착륙대, 레일 기반 항공기 회수 시스템, 2개의 항공기 격납고를 보유하여 다양한 항공 작전을 지원한다.
  • 소형 보트 운용: 선미 발사 램프를 통해 소형 보트를 신속하게 발사하고 회수할 수 있다.
  • 기동성 향상: 활 측면 추진기를 장착하여 항구 등 제한된 수역에서의 정밀한 기동이 가능하다.
  • 지휘통제 및 정보 시스템: 해안경비대국방부 자산 간의 상호 운용성을 높이는 최첨단 C4ISR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다.[14] 또한, 정보 수집 및 공유를 위한 첨단 센서를 통해 작전 효율성을 높였다.
  • 상황 인식 능력: Rescue 21 시스템과 통합되어 실시간 추적 및 원활한 공통 작전 상황 파악, 해양 영역 인식이 가능하다.
  • 탐지 능력: 구역 감시를 위해 Cassidian(EADS)의 TRS-3D/16-ES 대공 수색 레이더를 사용하며,[15] 수중 음파 탐지기를 포함한 대테러/전력 보호 설비를 통해 수중 위협(기뢰, 잠수부 등)을 탐지하고 주요 시설을 보호할 수 있다.
  • 자동화 및 제어: 인력 소요를 줄이고 자동화를 강화하기 위해 기계 제어, 조향, 항법 기능을 통합한 최첨단 선박 통합 제어 시스템(SICS)을 채택했다.
  • 방호 능력: 화학, 생물학, 방사능(CBR) 공격에 대한 탐지 및 방어 기능을 갖추고 있다.

4. 작전 이력

버솔프함은 레전드급 경비함의 1번함으로, 환경보호, 탐색구조, 어업보호, 연안경비, 대테러, 법집행, 마약단속, 불법이민단속, 해군 작전 지원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기관포와 작전용 헬기 등으로 무장하고 있으며, 특히 마약 밀수 단속과 같은 해양 감시 및 법 집행 활동에 최적화되어 있다.

주요 작전 이력으로는 2012년 환태평양 훈련(RIMPAC) 참가[10], 2016년 파나마 태평양 연안에서의 반잠수식 마약 운반선 나포[7][8][9], 2019년 대만해협 통과[11]동중국해에서의 북한 선박의 불법 환적 감시 활동 등이 있다.[16] 같은 해 한국 해경과 합동으로 마약 단속 훈련을 실시하기도 했다.

4. 1. 미국

버솔프함은 레전드급 경비함의 1번함으로, 환경보호, 탐색구조, 어업보호, 연안경비, 대테러, 법집행, 마약단속, 불법이민단속, 해군 작전 참여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한다. 기관포와 작전용 헬기 등으로 무장했으며, 특히 마약 밀수 단속과 같은 해양 감시 활동에 특화되어 있다.

2019년 3월 3일, 버솔프함은 일본 나가사키현 사세보항에 입항했다. 같은 해 3월 25일에는 미국 해군 이지스 구축함 커티스 윌버함과 함께 대만해협을 통과했는데, 이는 2019년 들어 세 번째로 이루어진 미국 해군 함정의 대만해협 통과였다.

2019년 3월 27일, 버솔프함은 북한의 불법 환적 단속 임무를 위해 동중국해에 투입된 후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에 도착했다. 버솔프함에는 헬기와 무인정찰기, 첨단 레이저 장비, 수중 잠수정 위치 파악 시스템, 특수부대용 고속정 등 첨단 장비가 탑재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본토 해안경비를 주 임무로 하는 버솔프함이 동중국해의 북한 불법 환적 차단 임무에 투입된 것을 두고, 당시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한 미국의 불신을 반영한 해상 봉쇄 조치의 일환이라는 시각도 제기되었다.[16]

다음 날인 3월 28일에는 제주도 서귀포 남쪽 10km 해상에서 한국 해경과 합동으로 마약단속 훈련을 실시했다. 이 훈련에는 제주해경 소속 5002함(이청호함, 6500ton급) 1척과 고속보트 2척, 헬리콥터 1대, 그리고 미국 해안경비대의 버솔프함(4500ton급) 1척과 고속보트 2척, 헬리콥터 1대가 참여했다. 미국 측은 이례적으로 훈련 내용을 상세히 공개할 것을 강하게 요청하기도 했다.

한편, 미국은 북한의 불법환적 의심 선박 95척을 적발하여 발표했는데, 이 중에는 한국 국적의 유조선 '루니스(LUNIS)'호(5412ton급, 1999년 건조)도 포함되어 있었다. 루니스호는 부산 소재 해운사가 소유하고 다른 업체가 운항해왔으며, 한국 정부는 2018년 10월 해당 선박에 대해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 미국이 지목한 선박 간 환적 전후의 기항지에는 한국의 부산, 여수, 광양도 포함되어 있었다.

4. 2. 국제 활동

2012년 환태평양 훈련(RIMPAC)에서 ''버솔프''는 미사일 위협을 탐지 및 추적했으며, 훈련 기간 동안 상륙 병력에게 해상 화력 지원을 제공하여 다른 해군 함정과의 합동 작전 및 방어 작전 수행 능력을 입증했다.[10]

2016년 3월 3일, ''버솔프''는 P-3 오라이온 항공기가 파나마 태평양 연안에서 발견하여 보고한 반잠수식 마약 운반선에 대응했다.[7] 이 반잠수정은 ''버솔프''에서 출동한 수색대에 나포되었으며, 4명의 용의자와 함께 코카인 6톤이 압수되었다.[8] 수색대는 이후 해당 반잠수정을 침몰시켰다.[9]

2019년 3월 3일, 버솔프함은 일본 나가사키현 사세보항에 입항했다. 같은 해 3월 25일에는 미국 해군 이지스 구축함 USS 커티스 윌버와 함께 분쟁 해역인 대만해협을 통과했다.[11] 이는 2019년 들어 미국 해군 함정의 세 번째 대만해협 통과였다.

이틀 뒤인 2019년 3월 27일, 버솔프함은 북한의 불법 환적 단속 임무를 위해 동중국해에 투입되었고,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에 도착했다. 버솔프함은 헬기, 무인정찰기, 첨단 레이저 장비, 수중 잠수정 탐지 능력, 특수부대용 고속정 등을 탑재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동중국해에서 북한의 불법 해상 환적을 차단하는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었다. 미국 본토 해안 경비가 주 임무인 버솔프함이 북한 불법 환적 단속을 위해 파견된 것을 두고, 일부에서는 당시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한 미국의 불신을 반영한 대북 해상 봉쇄 조치의 일환이라는 시각도 있었다.[16] 당시 미국은 북한의 불법 환적 의심 선박 95척의 명단을 발표했는데, 여기에는 한국 국적의 유조선 '루니스(LUNIS)'호도 포함되었다. 1999년 건조된 5412ton급 유조선인 루니스호는 부산 소재 해운사 A가 소유하고 M사가 운항해왔으나, 한국 정부는 2018년 10월 무혐의 처분했다. 미국이 지목한 불법 환적 의심 행위 전후의 기항지에는 한국의 부산, 여수, 광양 등도 포함되어 있었다.

2019년 3월 28일에는 제주도 서귀포 남쪽 10km 해상에서 약 2시간 동안 한미 합동 마약 단속 훈련을 실시했다. 이 훈련에는 제주해경 소속 이청호함(5002함, 6500ton급) 1척과 고속보트 2척, 헬리콥터 1대, 그리고 미국 해안경비대 소속 버솔프함(WMSL-750, 4500ton급) 1척과 고속보트 2척, 헬리콥터 1대가 참여했다. 미국 측이 이례적으로 훈련 내용의 상세 공개를 강하게 요청하기도 했다.

2019년 4월 15일, 버솔프함은 홍콩을 방문했다. 이는 미국 해안경비대 함선으로는 17년 만의 첫 방문이었다.[12]

4. 3. 대한민국

2019년 3월 27일, 북한의 불법 환적 단속 임무를 위해 동중국해에 투입된 버솔프함이 제주민군복합형관광미항에 도착했다. 버솔프함은 헬기와 무인정찰기, 첨단 레이저 장비, 수중 잠수정 위치 파악 시스템, 특수부대용 고속정 등을 탑재하고 동중국해에서 북한의 불법 환적을 차단하는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었다. 미 본토 해안을 지키는 버솔프함이 북한의 불법 환적을 차단하기 위해 급파된데 대해, 문재인 정권의 대북정책을 불신하는 미국의 대북 해상 봉쇄 조치란 시각이 적지 않다.[16]

2019년 3월 28일에는 제주도 서귀포 남쪽 10km 해상에서 제주해경 소속 이청호함(6,500톤)과 함께 2시간 동안 마약 단속을 위한 한미 합동 훈련을 실시했다. 이 훈련에는 양측에서 경비함 각 1척(버솔프함 4,500톤), 고속보트 각 2척, 헬리콥터 각 1대가 동원되었으며, 이례적으로 미국 측이 상세한 훈련 내용 공개를 강하게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미국은 버솔프함의 활동과 연계하여 북한의 불법 환적 의심 선박 95척의 명단을 발표했으며, 여기에는 한국 국적 유조선 '루니스(LUNIS)'호(5,412톤)도 포함되었다. 루니스호는 1999년 건조되어 부산 소재 해운사가 소유하고 다른 업체가 운용해왔으며, 선박 간 환적 전후 기항지에 한국의 부산, 여수, 광양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한국 정부는 2018년 10월 루니스호에 대해 무혐의 처분을 내린 바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USCG National Security Cutters: Bad News, Good News http://www.defensein[...] 2019-02-17
[2] 웹사이트 MTU Powers Deepwater National Security Cutter https://dieselman.wo[...] 2019-02-17
[3] 웹사이트 National Security Cutter: Program Profile https://www.uscg.mil[...] 2017-02-12
[4] 웹사이트 CGC Bertholf Is Launched http://www.icgsdeepw[...] 2019-02-17
[5] 웹사이트 Photo Release – Bertholf Christening Honors U.S. Coast Guard's First National Security Cutter and Celebrates Recovery Milestone https://newsroom.hun[...] 2019-02-17
[6] 웹사이트 Full length feature of the USCGC Bertholf https://www.youtube.[...] 2019-02-17
[7] 웹사이트 Video: Coast Guard intercepts narco submarine http://www.marinelog[...] 2019-02-17
[8] 웹사이트 Video of Coast Guard's $200 million cocaine bust off Panama released https://www.foxnews.[...] 2019-02-17
[9] 웹사이트 Coast Guard cutter busts fifth cocaine sub in less than a year https://www.navytime[...] 2019-02-17
[10] 웹사이트 National Security Cutters Demonstrate Capabilities https://www.defensem[...] 2017-02-12
[11] 웹사이트 US Navy and Coast Guard Ships pass through strategic Taiwan Strait https://www.msn.com/[...] 2019-03-25
[12] 웹사이트 隔牆有耳: 美防衞隊海巡艦17年來首訪港 - 李八方 https://hk.news.appl[...] 2019-04-16
[13] 웹사이트 Maritime Security Cutter, Large (WMSL) http://www.globalsec[...] 2016-11-25
[14] 웹사이트 National security cutter approved for classified operations http://www.govexec.c[...] 2019-02-17
[15] 웹사이트 TRS 3D - MSSR 2000I http://www.cassidian[...] 2012-03-05
[16] 뉴스 점점 '쪽박'으로 가는 문재인 정권의 정치적 도박[심층분석] 스페셜경제 2019-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