力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力'은 흙을 파는 농기구인 가래를 본떠 만든 한자이다. 이 글자는 부수로 사용되며, 한국에서는 힘 력 부, 일본에서는 힘(力), 영미권에서는 Radical Power로 불린다. '力' 부수에 속하는 한자로는 가, 공, 열, 조, 노, 려, 용, 면, 동, 근, 로, 승, 모, 세, 훈, 권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力 | |
---|---|
기본 정보 | |
이름 | 힘 력(힘 역) |
강희자전 부수 | 력부 (力部) |
부수 순서 | 19 |
한자 부수 명칭 | 力部 |
변형 | 해당사항 없음 |
음운 | |
표준 중국어 (병음) | lì |
광둥어 (월병) | lik6 |
민난어 (POJ) | la̍t (구어), le̍k (문어) |
한국어 (한글) | 력 (역) |
일본어 (음독) | リョク (ryoku), リキ (riki) |
일본어 (훈독) | ちから (chikara) |
베트남어 | lực |
의미 | |
강희자전 | 힘, 세력, 능력, 억지로 하다, 애쓰다 |
한국어 | 힘 |
획순 | |
획수 | 2 |
획순 설명 | 《力》자 획순 |
문자 코드 | |
유니코드 | U+529B |
CJK 통합 한자 | 529B |
2. 자원
가래를 본따 만들었다.[2]
wikitable
力부 (부수)의 명칭은 한국에서 힘 력부이다.[1] 일본에서는 힘(力)이라고 불린다.[1] 영미권에서는 Radical Power라고 한다. 이 부수는 독립적인 한자로도 사용되며, 일본의 초등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 한자 중 하나로 1학년 한자이다.[1]
「力」 자는 흙을 파는 농기구인 가래를 본따 만든 글자이다.[2] 금문의 형태가 '又'(손을 본뜬 상형 문자)와 유사하여 팔의 형태를 본뜬 상형 문자로 해석하는 설이 있었지만, 갑골문의 형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이는 잘못된 분석이다.
금문 문자, 대전체 문자, 소전체 문자는 다음과 같다.
「力」 자는 흙을 파는 농기구를 본뜬 글자이다.[2] 금문의 형태가 '又'(손을 본뜬 상형 문자)와 유사하여 팔의 형태를 본뜬 상형 문자로 해석하는 설이 있었지만, 갑골문의 형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이는 잘못된 분석이다.
3. 力부
획수 문자 0 力 1 劜 2 劝(勸) 3 功, 加, 务(務), 劢(勱) 4 劣, 劤, 劥, 劦, 劧, 动(動) 5 助, 努, 劫, 劬, 劭, 劮, 劯, 劰, 励(勵), 劲(勁), 劳(勞), 労(勞) 6 劵, 劶, 劷, 劸, 効(效), 劺, 劻, 劼, 劽, 劾, 势(勢) 7 勀, 勁, 勂, 勃, 勄, 勅(敕), 勆, 勇, 勈, 勉, 勊, 勋(勛/勳), 巭 8 勌, 勍, 勎, 勏, 勐, 勑 9 勒, 勓, 勔, 動, 勖, 勗, 勘, 務, 勚(勩) 10 勛, 勜, 勝, 勞 11 募, 勠, 勡, 勢, 勣, 勤, 勥, 勦, 勧(勸) 12 勨, 勩, 勪, 勫, 勬, 勭 13 勮, 勯, 勰, 勱, 勲(勳) 14 勳 15 勴, 勵, 勶 17 勷 18 勸
4. 부수의 통칭
5. 부수자
5. 1. 중고 한어
5. 2. 현대 한어
5. 3. 일본어
力는 독립적인 한자로도 사용된다. 일본의 초등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 한자 중 하나이다.[1] 1학년 한자이다.[1] 음독은 료쿠(한음)・리키(오음)이며, 훈독은 지카라이다.
5. 4. 한국어
力는 독립적인 한자로도 사용된다. 일본의 초등학교에서 가르치는 교육 한자 중 하나로, 1학년 한자이다. 훈음은 힘 력(역)이다.
6. 예시
가, 공, 열, 조, 노, 려, 용, 면, 동, 근, 로(노), 승, 모, 세, 훈, 권(권) 등의 한자가 '力' 부수에 속한다.
획수 | 문자 |
---|---|
+0 | 力 |
+1 | 劜 |
+2 | 권SC (권), 办SC (辦 -> 辛) |
+3 | 공, 가, 务SC (務), 勱SC (勱) |
+4 | 劣, 劤, 劥, 劦, 劧, 동SC (동), 攰 |
+5 | 助, 노, 劫, 劬, 劭, 劮, 劯, 劰, 려SC/JP (려), 劲SC (勁), 로SC (로), 労JP (로) |
+6 | 劵, 劶, 劷, 劸, 効JP/variant (效 -> 攴), 劺, 劻, 劼, 劽, 劾, 세SC (세) |
+7 | 勀, 勁, 勂, 勃, 勄, 勅JP/variant (敕 -> 攴), 勆, 용, 勈, 면, 勊, 勋SC (勛/훈), 巭KO |
+8 | 勌, 勍, 勎, 勏, 勐, 勑 |
+9 | 勒, 勓, 勔, 동, 勖, 勗, 勘, 務, 勩SC (勩) |
+10 | 勛, 勜, 승, 로 |
+11 | 모, 勠, 勡, 세, 勣, 勤, 勥, 勦, 勧JP (권) |
+12 | 勨, 勩, 勪, 勫, 勬, 勭 |
+13 | 勮, 勯, 勰, 勱, 勲JP (훈) |
+14 | 훈 |
+15 | 勴, 려, 勶 |
+17 | 勷 |
+18 | 권 |
7. 문헌
- 愛德華多·法奇歐里중국어 Edoardo Fazzioliit) (何谷理중국어 Rebecca Hon Ko영어 서예): ''중국 서예: 상형 문자에서 표의 문자까지: 214개의 필수적인 중국/일본 문자의 역사''. 애브빌 출판 그룹(Abbeville Press, Inc.). 뉴욕. 1987. ISBN 0-89659-774-1.
- 李樂毅중국어 Leyi Li영어: “중국 문자의 뿌리를 추적: 500개의 사례”. 베이징 1993, ISBN 978-7-5619-0204-2.
참조
[1]
웹사이트
The Kyoiku Kanji (教育漢字) - Kanshudo
https://www.kanshudo[...]
2023-05-06
[2]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