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A음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VIA 음악은 1960년대 소련에서 등장한 음악 장르로, 서구 팝과 록 음악을 금지한 소련 정부가 팝 음악 활동을 허용하기 위해 고안한 모델이다. VIA는 매니저, 프로듀서, 정부 검열관 역할을 하는 예술 감독의 통제를 받았으며, 청소년을 위한 라디오 친화적인 팝 음악을 연주했다. 가사는 가족 친화적이었으며, 민족 문화와 애국심을 장려하는 내용이 많았다. 대표적인 VIA 그룹으로는 러시아의 젬랴네, 벨라루스의 페스냐리, 우즈베키스탄의 얄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음악 - 밤 (키노의 음반)
키노의 음반 "밤"은 "밤", "달", "그대만"을 포함한 10곡이 수록되어 있고, 이진아, 수민, 김뜻돌, 선우정아, 최예근 등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참여한 음반이다. - 음악 장르 - 잼 밴드
잼 밴드는 그레이트풀 데드에서 시작되어 즉흥 연주와 다양한 장르 혼합을 특징으로 하며 라이브 공연 녹음 및 배포를 허용하는 문화를 공유하지만, 정의가 모호하여 일부 아티스트는 이 분류를 꺼리기도 하는 밴드들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 음악 장르 - 래그타임
래그타임은 19세기 후반 아프리카계 미국인 음악가들이 창조한 싱코페이션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장르로, 피아노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여러 작곡가들의 활동을 통해 대중화되었고, 1차 세계 대전 이후 쇠퇴했지만, 1940년대 이후 부흥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VIA음악 | |
---|---|
음악 장르 정보 | |
이름 | VIA 음악 |
장르 뿌리 | 러시아 전통 음악 포크송 록 팝 음악 디스코 비트 음악 샹송 신스팝 |
문화적 기원 | 1960년대 후반 소련 |
사용 악기 | 건반 악기 기타 |
인기 | 196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까지 동구권에서 주류 음악 |
명칭 | |
로마자 표기 | Vokal'no-instrumental'ny ansambl' |
러시아어 | Вокально-инструментальный ансамбль |
약칭 | ВИА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라틴) | vokalno-instrumentalni sastav |
세르보크로아티아어 (키릴) | вокално-инструментални састав |
기타 지칭 | VIS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약칭) |
종류 | |
음악 스타일 | 러시아 전통 음악 포크송 록 팝 음악 디스코 비트 음악 샹송 신스팝 |
설명 | |
정의 | 소련과 러시아 음악 용어로, 음악 집단을 지칭 |
2. 역사
VIA라는 용어는 1960년대 소련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당시 서구 음악이 금지된 상황에서 정부 통제 하에 팝과 록 음악 활동을 허용하기 위한 모델이었다. 많은 초기 VIA는 지역 합창단이나 음악 극단 출신 음악가들이 결성했으며, 대표적으로 1964년 아방가르드(Avangard), 1966년 Poyushchiye Gitary(노래하는 기타), 1968년 Vesyolye Rebyata(즐거운 친구들), 1969년 도브리 몰로치(Dobry Molodtsy, 좋은 친구들) 등이 있다.[1]
2. 1. 소련의 음악 통제와 VIA


소련은 자국 내에서 서구의 팝 음악과 록 음악을 공식적으로 금지했다. 이에 소련 정치인들은 금지된 장르를 합법화할 다른 방법을 모색했고, 그 결과 VIA라는 음악 장르가 등장했다. 어떤 음악 그룹이든 소련의 주류 국영 매체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공식적으로 VIA로 등록해야만 했다.
VIA라는 용어는 1960년대 소련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는 소련 정부가 통제 하에 국내 록 및 팝 음악 활동을 허용하려는 시도를 나타내는 모델이었다. 국영 소련 미디어에 진출하기 위해 밴드는 공식적으로 인정받는 VIA가 되어야 했다. 각 VIA에는 매니저, 프로듀서, 그리고 국가가 임명한 검열관 역할을 하는 예술 감독(художественный руководитель|후도제스트벤니 루코보디텔ru)을 두었다. Pesniary와 같은 일부 밴드에서는 예술 감독이 밴드의 리더이자 주요 작곡가였지만, 다른 밴드에서는 단순한 관리자(임프레사리오) 역할에 머물렀다.
소련의 VIA는 특정 스타일의 팝 음악을 연주했다. 이들은 주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면서도 공식적으로 승인된, 라디오 방송에 적합한 음악을 만들었다. 여기에는 당시 서구와 소련의 음악 트렌드가 혼합되어 반영되었다. 연주에는 종종 민속 악기가 사용되었고, 때로는 키타(기타처럼 연주하는 키보드)와 같은 전자 악기도 활용되었다. 노래의 장르는 팝 발라드부터 댄스 비트의 디스코, 뉴 웨이브, 그리고 주류 록까지 다양했다. 많은 VIA 그룹은 여러 명의 보컬리스트와 다양한 악기를 다루는 연주자를 포함하여 최대 10명에 이르는 멤버로 구성되었으며, 멤버 교체가 잦은 편이었다.
국가의 검열 때문에 VIA의 노래 가사는 대부분 가족 친화적인 내용을 담았다. 사랑, 기쁨, 향수와 같은 보편적인 감정이나 이상화된 일상생활의 모습이 주된 주제였다. 또한 많은 밴드들이 민족 문화와 애국심을 고취하는 노래를 불렀는데, 특히 우즈베키스탄의 얄라, 조지아의 라비린스(Labyrinth), 우크라이나의 체르보나 루타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소련 공화국 출신 소수 민족 밴드들이 이러한 경향을 보였다. 벨라루스에서는 포크 음악에 기반을 둔 VIA가 특히 인기가 있었는데, 대표적으로 포크 록과 프로그레시브 록 스타일을 혼합했던 Pesniary를 비롯하여 시아브리(Siabry), Verasy 등이 활동했다.[1] 반면, 모스크바와 레닌그라드(현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의 러시아 밴드들, 예를 들어 Zemlyane이나 Tsvety 등은 서구 팝 및 록 음악의 영향을 더 강하게 받았다.
많은 VIA는 지역 합창단이나 음악 극단 활동을 통해 만난 음악가들에 의해 결성되었다. 초기에 결성된 대표적인 VIA로는 1964년의 아방가르드(Avangard), 1966년의 Poyushchiye Gitary(노래하는 기타), 1968년의 Vesyolye Rebyata(즐거운 친구들), 그리고 1969년의 도브리 몰로치(Dobry Molodtsy, 좋은 친구들) 등이 있다.
2. 2. VIA의 음악적 특징
소련의 VIA는 특정 스타일의 팝 음악을 연주했다. 이들은 주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면서도 공식적으로 승인된, 라디오 방송에 적합한 음악을 만들었다. 이러한 음악은 당시 서구와 소련의 음악 트렌드를 결합한 형태였다. 연주에는 민속 악기가 자주 사용되었고, 때로는 기타처럼 잡고 연주하는 키보드인 키타도 활용되었다. 노래 장르는 팝 발라드, 댄스 비트의 디스코 및 뉴 웨이브에서부터 주류 록까지 다양했다. 많은 VIA는 여러 명의 보컬리스트와 다양한 악기를 다루는 연주자를 포함하여 최대 10명까지 멤버를 두었으며, 멤버 교체가 잦은 편이었다.
국가의 검열 때문에 VIA의 가사는 대부분 가족 친화적인 내용을 담았다. 주로 사랑, 기쁨, 향수와 같은 보편적인 감정이나 일상생활을 이상적으로 묘사하는 내용이 많았다. 또한 많은 밴드는 민족 문화와 애국심을 고취하는 노래를 불렀는데, 특히 우즈베키스탄의 얄라(Yalla), 조지아의 라비린트(Labyrinth), 우크라이나의 체르보나 루타(Chervona Ruta)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소련 공화국 출신 소수 민족 밴드들이 이러한 경향을 보였다. 벨라루스에서는 페스냐리(Pesniary, 이후 포크 록과 프로그레시브 록 스타일을 혼합), 샤브리(Siabry), 베라시(Verasy)와 같은 포크 음악 기반의 VIA가 특히 인기가 있었다.[1] 반면, 모스크바와 레닌그라드 출신의 러시아 밴드들, 예를 들어 Zemlyane이나 Tsvety 등은 서구 팝 및 록 음악의 영향을 더 많이 받은 경향을 보였다.
2. 3. 검열과 가사
소련은 자국 내에서 서구의 팝 음악과 록 음악을 공식적으로 금지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련 정부는 금지된 장르를 통제 하에 합법화하는 방식으로 VIA라는 제도를 활용했다. 음악 그룹이 소련의 국영 매체에 등장하기 위해서는 공식적으로 VIA로 등록하고 인정을 받아야 했다.
각 VIA에는 예술 감독(художественный руководитель|후도제스트벤니 루코보디텔ru)이 배정되었다. 이 예술 감독은 매니저, 프로듀서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국가가 임명한 검열관으로서 그룹의 활동과 음악 내용을 감독했다. 일부 밴드에서는 예술 감독이 밴드의 리더이자 주요 작곡가이기도 했지만(예: Pesniary), 다른 경우에는 단순히 기획자(임프레사리오) 역할에 머물렀다.
국가 검열 시스템 하에서 VIA의 가사는 엄격하게 통제되어 대부분 가족 친화적인 내용으로 채워졌다. 가사의 일반적인 주제는 사랑, 기쁨, 향수와 같은 보편적인 감정이나 이상화된 일상생활 묘사였다. 또한 많은 밴드는 민족 문화와 애국심을 고취하는 내용을 노래했는데, 특히 우즈베키스탄의 Yalla, 조지아의 Labyrinth, 우크라이나의 Chervona Ruta와 같이 소수 민족 공화국 출신 밴드들이 이러한 경향을 보였다.[1] 벨라루스에서는 Pesniary, Siabry, Verasy와 같이 민속 음악에 기반을 둔 VIA가 특히 인기를 끌었다.[1] 반면, 모스크바와 레닌그라드 출신의 러시아 밴드들(예: Zemlyane, Tsvety)은 상대적으로 서구 팝 및 록 음악의 영향을 더 많이 받은 경향을 보였다.[1]
3. 대표적인 VIA 그룹
소련 시절 활동했던 대표적인 VIA 그룹으로는 벨라루스의 페스냐리와 러시아의 포유쉬치예 기타리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여러 공화국 출신의 주목할 만한 VIA 그룹들이 활동했으며, 각 지역별 상세한 그룹 목록은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3. 1. 러시아
주목할 만한 러시아 VIA는 다음과 같다.- 아리엘 (Ариэльrus)
- 앙상블 "그라나다" (Ансамбль "Гренада"rus) - 국제 및 정치 노래 전문
- 레이샤, 페스냐 (Лейся, песняrus)
- 플라먀 (Пламяrus)
- 포유쉬치예 기타리 (Поющие гитарыrus, "노래하는 기타")
- 사모츠베티 (Самоцветыrus, "보석")
- 츠베티 (Цветыrus, "꽃")
- 베세요레 레바야타 (Весёлые ребятаrus, "즐거운 친구들")
- 젬랴네 (Землянеrus, "지구인") - 대표곡: "집 앞 풀밭" (Трава у домаrus)
3. 2. 벨라루스
벨라루스 출신의 주목할 만한 VIA 그룹으로는 다음이 있다.- 페스냐리 (Песняры|페스냐리be)
- 샤브리 (Сябры|샤브리be)
- 베라시 (Верасы|베라시be)
3. 3. 우크라이나
소련 시절 우크라이나의 주목할 만한 VIA로는 체르보나 루타(Червона рута|체르보나 루타uk)가 있다.3. 4. 우즈베키스탄
- 얄라(Yalla): 대표곡으로 "우치쿠두크"가 있다.
3. 5. 카자흐스탄
- 도스 무카산
3. 6. 조지아
조지아의 주목할 만한 VIA로는 이베리아(Iveria)가 있다.3. 7. 몰도바
몰도바 출신의 주목할 만한 VIA로는 노로크가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