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the Hell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What the Hell"은 에이브릴 라빈의 네 번째 앨범 "Goodbye Lullaby"의 첫 번째 싱글로, 2010년 12월에 공개되었다. 팝 펑크와 신스팝 장르의 곡으로, 라빈, 맥스 마틴, 셸백이 작사, 셸백과 맥스 마틴이 프로듀싱했다. 이 곡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Girlfriend"와 유사하다는 평을 받았다. "What the Hell"은 전 세계적으로 600만 장 이상 판매되었으며, 여러 차트에서 상위권에 올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이브릴 라빈의 노래 - Sk8er Boi
Sk8er Boi는 에이브릴 라빈의 데뷔 앨범 《Let Go》의 두 번째 싱글로, 팝 펑크와 파워 팝 장르이며 스케이트보더를 짝사랑하는 소녀의 이야기를 담고 있고, 상업적 성공과 더불어 뮤직비디오, 영화화 계획, 다양한 매체 사용 등으로 꾸준히 회자되는 곡이다. - 에이브릴 라빈의 노래 - Losing Grip
Losing Grip은 에이브릴 라빈의 데뷔 앨범 《Let Go》의 네 번째 싱글로, 뮤직 비디오는 라빈과 밴드의 공연 모습, 2003년 캐나다 라디오 뮤직 어워드 수상, 그래미상 후보 지명 등의 특징을 가진다. - 2011년 싱글 - 아스나로
아스나로는 스즈무라 켄이치 작사, 미야자키 마코토 작곡/편곡의 《하느님의 메모장》 엔딩 테마곡으로, '어느 행성의 이야기'를 수록한 2011년 발매 싱글이며, 질주감 넘치는 피아노 록 스타일과 90년대 기타 록 사운드가 특징이고, 오리콘 주간 싱글 차트 22위를 기록했으며, 발매 기념 무료 이벤트도 개최되었다. - 2011년 싱글 - I Will Follow
U2의 데뷔 앨범 '보이'의 첫 번째 트랙이자 싱글인 "I Will Follow"는 보노의 어머니를 추모하는 가사와 강렬한 기타 리프가 특징이며 상업적 성공과 함께 U2의 대표곡으로 자리매김하여 라이브 공연과 다양한 앨범에 수록, 2023년 재녹음되기도 했다.
What the Hell - [음악]에 관한 문서 | |
---|---|
곡 정보 | |
제목 | What the Hell (왓 더 헬) |
아티스트 | 에이브릴 라빈 |
음반 | 굿바이 럴러바이 |
B-사이드 | 앨리스 |
발매일 | 2011년 1월 10일 (미국), 2011년 2월 2일 (일본) |
녹음 년도 | 2010년 |
스튜디오 | 마라톤, 스톡홀름 |
장르 | 버블검 팝 팝 펑크 신스팝 |
길이 | 3분 39초 |
레이블 | RCA |
작사가 | 에이브릴 라빈 맥스 마틴 셸백 |
프로듀서 | 맥스 마틴 셸백 |
이전 싱글 | 앨리스 (2010년) |
다음 싱글 | Smile (2011년) |
뮤직 비디오 | "What the Hell" 뮤직 비디오 |
일본 정보 | |
일본어 제목 | ワット・ザ・ヘル (왓・자・헤루) |
포맷 | 맥시 싱글 |
일본 차트 성적 | |
Billboard JAPAN Hot 100 | 11위 |
Billboard Pop Songs | 8위 |
Billboard Radio Songs | 27위 |
Billboard Digital Songs | 6위 |
Billboard Canadian Hot 100 | 8위 |
Billboard iLike Libraries: Most Added | 7위 |
Billboard Adult Pop Songs | 12위 |
Billboard JAPAN Hot 100 | 2위 |
Billboard JAPAN Hot Top Airplay | 1위 |
오리콘 | 주간 15위, 등장 10회 |
레코쵸쿠 (2011년) | 31위 |
일본 레코드 협회 유료 음악 전송 차트 (2011년) | 27위 |
일본 인증 | |
일본 레코드 협회 | 플래티넘 (着うたフル, "챠쿠우타후루" - 벨소리 풀버전) |
Billboard JAPAN | Billboard JAPAN HOT 100 AIRPLAY OF THE YEAR 2011 |
한국 정보 | |
B-사이드 | Alice |
포맷 | CD 싱글, 디지털 다운로드 |
2. 배경
"What the Hell"은 에이브릴 라빈, 맥스 마틴, 셸백이 공동으로 작사했으며, 마틴과 셸백이 프로듀싱을 맡았다.[5] 이 곡은 스웨덴 스톡홀름에 위치한 마라톤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 라빈, 마틴, 셸백 세 사람이 함께 작업한 곡은 이 곡이 두 번째이며, 첫 번째 곡은 미란다 코스그로브의 "Dancing Crazy"이다.
"What the Hell"은 버블검 팝 펑크 및 신스팝 장르의 곡으로 묘사된다.[2][3] 이 곡은 라빈의 이전 싱글 "Girlfriend"(2007)와 비교되기도 한다. 벌스-프리 코러스-코러스 형식으로 쓰였으며, 특징적인 레트로 키보드 리프와 손뼉 소리로 시작한다. 키보드의 사용은 개러지 록 장르와 밴드 The Hives에 비견되기도 했다. 또한 코러스 부분에서는 기타 연주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What the Hell"은 "버블검 팝 펑크"[37] 및 신스팝 곡으로 묘사되었다.[2][3] 이 곡은 이전 라빈의 싱글 "Girlfriend"(2007)와 비교되기도 했다. 곡은 벌스-프리 코러스-코러스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징적인 "레트로 키보드 리프"와 손뼉 소리로 시작한다.[40] 키보드 사용은 개러지 록 장르 및 밴드 The Hives와 비교되기도 했다.[40][41] 또한 코러스 부분에서는 기타 연주가 두드러진다.[40] 곡은 분당 150 비트의 템포를 가진 A 장조[4]로 연주되며, 에이브릴 라빈의 보컬 음역은 F#3에서 F#5에 이른다.
2010년 11월, 라빈은 자신의 공식 웹사이트 블로그를 통해 네 번째 정규 앨범 ''Goodbye Lullaby''의 작업이 이미 1년 전에 완료되었으나, 소속 음반사의 사정으로 발매가 지연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글에서 그녀는 "What the Hell"이 앨범의 첫 번째 싱글이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곡은 2010년 12월 31일에 방영된 딕 클라크의 뉴 이어스 로킹 이브에서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해당 방송분은 사전에 녹화된 것으로, 라빈은 이 무대에서 자신의 히트곡 "Girlfriend"도 함께 선보였다.[5] 라빈은 "What the Hell"에 대해 "정말 재미있고 경쾌한 파티 곡이어서 ''뉴 이어스 로킹 이브''에서 처음 선보이기에 아주 좋았다"고 설명했다.[1] 첫 공개 다음 날, 라빈은 자신의 공식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해 48시간 동안 "What the Hell" 음원을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제공했다.
3. 음악적 특징
이 곡은 분당 150 비트(BPM)의 빠른 템포를 가지며, A 장조[4]로 연주된다. 에이브릴 라빈의 보컬 음역대는 F#3에서 F#5까지이다.[4] 라빈은 이 곡을 "내 오래된 팝 록 작품을 연상시킨다"고 묘사했으며[5], 앨범에서 "가장 팝적인 트랙"이자 가장 개인적이지 않은 곡이라고 언급했다.
일본에서는 니혼 TV 계열의 프로그램 《더! 세계 억천 뉴스》의 엔딩 테마로 사용되었다.[30]
4. 평가
라빈은 이 노래가 "개인의 자유에 대한 광범위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5] 평론가들은 가사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내놓았는데,[40][41][42][38] 이는 하위 섹션 '비평적 평가'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라빈 자신은 이 곡이 "자신의 오래된 팝 록 작품을 연상시킨다"고 말하며,[5] 앨범에서 "가장 팝적인 트랙"이자 가장 개인적이지 않은 곡이라고 덧붙였다.[5]
4. 1. 대중적 반응
"What the Hell"은 2011년 1월 19일 미국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13위, 핫 디지털 송 차트에서 6위로 데뷔했으며, 첫 주 디지털 판매량은 166,000건을 넘었다. 다음 주에는 빌보드 핫 100에서 31위, 핫 디지털 송에서 22위로 하락하며 77,000건의 판매량을 기록했다. 하지만 3주차에는 빌보드 핫 100 24위, 핫 디지털 차트 13위로 다시 상승했고, 4주차에는 23위를 기록했다. 발매 5주차에는 빌보드 핫 100에서 최고 순위인 11위에 올랐다. 2015년 9월 기준으로, 이 곡은 미국에서 210만 건의 디지털 판매를 기록했다.[6]
캐나다에서는 캐나디안 핫 100 차트 8위, 캐나다 디지털 송 차트 4위로 데뷔했으며, 첫 주 16,000건의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이는 에이브릴 라빈의 곡 중 "Girlfriend"와 "Keep Holding On"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데뷔 성적이다. 또한 라디오 송 차트에서는 27위를 기록했는데, 이는 2007년 "When You're Gone"이 기록한 37위를 넘어선 성적이며, "Girlfriend" 이후 라디오에서 가장 많이 재생된 곡이 되었다.
영국에서는 2011년 1월 23일 영국 싱글 차트에 29위로 데뷔하여, 라빈의 12번째 영국 차트 30위권 진입 곡이 되었다. 이후 순위 변동을 거쳐 발매 8주차에 최고 순위인 16위를 기록했다. 일본 오리콘 차트에서는 15위로 데뷔했으며, 첫 주에 5,598장이 판매되었다. 일본에서 "What the Hell"은 2011년 가장 많이 팔린 서양 싱글이 되었고, 출하량을 포함하여 아시아 전체에서는 약 200만 장이 판매되었다.
호주에서는 발매 3주 만에 35,000장의 판매량을 기록하며 골드 인증을 받았고, 6주차에는 70,000장 이상 판매되어 플래티넘 인증, 16주차에는 140,000장 이상 판매되어 2×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대한민국에서는 가온 차트에서 1위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전 세계적으로 "What the Hell"은 600만 장 이상 판매되었으며, 이는 1,000만 장 이상 판매된 "Girlfriend"에 이어 라빈의 싱글 중 두 번째로 높은 판매량이다.
4. 2. 비평적 평가
"What the Hell"은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많은 평론가들은 이 곡과 에이브릴 라빈의 이전 싱글인 "Girlfriend" 사이의 유사점을 언급했다.[40][38]
MTV의 길 카우프만은 "What the Hell"이 "흥미진진한 치어리더 에너지"와 "전염성 있는 그루브와 활기찬 분위기"를 가지고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40] ''롤링 스톤''의 조디 로젠은 이 곡을 "음악은 의심할 여지 없이 에이브릴의 가장 매력적인 곡 중 하나"라며 "에이브릴 그 자체"라고 묘사했다.[41] 아이돌레이터는 이 곡을 "죄책감을 느끼게 하는 즐거움"이라고 표현하며, "아무도 우리 아이팟을 쳐다보지 않는지 두 번 확인하고 나서야 선택하는 종류의 곡"이라고 덧붙였다.[39] 디지털 스파이의 닉 레빈은 이 곡에 만점을 부여하며, 라빈이 "독감 치료소에 버려진 휴지보다 더 까칠하다"면서도 "그녀가 그걸 해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레빈은 "What the Hell"이 "Girlfriend"만큼은 아니지만, 곡의 후렴구를 높이 평가했다.[37] 블로그크리틱스의 커스틴 코치먼은 사람들이 쉽게 공감할 수 있는 곡이라고 언급했다.[36] 슬랜트 매거진의 조나단 키프는 맥스 마틴이 프로듀싱한 후렴구가 "내 평생 착하게 살아왔지만/이제 'What the hell'이라고 생각하고 있어"라는 가사를 실제보다 더 웅장하게 들리게 한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올뮤직의 스티븐 토마스 얼와인은 이 트랙을 앨범 최고의 곡 중 하나로 꼽으며, "에이브릴의 억누를 수 없는 버릇없음을 거의 그대로 재현하지만, 그다지 재미있게 들리지는 않는다"고 평했다.
반면, 일부 평론가들은 다른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Stereoboard.com의 헤더 맥데드는 이 곡이 "음악적으로 혁신적인 곡은 아니지만, 에이브릴이 수년 동안 만들어 온 팝 록 사운드를 담고 있다"고 지적하며, "확실히 더 나이가 들고, 더 재미를 추구하는 에이브릴 라빈을 반영하는 곡"이라고 덧붙였다.[42] ''프로스트 매거진''의 홀리 토마스는 이 곡에 성숙함이 부족하다고 느끼며 "짜증나는" 곡이라고 묘사했지만, 가사와 주제에 대해서는 칭찬했다.[38] 맥데드와 토마스 모두 일부 사람들이 이 곡을 짜증스럽게 여길 수 있다는 점에 동의했다.[38][42] 엔터테인먼트 위클리의 앤디 그린월드는 그의 리뷰에서 비교적 중립적인 입장을 보였지만, "Farfisa 오르간 사운드가 가미된 ''What the Hell''이 케이티 페리와 케샤를 앞서 에이브릴을 '사소한 바지 자매단'에서 그녀의 정당한 위치로 돌려놓을 것"이라고 인정했다.
5. 뮤직 비디오
"What the Hell"의 뮤직 비디오는 마커스 라보이가 감독을 맡았으며, 3D로 2010년 12월 로스앤젤레스에서 촬영되었다. 뮤직 비디오는 에이브릴 라빈이 속옷 차림으로 연인 역할의 스펜서 힐과 침대에 누워있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라빈은 침대에서 일어나 자신의 향수 브랜드인 블랙 스타와 포비든 로즈를 뿌린 뒤, 연인을 옷장에 가두고 집을 나선다.
거리를 걷던 라빈은 택시를 훔쳐 달아나고, 연인은 자전거를 타고 그녀를 뒤쫓는다. 라빈은 택시에서 내린 후 다른 차와 충돌하게 만들고, 식스 스트리트 비아덕트에서 다른 사람들과 농구를 한다. 연인이 그녀를 찾아내자, 라빈은 ''애비 던'' 컬렉션이 있는 빈티지 옷 가게로 뛰어 들어간다. 이 가게의 점원으로는 라빈의 어머니인 주디 라빈이 카메오로 출연한다. 라빈은 가게에서 주로 ''애비 던'' 브랜드의 여러 옷을 고르고 갈아입은 뒤, 공연장으로 향한다.
공연장 복도에서 기다리던 남자친구에게 노래의 브릿지 부분을 불러주고, 무대로 달려가 밴드와 함께 마지막 후렴구를 공연한다. 공연 말미에는 스테이지 다이빙을 하여 관중 속에서 연인을 찾는다. 비디오는 라빈과 연인이 다시 침대에 누워 있고, 라빈이 카메라를 향해 윙크하는 장면으로 마무리된다.
이 뮤직 비디오는 2011년 1월 23일 미국의 ABC Family 채널과 영국의 음악 채널 4Music을 통해 처음으로 텔레비전에 공개되었다. MTV의 마우세 지에그베는 이 비디오에 대해 "에이브릴 라빈이 공식적으로 돌아왔다. 그녀의 최신 비디오 'What The Hell'을 보면 그녀를 거의 10년 전에 슈퍼스타로 만든 팝 펑크 정신이 여전히 넘친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6. 라이브 공연
"What the Hell"은 2010년 12월 31일 ''딕 클라크의 뉴 이어스 로킹 이브''에서 "Girlfriend" 공연과 함께 사전 녹화된 영상으로 처음 공개되었다.[5] 라빈은 이 곡이 "정말 재미있고 경쾌한 파티 곡이어서 ''뉴 이어스 로킹 이브''에서 처음 선보이기에 아주 좋았다"고 설명했다.[1]
라빈은 이 곡을 여러 차례 라이브로 공연했다. 첫 라이브 공연은 2010년 12월 31일과 2011년 1월 1일에 걸쳐 방영된 ''딕 클라크의 뉴 이어스 로킹 이브''에서였다. 이후 2011년 2월 15일에는 영국의 Daybreak과 T4, BBC 라디오 1, 미국의 더 뷰, 지미 키멀 라이브!, 그리고 월마트 사운드체크에서 공연했다. 2011년 3월 14일에는 더 투나잇 쇼 위드 제이 레노에 출연했으며, 3월 31일에는 오스트레일리아의 Sunrise에서 공연했다. 6월 1일에는 브리튼스 갓 탤런트 시즌 5에서 "Smile"과 함께 메들리로 불렀고, 6월 19일에는 캐나다의 Much Music Video Awards 시상식 무대에 섰다.
7. 수상 및 후보
wikitext
시상식/발행처 | 연도 | 부문 | 결과 | 참고 |
---|---|---|---|---|
빌보드 재팬 뮤직 어워드 | 2011 | 핫 100 에어플레이 오브 더 이어 | 수상 | [7] |
BMI 런던 어워드 | 2012 | 수상곡 † | 수상 | [8] |
BMI 팝 뮤직 어워드 | 2012 | 수상 | [9] | |
머치뮤직 비디오 어워드 | 2011 | 캐나다 출신 아티스트가 뽑은 최고의 국제 비디오 | 후보 | [10][11] |
팬들이 뽑은 최고 아티스트 | 후보 |
8. 차트 성적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 방지를 위해 생략)
8. 1. 주간 차트
"What the Hell"은 2011년 1월 19일 미국 빌보드 핫 100 차트에서 13위, 핫 디지털 송 차트에서 6위로 데뷔했으며, 첫 주 디지털 판매량은 166,000건을 넘었다. 이후 몇 주간 순위 변동을 보이다가 5주차에 빌보드 핫 100에서 최고 순위인 11위를 기록했다. 2015년 9월까지 미국 내 디지털 판매량은 210만 건에 달했다.[6]캐나다에서는 캐나디안 핫 100 차트 8위, 캐나다 디지털 송 차트 4위로 데뷔했으며, 첫 주 16,000건의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이는 에이브릴 라빈의 싱글 중 "Girlfriend"와 "Keep Holding On"에 이어 세 번째로 높은 데뷔 성적이었다. 또한 라디오 송 차트에서는 27위를 기록하며, 2007년 "When You're Gone" 이후 가장 높은 순위를 달성했다.
영국에서는 2011년 1월 23일 영국 싱글 차트에 29위로 진입했으며, 8주차에 최고 순위인 16위를 기록했다. 일본에서는 오리콘 싱글 차트에 15위로 데뷔하여 첫 주 5,598장의 판매고를 올렸고,[19] 빌보드 일본 핫 100 차트에서는 2위를 기록했다.[17]
호주에서는 ARIA 차트에서 최고 6위를 기록했으며, 발매 3주 만에 35,000장 판매로 골드 인증, 6주 만에 70,000장 판매로 플래티넘 인증, 16주 만에 140,000장 판매로 더블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뉴질랜드에서는 최고 5위를 기록했다. 대한민국에서는 가온 국제 디지털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21]
전 세계적으로 "What the Hell"은 600만 장 이상 판매되었으며, 이는 "Girlfriend"에 이어 에이브릴 라빈의 싱글 중 두 번째로 높은 판매량이다.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 약 200만 장이 판매되었고, 일본에서는 2011년 가장 많이 팔린 서양 싱글로 기록되었다.
국가 | 차트명 | 최고 순위 |
---|---|---|
호주 | ARIA 차트 | 6 |
오스트리아 | Ö3 오스트리아 탑 40 | 20 |
벨기에 (플랑드르) | 울트라톱 | 16 |
벨기에 (왈로니아) | 울트라톱 | 13 |
캐나다 | 캐나디안 핫 100 | 8 |
캐나다 | 캐나다 CHR/Top 40 (빌보드) | 16 |
캐나다 | 캐나다 Hot AC (빌보드) | 8 |
체코 | IFPI | 2 |
유럽 | 유로 디지털 송 (빌보드)[15] | 17 |
프랑스 | SNEP | 18 |
독일 | GfK 엔터테인먼트 차트 | 21 |
헝가리 | Rádiós Top 40 | 5 |
인도네시아 | 인도네시아 라디오 차트 (ASIRI)[16] | 1 |
아일랜드 | 아이리시 싱글 차트 | 30 |
이탈리아 | FIMI | 15 |
일본 | 일본 핫 100 (빌보드)[17] | 2 |
일본 | 일본 성인 컨템포러리 에어플레이 (빌보드)[18] | 1 |
일본 | 오리콘 싱글 차트[19] | 15 |
멕시코 | 멕시코 앵글로 (모니터 라티노)[20] | 11 |
네덜란드 | 더치 탑 40 | 30 |
네덜란드 | 싱글 탑 100 | 51 |
뉴질랜드 | 레코디드 뮤직 NZ | 5 |
스코틀랜드 | 스코티시 싱글 차트 | 14 |
슬로바키아 | IFPI | 8 |
대한민국 | 가온 국제 디지털 차트[21] | 1 |
스웨덴 | 스베리예토프리스탄 | 51 |
스위스 | 슈바이처 히트파라데 | 18 |
영국 | 영국 싱글 차트 | 16 |
미국 | 빌보드 핫 100 | 11 |
미국 | 팝 송 (빌보드) | 8 |
미국 | 어덜트 팝 송 (빌보드) | 12 |
베네수엘라 | 베네수엘라 팝 록 (레코드 리포트) | 19 |
일본에서는 "What the Hell"의 벨소리 풀 버전이 일본 레코드 협회(RIAJ)로부터 2011년 3월 골드, 2011년 6월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또한 2011년 연간 레코쵸쿠 랭킹(벨소리 풀, 벨소리 풀 플러스, 싱글 통합)에서 31위,[29] RIAJ 유료 음악 배포 차트 연간 순위에서는 27위를 기록했다.
8. 2. 연말 차트
"What the Hell"의 벨소리 풀 버전은 일본 레코드 협회의 유료 음악 배포 인증에서 2011년 3월 골드 인증, 2011년 6월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2011년 연간 레코쵸쿠 랭킹(벨소리 풀, 벨소리 풀 플러스, 싱글)에서는 31위를 기록했으며[29], RIAJ 유료 음악 배포 차트 연간 차트에서는 27위를 기록했다.9. 인증
국가 | 인증 기관 | 인증 종류 | 인증 연도 | 비고 |
---|---|---|---|---|
오스트레일리아 | ARIA | 플래티넘 (2×) | 2011 | 판매량 140,000장 이상 |
이탈리아 | FIMI | 골드 | 2011 | |
일본 | RIAJ | 플래티넘 (2×) | 2014 | 디지털 싱글 |
멕시코 | AMPROFON | 골드 | ||
뉴질랜드 | RIANZ | 골드 | 2011 | |
영국 | BPI | 골드 | 2021 |
미국에서는 RIAA의 공식 인증을 받지는 못했지만, 2015년 9월 기준으로 210만 건 이상의 디지털 판매량을 기록했다.[6][35]
또한, 일본에서는 일본 레코드 협회(RIAJ)의 유료 음악 배포 인증에서 벨소리 풀 버전이 2011년 3월에 골드 인증을, 같은 해 6월에는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10. 곡 목록
# "What the Hell" – 3:39
# "What the Hell" (메인 버전) – 3:39
# "What the Hell" (Instrumental) – 3:39
# "What the Hell" – 3:39
#: 작사/작곡: 에이브릴 라빈, 맥스 마틴, 쉘백
#: NTV 계열 《더! 세계 억천 뉴스》 주제가
# "Alice" (확장 버전) – 5:00
#: 작사/작곡: 에이브릴 라빈
# "What the Hell" (인스트루멘탈) – 3:39
참조
[1]
뉴스
Lavigne: 'Comeback single is party song'
https://www.digitals[...]
2010-12-30
[2]
웹사이트
Single Review: Avril Lavigne – 'What The Hell?'
http://unrealityshou[...]
2015-05-25
[3]
웹사이트
On The Download: Avril Lavigne's 'What The Hell'
http://www.accesshol[...]
2015-05-25
[4]
웹사이트
What the Hell
https://www.musicnot[...]
2021-05-26
[5]
간행물
Avril Lavigne talks about her new album, (sort of) working with Rihanna, and where she'll be New Years Eve: An EW Q&A
https://ew.com/artic[...]
2010-12-27
[6]
간행물
Ask Billboard: Avril Lavigne's Best-Selling Songs & Albums
http://www.billboard[...]
Prometheus Global Media
2015-09-06
[7]
웹사이트
AKB48 is the Big Winner in Japan Billboard Music Awards 2011
https://www.jpopasia[...]
2012-03-04
[8]
웹사이트
2012 BMI Pop Awards Award Winning Songs
http://repertoire.bm[...]
2012-05-15
[9]
웹사이트
2012 BMI Pop Awards Award Winning Songs
http://repertoire.bm[...]
2012-05-15
[10]
웹사이트
2011 MuchMusic Video Awards: The Show, The Winners
https://web.archive.[...]
2015-04-10
[11]
웹사이트
MMVA 2011 Nominees
http://mmva.muchmusi[...]
[12]
AV media notes
What the Hell
RCA Records
[13]
AV media notes
What the Hell
Sony Music Japan International Inc.
[14]
AV media notes
What the Hell
RCA Records
2011
[15]
간행물
Euro Digital Song Sales Chart (The week of March 19, 2011)
https://assets.billb[...]
2020-05-22
[16]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13-07-24
[17]
간행물
Japan Hot 100
http://www.billboard[...]
Prometheus Global Media
2013-11-24
[18]
웹사이트
Adult Contemporary Airplay
http://www.billboard[...]
2013-11-24
[19]
웹사이트
Discography of Avril Lavigne
http://www.oricon.co[...]
Oricon
2013-11-24
[20]
웹사이트
Top 20 Anglo de México del 21 al 27 de febrero, 2011
http://charts.monito[...]
Monitor Latino
2011-02-28
[21]
웹사이트
"Gaon'' Digital Chart"
http://gaonchart.co.[...]
2011-01-15
[22]
간행물
Canadian Hot 100 – Year End 2011
http://www.billboard[...]
2019-09-02
[23]
간행물
Japan Hot 100 Year-End
http://www.billboard[...]
Prometheus Global Media
2013-11-24
[24]
웹사이트
Lebanese NRJ TOP 100 of 2011
http://www.nrjlebano[...]
NRJ
2013-09-01
[25]
웹사이트
Gaon Digital Chart: Year-End
http://gaonchart.co.[...]
2013-11-24
[26]
간행물
Hot 100 Songs – Year-End 2011
http://www.billboard[...]
2019-09-02
[27]
간행물
Pop Songs: Year-End 2011
http://www.billboard[...]
2019-09-02
[28]
간행물
Adult Pop Songs: Year-End 2011
http://www.billboard[...]
2019-09-02
[29]
웹사이트
レコチョク年間ランキング2011(着うたフル®+着うたフルプラス®+シングル)
http://recochoku.jp/[...]
2011-12-01
[30]
웹사이트
アヴリル・ラヴィーン / ワット・ザ・ヘル
https://artist.cdjou[...]
音楽出版社
2011-02-02
[31]
웹사이트
ワット・ザ・ヘル
http://www.hotexpres[...]
2011-02-02
[32]
웹인용
What the Hell – Single
https://itunes.apple[...]
iTunes Store. Apple Inc
2011-01-22
[33]
영상 설명
What the Hell
RCA Records
[34]
영상 설명
What the Hell
Sony Music Japan International Inc.
[35]
웹인용
Ask Billboard: Avril Lavigne's Best-Selling Songs & Albums
http://www.billboard[...]
Prometheus Global Media
2015-09-06
[36]
웹인용
Music Review: Avril Lavigne – "What The Hell"
http://blogcritics.o[...]
2011-01-14
[37]
웹인용
Avril Lavigne: 'What The Hell'
http://www.digitalsp[...]
2011-01-12
[38]
웹인용
We love: Avril Lavigne's 'What The Hell'
http://frostmagazine[...]
2011-01-13
[39]
웹인용
Avril Lavigne Raises "What The Hell" On New Year's Eve
http://idolator.com/[...]
2011-01-01
[40]
웹인용
Avril Lavigne Says 'What The Hell' With Infectious New Single
http://www.mtv.com/n[...]
MTV
2011-01-03
[41]
웹인용
Avril Lavigne "What the Hell"
https://www.webcitat[...]
2010-12-29
[42]
웹인용
Avril Lavigne – What The Hell (Single Review)
http://www.stereoboa[...]
2011-01-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