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로퓸은 은백색의 금속 원소로, 다른 희토류 원소와 함께 광물에서 발견되며, 1896년 프랑스 화학자 외젠 아나톨 드마르세에 의해 분리되었다. 유로퓸은 컬러 텔레비전의 적색 형광체 개발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현재는 디스플레이 및 형광등, 위조 방지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유로퓸은 +2가 및 +3가 상태를 가지며, +3가 유로퓸은 적색 발광, +2가 유로퓸은 주변 환경에 따라 청색, 녹색, 황색 발광을 나타낸다. 자연 상태에서는 두 가지 동위원소(151Eu, 153Eu)로 존재하며, 인공 방사성 동위원소도 확인되었다. 유로퓸의 주요 용도로는 형광체, 레이저, NMR 시약 등이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도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로퓸 - 유로퓸 동위 원소
유로퓸은 질량수 120에서 169에 이르는 30개의 동위 원소를 가지며, 이 중 2개는 안정 동위 원소이고, 핵연료 연소 과정에서 생성되는 유로퓸-155는 중성자 흡수와 핵분열 연쇄 반응 억제에 기여하며, 의학, 재료 과학, 원자력 발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란타넘족 - 가돌리늄
가돌리늄은 은백색의 연성과 전성을 가진 희토류 원소로, 특정 온도에서 강자성 또는 강한 상자성을 띠어 MRI 조영제, 중성자 차폐물, 합금, 형광체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핀란드 화학자의 이름을 딴 원소이다. - 란타넘족 - 루테튬
루테튬은 원소 기호 Lu, 원자 번호 71을 갖는 희토류 원소로, 란타넘족 중 밀도, 녹는점, 경도가 가장 높고, 주로 +3의 산화 상태를 가지며, 안정 동위원소와 방사성 동위원소 형태로 존재하고, 제한적인 상업적 용도에도 불구하고 촉매, LED, PET, 연대 측정, 암 치료 등에 사용된다. - 환원제 - 아연
아연은 청회색 금속으로, 적당한 반응성을 지닌 환원제이며, 내식성이 뛰어나 도금에 사용되고, 합금의 주요 성분이며, 인체 필수 미량 원소이지만 과다 섭취 시 독성을 나타낸다. - 환원제 - 칼륨
칼륨은 은백색의 무른 알칼리 금속으로 반응성이 매우 높고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전해질이며, 비료 생산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물과의 격렬한 반응 및 폭발성 과산화물 생성 가능성으로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하며, 자연계에 세 가지 동위원소로 존재한다.
| 유로퓸 | |
|---|---|
| 기본 정보 | |
![]() | |
| 원자 번호 | 63 |
| 원소 기호 | Eu |
| 명명 | 유럽 |
| 왼쪽 | 사마륨 |
| 오른쪽 | 가돌리늄 |
| 위 | 해당 없음 |
| 아래 | Am |
| 종류 | 란타넘족 |
| 족 | 3 |
| 주기 | 6 |
| 구역 | f |
| 겉모습 | 은백색 |
| CAS 등록번호 | 7440-53-1 |
| 물리적 성질 | |
| 원자 질량 | 151.964 |
| 전자 배치 | [Xe] 4f7 6s2 |
| 껍질 당 전자 수 | 2, 8, 18, 25, 8, 2 |
| 상 | 고체 |
| 밀도 (g/cm3, 일반 상태) | 5.264 |
| 밀도 (g/cm3, 융점) | 5.13 |
| 녹는점 (K) | 1099 |
| 녹는점 (섭씨) | 826 |
| 녹는점 (화씨) | 1519 |
| 끓는점 (K) | 1802 |
| 끓는점 (섭씨) | 1529 |
| 끓는점 (화씨) | 2784 |
| 융해열 | 9.21 |
| 기화열 | 176 |
| 열용량 | 27.66 |
| 증기압 (1 Pa) | 863 |
| 증기압 (10 Pa) | 957 |
| 증기압 (100 Pa) | 1072 |
| 증기압 (1 kPa) | 1234 |
| 증기압 (10 kPa) | 1452 |
| 증기압 (100 kPa) | 1796 |
| 결정 구조 | 체심 입방정계 |
| 원자 속성 | |
| 산화 상태 | '3, 2 (약염기성 산화물)' |
| 전기 음성도 | '? 1.2' |
| 이온화 에너지 개수 | 3 |
| 1차 이온화 에너지 | 547.1 |
| 2차 이온화 에너지 | 1085 |
| 3차 이온화 에너지 | 2404 |
| 원자 반지름 | 180 |
| 공유 반지름 | 198 ± 6 |
| 자기 정렬 | 상자성 |
| 기타 속성 | |
| 전기 저항 | '(실온) (poly) 0.900 µ' |
| 열 전도율 | est. 13.9 |
| 열팽창 계수 | '(실온) (poly) 35.0' |
| 영률 | 18.2 |
| 전단 탄성 계수 | 7.9 |
| 부피 탄성 계수 | 8.3 |
| 포아송 비 | 0.152 |
| 비커스 경도 | 167 |
| 동위 원소 | |
| 동위 원소 정보 | 질량수: 150 기호: Eu 존재 비율: syn 반감기: 36.9 y 붕괴 방식: ε 붕괴 에너지: 2.261 붕괴 후 핵종: 150Sm |
| 동위 원소 정보 | 질량수: 151 기호: Eu 존재 비율: 47.8 % 반감기: 5 × 1018 y 붕괴 방식: α 붕괴 에너지: 해당 없음 붕괴 후 핵종: 147Pm |
| 동위 원소 정보 | 질량수: 152 기호: Eu 존재 비율: syn 반감기: 13.516 y 붕괴 방식 1: ε 붕괴 에너지 1: 1.874 붕괴 후 핵종 1: 152Sm 붕괴 방식 2: β- 붕괴 에너지 2: 1.819 붕괴 후 핵종 2: 152Gd |
| 동위 원소 정보 | 질량수: 153 기호: Eu 존재 비율: 52.2 % 중성자 수: 90 |
2. 역사
유로퓸은 다른 희토류 원소를 함유한 대부분의 광물에 존재하지만, 원소 분리의 어려움으로 인해 1800년대 후반이 되어서야 분리되었다. 윌리엄 크룩스는 유로퓸으로 최종 분류된 원소를 포함한 희토류 원소의 인광 스펙트럼을 관찰했다.[35]
1960년대에는 유로퓸이 도핑된 오르토바나데이트 이트륨 적색 형광체가 발견되어 컬러 텔레비전 산업에 혁명을 일으켰다. 이전에는 컬러 TV용 적색 형광체가 매우 약해서 색상 균형을 위해 다른 형광체 색상을 억제해야 했지만, 밝은 적색 유로퓸 형광체 덕분에 훨씬 더 밝은 컬러 TV 화면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41]
2024년에는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2호기 원자로 건물에서 채취한 물질에서 유로퓸-154가 검출되었는데, 이는 핵연료 유래의 노심 용융물(연료 데브리)이라는 증거로 제시되었다.[62]
2. 1. 발견
폴 에밀 르코크 드 부아보드랑은 1892년에 사마륨-가돌리늄 정광에서 사마륨이나 가돌리늄으로 설명할 수 없는 스펙트럼 선을 발견했다.[36][37][38][39][40] 그러나 유로퓸의 발견은 일반적으로 1896년에 최근 발견된 원소 사마륨 샘플이 미지의 원소로 오염되었다고 의심하고 1901년에 이를 분리한 프랑스의 화학자 외젠 아나톨 드마르세에게 돌아간다. 그는 이 원소를 유럽 대륙의 이름을 따서 유로퓸이라고 명명했다.[36][37][38][39][40] 윌리엄 크룩스는 희토류 원소의 인광 스펙트럼을 관찰하면서 유로퓸을 포함한 원소들을 확인했다.[35]2. 2. 초기 활용 및 산업 발전
1960년대 초, 유로퓸이 첨가된 오르토바나데이트 이트륨 적색 형광체가 발견되면서 컬러 TV 산업에 혁명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전에는 컬러 TV용 적색 형광체의 강도가 매우 약해서 다른 형광체 색상을 억제해야 했지만, 밝은 붉은색 유로퓸 형광체 덕분에 다른 색상을 억제할 필요가 없어졌고, 훨씬 더 밝은 컬러 TV 화면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41] 유로퓸은 텔레비전뿐만 아니라 컴퓨터 모니터에도 계속 사용되고 있다. 모나자이트 가공업체들은 제한된 유로퓸 공급을 확보하기 위해 경쟁했는데[41], 모나자이트의 일반적인 유로퓸 함량은 약 0.05% 정도였다. 그러나 캘리포니아주 마운틴 패스 희토류 광산의 몰리코프 바스트네사이트 광상은 란타넘족 원소의 유로퓸 함량이 0.1%로 비정상적으로 높아, 산업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유로퓸을 공급할 수 있었다. 캘리포니아 바스트네사이트는 현재 0.2%의 더 높은 유로퓸 함량을 가진 중국 바얀 오보와 경쟁하고 있다.1950년대 중반 희토류 산업에 혁명을 일으킨 이온 교환 기술을 개발한 프랭크 스페딩은[42] 1930년대에 희토류에 대해 강의하던 중 한 노인으로부터 유로퓸 산화물 수 파운드를 기증하겠다는 제안을 받았다.[25][43] 당시에는 상상도 할 수 없는 양이었기 때문에 스페딩은 이 제안을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러나 실제로 몇 파운드의 유로퓸 산화물이 담긴 소포가 우편으로 도착했고, 그 노인은 산화환원 화학을 이용한 유로퓸 정제 방법을 개발한 허버트 뉴비 맥코이였다.
3. 성질
유로퓸은 은백색 금속으로, 칼로 자를 수 있을 만큼 무르다. 상온·상압에서 안정적인 결정 구조는 체심입방구조(BCC)이며, 비중은 5.24, 녹는점은 822 ℃, 끓는점은 1527 ℃이다(녹는점, 끓는점 모두 실험값에 따라 차이가 있음). 희토류 원소 중에서도 반응성이 높기로 알려져 있으며, 공기 중에서 빠르게 산화되고, 물에 대한 반응성은 칼슘과 비슷하다. 열수와 산에 잘 녹으며, 액체 암모니아에도 녹는다. 할로겐 원소와 반응하여 3가의 할로겐화물을 생성한다.
원자가는 +2가, +3가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3가가 더 안정적이다. 무색의 +2가 이온은 수용액에서 산화되기 쉽고, 연한 분홍색의 +3가 이온이 된다. 표준 산화환원 전위는 다음과 같다.
: ()
하지만 희토류 원소 중에서는 가장 안정적인 +2가 상태를 취하며, 황산유로피움(II)(EuSO4)가 물에 잘 녹지 않는 등 +2가 화합물은 스트론튬과 유사한 성질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자연계에서는 유로피움이 사장석 등 알칼리토류 금속을 포함하는 광물에 많이 존재하며, 모나자이트 등 일반적인 희토류 광물 중의 함량은 비정상적으로 적다(유로퓸 이상).[60]
발광 거동은 +3가는 적색인 반면, +2가는 주변 환경에 따라 청색, 녹색, 황색으로 변한다.[60]
3. 1. 물리적 성질
유로퓸은 연성이 있는 금속으로, 납과 비슷한 경도를 지닌다. 체심입방 격자로 결정화된다.[33] 유로퓸의 일부 특성은 반 채워진 전자껍질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모든 란타넘족 원소 중에서 두 번째로 낮은 녹는점과 가장 낮은 밀도를 갖는다.[33]은백색의 금속으로, 칼로 자를 수 있을 만큼 무르다. 상온·상압에서 안정적인 결정 구조는 체심입방구조(BCC)이며, 비중은 5.24, 녹는점은 822 ℃, 끓는점은 1527 ℃이다(녹는점, 끓는점 모두 실험값에 따라 차이가 있음).
3. 2. 화학적 성질
유로퓸은 희토류 원소 중에서 가장 반응성이 크다. 공기 중에서 빠르게 산화되어, 수 센티미터 크기의 시료는 며칠 내에 완전히 산화된다.[3] 칼슘과 비슷하게 물과 반응하며,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2 Eu + 6 H2O → 2 Eu(OH)3 + 3 H2
높은 반응성 때문에 고체 유로퓸 시료는 광물유 보호막으로 덮여 있어도 신선한 금속 광택을 유지하기 어렵다. 유로퓸은 150~180 °C에서 공기 중에서 발화하여 산화유로퓸(III)을 형성한다.[4]
:4 Eu + 3 O2 → 2 Eu2O3
유로퓸은 묽은 황산에 쉽게 용해되어 연한 분홍색[5]의 [Eu(H2O)9]3+ 수용액을 형성한다.
:2 Eu + 3 H2SO4 + 18 H2O → 2 [Eu(H2O)9]3+ + 3 SO42- + 3 H2
유로퓸은 보통 +3가 상태를 갖지만, +2가 화합물도 쉽게 만든다. 이는 대부분 +3가 산화 상태를 갖는 다른 란타넘족 원소들과는 다른 점이다. +2가 상태는 4f7의 전자 배열을 가지는데, 이는 반쯤 채워진 f-껍질이 더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크기와 배위수 면에서 유로퓸(II)과 바륨(II)은 비슷하다. 바륨과 유로퓸(II)의 황산염은 모두 물에 잘 녹지 않는다.[6] 2가 유로퓸은 약한 환원제이며, 공기 중에서 산화되어 Eu(III) 화합물을 형성한다. 혐기성, 특히 지열 조건에서는 2가 형태가 안정되어 칼슘 및 기타 알칼리 토류 금속의 광물에 포함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이온 교환 과정은 많은 란타넘족 광물(예: 모나자이트)에서 콘드라이트 존재비에 비해 유로퓸 함량이 낮은 "음의 유로퓸 이상 현상"의 원인이 된다. 바스트네사이트는 모나자이트보다 음의 유로퓸 이상 현상이 덜 나타나는 경향이 있어서, 현재 유로퓸의 주요 공급원이다. 다른 (3가) 란타넘족 원소로부터 2가 유로퓸을 분리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유로퓸이 낮은 농도로 존재하더라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7]
일반적으로 +3가가 더 안정적이다. 무색의 +2가 이온은 수용액에서 산화되기 쉽고, 연한 분홍색의 +3가 이온이 된다. 표준 산화환원 전위는 다음과 같다.
: Eu3+(aq) + *e*- = Eu2+(aq) (*E*° = -0.35 V)
하지만 희토류 원소 중에서는 가장 안정적인 +2가 상태를 취하며, 황산유로피움(II)(EuSO4)가 물에 잘 녹지 않는 등 +2가 화합물은 스트론튬과 유사한 성질을 보인다.
3. 3. 동위 원소
자연 상태의 유로퓸은 151Eu와 153Eu 두 가지 동위 원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153Eu가 약간 더 풍부하다(52.2%).[8] 153Eu는 안정적이지만, 151Eu는 알파 붕괴를 하며, 반감기는 5×1018년이다.[8] 이는 자연 유로퓸 1kg당 약 2분마다 한 번의 알파 붕괴가 일어나는 것에 해당한다.151Eu 외에도 35개의 인공 방사성 동위 원소가 확인되었으며, 가장 안정적인 것은 반감기가 36.9년인 150Eu, 반감기가 13.516년인 152Eu, 반감기가 8.593년인 154Eu이다.[9] 나머지 모든 방사성 동위 원소의 반감기는 4.7612년보다 짧으며, 대부분은 12.2초보다 짧다. 유로퓸 동위 원소의 질량수는 130Eu에서 170Eu까지이다.[9]153Eu보다 가벼운 동위 원소는 주로 전자 포획을 통해 붕괴하고, 더 무거운 동위 원소는 주로 베타 마이너스 붕괴를 한다. 153Eu 이전의 주된 붕괴 생성물은 사마륨(Sm) 동위 원소이며, 그 이후의 주된 생성물은 가돌리늄(Gd) 동위원소이다.[10]유로퓸은 핵분열에 의해 생성된다. 155Eu(반감기 4.7612년)는 우라늄-235과 열중성자에 대해 백만분의 330(ppm)의 핵분열 수율을 갖는다.[11] 다른 란타넘족 원소와 마찬가지로, 많은 유로퓸 동위 원소, 특히 질량수가 홀수이거나 중성자가 부족한 동위 원소는 중성자 포획 단면적이 높아 중성자 독이 되기도 한다.151Eu는 사마륨-151의 베타 붕괴 생성물이지만, 151Sm은 긴 붕괴 반감기와 짧은 중성자 흡수 평균 시간을 가지므로, 대부분 151Sm은 152Sm이 된다.152Eu(반감기 13.516년)와 154Eu(반감기 8.593년)는 152Sm과 154Sm이 방사성이 아니기 때문에 베타 붕괴 생성물이 될 수 없다. 그러나 154Eu는 134Cs를 제외하고 2.5 백만분율 핵분열 이상의 핵분열 수율을 갖는 유일한 장수명 "차폐된" 핵종이다.[12] 더 많은 양의 154Eu는 비방사성 153Eu의 중성자 활성화에 의해 생성되지만, 상당 부분 155Eu로 전환된다.
2024년,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2호기 원자로 건물에서 채취한 0.7g의 물질에서 154Eu가 검출되어, 핵연료 유래의 노심 용융물(연료 데브리)이라는 증거로 제시되었다.[62]
4. 존재 및 생산
유로퓸은 자연에서 원소 상태로 발견되지 않는다. 대신 바스트네사이트, 모나자이트, 크세노타임, 로파라이트-(Ce) 등의 광물에 다른 희토류 원소와 함께 존재한다.[13] 달의 토양에서 아주 적은 양의 Eu–O 또는 Eu–O–C 계 화합물이 발견되었지만, 유로퓸이 주성분인 광물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유로피움 이상은 다른 희토류 원소와 비교했을 때 유로퓸이 상대적으로 적거나 많은 현상을 말한다.[14] 이는 마그마나 용암이 식어서 만들어지는 화성암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발견된 유로퓸 이상의 특성을 통해 화성암 군 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유로퓸의 지각 평균 함량은 2ppm 정도이며, 위치에 따라 그 함량이 수십 배까지 차이날 수 있다.[15]
미량의 2가 유로퓸(Eu2+)은 일부 형광석(CaF2)에서 나타나는 밝은 푸른색 형광의 원인이 된다. 고에너지 입자가 형광석에 부딪히면 Eu3+ 이온이 Eu2+로 환원되면서 형광이 발생한다.[16] 위어데일(Weardale)을 포함한 영국 북부 지역에서 발견되는 형광석이 이러한 현상을 잘 보여주는데, 1852년에 형광(fluorescence)이라는 용어가 여기서 유래했다. 하지만 유로퓸이 형광의 원인이라는 사실은 훨씬 나중에 밝혀졌다.[17][18][19][20]
천체물리학에서 항성 스펙트럼의 유로퓸 신호는 항성을 분류하고, 특정 항성의 생성 과정 및 장소에 대한 이론을 세우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2019년 천문학자들은 항성 J1124+4535에서 예상보다 높은 수준의 유로퓸을 발견하고, 이 항성이 수십억 년 전 우리 은하와 충돌한 왜소 은하에서 유래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21][22]
유로퓸은 다른 희토류 원소들과 함께 산출되므로, 이들과 함께 채굴된다. 희토류 원소들은 바스트네사이트, 로파라이트-(Ce), 크세노타임, 모나자이트 등의 광물에서 채굴 가능한 양으로 발견된다. 광석에서 희토류 원소를 추출하고 분리하는 과정은 복잡하다. 광석을 굽고 산성과 염기성 용액으로 처리하여 희토류 원소 농축물을 얻는다. 세륨이 주성분인 경우, 세륨(III)을 세륨(IV)로 산화시켜 침전시킨다. 용매 추출이나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유로퓸이 풍부한 부분을 분리한다. 이 분획을 아연, 아연 아말감, 전기분해 등의 방법으로 환원하여 유로퓸(III)을 유로퓸(II)로 만든다. 유로퓸(II)은 알칼리 토금속과 비슷한 성질을 가지므로 탄산염으로 침전시키거나 황산바륨과 함께 침전시켜 분리할 수 있다.[23] 유로퓸 금속은 염화유로퓸(EuCl3)과 염화나트륨(NaCl) 또는 염화칼슘(CaCl2)의 용융 혼합물을 전기분해하여 얻는다. 이때 흑연 전극을 음극으로, 흑연을 양극으로 사용하며, 염소 기체가 부산물로 생성된다.[13][23][24][25][26]
세계 유로퓸 생산량의 상당 부분은 몇몇 대규모 매장지에서 나온다. 내몽골의 바얀 오보 철광석 매장지는 바스트네사이트와 모나자이트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약 3,600만 톤의 희토류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가장 큰 매장지이다.[27][28][29] 바얀 오보 광산 개발로 인해 중국은 1990년대에 세계 최대의 희토류 공급 국가가 되었다. 하지만 이곳에서 채굴되는 희토류 원소 중 유로퓸은 0.2%에 불과하다. 1965년부터 1990년대 후반까지 두 번째로 큰 희토류 공급원은 캘리포니아의 마운틴 패스 희토류 광산이었다. 이곳의 바스트네사이트는 특히 가벼운 희토류 원소(La-Gd, Sc, Y)가 풍부하고 유로퓸 함량은 0.1% 정도이다. 또 다른 주요 희토류 원소 공급원은 콜라 반도에서 발견되는 로파라이트이다. 로파라이트는 니오븀, 탄탈륨, 티타늄 외에도 최대 30%의 희토류 원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러시아에서 희토류 원소의 가장 큰 공급원이다.[13][30]
5. 화합물
유로퓸 화합물은 대부분 +3가 산화 상태로 존재하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화합물은 6~9개의 산소 리간드에 결합된 Eu(III)를 특징으로 한다. Eu(III) 황산염, 질산염 및 염화물은 물이나 극성 유기 용매에 용해된다. 친유성 유로퓸 착물은 종종 아세틸아세토네이트와 유사한 리간드, 예를 들어 EuFOD를 특징으로 한다.
유로퓸 금속은 모든 할로겐과 반응한다.
:2Eu + 3X₂ → 2EuX₃ (X = F, Cl, Br, I)
이 방법으로 백색의 삼플루오르화유로퓸(III)(EuF₃), 황색의 삼염화유로피움(III)(EuCl₃), 회색의 삼브롬화유로피움(III)(EuBr₃), 무색의 삼요오드화유로피움(III)(EuI₃)을 얻을 수 있다. 유로퓸은 또한 해당 이할로겐화물을 형성하는데, 녹황색의 이플루오르화유로피움(II)(EuF₂), 무색의 이염화유로피움(II)(EuCl₂)(자외선 아래에서 밝은 청색 형광을 띰),[32] 무색의 이브롬화유로피움(II)(EuBr₂), 그리고 녹색의 이요오드화유로피움(II)(EuI₂)이다.[33]
유로퓸은 모든 칼코겐과 안정적인 화합물을 형성하지만, 무거운 칼코겐(황(S), 셀레늄(Se), 텔루륨(Te))은 낮은 산화 상태를 안정화시킨다. 세 가지 산화물이 알려져 있는데, 유로퓸(II) 산화물(EuO), 유로퓸(III) 산화물(Eu₂O₃) 및 유로퓸(II)과 유로퓸(III) 모두로 구성된 혼합원자가 산화물 Eu₃O₄가 있다. 그 외 주요 칼코겐화물은 유로퓸(II) 황화물(EuS), 유로퓸(II) 셀레늄화물(EuSe) 및 유로퓸(II) 텔루륨화물(EuTe)이며, 이 세 가지 모두 검은색 고체이다. 유로퓸(II) 황화물은 Eu₂O₃를 분해할 만큼 충분히 높은 온도에서 산화물을 황화시켜 제조한다.[34]
:Eu₂O₃ + 3 H₂S → 2 EuS + 3 H₂O + S
유로퓸의 주요 질화물은 유로퓸(III) 질화물(EuN)이다.

일반적으로 +3가가 더 안정적이다. 무색의 +2가 이온은 수용액에서 산화되기 쉽고, 연한 분홍색의 +3가 이온이 된다. 표준 산화환원 전위는 다음과 같다.
:
하지만 희토류 원소 중에서는 가장 안정적인 +2가 상태를 취하며, 황산유로피움(II)(EuSO₄)가 물에 잘 녹지 않는 등 +2가 화합물은 스트론튬과 유사한 성질을 나타낸다.
발광 거동은 +3가는 적색인 반면, +2가는 주변 환경에 따라 청색, 녹색, 황색으로 변한다.[60]
원자가는 +2가 및 +3가가 있다. 다음은 주요 화합물 목록이다.
| +2가 화합물 | +3가 화합물 |
|---|---|
6. 용도
유로퓸은 다른 대부분의 원소에 비해 상업적 응용 분야가 적고 상당히 전문적이다. 거의 예외 없이 +2 또는 +3 산화 상태에서 인광이 이용된다.
유로퓸은 레이저 및 기타 광전자 장치의 일부 유형의 유리에서 첨가제로 사용된다. 산화유로퓸(III)(Eu₂O₃)은 텔레비전 및 형광등에서 붉은색 형광체로 널리 사용되며, 이트륨 기반 형광체의 활성제로도 사용된다.[44][45] 컬러 TV 화면에는 0.5~1g의 산화유로퓸이 포함되어 있다.[46] 3가 유로퓸은 붉은색 형광체를 제공하지만,[47] 2가 유로퓸의 발광은 모체 구조의 조성에 크게 의존한다. 자외선에서 짙은 붉은색 발광을 얻을 수 있다.[48][49]
붉은색과 파란색의 두 가지 유형의 유로퓸 기반 형광체는 노란색/녹색 테르븀 형광체와 결합하여 "흰색" 빛을 생성하며, 개별 형광체의 비율 또는 특정 조성을 변경하여 색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 형광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나선형 형광등에서 볼 수 있다. 같은 세 가지 유형을 결합하여 TV 및 컴퓨터 화면에서 삼색 시스템을 만드는 한 가지 방법이지만,[44] 첨가제로 사용하면 붉은색 형광체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데 특히 효과적일 수 있다.[2] 유로퓸은 형광 유리 제조에도 사용되며, 형광등의 전반적인 효율을 높인다.[2] 구리 도핑된 황화아연 외에도 일반적인 지속 발광 형광체 중 하나는 유로퓸 도핑된 알루미늄 스트론튬이다.[50]
유로퓸 형광은 신약 발굴 스크린에서 생체 분자 상호 작용을 조사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유로 지폐의 위조 방지 형광체에도 사용된다.[51][52]
Eu(fod)₃와 같은 유로퓸 착물은 NMR 분광법의 시프트 시약으로 사용될 수 있다. 카이랄 시프트 시약인 Eu(hfc)₃는 여전히 거울상 이성질체의 순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53]
유로퓸 화합물은 체액에서 항원을 민감하게 검출하기 위한 항체 표지에 사용되며, 이는 일종의 면역 분석법이다. 이러한 유로퓸 표지 항체가 특정 항원에 결합하면 생성된 복합체를 레이저 여기 형광으로 검출할 수 있다.[54]
산화이트륨(III) Y₂O₃ 등에 산화유로피움(III) Eu₂O₃을 도핑한 화합물은 브라운관 컬러텔레비전의 발광면, 3파장형 형광등의 형광체 등에 사용되고 있다. 청색 발광다이오드가 제품화된 이후로는, Eu 도핑 α-사이알론이 청색의 보색인 황색-호박색 형광체로 사용되어, 백색 다이오드를 실현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7. 안전성
유로퓸은 다른 중금속에 비해 특별히 독성이 강하다는 명확한 증거는 없다. 염화 유로퓸, 질산 유로퓸, 산화 유로퓸의 독성이 시험되었는데, 염화 유로퓸의 급성 복강내 LD50 독성은 550 mg/kg이고, 급성 경구 LD50 독성은 5000 mg/kg이다. 질산 유로퓸의 급성 복강내 LD50 독성은 약간 높은 320 mg/kg이지만, 경구 독성은 5000 mg/kg 이상이다.[56][57] 금속 분말은 화재 및 폭발 위험이 있다.[58]
8. 한국에서의 연구 및 개발 동향
대한민국은 희토류 자원 확보 및 활용 기술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유로퓸을 비롯한 희토류 원소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산업의 발전과 함께 유로퓸 기반 형광체 소재 개발 연구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2024년,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사고 현장에서 채취된 물질에서 유로퓸-154가 검출되어 핵연료 유래 노심 용융물(연료 데브리)의 증거로 제시되었다.[62] 이는 원자력 안전 관련 연구에도 유로퓸 분석이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Periodic Table: Europium
https://www.rsc.org/[...]
Royal Society of Chemistry
[2]
서적
A Guide to the Ele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3]
웹사이트
Rare-Earth Metal Long Term Air Exposure Test
http://www.elementsa[...]
2009-08-08
[4]
논문
Lanthanide-Based Multifunctional Materials
2018
[5]
서적
Greenwood&Earnshaw2nd
[6]
논문
Inorganic Syntheses
1946
[7]
논문
Ullmann
[8]
논문
Search for α decay of natural europium
2007
[9]
논문
Measuring the β-decay properties of neutron-rich exotic Pm, Sm, Eu, and Gd isotopes to constrain the nucleosynthesis yields in the rare-earth region
2022
[10]
웹사이트
Nucleonica: Universal Nuclide Chart
http://www.nucleonic[...]
Nucleonica
2011-07-22
[11]
논문
Europium-155 in Debris from Nuclear Weapons
1967-07-28
[12]
웹사이트
Tables of Nuclear Data
http://wwwndc.jaea.g[...]
Japan Atomic Energy Agency
2015-06-10
[13]
논문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2013
[14]
서적
Systematics and the properties of the lanthanides
https://books.google[...]
1983
[15]
서적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2016-00-00/2017-00-00
[16]
논문
Color centers, associated rare-earth ions and the origin of coloration in natural fluorites
1978
[17]
논문
Variations in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fluorite
http://www.minsocam.[...]
1952
[18]
논문
A Brief History of Fluorescence and Phosphorescence before the Emergence of Quantum Theory
2011-06-00
[19]
논문
Europium-activated cathodoluminescence in minerals
1975-05-00
[20]
논문
Fluorescence of Fluorite and the Bivalent Europium Ion
1935-01-00
[21]
웹사이트
A Star in the Big Dipper Is an Alien Invader
https://www.space.co[...]
2019-05-12
[22]
논문
Evidence for the accretion origin of halo stars with an extreme r-process enhancement
2019-04-29
[23]
논문
Extractive metallurgy of rare earths
1992
[24]
논문
Recovery of europium by chemical reduction of a commercial solution of europium and gadolinium chlorides
2001
[25]
논문
Contribution to the chemistry of europium
1936
[26]
서적
Handbook of Non-Ferrous Metal Powders: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Elsevier
2009-01-15
[27]
논문
The Bayan Obo iron-rare-earth-niobium deposits, Inner Mongolia, China
1990
[28]
논문
Chemical compositions of carbonate minerals from Bayan Obo, Inner Mongolia, China: implications for petrogenesis
2004
[29]
논문
Bayan Obo Controversy: Carbonatites versus Iron Oxide-Cu-Au-(REE-U)
2007
[30]
논문
Loparite, a rare-earth ore (Ce, Na, Sr, Ca)(Ti, Nb, Ta, Fe+3)O3
1997
[31]
서적
Handbook of inorganic compounds
CRC Press
1995
[32]
논문
Synthesis of divalent europium and ytterbium halides in liquid ammonia
1969-08-00
[33]
서적
Inorganic Chemistry
Academic Press
2001
[34]
논문
Inorganic Syntheses
1967
[35]
논문
On the Phosphorescent Spectra of S δ and Europium
1905
[36]
논문
Sur un nouvel élément l'europium
http://gallica.bnf.f[...]
1901
[37]
논문
The discovery of the elements. XVI. The rare earth elements
1932
[38]
서적
The discovery of the elements
https://archive.org/[...]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1956
[39]
논문
Rediscovery of the Elements: Europium-Eugene Demarçay
http://www.chem.unt.[...]
2019-12-18
[40]
논문
Rediscovery of the elements: The Rare Earths–The Confusing Years
http://www.chem.unt.[...]
2019-12-30
[41]
논문
Phosphors
http://www.electroch[...]
2003
[42]
논문
Large-scale separation of rare-earth salts and the preparation of the pure metals
1949
[43]
논문
Frank Harold Spedding
http://www.nap.edu/o[...]
1986
[44]
서적
Rare earths
Editorial Complutense
1998-06-01
[45]
서적
Chromic phenomena: technological applications of colour chemistry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01
[46]
서적
Extractive metallurgy of rare earths
CRC Press
2005
[47]
논문
Site selective, time and temperature dependent spectroscopy of Eu 3+ doped apatites (Mg,Ca,Sr) 2 Y 8 Si 6 O 26
[48]
서적
Luminescent Materials
[49]
논문
On the Photoluminescence Linearity of Eu2+ Based LED Phosphors upon High Excitation Density
2016-01-01
[50]
서적
Luminescence and Display Phosphors: Phenomena and Applications
Nova Publishers
2008
[51]
웹사이트
Europium and the Euro
http://www.smartersc[...]
2009-06-06
[52]
서적
Lanthanide and actinide chemistry
Wiley
2006
[53]
서적
Discrimination of chiral compounds using NMR spectroscopy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007
[54]
논문
Lanthanide-based time-resolved luminescence immunoassays
2011-07
[55]
웹사이트
Europium 261092
https://www.sigmaald[...]
[56]
논문
Pharmacology and toxicology of europium chloride
1965
[57]
논문
The acute mammalian toxicity of rare earth nitrates and oxides
1963
[58]
웹사이트
Europium (Eu) – Chemical properties, Health and Environmental effects
http://www.lenntech.[...]
Lenntech BV
2011-07-20
[59]
웹사이트
Magnetic susceptibility of the elements and inorganic compounds
http://www-d0.fnal.g[...]
[60]
뉴스
青学大 希土類系青色ナノ粒子 低温焼成で実現
化学工業日報社
2015-07-01
[61]
서적
元素111の新知識
講談社
1998
[62]
웹사이트
福島第一原発、取り出した燃料デブリから核燃料由来の物質を検出
https://www.asahi.co[...]
朝日新聞DIGITAL
2024-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