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돌리늄 동위 원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돌리늄은 자연적으로 7개의 안정 동위 원소와 2개의 방사성 동위 원소를 가지고 있다. 가돌리늄의 방사성 동위 원소는 알파 붕괴를 하며, 가돌리늄-153은 의료 영상 기술에 사용된다. 가돌리늄-148은 방사성 동위원소 열전 발전기에 이상적이지만, 경제적인 합성이 어려워 실제 사용은 어렵다.

2. 동위 원소

자연 상태에서 발견되는 가돌리늄(Gd)은 총 7가지의 동위 원소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154Gd, 155Gd, 156Gd, 157Gd, 158Gd, 160Gd의 6개는 안정 동위 원소이거나 관측상 안정하여 사실상 안정한 것으로 간주된다.[22][24][25][26][8][10][11] 나머지 하나인 152Gd는 방사성 동위 원소이지만, 반감기가 약 1.08 × 1014년으로 매우 길어 자연계에 미량 존재한다.[21][6][7]

이 외에도 가돌리늄은 질량수 134에서 172에 이르는 다양한 방사성 동위 원소들이 인공적으로 합성되거나 연구되었다.[17][18][19][20] 각 동위 원소의 상세한 특성, 자연 존재비, 반감기, 붕괴 방식 등은 아래 하위 섹션에 기술되어 있다.

2. 1. 안정 동위 원소

자연계에 존재하는 가돌리늄은 6개의 안정 동위 원소와 1개의 방사성 동위 원소(152Gd)로 구성된다. 안정 동위 원소는 154Gd, 155Gd, 156Gd, 157Gd, 158Gd, 160Gd이다.[17][18][19][20] 이 중 156Gd, 157Gd, 158Gd는 안정 동위 원소이며[25], 154Gd[22][8], 155Gd[24][10], 160Gd[26][11]는 관측상 안정 동위 원소이다. 관측상 안정 동위 원소는 이론적으로는 방사성 붕괴를 할 수 있지만, 아직 붕괴가 관측되지 않아 사실상 안정으로 취급된다.

각 안정 동위 원소의 자연 존재비(몰 분율)는 다음과 같다:

  • 154Gd: 0.0218 (2.18%)[22][8]
  • 155Gd: 0.1480 (14.80%)[24][10]
  • 156Gd: 0.2047 (20.47%)[25]
  • 157Gd: 0.1565 (15.65%)[25]
  • 158Gd: 0.2484 (24.84%) (가장 풍부)[25]
  • 160Gd: 0.2186 (21.86%)[26][11]

2. 2. 방사성 동위 원소

가돌리늄은 다양한 방사성 동위 원소를 가지고 있다. 이들 중 일부는 자연계에 미량 존재하거나 인공적으로 생성된다. 각 동위 원소는 고유한 반감기붕괴 방식을 가진다.

주요 방사성 동위 원소는 다음과 같다.

  • '''152Gd'''는 매우 긴 반감기를 가진 동위 원소로, 약 1.08×1014년에 걸쳐 알파 붕괴하여 '''148Sm'''으로 변한다.[6][7] 자연계에 존재하는 가돌리늄 중 약 0.2%를 차지한다.
  • '''153Gd'''는 반감기가 240.6일이며, 전자 포획을 통해 '''153Eu'''으로 붕괴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가돌리늄 방사성 동위 원소가 존재하며, 그 특성은 아래 표와 같다. 일반적으로 질량수가 작은 동위 원소들(134Gd ~ 151Gd)은 주로 β+ 붕괴전자 포획을 통해 유로퓸(Eu) 동위 원소로 붕괴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질량수가 큰 동위 원소들(159Gd ~ 172Gd)은 주로 β- 붕괴를 통해 터븀(Tb) 동위 원소로 변환된다. 일부 동위 원소는 알파 붕괴, 양성자 방출, 이성질핵 전이 등 다른 붕괴 방식을 보이기도 한다.

핵종반감기[17]붕괴 방식[18][19]붕괴 생성 동위 원소[20]
134Gd0.4 초
135Gd1.1 초β+ (98%), β+, p (2%)135Eu, 134Sm
136Gd>200 nsβ+?136Eu
137Gd2.2 초β+, β+, p?137Eu, 136Sm
138Gd4.7 초β+138Eu
138mGd6.2 µsIT138Gd
139Gd5.7 초β+, β+, p?139Eu, 138Sm
139mGd4.8 초β+, β+, p?139Eu, 138Sm
140Gd15.8 초β+ (67%), EC (33%)140Eu
141Gd14 초β+ (99.97%), β+, p (0.03%)141Eu, 140Sm
141mGd24.5 초β+ (89%), IT (11%)141Eu, 141Gd
142Gd70.2 초EC (52%), β+ (48%)142Eu
143Gd39 초β+, β+, p?, β+, α?143Eu, 142Sm, 139Pm
143mGd110.0 초β+, β+, p?, β+, α?143Eu, 142Sm, 139Pm
144Gd4.47 분β+144Eu
144mGd145 nsIT144Gd
145Gd23.0 분β+145Eu
145mGd85 초IT (94.3%), β+ (5.7%)145Gd, 145Eu
146Gd48.27 일EC146Eu
147Gd38.06 시간β+147Eu
147mGd510 nsIT147Gd
148Gd86.9 년[1]α[4]144Sm
149Gd9.28 일β+, α (4.3×10−4%)149Eu, 145Sm
150Gd1.79×106α[5]146Sm
151Gd123.9 일EC, α (1.1×10−6%)'151Eu', '147Sm'
152Gd1.08×1014[6]α[7]'148Sm'
153Gd240.6 일EC153Eu
153m1Gd3.5 µsIT153Gd
153m2Gd76.0 µsIT153Gd
155mGd31.97 msIT155Gd
156mGd1.3 µsIT156Gd
157m1Gd460 nsIT157Gd
157m2Gd18.5 µsIT157Gd
159Gd18.479 시간[9]β159Tb
161Gd3.646 분β161Tb
162Gd8.4 분β162Tb
163Gd68 초β163Tb
163mGd23.5 초IT?, β163Gd, 163Tb
164Gd45 초β164Tb
164mGd589 nsIT164Gd
165Gd11.6 초β165Tb
166Gd5.1 초β166Tb
166mGd950 nsIT166Gd
167Gd4.2 초β167Tb
168Gd3.03 초β168Tb
169Gd750 msβ, β, n? (<0.7%)[12]169Tb, 168Tb
170Gd675 ms[12]β, β, n? (<3%)[12]170Tb, 169Tb
171Gd392 ms[12]β, β, n? (<10%)[12]171Tb, 170Tb
172Gd163 ms[12]β, β, n? (<50%)[12]172Tb, 171Tb


2. 3. 동위 원소 표

수Z(p)N(n
동위 원소 질량 (u)
 반감기[17]붕괴
방식[18][19]붕괴 생성
동위 원소[20]
스핀자연계에 존재하는
동위 원소
범위
(몰 분율)자연계에 존재하는
최대 범위
(몰 분율)들뜬 에너지134Gd6470133.95537(43)#0.4# s0+135Gd6471134.95257(54)#1.1(2) s3/2-136Gd6472135.94734(43)#1# s [>200 ns]β+136Eu137Gd6473136.94502(43)#2.2(2) sβ+137Eu7/2+#rowspan=2|rowspan=2|β+, p (드묾)136Sm138Gd6474137.94012(21)#4.7(9) sβ+138Eu0+138mGd2232.7(11) keV6(1) µs(8-)139Gd6475138.93824(21)#5.7(3) sβ+139Eu9/2-#rowspan=2|rowspan=2|β+, p (드묾)138Sm139mGd250(150)# keV4.8(9) s1/2+#140Gd6476139.93367(3)15.8(4) sβ+140Eu0+141Gd6477140.932126(21)14(4) sβ+ (99.97%)141Eu(1/2+)rowspan=2|rowspan=2|β+, p (0.03%)140Sm141mGd377.8(2) keV24.5(5) sβ+ (89%)141Eu(11/2-)rowspan=2|rowspan=2|IT (11%)141Gd142Gd6478141.92812(3)70.2(6) sβ+142Eu0+143Gd6479142.92675(22)39(2) sβ+143Eu(1/2)+rowspan=3|rowspan=3|β+, α (드묾)139Pmβ+, p (드묾)142Sm143mGd152.6(5) keV110.0(14) sβ+143Eu(11/2-)rowspan=3|rowspan=3|β+, α (드묾)139Pmβ+, p (드묾)142Sm144Gd6480143.92296(3)4.47(6) minβ+144Eu0+145Gd6481144.921709(20)23.0(4) minβ+145Eu1/2+145mGd749.1(2) keV85(3) sIT (94.3%)145Gd11/2-rowspan=2|rowspan=2|β+ (5.7%)145Eu146Gd6482145.918311(5)48.27(10) dε146Eu0+147Gd6483146.919094(3)38.06(12) hβ+147Eu7/2-147mGd8587.8(4) keV510(20) ns(49/2+)148Gd6484147.918115(3)74.6(30) aα144Sm0+rowspan=2|rowspan=2|β+β+ (드묾)'148Sm'149Gd6485148.919341(4)9.28(10) dβ+149Eu7/2-rowspan=2|rowspan=2|α (4.34×10−4%)145Sm150Gd6486149.918659(7)1.79(8)×106146Sm0+rowspan=2|rowspan=2|β+β+ (드묾)150Sm151Gd6487150.920348(4)124(1) dε'151Eu'7/2-rowspan=2|rowspan=2|α (10−6%)'147Sm'152Gd[21]6488151.9197910(27)1.08(8)×1014 aα'148Sm'0+0.0020(1)153Gd6489152.9217495(27)240.4(10) dε153Eu3/2-153m1Gd95.1737(12) keV3.5(4) µs(9/2+)153m2Gd171.189(5) keV76.0(14) µs(11/2-)154Gd6490153.9208656(27)안정[22]0+0.0218(3)155Gd[23]6491154.9226220(27)안정[24]3/2-0.1480(12)155mGd121.05(19) keV31.97(27) msIT155Gd11/2-156Gd[23]6492155.9221227(27)안정[25]0+0.2047(9)156mGd2137.60(5) keV1.3(1) µs7-157Gd[23]6493156.9239601(27)안정[25]3/2-0.1565(2)158Gd[23]6494157.9241039(27)안정[25]0+0.2484(7)159Gd[23]6495158.9263887(27)18.479(4) hβ-159Tb3/2-160Gd[23]6496159.9270541(27)관찰 안정[26]0+0.2186(19)161Gd6497160.9296692(29)3.646(3) minβ-161Tb5/2-162Gd6498161.930985(5)8.4(2) minβ-162Tb0+163Gd6499162.93399(32)#68(3) sβ-163Tb7/2+#164Gd64100163.93586(43)#45(3) sβ-164Tb0+165Gd64101164.93938(54)#10.3(16) sβ-165Tb1/2-#166Gd64102165.94160(64)#4.8(10) sβ-166Tb0+167Gd64103166.94557(64)#3# sβ-167Tb5/2-#168Gd64104167.94836(75)#300# msβ-168Tb0+169Gd64105168.95287(86)#1# sβ-169Tb7/2-#


3. 가돌리늄-148

반감기가 86.9 ± 3.9년으로, 알파 붕괴만을 거치기 때문에[1] 방사성 동위원소 열전 발전기에 이상적이다. 하지만 가돌리늄-148은 RTG를 구동할 만큼 충분한 양을 경제적으로 합성할 수 없다.[13]

4. 가돌리늄-153

가돌리늄-153은 240.4 ± 10일의 반감기를 가지며, 41 keV와 102 keV에서 강한 피크를 갖는 감마선을 방출한다.[14] 이 감마선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14]



가돌리늄-153은 유로퓸이나 농축된 가돌리늄을 원자로에서 처리하여 생성한다.[14]

참조

[1] 간행물 Determination of the half-life of gadolinium-148 Elsevier BV
[2] 간행물 Quest for double beta decay of 160Gd and Ce isotopes
[3] 문서 Order of ground state and isomer is uncertain.
[4] 문서 Theorized to also undergo β+β+ decay to '''''148Sm'''''
[5] 문서 Theorized to also undergo β+β+ decay to '''150Sm'''
[6] 문서 "[[Primordial nuclide|primordial]] [[radionuclide]]"
[7] 문서 Theorized to also undergo β+β+ decay to '''152Sm'''
[8] 문서 Believed to undergo α decay to '''150Sm'''
[9] 문서 "[[Fission product]]"
[10] 문서 Believed to undergo α decay to 151Sm
[11] 문서 Believed to undergo ββ decay to '''160Dy''' with a [[half-life]] over 3.1×1019 years
[12] 간행물 Measuring the β-decay properties of neutron-rich exotic Pm, Sm, Eu, and Gd isotopes to constrain the nucleosynthesis yields in the rare-earth region 2022
[13] 서적 Radioisotope Power Systems: An Imperative for Maintaining U.S. Leadership in Space Exploration
[14] 웹사이트 PNNL: Isotope Sciences Program – Gadolinium-153 http://radioisotopes[...]
[15] 웹사이트 Gadolinium http://nobel.scas.bc[...] British Columbia Institute of Technology 2011-03-30
[16] 문서 F. A. Danevich et al., Quest for double beta decay of 160Gd and Ce isotopes. Nucl. Phys. A 694(2001)375.
[17] 문서 안정 동위 원소는 굵은 글씨로 표기, 우주의 나이보다 반감기가 긴 동위 원소의 반감기는 굵은 흘림체로 표기
[18] 웹인용 Universal Nuclide Chart http://www.nucleonic[...] Nucleonica 2012-05-30
[19] 문서 약어:
ε: [[전자 포획]]
IT: [[이성질핵 전이]]

[20] 문서 안정 동위 원소는 굵은 글씨로 표기, 우주의 나이보다 반감기가 긴 동위 원소는 굵은 흘림체로 표기
[21] 문서 태양계 초창기부터 존재해 왔었던 방사성 핵자
[22] 문서 α 붕괴를 통해 '''150Sm'''으로 붕괴할 수 있다.
[23] 문서 핵분열 생성물
[24] 문서 α 붕괴를 통해 151Sm으로 붕괴할 수 있다.
[25] 문서 이론상으로 [[자발 핵분열]]을 할 수 있다.
[26] 문서 β-β- 붕괴를 통해 '''160Dy'''으로 붕괴할 수 있으며 반감기는 1.6×1022 년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