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가스라이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가스라이팅은 타인의 현실 인식 능력을 교묘하게 흐리게 만드는 심리적 조작 행위를 의미한다. 1938년 연극 '가스등'에서 유래된 용어로, 가해자가 피해자의 기억을 부정하거나 감정을 무시하며, 피해자가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들어 가해자에게 의존하게 만든다. 가스라이팅은 거부, 반박, 전환, 경시, 망각 등의 유형으로 나타나며, 자기애성 인격장애, 반사회성 인격장애와 관련될 수 있다. 정치, 의료, 직장, 사회 시스템 등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나며, 특히 권력 관계에서 더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역정보 - 필터 버블
    필터 버블은 인터넷 정보제공자가 사용자 맞춤형으로 정보를 필터링하여 사용자가 기존 관점에 맞는 정보만 접하게 되는 현상으로, 개인을 특정 정보에 가두고 사회적으로 시민 담론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 역정보 - 정보전
    정보전은 정보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평시와 전시를 가리지 않고 수행하는 활동으로, 상대방의 정보 체계를 교란하거나 아군의 정보 체계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정보통신기술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커지고 국가 안보의 핵심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 망상 - 망상성 기생충 감염
    망상성 기생충 감염은 기생충, 벌레 등 유기체에 감염되었다고 굳게 믿는 망상 장애로, 일차성과 이차성으로 나뉘며, 모겔론스병과 같은 형태로 나타나고, 항정신병 약물과 인지 행동 치료로 치료하며, 의료진과의 신뢰 구축이 중요하다.
  • 망상 - 색정광
    색정광은 타인이 자신을 사랑한다는 망상을 갖는 정신 질환으로, 현실적으로 관계 맺기 어려운 대상에 대한 망상을 가지며, 다른 정신 질환의 증상으로 나타나거나 스토킹 문제를 야기하기도 하고, 항정신병 약물 치료와 심리 치료 등으로 치료한다.
  • 거짓 - 망상
    망상은 비합리적이고 비현실적인 내용을 확고하게 믿는 정신 질환의 증상으로, 뇌 기능 장애,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원인이 되어 조현병, 망상장애 등에서 나타나며, 정신 상태 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항정신병 약물, 인지 행동 치료 등으로 치료한다.
  • 거짓 -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
    환원 불가능한 복잡성은 지적 설계론자들이 주장하는 개념으로, 시스템 기능 유지를 위한 필수적인 상호작용 부분들의 복잡계를 의미하며, 자연선택만으로는 진화를 설명하기 어렵다는 주장이지만, 과학계에서는 증거 부족과 점진적 진화 경로 제시로 인해 널리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가스라이팅
가스라이팅
개요
유형심리적 학대
정의타인의 심리적 현실을 조작하여 자신의 현실 인식과 판단력을 의심하게 만드는 행위
핵심 요소상대의 인식, 기억, 정신적 안정에 대한 의심 조장
상대를 불안정하게 만들어 조종하기 쉽게 만듦
피해자가 자신의 지각과 판단력을 의심하게 함
특징거짓말과 부인
모순된 정보 제공
상대의 감정 과소평가
상대방을 고립시킴
서서히 진행되는 조작
역사
어원1938년 연극 가스등에서 유래
심리학적 의미1960년대부터 정신분석학적 개념으로 사용
현대적 의미심리 조작 및 권력 남용의 한 형태로 인식
방법
거짓말현실을 왜곡하는 거짓된 진술 반복
부정상대방의 감정이나 경험 부인
모순앞뒤가 맞지 않는 말과 행동으로 혼란 유발
왜곡상대방의 말이나 행동을 의도적으로 잘못 해석
과소평가상대방의 감정이나 의견을 무시하거나 하찮게 여김
고립가족, 친구로부터 고립시켜 조종 용이하게 만듦
위협직접적이거나 암시적인 위협으로 상대방을 통제
비난모든 문제에 대해 상대방을 비난
정보 통제정보 접근을 제한하거나 왜곡하여 제공
감정적 학대언어적, 감정적 공격으로 정신적 고통 유발
결과
심리적 영향자존감 저하
불안 및 우울증
현실감 상실
자기 의심 증가
정신적 혼란
무력감
대인관계 문제
사회적 영향대인관계 어려움
고립
사회 부적응
장기적인 영향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정신 질환 위험 증가
가스라이팅의 종류
관계에서의 가스라이팅연인, 부부 관계 등에서 발생
직장 내 가스라이팅상사, 동료 간의 권력 관계에서 발생
가족 내 가스라이팅부모, 형제자매 등 가족 구성원 간 발생
정치적 가스라이팅정치인, 언론 등이 대중을 대상으로 행하는 조작
온라인 가스라이팅소셜 미디어,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발생
대처법
인식가스라이팅임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
자기 확신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믿는 연습
객관적 판단제3자 또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상황을 객관적으로 판단
경계 설정가해자와의 관계에 명확한 경계 설정
도움 요청전문가 또는 지원 그룹의 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
관계 단절극단적인 경우, 가해자와의 관계를 단절
관련 개념
나르시시즘자기애적 성격 장애가 가스라이팅을 하는 경우가 많음
심리 조작가스라이팅은 심리 조작의 한 형태
정신적 학대가스라이팅은 정신적 학대의 한 형태로 볼 수 있음
인지 부조화가스라이팅은 피해자에게 인지 부조화를 유발
세뇌가스라이팅은 세뇌와 유사한 메커니즘을 가짐
참고 자료
도서Gaslighting, the double whammy, interrogation, and other methods of covert control in psychotherapy and psychoanalysis
When men batter women: new insights into ending abusive relationships
학술 자료APA Dictionary of Psychology
Merriam Webster
Google Trends
On the double whammy and gaslighting

2. 어원

'가스라이팅'이라는 용어는 1938년 영국 연극 ''가스등''에서 유래했으며, 이후 1940년 영국, 1944년 미국에서 영화로 제작되었다.[4][5][6] 연극 및 영화에서는 남편이 아내의 재산을 노리고 의도적으로 집안의 가스등을 어둡게 만들거나 주변 환경을 조작한 후, 아내가 이를 지적하면 "당신이 잘못 본 것이다", "왜 엉뚱한 소리를 하느냐"는 식으로 현실감각을 잃게 만들어 정신병자로 몰아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75] 이러한 행위를 하는 사람을 '가스라이터'라고 부른다.[75]

1944년 미국 영화 ''가스등''의 찰스 보이어, 잉그리드 버그만, 조셉 코튼


영화 〈가스등〉 (1944년)


1970년대 후반부터 타인의 현실 인식 능력을 흐리게 만드는 행위를 '가스라이팅'이라고 부르게 되었다.[52]

3. 유형

가스라이팅은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며, 점진적으로 피해자의 자존감을 낮추고 가해자에게 의존하게 만든다. 로빈 스턴은 영화 가스등에서 이름을 인용하여 가스라이팅(Gaslight Effect)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74] 파트리시아 에반스(Patricia Evans)는 가스라이팅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거부, 반박, 전환, 경시, 망각 등을 제시했다.[76]

3. 1. 거부

가스라이팅에서 거부는 피해자의 의견을 무시하거나 이해하지 않으려는 태도를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76]

3. 2. 반박

가해자는 피해자의 기억을 불신하며 "그런 적 없다"고 주장한다.[76]

3. 3. 전환

가해자는 피해자의 생각을 의심한다.[76]

3. 4. 경시

피해자의 요구나 감정을 하찮게 여기게 만든다.[76]

3. 5. 망각

실제로 발생한 일을 잊은 척하거나 부인하며, "기억이 안 난다"고 발뺌한다.[76]

4. 심리학적 분석

가스라이팅은 자기애성 인격장애, 반사회성 인격장애 등 특정 성격장애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가해자는 자신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통제감을 얻기 위해 가스라이팅을 사용하며, 이는 학습된 행동일 수 있다.[16] 심리학자 마사 스타우트(Martha Stout)는 소시오패스가 가스라이팅 기법을 자주 사용한다고 언급한다. 소시오패스는 끊임없이 사회적 도덕 규범을 벗어나고, 법을 어기며, 타인을 이용하지만, 일반적으로 표면적으로는 매력적이고, 능숙한 거짓말쟁이이며, 범죄에 연루될 만한 행동은 하지 않는다. 따라서 소시오패스의 피해자가 된 사람은 자신의 인식 능력을 의심하게 될 수 있다.[57] Jacobson과 Gottman에 따르면, 배우자 간의 신체적 학대 가해자 중 일부는 피해자에게 가스라이팅을 하는 경우가 있으며, 자신이 폭력적이었다는 것을 단호히 부인하기까지 한다.[50]

가스라이팅은 갈등 상황에서 순간을 통제하고, 불안감을 완화하며, 통제력을 느끼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종종 책임을 회피하고 다른 사람을 깎아내리는 결과를 초래한다.[16] 어떤 경우에는 파트너에게 사건, 심지어 폭력적인 행위조차 부정하며 가스라이팅을 할 수도 있다.[25]

가스라이팅은 학습된 특성으로, 가해자는 사회적 학습을 통해 가스라이팅을 습득한다. 즉, 가스라이팅을 목격하거나, 직접 경험하거나, 우연히 발견하고, 그것이 자기 조절과 상호 조절 모두에 효과가 있음을 알게 된다.[16] 연구에 따르면 가스라이팅은 한 명 또는 두 명의 파트너 모두가 부적응적 인격 특성, 물질 유발 질환(예: 알코올 중독), 기분 장애(예: 양극성 장애), 불안 장애(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인격 장애(예: BPD, NPD 등), 신경 발달 장애(예: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또는 이러한 것들의 조합(즉, 공존)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인식을 의심하도록 설득하는 데 능숙하고 잘하는 커플에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26][27]

4. 1. 임상 사례

Barton과 Whitehead는 친척을 없애거나 재정적 이득을 얻기 위해 개인을 강제 입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가스라이팅의 세 가지 사례 보고를 설명했다. 여기에는 아내가 남편을 폭력적인 사람으로 몰아 남편과 헤어지고 애인과 도망치려 한 경우, 술집 주인인 남편이 알코올 중독자라고 주장하여 그를 떠나 술집을 장악하려 한 또 다른 아내의 경우, 그리고 요양원 관리자가 거주자에게 설사약을 준 후 약간의 치매와 실금으로 정신병원에 의뢰한 경우가 포함된다.[19][20]

1977년, Lund와 Gardiner는 요양원 직원들에 의해 반복적으로 정신병으로 인해 강제 입원된 노년 여성에 대한 사례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여성의 증상은 치료 없이 입원 직후 항상 사라졌는데, 조사 결과 그녀의 '편집증'은 15년 전 편집증적 정신병을 앓았던 것을 알고 있던 요양원 직원들의 가스라이팅 때문이라는 것이 밝혀졌다.[20]

"가스라이팅: 부부 관계 증후군"이라는 연구 논문에는 아내들의 반응이 남편과 남성 치료사들에 의해 잘못 해석된 후 그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임상적 관찰이 포함되어 있다.[21]

Theo L. Dorpat은 "치료사들은 [피해자의] 반응을 잘못 해석함으로써 피해자의 고통에 기여할 수 있다… 배우자의 가스라이팅 행동은 일부 [피해자에게는 소위 '신경 쇠약'을, 최악의 경우에는 자살을 위한 조건을 제공한다"고 썼다.[24] 그는 심리 치료 및 분석에서 심문 및 기타 은밀한 통제 방법을 사용할 때 환자에 대한 의도치 않은 학대에 대해 경고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환자를 존중하고 진정으로 돕는 것이 아니라 미묘하게 강압할 수 있기 때문이다.[24]

심리학자 Gertrude Gass와 William C. Nichols는 부부 간의 부정행위에서 때때로 나타나는 특정 원동력을 묘사하는 데 가스라이팅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치료사는 피해자인 여성의 반응을 잘못 해석함으로써 그녀의 고통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 … 남편이 하는 가스라이팅은 일부 여성에게 이른바 신경쇠약을 초래하고, 최악의 경우 자살로 이어진다.[58]."

가스라이팅은 부모-자녀 관계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데, 부모 또는 자녀, 또는 양쪽 모두 상대방을 속여 정상적인 인지를 손상시키려고 한다.[59][60] 더 나아가 가스라이팅은 정신병원 입원 환자와 의료진 사이에서도 나타난다.[61]

프로이트의 몇몇 기법은 가스라이팅으로 간주된다. "늑대 인간(ウルフマン)"이라는 별명이 붙은 Sergei Pankejeff는 늑대의 꿈에 대해 프로이트와 여러 차례 논쟁을 벌였는데, Dorpat는 이 사례에 대해 "프로이트는 늑대 인간에게 가차 없는 압박을 가하고, 프로이트의 재해석과 공식화를 받아들이도록 몰아붙였다."라고 적고 있다.[49]

4. 2. 저항 및 극복

가스라이팅에 저항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판단력을 신뢰하는 것이 중요하다.[63] 가해자의 주장에 맞서는 "다른 해석"을 통해 심리적 균형을 회복할 수 있다.[63] 가스라이팅 피해자는 심리 상담, 치료 등을 통해 자존감을 회복하고 건강한 관계를 맺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5. 사회적 영향

가스라이팅은 사회 시스템 내에서 뿌리 깊은 권력 위계질서를 유지하는 메커니즘으로 작용한다. 개인은 미묘하고 공공연한 조작을 통해 현실에 대한 자신의 인식에 의문을 품도록 강요받는다.[44][45] 특히 인종 가스라이팅은 지배적인 인종 위계질서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기반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는 과정이다.[44][45]

인종 불평등에 대한 도전을 잘못된 인식이나 민주적 공정성에 대한 공격으로 규정하고 반대 의견을 병리화함으로써, 인종 가스라이팅은 소외된 개인들이 인종화된 구조 내에서의 자신의 경험에 의심을 품도록 강요한다. 이는 체계적인 인종차별을 부정할 뿐만 아니라, 인종 불의에 대한 주장을 역차별 행위나 비이성적인 민감성으로 재구성하여 적극적으로 재규정하는 것이다.[46] 이러한 방식을 통해 인종 가스라이팅은 저항을 무력화하고 현상 유지를 정당화하며, 그 존재 자체를 모호하게 함으로써 구조적 불평등을 영속시킨다.

5. 1. 정치

가스라이팅은 가해자가 권력을 쥐고 있을 때 더 효과적일 수 있다.[39]

2008년에 출판된 ''혼란의 시대: 정치적 조작과 미국인 정신에 대한 공격''이라는 책에서 저자들은 현대 통신 시대부터 미국 정치에서 가스라이팅이 만연해졌다고 주장한다.[40]

'가스라이팅'이라는 용어는 정치권의 좌우 양쪽 모두에서 정치인과 언론인들의 행동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40]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 미국의 언론인들은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기간과 대통령 임기 동안 도널드 트럼프의 행동을 묘사하기 위해 "가스라이팅"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41][42]
  • "가스라이팅"은 1970년대와 1980년대 동독에서 사용된 국가 차원의 심리적 괴롭힘 기법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이 기법은 (동독) 국가보안부의 분해 방법의 일환으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부당하게 투옥하면 국제적인 비난을 초래할 것이기 때문에, 반대파(정치적으로 부정확하거나 반항적인) 사람들의 활동 능력을 마비시키기 위해 고안되었다.[43]

5. 2. 의료

의료 가스라이팅은 환자가 실제로 겪는 증상을 의료 전문가가 무시하거나 축소하여, 잘못된 진단이나 치료 지연으로 이어지게 하는 비공식 용어이다.[31] 여성과 유색인종이 이러한 현상을 겪을 가능성이 더 높다.[32][33][34]

2024년경, "의료 가스라이팅"이라는 용어는 시스템적 문제나 편견으로 인해 담당 의사가 환자의 임상적 우려를 부적절하게 무시하거나 무효화하는 부정적인 환자 경험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졌다.[35][36] 의료 가스라이팅은 환자가 증상을 호소하지만, 그 증상이 무시되거나 일축되고, 불안감이나 상상으로 치부되거나, 암이나 만성 질환이 생기기에는 너무 어리다는 말을 듣거나, 편견으로 인해 증상이 제대로 해결되지 않고 축소되는 경우를 말한다.[37] 이는 의료 종사자들의 편견으로 인한 것이다.[38]

5. 3. 직장

직장 내 가스라이팅은 상사가 부하 직원의 의견을 무시하거나, 성과를 가로채거나, 괴롭힘을 정당화하는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는 피해자의 업무 능력 저하, 정신 건강 문제, 퇴사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12][13] 가스라이팅은 권력의 불균형이 있거나 피해자가 가해자에게 존중을 표현했을 때 더 효과적이다.[16]

2024년 케이트 에이브람슨(Kate Abramson)은 자신의 저서 《가스라이팅(On Gaslighting)》에서 소외된 집단의 구성원이 제기한 성희롱이나 차별 관련 불만을 축소하는 상사의 사례를 제시했다.[47] 이러한 상사는 "너무 예민하게 반응하지 마. 과민하게 반응하는 거야. 착각하는 거야."라고 말하며 가스라이팅을 한다.

5. 4. 사회 시스템

사회 시스템 내에서 가스라이팅은 뿌리 깊은 권력 위계질서를 유지하는 메커니즘으로 작용하며, 개인이 현실에 대한 자신의 인식에 의문을 품도록 강요하는 미묘하고 공공연한 조작의 형태를 통해 이루어진다. 특히 두드러진 현상은 인종 가스라이팅으로, 지배적인 인종 위계질서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기반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는 과정이다.[44][45] 인종 불평등에 대한 도전을 잘못된 인식이나 민주적 공정성에 대한 공격으로 규정하고 반대 의견을 병리화함으로써, 인종 가스라이팅은 소외된 개인들이 인종화된 구조 내에서의 자신의 경험에 의심을 품도록 강요한다. 이 현상은 체계적인 인종차별의 부정을 넘어 적극적인 재규정으로 확대되는데, 인종 불의에 대한 주장을 역차별 행위나 비이성적인 민감성으로 재구성하는 것이다.[46] 이러한 서술을 통해 인종 가스라이팅은 저항을 무력화하려 할 뿐만 아니라 현상 유지를 정당화하여, 그 존재 자체를 모호하게 함으로써 구조적 불평등의 영속성을 보장한다.

6. 한국 사회의 가스라이팅

한국 사회에서 가스라이팅은 정신적 학대의 일종으로 가정, 학교, 군대, 직장, 친구, 교수, 강사, 이웃, 친척 등 일상생활 공간에서 주로 발생한다. 가스라이팅 가해자는 상황 조작을 통해 상대방의 자아를 흔들어서 자신의 영향력을 증폭시켜 상대방을 자유자재로 다루거나 그 사람이 가진 재산 등을 탈취한다.[64][65][66][67][68][69] 가스라이팅 피해자는 스스로 신뢰감을 잃어가게 되고 결국에는 자존감을 잃는다. 가해자들은 상대방의 공감능력을 이용해서 상대방을 통제한다.

주로 친밀한 관계에서 이루어지나 이러한 관계는 수평적이기보다 비대칭적 권력으로 누군가를 통제하고 억압하려 할 때 나타난다.[70][71] 관심과 간섭의 경계에 있는 예도 많아 법적 처벌까지 이어지지 않는 게 상당수다.[72] 착함을 강요하는 것도 가스라이팅이 될 수 있다.[73]

7. 대중문화



영화 〈가스등〉(1944년)은 아내의 재산을 노리고 결혼한 남편이 온갖 속임수와 거짓말로 멀쩡한 아내를 정신병자로 만드는 과정을 그렸다. 남편은 집안의 가스등을 일부러 희미하게 해놓고 아내가 어둡다고 할 때마다 "당신이 잘못 본 것"이라며 핀잔을 주고, 주변 환경과 소리까지 교묘히 조작하여 아내가 현실감을 잃고 자신을 믿지 못하게 만들어 가해자에게 의지하게 만든다. 로빈 스턴은 이 영화의 제목을 인용해 '가스라이팅'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74][75]

이 외에도 데이빗 핀처 감독, 벤 에플렉 주연의 영화 〈나를 찾아줘〉(2014년) 등이 가스라이팅을 소재로 한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힌다.

참조

[1] 웹사이트 Gaslighting / topic https://trends.googl[...] 2024-11-16
[2] 웹사이트 APA Dictionary of Psychology https://dictionary.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21-07-07
[3] 웹사이트 Definition of gaslight (Entry 2 of 2) https://www.merriam-[...] 2021-07-07
[4] 웹사이트 Gaslight https://www.oed.com/[...] 2021-10-25
[5] 뉴스 Why 'Gaslight' Hasn't Lost Its Glow https://www.nytimes.[...] 2019-08-21
[6] 웹사이트 What is gaslighting? The 1944 film Gaslight is the best explainer. https://www.vox.com/[...] 2017-01-21
[7] 논문 Gaslight and gaslighting https://www.thelance[...] 2018
[8] 웹사이트 How Gaslighting Manipulates Reality https://www.scientif[...]
[9] 웹사이트 How Old Is 'Gaslighting'? http://www.chronicle[...] 2017-01-12
[10] 뉴스 2016 Word of the Year https://www.american[...] American Dialect Society
[11] 뉴스 Word of the Year 2018: Shortlist https://languages.ou[...] Oxford University Press
[12] EdD Dialogues of doubt: the psychology of self-doubt and emotional gaslighting in adult women and men Harva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996
[13] 웹사이트 Gaslighting at Work—and What to Do About It https://hbr.org/podc[...] 2021
[14] 뉴스 What is gaslighting? And how do you know if it's happening to you? https://www.nbcnews.[...] 2018-07-13
[15] 서적 Gaslighting: Recognize Manipulative and Emotionally Abusive People – and Break Free Da Capo Press 2018
[16] 웹사이트 I've counseled hundreds of victims of gaslighting. Here's how to spot if you're being gaslighted. Gaslighting, explained. https://www.vox.com/[...] 2018-12-19
[17] 뉴스 How to recognize gaslighting and respond to it https://www.washingt[...] 2022-04-15
[18] 웹사이트 For Those Who Experience Gaslighting, the Widespread Misuse of the Word Is Damaging https://www.wellandg[...] 2021-09-02
[19] 논문 The gas-light phenomenon https://www.thelance[...] 1969-06-21
[20] 논문 The Gaslight Phenomenon: An Institutional Variant 1977
[21] 논문 Gaslighting: A marital syndrome https://link.springe[...] 1988-03-18
[22] 논문 Special section on negative effects from psychological treatments 2010-01
[23] 논문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psychotherapy process, psychotherapists' expertise, and 'meaning-making conflict' within therapeutic relationships: part II 1997-04
[24] 서적 Gaslighting, the Double Whammy, Interrogation, and Other Methods of Covert Control in Psychotherapy and Psychoanalysis https://books.google[...] Jason Aronson 1996
[25] 서적 When Men Batter Women: New Insights into Ending Abusive Relationships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1998
[26] 논문 Personality correlates of gaslighting behaviours in young adults https://doi.org/10.1[...] 2021-09-02
[27] 서적 The Sociopath Next Door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Digital 2006-03-14
[28] 서적 Damaged identities, narrative repair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01-03
[29] 웹사이트 Word of the Year 2022 https://www.merriam-[...]
[30] 웹사이트 In accusing all creeps of gaslighting, we dishonour the real victims https://www.theguard[...] 2019-07-06
[31] 뉴스 Women are sharing their 'medical gaslighting' stories. Now what? https://www.washingt[...] 2022-04-02
[32] 논문 Missed diagnosis of strok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 cross-sectional analysis of a large population-based sample 2014-06
[33] 논문 Gender bias in physicians' management of neck pain: a study of the answers in a Swedish national examination https://pubmed.ncbi.[...] 2002-09
[34] 논문 Delayed diagnosis of adrenal insufficiency is common: a cross-sectional study in 216 patients https://pubmed.ncbi.[...] 2010-06
[35] 논문 Medical Gaslighting: A New Colloquialism https://www.amjmed.c[...] 2024
[36] 웹사이트 What to do about medical gaslighting https://www.health.h[...] 2024-04-01
[37] 논문 Implicit bias in healthcare: Clinical practice, research and decision making 2021-01-01
[38] 일반텍스트
[39] 뉴스 Gaslighting as a Manipulation Tactic: What It Is, Who Does It, and Why https://counsellingr[...] 2018-04-13
[40] 서적 State of Confusion: Political Manipulation and the Assault on the American Mind https://archive.org/[...] Thomas Dunne Books, St. Martin's Press 2008-01-01
[41] 뉴스 Donald Trump is 'gaslighting' all of us http://www.cnn.com/2[...] 2017-02-16
[42] 뉴스 What we talk about when we talk about Donald Trump and 'gaslighting' https://www.washingt[...] 2017-01-29
[43] 서적 Histories of Surveillance from Antiquity to the Digital Era: The Eyes and Ears of Power Routledge 2021-01-01
[44] 논문 Racial gaslighting https://www.tandfonl[...] 2019-10-02
[45] 논문 Racial Gaslighting in a Politically Progressive City https://onlinelibrar[...] 2023-11-22
[46] 서적 White Lies: Racism, Education and Critical Race Theo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4-06-03
[47] 웹사이트 Book Review: 'On Gaslighting,' by Kate Abramson https://www.nytimes.[...] 2024-12-02
[48] 논문 On the double whammy and gaslighting.
[49] 서적 Gaslighting, the double whammy, interrogation, and other methods of covert control in psychotherapy and psychoanalysis https://books.google[...] J. Aronson 1996-10-28
[50] 서적 When men batter women: new insights into ending abusive relationships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1998-03-10
[51] 웹사이트 Abuse prevention how to turn off the gaslighter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9-03-02
[52] 서적 The best-kept secret: sexual abuse of children https://books.google[...] Human Services Institute
[53] 서적 Gaslighting: How to Drive Your Enemies Crazy Loompanics Unlimited
[54] 음반 トゥ・アゲインスト・ネイチャー ワーナーミュージック・ジャパン 2000-01-01
[55] 음반 トゥ・アゲインスト・ネイチャー BMGファンハウス 2000-01-01
[56] 서적 Marian McPartland's Piano Jazz with Steely Dan Concord Records
[57] 서적 The Sociopath Next Door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Digital 2006-03-14
[58] 논문 Gaslighting: A marital syndrome
[59] 웹사이트 自己愛性親と子どものガスライティング https://scienceblog.[...] 2023-01-07
[60] 논문 'Imposed psychosis': A case variant of the gaslight phenomenon
[61] 논문 The gaslight phenomenon: An institutional variant
[62] 서적 Commitment and compassion in psychoanalysis: selected papers of Edward M. Weinshel https://books.google[...] Analytic Press
[63] 서적 Damaged identities, narrative repair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64] 뉴스 Gaslighting, Narcissist, and More Psychology Terms You're Misusing https://time.com/626[...] 2023-03-01
[65] 웹사이트 가스라이팅은 공식심리학 용어가 아닙니다 https://jeepedia.com[...] 2023-06-01
[66] 웹사이트 관계 속, 가장 잔인한 폭력 ‘가스라이팅’ 2016-08-29
[67] 웹사이트 가장 끔찍한 가정폭력, ‘가스라이팅’ (4) – 이 조작수법을 누가, 어떻게, 왜 하는가 http://femik.tistory[...] 2016-09-06
[68] 웹사이트 From Theater to Therapy to Twitter, the Eerie History of Gaslighting http://www.slate.com[...] 2016-04-18
[69] 웹사이트 Are You Being Gaslighted? https://www.psycholo[...] 2009-05-19
[70] 웹인용 “넌 내가 제일 잘 알아”, 애정을 가장한 가스라이팅 http://psytimes.co.k[...] 2024-02-24
[71] 웹인용 https://lawtalknews.[...] 2024-02-24
[72] 뉴스 원종건 전 여친이 당했다는‘가스라이팅’, 나도 당하고 있다? 이데일리 2020-01-29
[73] 웹인용 [캠퍼스엔 대학생 인터넷뉴스] 나를 의심하게 만드는 '가스라이팅' http://www.campusn.c[...] 2023-12-20
[74] 뉴스 원종건 전 여자친구의 '미투'…'가스라이팅' 무슨 뜻? 머니투데이 2020-01-28
[75] 뉴스 [윤희영의 News English] 국민을 상대로 한 '가스라이팅' 조선일보 2020-02-04
[76] 서적 The Verbally Abusive Relationship: How to Recognize it and How to Respond Adams Media Corporation 199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