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Vanishing Point (프라이멀 스크림의 음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Vanishing Point》는 프라이멀 스크림의 다섯 번째 앨범으로, 1971년 영화 《배니싱 포인트》에서 제목을 따왔다. 이 앨범은 덥(dub)의 영향을 받은 음악 스타일을 특징으로 하며, 1997년 7월에 발매되었다. 앨범에는 영화의 주인공 이름을 딴 "Kowalski"와 같은 곡들이 수록되어 있으며, 전 더 스톤 로지스의 멤버 매니가 참여했다.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1990년대 후반 대한민국에서 IMF 외환 위기 이후 젊은 세대의 저항 정신을 대변하는 작품으로 평가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7년 음반 - Pop (U2의 음반)
    1997년 발매된 U2의 9번째 스튜디오 앨범 《Pop》은 전자 음악과 샘플링을 활용한 실험적인 사운드를 특징으로 하며, 긍정적 평가와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나 멤버들은 최종 결과물에 실망했고, 앨범의 실험적인 시도는 U2의 음악적 경향에 영향을 미쳤다.
  • 1997년 음반 - Life After Death
    노토리어스 B.I.G.의 사후 앨범인 Life After Death는 평단의 극찬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힙합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앨범 중 하나가 되었고 갱스터 랩의 주류 음악 시장 진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리프리즈 레코드 음반 - Axis: Bold as Love
    Axis: Bold as Love는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하드 록, 리듬 앤 블루스, 재즈를 혼합한 사운드와 헨드릭스의 실험적인 시도가 돋보이며, 힌두교 이미지 커버 논란에도 불구하고 상업적 성공과 음악적 영감을 주었다.
  • 리프리즈 레코드 음반 - Blue (조니 미첼의 음반)
    Blue는 조니 미첼이 1971년에 발표한 네 번째 정규 앨범으로, 유럽 여행의 영감과 연인과의 관계에서 비롯된 감정을 솔직하게 담아내어 비평가들의 호평과 함께 역대 최고의 앨범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Vanishing Point (프라이멀 스크림의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음반 정보
Vanishing Point 음반 커버
Vanishing Point 음반 커버
음반 종류스튜디오 음반
아티스트프라이멀 스크림
발매일1997년 7월 7일
녹음 장소Chalk Farm Studios, London
장르일렉트로닉 록

네오-사이키델리아
크라우트록
길이53분 31초
레이블Creation
Reprise
사이렌
에픽
프로듀서프라이멀 스크림
브렌던 린치
앤드류 웨더올
이전 음반Give Out But Don't Give Up
이전 음반 발매년도1994년
다음 음반Echo Dek
다음 음반 발매년도1997년
싱글
싱글 1Kowalski
싱글 1 발매일1997년 5월 5일
싱글 2Star
싱글 2 발매일1997년 6월 16일
싱글 3Burning Wheel
싱글 3 발매일1997년 10월 13일
싱글 4If They Move, Kill 'Em
싱글 4 발매일1998년 2월 16일
차트 성적
전영 앨범 차트2위
오리콘 차트14위
인증
영국 축음기 협회 (BPI)실버

2. 배경

바비 길레스피는 이 음반을 아나코-생디칼리즘, 스피드프릭, 로드 무비 레코드라고 묘사했다.[1] 음반의 제목은 1971년 미국 영화 《배니싱 포인트》에서 영감을 받아 따왔다. 특히 수록곡 "Kowalski"는 이 영화의 대체 사운드트랙을 의도한 곡으로, 영화 주인공의 이름에서 제목을 가져왔으며 영화 속 대사가 샘플링되어 사용되었다. 리드 싱어 바비 길레스피는 "영화 속 음악은 히피 음악이라서 '영화의 분위기를 제대로 반영하는 음악을 녹음하면 어떨까?'라고 생각했습니다. 우리 밴드가 항상 가장 좋아하는 영화였고, 편집증과 스피드 프릭의 정당성이 느껴지는 분위기를 좋아합니다. 지금은 구하기가 불가능한데, 그게 멋져요! 순수한 언더그라운드 영화이고, 폐쇄 공포증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라고 제작 의도를 밝혔다.[1]

"Kowalski"의 프로모션 비디오는 어빈 웰시의 감수 아래 더글라스 하트[19]가 감독을 맡았고, 모델 케이트 모스[20]가 출연했다. 8분이 넘는 연주곡 "트레인스포팅(Trainspotting)"은 동명의 영화에 제공되었으며, 해당 영화의 사운드트랙에도 수록되었다.

이 음반부터 전 더 스톤 로지스의 베이시스트 매니가 밴드에 합류하여 "Kowalski"와 "Motörhead" 두 곡에서 베이스를 연주했다. 음악적으로는 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나며, 이후 에이드리언 셔우드가 덥 리믹스를 담당한 앨범 《에코 데크》가 제작되기도 했다. 2009년 일본에서 한정 발매된 리마스터반에는 기존 싱글 B사이드 곡들과 더불어, On-U 사운드, 어빈 웰시와 공동 제작한 싱글 "The Big Man and the Scream Team Meet the Barmy Army Uptown"의 수록곡 등 다른 앨범에는 실리지 않은 곡들이 추가되었다.

3. 녹음

이 음반은 밴드의 채크 팜 연습실에 있던 두 대의 휴대용 8트랙 녹음 스튜디오를 이용하여 작곡 및 녹음되었다.[1] 전체 음반은 두 달 만에 작곡 및 녹음되었고, 추가로 한 달 동안 믹싱되었다.[1] "Motorhead" 커버 곡 녹음 시, 리드 싱어 바비 길레스피는 다스 베이더 마스크를 쓰고 첫 번째 구절을 불렀다.[2] 길레스피에 따르면, 음반의 많은 부분이 라이브 즉흥 연주에서 시작되었으며, "그 후 우리는 다른 사운드와 루프를 겹쳐서 보컬을 추가했습니다."라고 설명했다.[1] 트랙 "If They Move, Kill 'Em"에는 원래 샘 페킨파 감독의 영화 ''와일드 번치''의 샘플을 넣으려고 했으나(노래 제목은 영화의 초기 대사 중 하나이다), 제때 사용 승인을 받지 못해 포함되지 못했다.[1]

4. 음악 스타일

음반의 많은 곡은 라이브 즉흥 연주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이후 다양한 사운드와 루프를 겹치고 보컬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완성되었다.[1] "If They Move, Kill 'Em" 트랙에는 원래 샘 페킨파 감독 영화 ''와일드 번치''의 대사 샘플을 사용하려 했으나, 제때 승인을 받지 못했다.[1]

5. 발매

''Vanishing Point''는 프라이멀 스크림의 다섯 번째 정규 앨범으로, 1997년 7월 7일 크리에이션 레코드를 통해 영국에서, 리프라이즈 레코드를 통해 미국에서 발매되었다.

앨범 제목은 1971년에 공개된 미국 영화 배니싱 포인트에서 가져왔다. 앨범 발매에 앞서 공개된 싱글 "Kowalski" 역시 같은 영화 주인공의 이름에서 제목을 따왔으며, 곡 중간중간 영화 속 대사가 샘플링되어 삽입되었다. "Kowalski"의 뮤직비디오는 작가 어빈 웰시가 대본을 쓰고 뮤지션 더글러스 하트가 감독을 맡았다.[19] 비디오에는 닷지 챌린저 차량과 슈퍼모델 케이트 모스가 출연하여 밴드 멤버들을 폭행하는 장면이 담겼다.[20] 보컬 바비 길레스피는 이 비디오를 영화 ''Faster Pussycat, Kill! Kill!''와 TV 시리즈 ''The Sweeney''를 합쳐 놓은 것 같다고 묘사했다.

수록곡 중 8분이 넘는 연주곡 "트레인스포팅"은 동명의 영화 트레인스포팅에 사용되었으며, 해당 영화의 사운드트랙 앨범에도 수록되었다.

6. 평가

평론가 평점
평론가평점
올뮤직4.5/5[3]
엔터테인먼트 위클리A[4]
가디언5/5[5]
로스앤젤레스 타임스3/4[6]
NME9/10[7]
피치포크8.3/10[8]
롤링 스톤4/5[9]
롤링 스톤 음반 가이드4.5/5[10]
스핀8/10[11]
빌리지 보이스B+[12]



''Vanishing Point''는 평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1994년의 ''Give Out But Don't Give Up'' 이후의 회귀작으로 환영받았다. ''NME''는 이 앨범을 1997년 최고의 앨범 4위로 선정했다.[13] 2012년, ''NME''의 저널리스트 마크 보몬트는 이 앨범을 밴드의 네 번째 최고의 앨범으로 선정하며 "자신을 반복하지 않고 끊임없이 실험 정신을 발휘하려는 프라이멀 스크림의 의지를 굳건히 다진 훌륭한 앨범"이라고 평했다.[14] 이 앨범은 또한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에 포함되었다.[15]

7. 곡 목록

이 앨범의 오리지널 버전은 총 11개의 트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본에서 발매된 버전에는 보너스 트랙 'Jesus'가 추가로 수록되었다.

2009년에는 리마스터 버전이 2CD 구성으로 발매되었다. 첫 번째 CD에는 오리지널 앨범 11곡과 함께 B사이드 트랙, 커버곡 등이 추가 수록되었고, 두 번째 CD에는 다양한 리믹스 버전과 덥 뮤직(Dub) 버전 등이 포함되었다.

자세한 트랙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7. 1. 오리지널 앨범

모든 곡은 특별히 언급된 경우를 제외하고 바비 길레스피, 앤드루 이네스, 로버트 영, 마틴 더피가 작곡했다.

#제목작곡가길이
1Burning Wheel바비 길레스피, 앤드루 이네스, 로버트 영, 마틴 더피7:06
2Get Duffy바비 길레스피, 앤드루 이네스, 로버트 영, 마틴 더피4:09
3Kowalski바비 길레스피, 앤드루 이네스, 로버트 영, 마틴 더피, 개리 문필드5:50
4Star바비 길레스피, 앤드루 이네스, 로버트 영, 마틴 더피4:24
5If They Move, Kill 'Em바비 길레스피, 앤드루 이네스, 로버트 영, 마틴 더피3:01
6Out of the Void바비 길레스피, 앤드루 이네스, 로버트 영, 마틴 더피3:59
7Stuka바비 길레스피, 앤드루 이네스, 로버트 영, 마틴 더피5:36
8Medication바비 길레스피, 앤드루 이네스, 로버트 영, 마틴 더피3:52
9Motörhead레미 킬미스터3:38
10Trainspotting바비 길레스피, 앤드루 이네스, 로버트 영, 마틴 더피8:07
11Long Life바비 길레스피, 앤드루 이네스, 로버트 영, 마틴 더피3:49


7. 2. 일본반 보너스 트랙

일본반에는 다음 보너스 트랙이 추가되었다.

번호곡명작사/작곡길이
12지저스 (Jesus)질레스피 / 이네스 / 영4:29


7. 3. 2009년 리마스터반

2009년에 발매된 리마스터반은 2개의 CD로 구성되어 있다.

Disc 1에는 기존 앨범의 11곡과 함께 보너스 트랙들이 추가되었다. 추가된 곡에는 일본반 보너스 트랙이었던 'Jesus', 더 클래시의 커버곡 'Know Your Rights', 퀘스천 마크 앤 더 미스테리언스의 커버곡 '96 Tears', 그리고 B사이드 곡인 'Rebel Dub', 'How Does it Feel to Belong' 등이 포함된다.

Disc 2는 다양한 리믹스 버전, 덥(Dub) 버전, 그리고 지저스 앤 메리 체인의 커버곡('Darklands', 'Badlands') 등을 수록하고 있다.

7. 3. 1. Disc 1

#제목작곡가길이
1Burning WheelBobby Gillespie, Andrew Innes, Robert Young, Martin Duffy7:06
2Get DuffyBobby Gillespie, Andrew Innes, Robert Young, Martin Duffy4:09
3KowalskiBobby Gillespie, Andrew Innes, Robert Young, Martin Duffy, Gary Mounfield5:50
4StarBobby Gillespie, Andrew Innes, Robert Young, Martin Duffy4:24
5If They Move, Kill 'EmBobby Gillespie, Andrew Innes, Robert Young, Martin Duffy3:01
6Out of the VoidBobby Gillespie, Andrew Innes, Robert Young, Martin Duffy3:59
7StukaBobby Gillespie, Andrew Innes, Robert Young, Martin Duffy5:36
8MedicationBobby Gillespie, Andrew Innes, Robert Young, Martin Duffy3:52
9MotörheadLemmy Kilmister3:38
10TrainspottingBobby Gillespie, Andrew Innes, Robert Young, Martin Duffy8:07
11Long LifeBobby Gillespie, Andrew Innes, Robert Young, Martin Duffy3:49


7. 3. 2. Disc 2

번호제목원제/비고작사/작곡길이
1풀 스트렝스 포티파이드 덥Full Strength Fortified Dub프라이멀 스크림/웰시/On-U 사운드4:23
2일렉트릭 수프 덥Electric Soup Dub프라이멀 스크림/웰시/On-U 사운드4:29
3A 제이크 수프림A Jake Supreme프라이멀 스크림/웰시/On-U 사운드2:01
4코왈스키Automator Mix길레스피/이네스/영/다피/몬필드5:12
5스투카Two Lone Swordsmen Mix길레스피/이네스/영10:15
6버닝 휠Chemical Bros. Mix길레스피/이네스/영7:17
7만약 그들이 움직인다면, 죽여라12" Disco Mix길레스피/이네스/영5:43
8다크랜즈Draklands리드/리드6:10
9배드랜즈Badlands리드/리드7:31


8. 참여진

다음은 라이너 노트에서 발췌한 크레딧이다.[16]

앨범 제작에는 프라이멀 스크림 멤버 전원이 참여했고, 어거스터스 파블로, 글렌 매트록 등 다양한 게스트 뮤지션들이 힘을 보탰다. 프로듀싱은 주로 밴드와 브렌든 린치가 맡았으며, 일부 트랙은 앤드루 웨더올이 담당했다. 상세한 참여진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8. 1. 프라이멀 스크림

다음은 라이너 노트에서 발췌한 크레딧이다.[16]

이름역할
바비 길레스피보컬
앤드루 인네스기타, 베이스
로버트 영기타, 프로그래밍, 키보드
마틴 더피키보드, 프로그래밍, 멜로디카
게리 마니 문필드베이스
폴 멀러니드럼


8. 2. 게스트

다음은 라이너 노트에서 발췌한 크레딧이다.[16]

이름악기참여 트랙
마르코 넬슨베이스 기타1, 4, 5, 7
어거스터스 파블로멜로디카4
글렌 매틀록베이스 기타8
판디트 디네쉬타블라4, 6
이안 딕슨베이스 클라리넷2
던컨 맥케이트럼펫2, 5
짐 헌트색소폰2, 5
웨인 잭슨트럼펫4
앤드루 러브색소폰4
폴 하트하모니카, 신시사이저8 (하모니카), 9 (신시사이저)


8. 3. 프로덕션

다음은 라이너 노트에서 발췌한 크레딧이다.[16]

'''프라이멀 스크림'''

  • 바비 길레스피 – 보컬
  • 앤드루 인네스 – 기타, 베이스
  • 로버트 영 – 기타, 프로그래밍, 키보드
  • 마틴 더피 – 키보드, 프로그래밍, 멜로디카
  • 게리 '마니' 문필드 – 베이스
  • 폴 멀러니 – 드럼


'''제작'''

  • 프라이멀 스크림 – 프로듀싱 (10번 트랙 제외)
  • 브렌든 린치 – 프로듀싱 (10번 트랙 제외)
  • 앤드루 웨더올 – 프로듀싱 (10번 트랙)
  • 맥스 헤이즈 – 엔지니어링 (10번 트랙 제외)
  • 팀 홈스 – 엔지니어링 (10번 트랙)
  • 조지 실링 – 믹싱 엔지니어링 (2, 3, 11번 트랙)


밴드게스트 및 참여 정보


9. 차트

순위오스트레일리아 앨범 (ARIA)[17]64오스트리아31핀란드31독일97뉴질랜드23스코틀랜드2스웨덴3스위스47영국2미국 빌보드 히트시커스 앨범34


10. 인증

wikitext

음반 판매량 인증
지역인증
일본 (RIAJ)골드


참조

[1] 뉴스 Vortex, Drug & Rock n Roll http://www.theprimal[...] 1997-05-03
[2] 뉴스 Freeze! http://www.theprimal[...] Select 1997-06
[3] 웹사이트 Vanishing Point – Primal Scream https://www.allmusic[...] AllMusic 2016-05-11
[4] 간행물 Vanishing Point https://www.ew.com/a[...] 1997-07-11
[5] 뉴스 Back to life 1997-06-27
[6] 뉴스 Primal Scream, 'Vanishing Point,' Reprise https://www.latimes.[...] 2016-05-11
[7] 간행물 Primal Scream – Vanishing Point https://www.nme.com/[...] 2016-05-11
[8] 웹사이트 Primal Scream: Vanishing Point http://www.pitchfork[...] 2016-05-11
[9] 간행물 Primal Scream: Vanishing Point https://www.rollings[...] 2016-05-11
[10]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11] 간행물 Primal Scream: Vanishing Point https://books.google[...] 2016-05-11
[12] 뉴스 Consumer Guide http://www.robertchr[...] 2016-05-11
[13] 웹사이트 Albums And Tracks Of The Year: 1997 https://www.nme.com/[...] 2020-03-04
[14] 웹사이트 Primal Scream – Rank The Albums https://www.nme.com/[...] 2020-05-26
[15] 서적 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 Revised and Updated Edition Universe 2010-03-23
[16] 웹사이트 Primal Scream . Webadelica http://www.theprimal[...] 2007-07-17
[17] Ryan
[18] database British certificates: searchable database http://www.bpi.co.uk[...]
[19] en:Douglas Hart 元ジーザス&メリーチェインのベーシスト。バンドから離れた後に映像作家となった。
[20] 뉴스 Freeze! http://www.theprimal[...] Select 2010-07-07
[21] 웹인용 Vanishing Point – Primal Scream https://www.allmusic[...] AllMusic 2016-05-11
[22] 잡지 인용 Vanishing Point https://www.ew.com/a[...] 2009-08-23
[23] 뉴스 인용 Back to life 1997-06-27
[24] 뉴스 인용 Primal Scream, 'Vanishing Point,' Reprise https://articles.lat[...] 2016-05-11
[25] 잡지 인용 Primal Scream – Vanishing Point https://www.nme.com/[...] 2016-05-11
[26] 웹인용 Primal Scream: Vanishing Point http://www.pitchfork[...] 2016-05-11
[27] 잡지 인용 Primal Scream: Vanishing Point https://www.rollings[...] 2016-05-11
[28] 서적 인용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29] 잡지 인용 Primal Scream: Vanishing Point https://books.google[...] 2016-05-11
[30] 뉴스 인용 Consumer Guide http://www.robertchr[...] 2016-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