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모 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모 슈는 일본의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1939년 효고현 아시야시에서 태어났다. 선수 시절 세레소 오사카에서 활약했으며, 1967년 천황배 4강 진출에 기여했다. 은퇴 후 지도자로 전향하여 닛산 자동차, 요코하마 플뤼겔스, 교토 상가 FC를 이끌었고, 1994년에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아 199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최종 라운드까지 진출시켰다. 2017년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코하마 플뤼겔스의 축구 감독 - 기무라 본지
기무라 본지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얀마 디젤에서 선수 생활을 하고 은퇴 후 교토 시코, 요코하마 플뤼겔스, 교토 상가 FC 등에서 감독을 맡았으며, 잔디 구장을 사랑하는 회 이사장으로서 전국 사회인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을 이끌었다. - 1995년 킹 파흐드컵 참가 감독 - 다니엘 파사레야
다니엘 파사레야는 아르헨티나의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선수 시절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을 맡아 1978년 FIFA 월드컵 우승을 이끌고 리버 플레이트에서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7회 우승을 달성했으며, 감독으로서도 리버 플레이트와 몬테레이 리그 우승, 아르헨티나 국가대표팀의 팬아메리카 게임 금메달과 하계 올림픽 은메달을 획득하는 등 선수와 감독 모두로서 아르헨티나 축구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 1995년 킹 파흐드컵 참가 감독 - 리샤르 묄레르 닐센
리샤르 묄레르 닐센은 덴마크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1992년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을 우승으로 이끌어 명성을 얻었으며, 1995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우승, 2003년 지도자 은퇴, 2014년 뇌종양으로 사망했다. - 1996년 AFC 아시안컵 참가 감독 - 넬루 빙가다
넬루 빙가다는 포르투갈 출신 축구 감독으로, 청소년 대표팀과 클럽팀에서 여러 차례 우승했으며, FC 서울 감독 시절 K리그 우승과 리그컵 우승을 동시에 달성했고,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1996년 AFC 아시안컵에서 우승했다. - 1996년 AFC 아시안컵 참가 감독 - 박종환 (축구인)
박종환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및 지도자로, 선수 시절 대한석탄공사에서 활약하고 은퇴 후 국제 심판으로 활동했으며, 지도자로서는 대한민국 여러 대표팀 감독과 성남 FC 창단 감독을 역임하며 K리그 3연속 우승을 달성하기도 했으나, 국가대표팀 감독 시절에는 부진한 성적을 거두어 20세기 한국 최고의 축구 감독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 동시에 강압적인 지도 방식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가모 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가모 슈 |
본명 | 가모 슈 |
로마자 표기 | Kamo Shu |
출생일 | 1939년 10월 29일 |
출생지 | 일본 효고현아시야시 |
신장 | 178cm |
포지션 | FW (은퇴) |
利き足 | 不明 |
선수 경력 | |
유소년 클럽 | 아시야 고등학교 간세이 가쿠인 대학 (1961-1964) |
프로 클럽 | 얀마 디젤 (1965-1967) |
출전/득점 | 14/1 |
지도자 경력 | |
클럽 | 닛산 자동차 (1974-1984, 1985-1989) 전일공 / 요코하마 플뤼겔스 (1991-1994) 교토 퍼플 상가 (1999-2000) 간세이 가쿠인 대학 (2007-2009) |
국가대표 | 일본 (1994-1997) |
2. 선수 경력
간세이 가쿠인 대학 졸업 후, 1965년부터 1967년까지 세레소 오사카의 전신인 얀마 디젤 소속 선수로 활동했다. 이 기간 동안 1967년 천황배 4강 진출에 기여했다.
2. 1. 유년 시절
4형제 중 셋째 아들로 오사카부 도요나카시에서 태어났다. '슈(周)'라는 이름은 그가 태어나기 직전 마이니치 신문이 후원한 비행기 닛폰호가 세계 일주 비행에 성공한 것을 기념하여 지어졌다. 아버지 가모 가쓰오는 마이니치 신문의 정치부 기자였다. 가쓰오는 마이니치 신문 도쿄 본사 편집국 차장 겸 정리부장으로 일하던 1944년, 죽창 사건으로 불리는 신나 됴후의 전황 해설 기사를 처음 확인했다는 이유로 책임을 지고 잠시 직위에서 물러나기도 했다.가모 슈는 오사카에서 태어난 후 아버지의 직장 때문에 도쿄로 이사했고, 아버지가 신문사에서 잠시 물러났을 때는 아버지의 본가가 있는 이바라키현 고가시에서 살았다. 아버지가 복직한 후에는 마이니치 신문 서부 본사가 위치한 후쿠오카현 모지시(현재 기타큐슈시 모지구) 등 여러 곳을 옮겨 다니다가, 1949년에 효고현 아시야시에 정착했다. 1951년 아버지가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자, 어머니는 집 일부를 하숙집으로 만들어 아들들을 키웠다.
중학교 시절까지는 특별히 운동부에 소속되어 특정 스포츠에 집중하지는 않았다. 본인 스스로 "운동회에서는 활약하는 편이었지만, 경쟁에서 1등을 해 본 적은 없다"고 회상할 정도로 평범한 학창 시절을 보냈다.
2. 2. 학창 시절
효고현립 아시야 고등학교에 입학한 후, 상급생의 권유로 축구부에 들어갔다. 형인 유타카는 이미 일본 대표로도 뽑히는 유명한 학생 축구 선수였지만, 슈는 축구 경험이 없었다. 아시야 고등학교에는 축구 전문 지도자가 없어, 학생들이 스스로 연습 메뉴와 전술을 짜고 원정 준비까지 하는 환경이었다.재수를 거쳐 1960년에 간세이 가쿠인 대학 영문과에 입학했다. 처음에는 축구부에 속하지 않았으나, 고등학교 2년 선배이자 당시 대학원생이었던 이창석의 설득으로 2학년 때 축구부에 들어갔다. 대학 시절에는 4학년까지 1군에서 후보 선수에 머물렀으며, 경기에 나가기도 하고 못 나가기도 했다. 결국 주전 선수가 되지는 못했다고 한다.
1964년 대학을 졸업하고, 간세이 가쿠인 대학 축구부 선배인 아다치 사다시의 권유로 얀마 디젤 축구부 (현 세레소 오사카)에 입단했다. 1965년 일본 축구 리그가 출범하자 1966년까지 두 시즌 동안 선수로 뛰며 14경기에 출전해 1골을 기록했다[5]. 회사에서는 무역부에서 근무했다.
2. 3. 얀마 디젤 시절
간세이 가쿠인 대학을 졸업한 1964년, 대학 축구부 선배인 아다치 사다시의 권유를 받아 얀마 디젤 축구부 (현 세레소 오사카)에 입단했다. 1965년 일본 축구 리그가 출범하자, 1966년까지 2시즌 동안 리그 선수로 활동하며 14경기에 출전해 1골을 기록했다[5]. 선수 생활과 함께 사내에서는 무역부에서 근무했다.3. 지도자 경력
간사이 가쿠인 대학 졸업 후 얀마 디젤 축구부 선수 생활을 거쳐 1967년 지도자로 전향했다. 1974년에는 일본인 최초의 프로 계약 감독[6]으로 닛산 자동차 축구부 감독에 취임하여, 신생팀이었던 닛산을 일본 사커 리그 우승, JSL컵 우승, 천황배 우승 등을 달성한 강호로 성장시켰다.[1] 그는 감독직 외에도 구단 운영 전반에 관여했으며, 선수의 잠재력을 파악하여 포지션을 변경시키는 데에도 능력을 보였다.
1991년에는 전일본공수(이후 요코하마 플뤼겔스)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1993년 천황배 우승을 이끌었다.[1]
1994년 12월, 파울루 로베르투 팔캉의 후임으로 일본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1] 그러나 1998년 FIFA 월드컵 최종 예선에서 부진한 성적 끝에 4경기 만인 1997년 10월 경질되었다. 특히 홈에서 열린 대한민국과의 경기에서 1-2로 역전패한 것이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후임으로는 수석 코치였던 오카다 다케시가 감독으로 승격되었다.[1]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최종 라운드 (가모 슈 감독 재임 기간) | ||||
---|---|---|---|---|
# | 날짜 | 경기장 | 상대팀 | 결과 |
1 | 1997년 9월 7일 | 도쿄, 일본 | 우즈베키스탄 | 6–3 |
2 | 1997년 9월 19일 |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 아랍에미리트 | 0–0 |
3 | 1997년 9월 28일 | 도쿄, 일본 | 대한민국 | 1–2 |
4 | 1997년 10월 4일 | 알마티, 카자흐스탄 | 카자흐스탄 | 1–1 |
대표팀 감독 경질 후, 1999년부터 2000년 6월까지 교토 퍼플 상가의 감독을 맡았다.[1] 2001년부터는 쇼비가쿠엔 대학, 오사카 가쿠인 대학, 모교인 간세이 가쿠인 대학 등 여러 대학 축구팀을 지도했다.[1] 2017년에는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
3. 1. 얀마 디젤 코치
간사이 가쿠인 대학을 졸업한 후, 얀마 디젤 축구부(현 세레소 오사카)에서 선수 생활을 거쳐 1967년에 지도자로 전향했다.3. 2. 요코하마 F. 마리노스
간사이 가쿠인 대학 졸업 후 얀마 디젤 축구부에서 선수 생활을 거쳐 1967년 지도자로 전향한 가모 슈는 1974년, 일본인 최초의 프로 계약 감독으로서[6] 닛산 자동차 축구부의 감독으로 취임했다. 당시 닛산은 1972년에 창단되어 가나가와현 사회인 축구 리그에 소속된 신생팀이었으나, 가모는 팀을 빠르게 성장시켜 1977년 JSL 2부, 1979년 JSL 1부로 승격시켰다. 1981년 잠시 2부로 강등되기도 했지만, 1년 만에 1부로 복귀하는 저력을 보였다.가모는 닛산에서 단순한 감독 역할에 머무르지 않고, 조직 구축이나 환경 정비 등 제너럴 매니저와 같은 역할까지 수행하며 팀의 기틀을 다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선수의 잠재력을 파악하고 적합한 포지션을 찾아주는 데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었는데, 윙어였던 기무라 가즈시를 미드필더로, 미드필더였던 로페스를 공격수로 기용하여 이들의 기량을 만개시킨 것이 대표적인 예다. 이 외에도 미즈누마 다카시, 가네다 요시토시 등이 그의 지도를 통해 성장했다.
1984년까지 이어진 첫 번째 감독 임기 동안, 가모는 닛산을 JSL 1부 준우승 2회(1983, 1984), JSL컵 준우승(1983), 천황배 우승(1983)으로 이끌며 강호 클럽으로 성장시켰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예선 탈락의 책임을 지고 물러난 모리 다카지의 후임으로 일본 축구 협회가 가모를 일본 대표팀 감독 후보로 고려했다. 가모 본인도 대표팀 감독직에 의욕을 보여 닛산의 총감독 자리로 잠시 물러나고 스즈키 야스시에게 감독직을 넘기기까지 했으나, 그해 10월 협회 회의에서 모리 감독의 유임이 결정되면서 대표팀 감독 부임은 무산되었다.
1985년 12월, 가모는 다시 닛산의 감독으로 복귀했다. 복귀 직후 참가한 제65회 천황배에서 후지타 공업을 꺾고 우승을 차지하며 성공적으로 복귀했다. 이후 하세가와 겐타와 브라질 국가대표 출신 오스카 등을 영입하며 전력을 더욱 강화했고, 1988-89 시즌에는 JSL 1부 리그, 천황배, JSL컵을 모두 제패하며 3관왕이라는 성과를 거두었다. 특히 리그에서는 개막 후 11연승이라는 JSL 신기록을 세우며 전반기를 마쳤고[7], 컵 대회를 포함하면 공식 경기 21연승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1989년 시즌 종료 후, 가모는 자신이 영입했던 오스카를 후임 감독으로 지명하고 자신은 구단의 고문으로 물러났다.
3. 3. 요코하마 플뤼겔스
1990년 6월, 전일본공수 축구 클럽(1992년부터 요코하마 플뤼겔스로 프로화)의 고문으로 취임했으며, 1991-92 시즌부터 감독으로 활동하여 1994년까지 팀을 이끌었다.[1][6]가모는 당시 세바스티앙 라자로니 감독이 이끌던 브라질 대표팀이나 AC 밀란처럼 팀 전체를 콤팩트하게 유지하며 상대를 압박하는 전술에 영향을 받아, 플뤼겔스에서도 유사한 축구를 추구했다. 이 전술은 슬로베니아 출신 코치 즈덴코 베르데니크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가모가 영어식 표현을 사용하여 "존 프레스"라고 명명했다. 베르데니크는 훈련 프로그램을 만드는 등 존 프레스 전술의 이론적 기반을 다졌다.
감독 재임 기간 동안 1993년 J리그컵 4강에 진출했으며[1], 1994년 1월에는 제73회 천황배 결승에서 가시마 앤틀러스를 연장전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1]
3. 4.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1994년 시즌 종료 후, 파울루 로베르투 팔캉의 후임으로 일본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임명되었다.[1] 전임 팔캉 감독 시절 '커뮤니케이션 부족'이 문제로 지적되면서 일본인인 가모가 발탁되었다. 가모는 요코하마 플뤼겔스 시절처럼 지역 압박(존 프레스)을 통해 빠르게 공격으로 전환하는 축구를 대표팀에 도입하고자 했다. 취임 직후인 1995년 1월 1995년 킹 파흐드컵에 참가했으나, 팀을 제대로 구성할 시간이 부족하여 라모스 루이 등 경험 많은 베테랑 선수들을 중심으로 팀을 꾸렸다. 대회 결과는 2전 전패로 B조 최하위에 머물렀다. 하지만 같은 해 열린 1995년 다이너스티컵에서는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다. 이후 점차 젊은 선수들로 팀을 교체해 나갔다.1995년 11월 계약 만료를 앞두고, 일본 축구 협회(JFA) 강화위원회는 가모의 연임이 최선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넬시뉴를 적임자로 꼽았다. 가모 역시 한때 퇴임을 고려했으나, JFA 간부회의의 결정으로 계약이 연장되었다. 나가누마 겐 당시 JFA 회장은 "이 결정으로 월드컵에 나가지 못하면 내가 책임지고 사임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1996년 12월 1996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조별리그를 3전 전승으로 통과했지만, 8강에서 쿠웨이트에 0-2로 패배하며 탈락했다. 가모는 이 대회를 월드컵 예선을 위한 시험 무대로 여겼으나, 쿠웨이트전 패배로 인해 협회 내에서 가모에 대한 불신이 커졌다.
1997년 9월 시작된 1998 FIFA 월드컵 아시아 최종 예선에서는 B조에 속했다. 첫 경기인 우즈베키스탄과의 홈 경기에서는 6-3으로 대승했지만, 후반에만 3실점을 허용하며 불안감을 노출했다. 이어진 2차전 아랍에미리트 원정에서는 0-0 무승부를 기록했는데, 이 경기에서 이하라 마사미의 골이 명백히 들어갔으나 오프사이드 위치에 있던 고무라 노리오가 건드렸다는 판정으로 노 골 처리되는 논란이 있었다.[8] 3차전은 홈에서 열린 대한민국과의 라이벌 경기로, 야마구치 모토히로의 선제골로 앞서갔으나 후반 서정원과 이민성에게 연속골을 허용하며 1-2로 역전패했다. 이 패배는 이른바 '도쿄 대첩'으로 불리며, 가모 감독이 1-0으로 앞선 상황에서 공격수 와그너 로페스를 빼고 수비수 아키타 유타카를 투입한 전술적 판단 착오가 패배의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며 비판 여론이 거세졌다. 이어진 10월 4일 카자흐스탄 원정 4차전에서도 경기 종료 직전 동점골을 내주며 1-1 무승부에 그쳤다. 이 무승부는 '알마티의 비극'으로 불리며 일본의 본선 진출 가능성을 더욱 어둡게 만들었다.
결국 카자흐스탄과의 경기 직후인 1997년 10월, 최종 예선 4경기 만에 현지에서 감독직에서 경질되었다. 예선 도중 감독 경질은 일본 대표팀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 후임 감독으로는 수석 코치였던 오카다 다케시가 승격되었다.[1]
경기 | 날짜 | 경기장 | 상대팀 | 결과 | 비고 |
---|---|---|---|---|---|
1 | 1997년 9월 7일 | 도쿄, 일본 | 우즈베키스탄 | 6–3 | 승 |
2 | 1997년 9월 19일 |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 아랍에미리트 | 0–0 | 무 |
3 | 1997년 9월 28일 | 도쿄, 일본 | 대한민국 | 1–2 | 패 (도쿄 대첩) |
4 | 1997년 10월 4일 | 알마티, 카자흐스탄 | 카자흐스탄 | 1–1 | 무 (알마티의 비극) |
3. 5. 교토 상가 FC
일본 대표팀 감독직에서 경질된 이후 1999년부터 2000년까지 교토 상가의 감독을 맡았다. 2000년 J리그컵에서 구단 역사상 첫 4강 진출을 이끌었지만, J리그 디비전 1 2000 시즌 리그 15위에 그치며 차기 시즌 2부 리그 강등을 막지 못한 채 2시즌 만에 감독직을 내려놓았다.[1]3. 6. 대학팀
효고현립 아시야 고등학교 졸업 후 재수 생활을 거쳐 1960년 간세이 가쿠인 대학 영문과에 입학했다. 입학 초기에는 축구부에 소속되지 않았으나, 고등학교 2년 선배이자 당시 대학원생이었던 이창석의 설득으로 2학년 때부터 축구부에 입부했다.대학 시절 가모 슈는 주전 선수로 활약하지는 못했다. 그는 스스로 "4학년까지 계속 1군에서 마지막 정도여서, 출전하기도 하고 안 하기도 했다"며 "결국 레귤러가 될 수는 없었다"고 회고했다.
1964년 대학을 졸업하고, 간세이 가쿠인 대학 축구부 선배인 아다치 사다시의 권유로 얀마 디젤 축구부(현 세레소 오사카)에 입단하여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선수 은퇴 후 지도자의 길을 걸은 가모 슈는 2001년부터 오랜 기간 대학 축구팀 감독을 맡았다. 쇼비가쿠엔 대학, 오사카 가쿠인 대학을 거쳐 모교인 간세이 가쿠인 대학 축구부의 사령탑을 지냈다.[1] 2017년에는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1]
4. 기타 활동
1999년 알비렉스 니가타의 어드바이저로 취임했다[6]. 같은 해 7월부터 교토 퍼플 상가(현: 교토 상가 FC)의 감독으로 취임했다. 계약 기간은 2002년 1월 말까지 2년 7개월이었으나[9], 2000년 6월 성적 부진으로 감독에서 해임되었다[10].
이후 대학 축구 지도자로 활동했다. 2001년부터 쇼비 학원 대학 축구부 총감독[6], 2003년부터 오사카 학원 대학 축구부 총감독[6]을 맡았다. 2007년부터는 간사이 가쿠인 대학 체육회 축구부의 감독을 역임했으며[6], 2009년에는 간사이 가쿠인 대학을 11년 만에 간사이 학생 리그 우승으로 이끌었다[12]. 2010년부터는 간사이 가쿠인 대학 축구부의 총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6].
또한, 일본방송협회(NHK)와 GAORA(FC 바이에른 뮌헨 TV)에서 축구 해설을 담당하고 있다[6].
2017년 8월, 일본 축구 전당 입성이 발표되었다[11].
5. 명예
6. 대회 성적
'''닛산 자동차 축구부'''
- 일본 축구 리그 1부 우승: 1회(1988-89)
- 일본 축구 리그 2부 준우승: 3회(1977, 1978, 1981)
- 전국 사회인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1회(1976)
- 간토 축구 리그 우승: 1회(1976)
- 가나가와현 사회인 축구 리그 우승: 2회(1974, 1975)
- 천황배 전일본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3회(1983, 1985, 1988)
- JSL컵 우승: 1회(1988), 준우승: 2회(1983, 1986)
'''요코하마 플뤼겔스'''
- 천황배 전일본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1회(1993)
'''일본 대표팀'''
- 기린컵 축구 우승: 3회(1995, 1996, 1997)
- 다이너스티컵 우승: 1회(1995)
- 칼스버그 컵 준우승: 1회(1996)
'''간세이 가쿠인 대학'''
6. 1. 선수
1939년 10월 29일 일본 효고현 아시야시에서 태어나 아시야 고등학교, 간세이 가쿠인 대학을 졸업했다. 1965년부터 1967년까지 세레소 오사카 소속 선수로 활동했으며, 1967년에는 팀의 천황배 4강 진출에 기여했다.
6. 2. 지도자 (클럽)
1974년 요코하마 F. 마리노스의 전신인 닛산 자동차 축구부 감독으로 본격적인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1984년까지 팀을 이끌며 일본 사커 리그(JSL) 2회 연속 준우승(1983, 1984), 1980년 JSL컵 4강, 1983년 JSL컵 준우승, 1983년 천황배 우승을 달성했다. 이후 1985년 다시 닛산 자동차 축구부 감독으로 복귀하여 1989년까지 팀을 맡으며 JSL컵 2회 연속 우승(1988, 1989) 및 2회 연속 준우승(1985, 1986), 천황배 3회 우승(1985, 1988, 1989) 등 여러 성과를 남겼다.1991년에는 같은 요코하마 지역을 연고로 하는 요코하마 플뤼겔스의 전신인 전일본공수 요코하마 축구 클럽 감독으로 부임하여 1994년까지 팀을 지휘했다. 이 기간 동안 1993년 J리그컵 4강 진출과 1993년 천황배 우승을 이끌었다.
일본 대표팀 감독직에서 물러난 후, 1999년부터 2000년까지 교토 상가 FC의 감독을 맡았다. 2000년에는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J리그컵 4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냈으나, 2000 시즌 J1리그에서 15위에 그쳐 팀의 J2리그 강등을 막지 못하고 두 시즌 만에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 주요 성과 ===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닛산 자동차 축구부)
- 일본 사커 리그 : 준우승 (1983, 1984)
- JSL컵 : '''우승''' (1988, 1989), 준우승 (1983, 1985, 1986), 4강 (1980)
- 천황배 : '''우승''' (1983, 1985, 1988, 1989)
; 요코하마 플뤼겔스 (전일본공수 요코하마 축구 클럽)
- J리그컵 : 4강 (1993)
- 천황배 : '''우승''' (1993)
; 교토 상가 FC
- J리그컵 : 4강 (2000)
=== 감독 기록 ===
=== 연도별 성적 ===
연도 | 소속 리그 | 클럽 | 리그전 | 컵 대회 | ||||||
---|---|---|---|---|---|---|---|---|---|---|
순위 | 경기 | 승점 | 승리 | 무승부 | 패배 | JSL컵/나비스코컵 | 천황배 | |||
1979 | JSL 1부 | 닛산 | 10위 | 18 | 9 | 1 | 2PK 승 1PK 패 | 14 | 1회전 탈락 | 2회전 탈락 |
1980 | 10위 | 18 | 6 | 2 | 2 | 14 | 4강 | 1회전 탈락 | ||
1981 | JSL 2부 | 2위 | 18 | 26 | 11 | 4 | 3 | 8강 | 2회전 탈락 | |
1982 | JSL 1부 | 8위 | 18 | 14 | 5 | 4 | 9 | 2회전 탈락 | 2회전 탈락 | |
1983 | 2위 | 18 | 25 | 11 | 3 | 4 | 준우승 | 우승 | ||
1984 | 2위 | 18 | 25 | 11 | 3 | 4 | 2회전 탈락 | 4강 | ||
1985* | 5위 | 22 | 24 | 10 | 4 | 8 | 준우승 | 우승 | ||
1986-87 | 5위 | 22 | 24 | 10 | 4 | 8 | 준우승 | 4강 | ||
1987-88 | 4위 | 22 | 25 | 10 | 5 | 7 | 2회전 탈락 | 8강 | ||
1988-89 | 우승 | 22 | 46 | 14 | 4 | 4 | 우승 | 우승 | ||
1991-92 | 전일본공수 | 8위 | 22 | 25 | 6 | 7 | 9 | 2회전 탈락 | 1회전 탈락 | |
1992 | J1리그 | 요코하마 F. | - | 10위 | 2회전 탈락 | |||||
1993 | 6위 | 36 | - | 16 | - | 20 | 4강 | 우승 | ||
1994 | 7위 | 44 | - | 22 | - | 22 | 8강 | 2회전 탈락 | ||
1999* | J1리그 | 교토 | 9위 | 15 | 19 | 7 | 0 | 8 | - | 4회전 탈락 |
2000* | 15위 | 15 | 7 | 2 | 1 | 12 | 4강 | - |
- 1985년은 시즌 도중 취임 (순위는 해당 시즌 최종 순위).
- 1999년은 7월에 취임 (리그 성적은 후기 리그 기록).
- 2000년은 6월에 해임 (순위 및 성적은 해임 시점 기준).
6. 3. 지도자 (국가대표팀)
1994 시즌 종료 이후 일본 A대표팀의 사령탑으로 선임되었다. 1995년 킹 파흐드컵에 참가했으나 2전 전패로 B조 최하위에 머물렀다. 같은 해 열린 1995년 다이너스티컵에서는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다. 하지만 이듬해 1996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8강에서 쿠웨이트에 0-2로 패배하며 4강 진출에 실패했다.이후 199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팀을 최종 예선까지 진출시켰다. 홈에서 열린 우즈베키스탄과의 최종 예선 B조 1차전에서는 6-3 대승을 거두었으나, 아랍에미리트 원정 2차전에서는 0-0 무승부에 그쳤다. 홈에서 열린 라이벌 대한민국과의 3차전에서는 야마구치 모토히로의 선제골로 앞서갔지만, 서정원과 이민성에게 연달아 실점하며 1-2로 역전패했다(도쿄 대첩). 이어진 카자흐스탄과의 원정 4차전마저 1-1 무승부에 그치자, 결국 월드컵 최종 예선 4경기 만에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후임 감독으로는 오카다 다케시 코치가 임명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KAMO Shu
https://www.jfa.jp/e[...]
2024-02-20
[2]
웹사이트
J.League Data Site
https://data.j-leagu[...]
[3]
웹사이트
KAMO Shu
https://www.jfa.jp/e[...]
2024-03-31
[4]
웹사이트
対談 加茂 建 × 賀川 浩
https://www.konokuni[...]
2022-11-25
[5]
서적
日本サッカーリーグ全史
[6]
웹사이트
加茂周プロフィール
http://www.sskamo.co[...]
株式会社ソル・スポーツマネージメント
2013-12-22
[7]
서적
日本サッカーリーグ全史
[8]
간행물
週刊サッカーマガジン
1997-10-08
[9]
서적
週刊サッカーマガジン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1999-07-07
[10]
웹사이트
クラブガイド:京都サンガF.C.
http://www.j-league.[...]
2013-12-22
[11]
웹사이트
第14回日本サッカー殿堂 掲額者決定のお知らせ
http://www.jfa.jp/ab[...]
2017-08-02
[12]
웹사이트
加茂周監督の関学大が優勝
https://www.sponichi[...]
スポニチ Sponichi Annex
2014-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