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반사회성 인격장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반사회성 인격장애는 타인의 권리를 무시하고 침해하는 지속적인 패턴을 보이는 정신 질환이다. 이들은 도덕, 사회 규범, 타인의 감정에 대한 무시를 보이며, 타인을 조종하고 기만하는 경향이 있다. 주요 증상으로는 무책임함, 충동성, 공격성, 약물 남용 등이 있으며, 공감 능력의 결여와 타인의 정신 상태를 이해하는 어려움도 나타난다. DSM-5와 ICD-10에서 각각 다른 진단 기준을 제시하며, 유전적 요인, 생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치료는 어렵지만 심리 치료와 약물 치료를 시도하며, 예후는 만성적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증상이 완화될 수 있다. 반사회성 인격장애는 사이코패스와 연관되어 논의되기도 하며, 범죄, 가정 폭력, 자살 등 다양한 사회 문제와 관련이 있다. 과거에는 특정 집단에 대한 차별의 근거로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심리학 포털 - 인격장애
    성격장애는 사고방식, 감정, 대인관계, 행동 양식의 지속적인 패턴이 사회적 기대에서 벗어나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고통이나 기능 장애를 초래하는 경우를 말하며, 세계보건기구(WHO)의 ICD-11과 미국정신의학회(APA)의 DSM-5는 정의와 진단 기준을 제시하고, 정신치료(변증법적 행동치료, 정신화 기반 치료, 스키마 치료 등)가 중심적인 치료 방법이다.
  • 심리학 포털 - 사이코패스
    사이코패스는 공감 능력 결여, 얕은 감정, 과대망상, 충동성, 죄책감 부재 등의 특징을 보이는 성격 장애로, 반사회성 인격 장애의 범주 안에서 다루어지며 사회적으로 성공한 인물에게서도 발견되어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 반사회적 행동 - 깨진 유리창 이론
    깨진 유리창 이론은 사소한 무질서가 방치되면 더 큰 범죄로 이어진다는 이론으로, 1982년 제시되었으며, 뉴욕시 치안 정책에 반영되어 범죄율 감소에 기여했으나, 과잉 단속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반사회적 행동 - 차별
    차별은 특정 집단이라는 이유로 개인이나 집단에게 불이익을 주거나 부당하게 대우하는 행위로, 인종, 성별, 종교 등 다양한 근거로 발생하며, 국제기구들은 차별 종식을 위해 노력하고 각국은 차별 금지 법률을 시행하고 있다.
  • 법심리학 - 범죄학
    범죄학은 범죄의 원인, 발생, 결과, 예방 및 통제를 연구하는 학제적 학문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를 통합하여 범죄 현상을 분석하고 사회 안전망 구축과 범죄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법심리학 - 고의
    고의는 형법과 민법에서 범죄나 불법행위를 구성하는 주관적 요건으로, 행위자가 결과 발생을 인식하고 의욕하거나 용인하는 심리 상태를 뜻하며, 그 본질에 대한 학설과 인식 정도, 시점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반사회성 인격장애
개요
다른 이름사회병질
해체성 인격 장애
임상 정보
분야정신의학
증상만연한 일탈
기만
충동성
과민성
공격성
무모함
조작
냉담하고 감정 없는 특성
경멸감
발병 시기아동기 또는 청소년기 초반
지속 기간장기적
위험 요인가족력
빈곤
감별 진단정신병질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자기애성 성격장애
물질 사용 장애
양극성 장애
경계선 성격장애
정신분열증
범죄 행위
반항성 장애
예후불량
빈도연간 0.2% ~ 3.3%
질병 코드
ICD-10F60.2
ICD-9301.7
MeSH IDD000987
MedlinePlus000921
영어 명칭
영어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약칭ASPD, APD
기타dissocial personality disorder

2. 징후 및 증상

반사회성 인격장애는 도덕, 사회규범, 타인의 권리감정에 대한 만연하고 지속적인 무시를 특징으로 하는 인격장애이다.[225][20] 이러한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의 이익이나 즐거움을 위해 타인을 해롭게 이용하거나 조종하고 기만하는 데 거리낌이 없다.[226][64][65] 이들은 종종 오만함을 보이고 자신의 행동에 대한 후회나 자책감이 부족하며, 타인에 대한 공감 능력이 제한적일 수 있다.[225][227][20][21][36][46][47] 또한 무책임하고 충동적이며 공격적인 행동 양상을 보일 수 있고, 약물남용이나 범죄와 같은 문제에 연루되기 쉽다.[225][227][228][229][230][5][6][7][8] 대인관계 형성 및 유지에도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225][22]

2. 1. 주요 특징

반사회성 인격장애는 도덕, 사회 규범, 타인의 권리감정을 지속적으로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25][20] 이들은 자신의 이익이나 즐거움을 위해 타인을 해로운 방식으로 이용하는 데 거리낌이 없으며, 종종 타인을 조종하거나 기만한다.[226][64][65] 이러한 목적을 위해 피상적 매력(superficial charm)을 이용하거나, 협박과 폭력을 사용하기도 한다.[226][66][67]

이들은 오만함을 보이며 타인을 낮추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자신의 해로운 행동에 대해 후회나 자책감을 거의 느끼지 않으며, 피해를 입은 사람에게 냉담한 태도를 보인다.[225][227][20][21] 공감 능력이 제한적이어서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것을 피하기보다 자신의 이익을 우선시한다.[36][46][47] 또한, 타인의 정신 상태를 이해하는 정신화 능력에 어려움을 겪거나,[49][50] 자신의 공격적인 행동이 타인에게 미칠 영향을 이해하는 데 손상이 있을 수 있다.[51]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인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사회적 인지 능력은 뛰어나 타인을 조종하는 데 능숙할 수 있다.[52][53][54]

무책임감은 이 장애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이다. 사회적, 재정적 의무를 다하거나 안정적인 직업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착취적이거나 위법적, 혹은 기생적인 삶을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225][227][228][229][26][27][28]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기 어려워하며 책임을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인다.[68]

충동적이고 무모한 행동 역시 두드러진다. 깊은 생각 없이 행동하거나 행동의 결과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으며,[225][227][230][3][4][20][21][22] 자신과 타인의 안전을 반복적으로 위협하는 행동을 할 수 있다.[225][227][230] 분노 조절 능력이 부족하여 공격적이고 호전적인 모습을 보이며, 상대방을 언어적, 신체적으로 몰아세울 수 있다.[225][229][20][29] 이러한 공격성은 가정 폭력[30][31]이나 폭력 범죄로 이어질 위험이 높다.[32][33]

약물남용과 중독 문제도 흔하게 나타난다.[5][6][7][8] 특히 향정신성약물 남용이 빈번하며,[225][227][228][229] 이는 중독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성격 장애 중 하나로 여겨진다.[9][10][11] 이로 인해 불법 약물 사용,[12][13] 혈액 매개 질환 및 HIV 감염,[14] 짧은 금주 기간, 경구 투여 약물 오용, 강박적 도박[15][16][17] 등의 문제 발생 위험이 높다.[18] 어린 시절부터 물질 남용이나 중독에 빠질 가능성도 크며,[19] 알코올 의존증이나 약물 의존증 문제를 일으키기 쉽다.

이러한 행동들은 범법 행위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 유년기나 청소년기에 반사회적 행동이나 형법 위반 경력을 가지고 있으며,[225][227][228][229] 수감자들 사이에서 반사회성 인격장애의 유병률은 매우 높다.[31] 이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유죄 판결을 받거나 더 긴 형을 선고받을 가능성이 높고,[9] 거의 모든 종류의 범죄로 기소될 수 있으며,[55][56][57] 특히 폭행과 같은 폭력 범죄가 흔하다.[58] 방화나 타인의 재산 파괴 역시 관련성이 높은 행동이다.[63] 어린 시절 품행 장애를 겪었던 경우가 많다.

대인 관계에서도 심각한 문제를 보인다. 애착이나 정서적 유대 형성이 빈약하여, 타인을 착취하거나 이용하는 데 초점을 맞춘 관계를 맺는 경향이 있다.[225][20][48] 관계를 지속하거나 발전시키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새로운 관계를 시작하는 것조차 힘들어할 수 있다.[228][22][34][35]

정서적으로는 감정을 양가성으로 느끼거나 표현하며, 정서적 냉담함과 소외감이 깊어지는 모습을 보인다.[42][43][44][39] 만성적인 지루함을 자주 경험할 수 있으며,[40][41] 행복이나 공포와 같은 감정을 다른 사람들보다 덜 명확하게 느끼는 반면,[42][43][44] 분노나 좌절과 같은 감정은 더 자주, 더 강렬하게 경험할 수 있다.[45]

높은 충동성과 사회적 책임 부재는 자살 위험 증가와도 관련이 있다.[23][24][25][26][27][28] 또한, 위험한 성적 행동도 흔하게 나타나는데, 짧은 시간 안에 여러 명의 성 파트너를 두거나, 매춘부를 만나고, 콘돔을 일관성 없이 사용하거나, 약물과 성관계를 거래하고, 안전한 성관계를 자주 하지 않는 등의 행동을 보일 수 있다.[18][37][38] 성 도착증과 같은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교육, 인간관계,[34][35] 직업 생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35][36]

일부 연구에서는 폭력 범죄를 저지른 사람들이 평균보다 높은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보이는 경향이 있으며,[59] 이것이 남성에게서 반사회성 인격장애 진단이 더 많은 이유 중 하나일 수 있다고 본다.[60][61] 다만, 코르티솔은 충동적 경향을 인지적으로 통제하는 데 도움을 주어 테스토스테론의 효과를 상쇄할 수 있다.[62]

자기애성 성격 장애와 비교했을 때, 자기애성 성격 장애는 자신이 뛰어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타인을 이용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기는 반면, 반사회성 인격장애는 원하는 것을 얻거나 단순히 즐거움을 위해 타인을 이용하는 경향이 있다. 사람을 사랑하는 능력이나 상냥함이 부족하며, 타인의 눈치를 보며 속이려는 경향도 보인다.

사고, 학대,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뇌 손상, 특히 외상성 뇌 손상이나 스트레스에 의한 전전두피질의 기능 부전이 반사회성 인격장애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추측도 있다.

2. 2. 정신건강 문제와의 관계

반사회성 인격장애(ASPD)는 무모함과 충동성을 보이는 경향 때문에[3][4] 약물남용 및 알코올 남용의 위험이 더 높다.[5][6][7][8] 실제로 ASPD는 중독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성격 장애로 여겨지며,[9][10][11] 이로 인해 불법 약물 사용,[12][13] 혈액 매개 질환 및 HIV 감염,[14] 금주 기간 단축, 경구 투여 오용, 강박적 도박[15][16][17] 등 중독 관련 문제의 위험이 증가한다.[18] ASPD를 가진 사람은 어린 시절부터 물질을 남용하거나 중독될 가능성이 더 높다.[19] 알코올 의존증과 결합될 경우, 각 질환만 있을 때보다 신경 심리 검사에서 더 큰 전두엽 뇌 기능 결함을 보일 수 있으며,[70] 이는 ASPD 환자의 충동 및 행동 통제 부족과 관련될 수 있다.[71]

ASPD는 높은 수준의 충동성,[20][21][22] 자살 위험 증가,[23][24][25] 그리고 사회적 책임 부재와 관련이 있다.[26][27][28] 이러한 특성은 공격적인 행동,[20][29] 가정 폭력,[30][31] 불법 약물 사용, 만연한 분노, 폭력 범죄 증가와 연결된다.[32][33] 이러한 행동들은 교육, 대인 관계,[34][35] 및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35][36] 또한, 짧은 시간 안에 여러 명의 성 파트너를 갖거나, 매춘부를 만나거나, 콘돔을 일관성 없이 사용하고, 약물과 성관계를 교환하는 등 위험한 성적 행동도 흔하게 나타난다.[18][37][38]

감정적인 측면에서 ASPD 환자는 감정을 양가성으로 묘사하거나 정서적 냉담함과 소외 상태를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된다.[42][43][44][39] 만성적인 지루함을 자주 느끼며,[40][41] 행복이나 공포 같은 감정을 다른 사람들보다 덜 명확하게 경험하는 반면, 분노나 좌절과 같은 감정은 더 자주, 더 명확하게 경험할 수 있다.[42][43][44][45] 공감 능력이 제한적이며,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것을 피하기보다 자신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있다.[36][46][47] 도덕, 사회 규범, 타인의 권리를 존중하지 않을 수 있으며,[20] 대인 관계는 주로 타인을 착취하고 이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20][48] 오만함을 보이고, 타인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며, 자신의 해로운 행동에 대한 후회가 부족하고 피해자에게 냉담한 태도를 보일 수 있다.[20][21]

ASPD를 가진 사람들은 정신화, 즉 타인의 정신 상태를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49][50] 자신의 정신 상태를 이해하는 마음 이론은 온전할 수 있지만, 자신의 공격적인 행동이 타인에게 미칠 영향을 이해하는 능력은 손상되었을 수 있다. 이는 공감 부족과 공격적, 범죄적 행동에 기여할 수 있다.[51]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인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고 저장하는 사회적 인지 능력은 뛰어날 수 있어,[52] 이를 이용해 타인을 조종하는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53][54]

ASPD는 수감자들 사이에서 매우 흔하게 발견된다.[31] ASPD가 있는 사람들은 더 자주 유죄 판결을 받고 더 긴 형을 선고받는 경향이 있으며,[9] 거의 모든 유형의 범죄로 기소될 가능성이 높다.[55][56][57] 특히 폭행 및 기타 폭력 범죄가 가장 흔한 기소 내용이다.[58] 방화나 타인의 재산 파괴 역시 ASPD와 관련된 흔한 행동이다.[63] 많은 경우 어린 시절 품행 장애의 병력이 있으며, 이는 폭력적, 범죄적, 반항적, 반사회적 행동 패턴으로 이어진다.

ASPD는 다른 정신 질환과의 공병률이 높다. 특히 물질 사용 장애(SUD)를 겪을 가능성이 현저히 높아, 일반 인구보다 SUD 진단 확률이 약 13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또한 주요 우울 장애를 경험할 가능성이 4배 더 높으며, 자살 생각 및 행동의 위험도 증가한다. 불안 장애, 특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사회 불안 장애도 흔하여 ASPD 환자의 최대 50%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동반 질환은 ASPD 증상을 악화시키고 치료를 더 복잡하게 만들며 예후를 나쁘게 할 수 있다.[69] 일부 경우에는 사고, 학대,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외상성 뇌 손상이나 전전두피질 기능 부전이 ASPD 발병과 관련될 수 있다는 추측도 있다.

2. 3. 동반 증상

반사회성 인격장애는 다른 정신 질환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동반될 수 있는 주요 증상 및 질환은 다음과 같다.[241]

  • 불안장애 (Anxiety disorders)
  • 우울장애 (Depressive disorder)
  • 충동조절장애 (Impulse control disorders)
  • 물질관련장애 (Substance-related disorders)
  • 신체화장애 (Somatization disorder)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양극성장애 (Bipolar disorder)
  • 경계성 인격장애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 연극성 인격장애 (Histrionic personality disorder)
  • 자기애성 인격장애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 가학적 인격장애 (Sadistic personality disorder)


반사회성 인격장애는 다양한 정신 질환, 특히 물질 사용 장애(SUD) 및 기분 장애와 높은 공병률을 보인다. 연구에 따르면, 반사회성 인격장애 진단을 받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물질 사용 장애(SUD)로 진단받을 확률이 약 13배 더 높다.[69] 또한 기분 장애의 위험도 증가하는데, 주요 우울 장애를 경험할 가능성이 4배 더 높으며 자살 생각 및 행동의 위험도 함께 증가한다.[69] 불안 장애, 특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사회 불안 장애 역시 흔한 동반 질환으로, 반사회성 인격장애 환자의 최대 50%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69] 이러한 동반 질환들은 반사회성 인격장애 환자의 문제를 악화시켜 증상을 더 심각하게 만들고 치료를 복잡하게 하며, 임상적 예후를 더 나쁘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69]

특히 알코올 중독과 결합되는 경우, 신경심리 검사에서 전두엽 기능 부전이 각 질환만 있을 때보다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242][70] 알코올 사용 장애는 반사회성 인격장애 환자가 보이는 충동 조절 및 행동 조절의 어려움으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243][71] 실제로 남성 알코올 의존증 환자 및 아편 중독자 중 반사회성 인격장애 발병률은 40-50%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된다.[244] 그러나 이는 단순한 인과관계라기보다는, 반사회성 인격장애로 인한 인지 결함의 결과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3. 원인

성격 장애는 일반적으로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72][20] 반사회성 인격 장애(ASPD)의 경우, 몇 가지 위험 요인이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반사회적이거나 알코올 중독인 부모를 둔 사람은 ASPD 발병 위험이 더 높을 수 있다.[73] 또한 어린 시절의 방화동물 학대와 같은 행동 문제,[74] 과잉 행동 및 품행 장애,[76] 낮은 IQ 점수나 읽기 문제[76] 등도 ASPD 발달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ASPD 성향을 가진 어린이가 비슷한 문제를 가진 다른 비행 청소년들과 어울리는 환경 역시 나중에 ASPD로 진단받을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77][78]

하지만 이러한 요인들은 ASPD 발병 위험과의 상관관계를 보여줄 뿐, 어느 하나만이 ASPD의 유일한 원인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또한, 이러한 요인들과 관련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ASPD로 진단되는 것은 아니다.[75]

3. 1. 유전적 요인

반사회성 인격장애(ASPD)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72][20] ASPD 발병에 유전적 요인이 상당 부분, 혹은 강력하게 작용한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 ASPD 환자의 가족이나 친척에게서 ASPD 유병률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 유전과 환경의 영향을 분리하여 분석하는 쌍둥이 연구에서도 반사회적 행동과 품행 장애에 유의미한 유전적 영향이 있음이 보고되었다.[79]

여러 유전자가 ASPD 발병과 관련될 가능성이 제기되었는데, 대표적인 유전자 중 하나는 모노아민 산화 효소 A(MAO-A) 유전자이다. 이 유전자는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을 분해하는 효소를 만든다. 연구에 따르면, MAO-A 효소 생산을 줄이는 유전자 변이체(예: 프로모터 영역의 2R, 3R 대립 유전자)는 남성의 공격적인 행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80][81]

특히 이러한 유전적 요인은 어린 시절의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MAO-A 활성이 낮은 변이체(MAOA-L)를 가진 아동이 학대와 같은 부정적인 환경을 경험했을 경우, 활성이 높은 변이체(MAOA-H)를 가진 아동보다 반사회적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더 높았다.[82][83] 환경적 요인(예: 정서적 학대)을 제외하더라도, MAOA-L 유전자형과 공격적, 반사회적 행동 사이에는 약하지만 연관성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84] 일부 연구에서는 학대받은 아동의 품행 장애 및 성인기 ASPD 증상을 포함한 반사회적 행동과 모노아민 산화 효소 A 사이의 관련성을 발견하기도 했다.[93]

세로토닌 수송체(SLC6A4) 유전자 역시 반사회적 행동 및 인격 특성 연구에서 주목받는 유전자이다. 이 유전자는 다른 정신 질환과의 연관성으로도 널리 연구되고 있다. 유전자 연관성 연구에 따르면, 짧은 형태의 'S' 대립 유전자는 수감자 집단에서 충동적인 반사회적 행동 및 ASPD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85]

반면, 정신병질(psychopathy) 연구에서는 긴 형태의 'L' 대립 유전자가 정신병질의 핵심적인 특성, 즉 공감 부족, 두려움 없음과 같은 정동적 특성과 과대망상, 조작과 같은 대인관계적 특성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다.[86] 이는 ASPD 내에서도 충동성 및 정서 조절 문제가 두드러지는 유형과, 포식적 공격성 및 정동 장애가 특징적인 유형 등 서로 다른 형태가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87]

2016년에 발표된 유전체 전장 연관성 연구(GWAS)에서는 ASPD와 관련된 다양한 유전자 후보들이 추가로 확인되었다. 이 중 일부는 ASPD와 자주 동반되는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와도 공유되는 유전자였다. 해당 연구에 따르면, 6번 염색체 상의 특정 돌연변이 4개를 가진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ASPD가 발병할 확률이 50% 더 높았다.[88]

다만, 이러한 유전적 요인들이 ASPD 발병 위험과 관련이 있더라도, 특정 유전자 하나만이 ASPD의 유일한 원인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유전적 소인과 환경적 요인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발현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75]

3. 2. 생리적 요인

반사회성 인격장애(ASPD)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72][20] ASPD 환자의 가족에게서 ASPD 유병률이 더 높게 나타나며,[79] 반사회적이거나 알코올 중독인 부모를 둔 경우 자녀의 ASPD 발병 위험이 증가한다는 사실[73] 등은 유전적 소인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쌍둥이 연구에서도 반사회적 행동과 품행 장애에 대한 유의미한 유전적 영향이 보고되었다.[79]

=== 유전적 요인 ===

ASPD와 관련된 특정 유전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모노아민 산화 효소 A (MAO-A) 유전자가 주목받는다. 이 유전자는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을 분해하는 효소를 생성하는데, MAO-A 생산을 감소시키는 특정 유전자 변이체(예: 프로모터 영역의 2R, 3R 대립 유전자)는 남성의 공격적 행동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80][81] 특히, 낮은 활성의 MAO-A 유전자 변이체(MAOA-L)를 가지면서 어린 시절 학대와 같은 부정적인 환경을 경험한 경우, 높은 활성 변이체(MAOA-H)를 가진 아이들보다 반사회적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는 유전자-환경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보여준다.[82][83] 환경적 요인을 배제하더라도 MAOA-L 유전자와 공격적/반사회적 행동 사이에는 약한 연관성이 관찰되었다.[84]

세로토닌 수송체 유전자(SLC6A4) 역시 ASPD 연구에서 중요한 대상으로 다뤄진다. 이 유전자의 짧은 "S" 대립 유전자는 일부 연구에서 수감자 집단의 충동적인 반사회적 행동 및 ASPD와 연관성을 보였다.[85] 흥미롭게도, 정신병질(psychopathy) 연구에서는 긴 "L" 대립 유전자가 공감 부족, 두려움 없음, 과대망상, 조작성과 같은 핵심적인 정동 및 대인 관계 특성(정신병질의 요인 1 특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86] 이는 ASPD 내에서도 충동성 및 정서 조절 장애가 두드러지는 유형과 포식적 공격성 및 정동 장애가 중심이 되는 유형이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87]

2016년에 발표된 유전체 전장 연관성 연구(GWAS)를 통해 ASPD와 관련된 다양한 유전자 후보들이 추가로 확인되었다. 이 중 일부는 ASPD와 자주 동반되는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와도 관련이 있었다. 해당 연구에서는 6번 염색체의 특정 4개 돌연변이를 가진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ASPD 발병 가능성이 50% 더 높다는 결과가 보고되기도 했다.[88]

=== 신경생리학적 요인 ===

==== 신경전달물질 ====

어린 시절의 외상 경험 등은 중추신경계의 정상적인 발달 과정을 방해하고 호르몬 분비 변화를 유발하여 뇌 발달 패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89] ASPD와 관련하여 가장 많이 연구되는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는 세로토닌(5-HT)이다.[89] 여러 연구를 종합한 메타 분석 결과, ASPD 환자, 특히 30세 미만에서 세로토닌 대사 산물인 5-HIAA 수치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뇌 내 세로토닌 기능 저하를 시사한다.[90]

낮은 세로토닌 기능은 ASPD뿐만 아니라 충동성 및 공격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91] 충동성은 세로토닌 대사 이상과 관련된 핵심적인 정신병리학적 특징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91] 이는 DSM 진단 기준에서 ASPD의 주요 특징으로 "충동성 또는 사전 계획 실패"와 "과민성 및 공격성"을 포함하는 것과도 맥락을 같이 한다.[92][67] 앞서 언급된 모노아민 산화 효소 A(MAO-A) 유전자가 세로토닌 분해에 관여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MAO-A 유전자와 반사회적 행동 간의 연관성은 세로토닌 시스템의 중요성을 뒷받침한다.[93]

==== 뇌 구조 및 기능 이상 ====

반사회적 행동은 뇌의 특정 영역에서의 구조적, 기능적 이상과 관련될 수 있다.[94] 기능적 신경 영상 연구에 따르면, ASPD 환자들은 전전두피질의 활동 감소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100] 구조적으로도 오른쪽 전두엽 및 측두엽 피질, 배내측 전전두피질, 중뇌, 안와전두피질 등 전전두피질 영역에서 회백질 부피 감소가 관찰되었다.[102] 이러한 전전두피질 영역의 이상은 감정 조절 능력 부족, 충동적인 행동 및 반응 억제 곤란, 의사 결정 능력 저하 등 ASPD의 특징적인 증상과 관련될 수 있다.[103][104][105] 다만, 이러한 뇌 구조의 차이가 ASPD의 직접적인 원인인지, 아니면 동반되는 물질 사용 장애나 아동기 학대와 같은 다른 요인의 결과인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101]

전전두피질 외에도 다른 뇌 영역의 구조적 차이도 보고되었다. 오른쪽 렌즈핵, 왼쪽 섬엽, 전두극 피질 등에서 회백질 감소가 관찰된 반면, 오른쪽 방추이랑, 아래쪽 마루피질, 오른쪽 대상회, 중심후피질 등에서는 회백질 부피 증가가 보고되기도 했다.[95] 또한, 편도체와 뇌섬엽 같은 영역에서의 회백질 부피 감소는 특정 자극에 대한 감정적 반응 처리의 어려움과 관련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106]

변연계 신경 발달 이상의 지표로 알려진 투명 중격강(CSP)의 존재 역시 ASPD와의 연관성이 제기되었다. 한 연구에서는 CSP가 있는 사람들이 대조군에 비해 반사회적 특성, 정신병질, 체포 및 유죄 판결 비율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109]

한편, 대중문화에서 그려지는 "사이코패스 천재" 이미지와는 달리, ASPD는 전반적인 지능 저하 및 특정 인지 능력의 결함과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다.[96][97] 이러한 인지 능력 저하는 반사회적 특성을 가진 일반 인구 집단[98]이나 ASPD의 전조 증상을 보이는 아동에게서도 관찰된다.[99]

3. 3. 환경적 요인

성격 장애는 일반적으로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결합 및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72][20] 반사회적 성향을 보이거나 알코올 중독인 부모를 둔 사람은 반사회성 인격 장애(ASPD) 발병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간주된다.[73] 또한, 어린 시절의 방화동물 학대와 같은 행동 문제 역시 반사회성 인격 장애의 발달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74]

런던 킹스 칼리지 정신 의학, 심리학 및 신경 과학 연구소의 에밀리 사이모노프 교수에 따르면, ASPD와 지속적으로 관련된 여러 환경 및 개인적 요인이 있다. 여기에는 어린 시절의 과잉 행동 및 품행장애, 성인기의 범죄 기록, 상대적으로 낮은 IQ 점수 및 읽기 능력 문제 등이 포함된다.[76] 더불어, ASPD 성향을 가지고 자라면서 비슷한 문제를 가진 다른 비행 청소년들과 어울리는 환경은 나중에 ASPD로 진단받을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77][78]

하지만 이러한 요인들이 ASPD 발병 위험과 상관관계가 있다 하더라도, 단일 요인만으로 ASPD의 유일한 원인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또한, 나열된 요인들과 관련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그 사람이 ASPD로 진단되거나 식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75]

3. 3. 1. 가정 환경

일부 연구에서는 사회 환경과 가정 환경이 반사회적 행동 발달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제시한다. 성격 장애는 일반적으로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결합 및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72][20] 특히 반사회적이거나 알코올 중독인 부모를 둔 사람은 반사회성 인격 장애(ASPD) 발병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간주된다.[73] 반사회적 성향을 보이는 아이의 부모가 반사회적 행동을 보였으며, 아이들이 이를 학습했을 가능성이 있다.

초기 발달 단계에서 부모의 자극과 애정, 영향력이 부족하면 아이의 스트레스 대응 체계(stress response systems)가 민감해질 수 있다. 이는 감정, 공감, 그리고 타인과 정서적으로 연결되는 능력을 다루는 아이의 두뇌 발달 저하를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본다. 이러한 환경은 옥시토신과 같은 균형을 이루는 호르몬 없이 높은 수준의 코르티솔로 이어질 수 있다.[89] 브루스 페리(Bruce D. Perry)는 그의 저서 『개로 키워진 소년(The Boy Who Was Raised as a Dog)』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영아의 두뇌 발달에는 적절히 두뇌를 발달시키는 유형화되고 반복적인 자극이 필요하다. 공포, 고독, 불편, 허기의 감정을 경감시키는 것이 돌발적이거나 예측할 수 없는 형태로 이뤄지면, 아이의 스트레스체계는 경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전적인 유기(total abandonment)라는 형태로 부모의 돌봄이 간헐적으로 중단되는 환경은, 한 아이에게 있어 이 세상 그 무엇에 비견할 수 없는 최악인 것이다."[231][110]

양육 방식 역시 아이의 성장 과정과 ASPD 진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주요 네 가지 양육 방식은 다음과 같다.[111][112]

  • '''권위주의적 양육''': 엄격한 규칙과 높은 기대를 강조하며, 규칙 위반 시 강한 처벌이 따른다. 이는 자녀의 반항적 행동, 낮은 자존감, 공격성, 분노로 이어질 수 있다.[113]
  • '''허용적 양육''': 규칙 적용에 관대하며 자녀에게 많은 자유를 준다. 이는 충동성, 자제력 부족, 경계 인식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다.[114]
  • '''방임적 양육''': 규칙이 거의 없거나 없으며, 아동 발달에 필요한 기본적인 욕구조차 충족시키지 못할 수 있다. 부모의 낮은 관여는 자녀의 정신 건강 문제, 정서적 위축, 비행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115]
  • '''권위적 양육''': 명확한 지침과 기대를 제시하면서도 자녀에게 지원과 이해를 제공한다. 균형 잡힌 접근 방식으로, 자녀가 규칙의 중요성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이런 환경에서 자란 아이는 자신감 있고, 책임감 있으며, 성공적이고 긍정적인 대처 기술을 개발할 가능성이 높다.[116]


긍정적인 역할 모델이 있고 가정 및 지역 사회의 긍정적 영향이 있는 환경, 즉 건강하고 안전하며 안정적이고 일관되며 이해심 많고 세심한 양육 방식은 아이들의 긍정적인 행동을 촉진하고 전반적인 반사회성 인격 장애 증상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117][118]

반사회성 인격장애(ASPD)는 아동기의 정서적 및 신체적 학대와 매우 높은 연관성을 보인다. 신체적 방임 또한 ASPD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는다.[119] 어린 시절 부모와의 유대감 형성은 매우 중요하며, 학대나 방임으로 인한 부모와의 유대감 부족은 아동이 반사회성 인격장애를 겪을 위험을 증가시킨다.[119] 또한 부모의 과잉보호와 ASPD 발병 사이에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20] 연구에 따르면, (특히 아동기에) 학대를 받지 않은 사람은 ASPD가 발병할 가능성이 낮다.

ASPD를 가진 사람은 다음과 같은 형태의 아동기 외상 또는 학대를 경험했을 수 있다: 신체적 또는 성적 학대, 방임, 강압, 보호자로부터의 유기 또는 분리, 지역 사회의 폭력, 테러 행위, 괴롭힘 또는 생명을 위협하는 사건.[121][122]

그러나 이러한 가정 환경 요인들이 ASPD 발병 위험과 상관관계가 있지만, 단일 요인만으로 ASPD의 유일한 원인일 가능성은 낮으며, 나열된 원인과 관련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ASPD로 진단되거나 식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75]

3. 3. 2. 양육 방식

많은 연구는 사회적 환경과 가정 환경이 반사회성 인격 장애(ASPD) 발달에 기여한다고 시사한다.[89] 특히 양육 방식은 아이들이 유년기에 경험하고 성장하는 방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반사회성 인격 장애 진단에 영향을 줄 수 있다.[111][112] 반사회성 인격 장애를 가진 아이들의 부모는 반사회적 행동을 보일 수 있으며, 이러한 행동이 아이들에게 학습될 수 있다.[89]

초기 발달 과정에서 부모의 자극과 애정 부족은 옥시토신과 같은 긍정적 상호작용 관련 호르몬의 부족과 함께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의 높은 수치를 유발할 수 있다. 이는 아동의 스트레스 반응 시스템을 교란시키고 과부하시켜, 감정 조절, 공감 능력, 타인과의 정서적 유대 형성과 관련된 뇌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여겨진다. 브루스 페리 박사(Dr. Bruce Perry)는 그의 저서 ''개처럼 길러진 아이''(The Boy Who Was Raised as a Dog)에서 "유아의 발달 중인 뇌는 적절하게 발달하기 위해 패턴화되고 반복적인 자극이 필요하다. 공포, 외로움, 불편함, 배고픔으로부터의 간헐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해소는 아기의 스트레스 시스템을 항상 경계 상태로 유지한다. 완전한 유기를 동반한 간헐적인 보살핌의 환경은 아이에게 최악의 환경일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110]

주요 양육 방식 네 가지와 각각이 아동 발달 및 반사회성 인격 장애 위험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111][112]

  • 권위주의적 양육: 매우 엄격한 규칙을 강조하며, 규칙 위반 시 큰 처벌이 따른다. 부모는 자녀에게 높은 기대를 가지며, 이는 자녀가 성장하여 반항적인 행동, 낮은 자존감, 공격성, 분노 등을 나타낼 위험을 높일 수 있다.[113] 이러한 경직된 환경은 반사회성 인격 장애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 허용적 양육: 규칙 적용에 매우 관대하며 자녀에게 많은 자유를 허용한다. 부모는 자녀가 스스로 결정하도록 두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충동성, 자제력 부족, 사회적 경계 인식 부족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114] 지나친 허용 역시 반사회성 인격 장애와 관련된 특성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방임적 양육: 자녀에게 규칙을 거의 제시하지 않거나 전혀 제시하지 않으며, 아동 발달에 필요한 기본적인 욕구조차 충족시키지 못할 수 있다. 부모의 관여도가 매우 낮으며, 이는 자녀에게 정신 건강 문제, 정서적 위축, 비행 행동 등을 유발할 수 있다.[115] 이는 반사회성 인격 장애 발달에 심각한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
  • 권위적 양육: 명확한 지침과 기대를 제시하는 동시에 자녀에게 충분한 지원과 이해를 제공한다. 규칙의 중요성을 설명하며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는 균형 잡힌 접근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자란 아이들은 자신감 있고 책임감 있으며, 성공적인 삶을 영위하고 긍정적인 대처 기술을 개발할 가능성이 더 높다.[116] 이는 반사회성 인격 장애 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양육 방식으로 평가된다.


결론적으로, 긍정적인 역할 모델이 있고 가정 및 지역 사회의 지지가 있는 환경에서 건강하고, 안전하며, 안정적이고 일관되며, 이해심 많고 세심한 양육 방식은 아이들의 긍정적인 행동을 촉진하고, 반사회성 인격 장애 증상의 발현 위험을 감소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17][118]

이 외에도 아동기의 정서적 및 신체적 학대, 신체적 방임은 반사회성 인격 장애와 매우 높은 연관성을 보인다. 학대나 방임으로 인한 부모와의 불안정한 애착 관계는 아동이 반사회성 인격 장애를 겪을 위험을 증가시킨다.[119] 또한, 부모의 과잉보호 역시 반사회성 인격 장애 발병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20]

3. 3. 3. 아동기 외상

반사회성 인격장애(ASPD)는 아동기의 정서적 및 신체적 학대와 매우 높은 연관성을 보인다.[119] 신체적 방임 또한 ASPD 발병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19]

초기 발달 과정에서 부모의 자극과 애정이 부족하면 옥시토신과 같은 호르몬의 균형 없이 높은 수준의 코르티솔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아동의 스트레스 반응 체계를 교란하고 과부하시켜, 감정, 공감,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의 정서적 유대 능력과 관련된 아동 뇌의 발달 저하로 이어진다고 여겨진다.[110] 브루스 페리 박사(Dr. Bruce Perry)는 그의 저서 ''개처럼 길러진 아이''에서 "유아의 발달 중인 뇌는 적절하게 발달하기 위해 패턴화되고 반복적인 자극이 필요하다. 공포, 외로움, 불편함, 배고픔으로부터의 간헐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해소는 아기의 스트레스 시스템을 항상 경계 상태로 유지한다"고 지적하며, 완전한 유기를 동반한 간헐적인 보살핌 환경이 아이에게 최악의 환경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110]

양육 방식 역시 ASPD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11][112] 특히 방임적 양육 방식(규칙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으며, 기본적인 욕구조차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은 아동의 정신 건강 문제나 비행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115] 지나치게 엄격하고 처벌적인 '''권위주의적 양육 방식''' 또한 아동의 반항적 행동, 낮은 자존감, 공격성 등을 유발할 수 있다.[113] 반면, 지침과 기대를 제시하면서도 지지와 이해를 보여주는 '''권위적 양육 방식'''은 아동이 자신감 있고 책임감 있으며 긍정적인 대처 기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된다.[116][117][118] 긍정적인 역할 모델과 안정적이고 이해심 많은 가정 및 지역 사회 환경은 아동의 긍정적인 행동을 촉진하고 ASPD 증상을 감소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117][118]

학대나 방임으로 인해 부모와의 안정적인 애착 관계 형성에 실패하면 아동이 반사회성 인격장애를 겪을 위험이 증가한다.[119] 연구에 따르면, 특히 아동기에 학대를 경험하지 않은 사람은 ASPD가 발병할 가능성이 낮다.[119] 부모의 과잉보호 역시 ASPD 발병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20]

ASPD를 가진 사람이 경험했을 수 있는 아동기 외상 또는 학대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121][122]

  • 신체적 또는 성적 학대
  • 방임
  • 강압
  • 보호자로부터의 유기 또는 분리
  • 지역 사회의 폭력 노출
  • 테러 행위 목격 또는 경험
  • 괴롭힘
  • 생명을 위협하는 사건 경험


이러한 외상 경험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반응성 애착 장애, 탈억제 사회적 관여 장애, 해리성 정체성 장애와 같은 다른 정신 질환의 증상과 유사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ASPD와 이러한 장애들이 함께 나타나는 공병률은 높은 경향이 있다.[123][124][125]

3. 3. 4. 문화적 영향

임상심리학의 사회문화적 관점에서는 장애가 문화적 측면에 영향을 받는다고 본다. 문화적 규범은 사회마다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기 때문에, 반사회성 인격장애와 같은 정신장애 역시 다르게 취급될 수 있다.[232][126] 로버트 D. 헤어(Robert D. Hare)는 미국에서 보고된 반사회성 인격장애의 발현 증가가 문화적 관습의 변화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러한 문화적 관습의 변화가 반사회성 인격장애 성향을 가진 사람들의 특정 행동을 용인하거나 정당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았다.[233][127]

물론, 보고된 반사회성 인격장애 발현 증가는 단순히 진단 기법의 사용이 늘어나거나 혹은 남용된 결과일 수도 있다.[234][128] 하지만 에릭 번(Eric Berne)은 반사회성 인격장애가 실제로 활발히 나타나는 사람과, 법률, 기존 규범, 종교와 같은 외부 통제 장치의 도움으로 자제력을 유지하여 잠재된 상태로 있는 사람을 구분해야 한다고 보았다.[235][129] 이러한 관점에서, 사회 전체의 집단적 기준이나 규범이 약화될 경우, 이전에는 사회 친화적인 행동을 보였던 잠재적 반사회성 인격장애 성향의 사람들이 기존의 억제에서 벗어나 반사회적 행동을 보일 수 있다고 설명한다.[230][3]

한편, 반사회성 인격장애의 예비 증상을 보이는 환자를 식별하고 필요한 경우 입원시키는 과정에서 법체계가 어느 정도까지 개입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도 계속되고 있다.[236][130] 정신의학자 피에르-에두아르 카르본뇌(Pierre-Édouard Carbonneau)는 법적 강제 입원을 둘러싼 문제의 핵심이 반사회성 인격장애 진단의 실패 가능성에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반사회성 인격장애가 없는 사람을 잘못 진단하여 강제로 약물을 투여하게 될 가능성은 잠재적으로 큰 재앙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반면, 진단을 내리지 못하거나 문화적, 환경적 영향의 증거가 불충분하다는 이유로 환자가 필요한 치료를 받지 못하게 되는 상황에 대해서는 정신의학자들이 '안전하게 넘어가려는(play it safe)' 경향이 있다고 비판적으로 보았다.[237][131]

3. 3. 5. 품행 장애

반사회성 인격장애(ASPD)는 성인기에 진단되는 정신 장애이지만, 그 전조는 아동기에 나타난다.[132] DSM-5의 ASPD 진단 기준은 개인이 15세 이전에 품행 문제를 보였을 것을 요구한다.[67] 아동기 및 청소년기에 지속적으로 반사회적 행동을 보이고 타인에 대한 무관심을 나타내는 경우, 이를 품행장애(Conduct Disorder, CD)라고 하며, 이는 ASPD의 전구체로 간주된다.[133] 실제로 품행 장애를 겪는 청소년의 약 25~40%는 성인이 되어 ASPD 진단을 받게 된다.[134]

품행 장애는 타인의 기본적인 권리나 나이에 맞는 사회적 규범을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위반하는 행동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아동기 진단 장애이다. 품행 장애가 있는 아동은 종종 충동적이고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며, 냉담하고 부정직한 태도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절도나 기물 파손과 같은 비행을 반복적으로 저지르거나, 다른 아동 및 성인과 싸움을 벌이는 경향이 있다.[159] 이러한 행동은 지속적이며, 위협이나 처벌로도 잘 억제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주의력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가 흔히 동반되며, 물질 사용 문제에 관여할 가능성도 있다.[135][136] 품행 장애는 반항성 도전 장애(ODD)와는 구별된다. ODD 아동은 다른 사람, 동물, 재산에 대해 공격적이거나 반사회적인 행동을 보이지는 않지만, ODD로 진단받은 아동 중 상당수가 나중에 품행 장애로 다시 진단받기도 한다.[137]

품행 장애는 증상이 나타나는 연령에 따라 두 가지 발달 과정으로 구분된다.[138]

  • 아동기 발병 유형: 품행 장애 증상이 10세 이전에 나타나는 경우이다. 이 유형은 더 지속적인 문제를 보이며 행동 문제가 더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 그룹의 아동은 ADHD 증상, 신경 심리학적 결함, 학업 문제, 가족 기능 장애가 더 심각하며, 공격성과 폭력성을 보일 가능성이 더 높다.[138]
  • 청소년기 발병 유형: 품행 장애 증상이 10세 이후에 나타나는 경우이다. 아동기 발병 유형에 비해 다양한 인지 및 정서 기능의 손상이 덜하며, 성인이 되면서 증상이 완화될 가능성이 있다.[139]


DSM-5에서는 품행 장애 진단 시 '냉담하고 비정서적인(Callous and Unemotional, CU) 특성' 유무를 명시하도록 하는 부가적 진단 기준을 제시한다. 이는 사이코패스에서 보이는 특성을 반영하며, 품행 장애가 ASPD의 아동기 전구체임을 고려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동기 발병 하위 유형, 특히 냉담하고 비정서적인 특성을 동반하는 경우는 청소년기 발병 하위 유형에 비해 치료 결과가 좋지 않은 경향이 있다.[140]

4. 진단

반사회성 인격장애는 주로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이나 국제질병분류(ICD)의 진단 기준에 따라 진단된다. 성격 장애 진단은 일반적으로 특정 성격 특성이 성인기 초기에 명확하게 나타나고, 약물이나 스트레스 같은 일시적인 상태와는 구별되며,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기능 장애를 유발하는 경우에 내려진다.

미국 정신의학회의 DSM 기준(현재 DSM-5)을 따를 경우, 진단을 위해서는 개인이 만 18세 이상이어야 하며, 만 15세 이전에 품행 장애의 증거가 있어야 한다. 또한, 여러 반사회적 행동 패턴 중 일정 수 이상을 보여야 하며, 이러한 행동이 조현병이나 양극성 장애의 경과 중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어야 한다. 상세한 진단 기준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세계보건기구(WHO)의 ICD 기준(현재 ICD-10)에서도 유사한 진단 기준을 제시하며, 이를 '비사회성 인격장애'(dissocial personality disorder)로 명명한다. ICD 기준 역시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4. 1. DSM-5 진단 기준

미국 정신의학회의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DSM-5)에서는 반사회성 인격장애 진단 기준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159]

A. 다른 사람들의 권리를 지속적으로 무시하고 침해하는 패턴이 15세 이후에 나타나며, 다음 7가지 특성 중 3가지 이상을 충족시킨다.

번호진단 기준 내용
1법에서 정한 사회적 규범을 준수하지 않으며, 구속될 만한 행동을 반복함.
2개인의 이익이나 쾌락을 위해 반복적인 거짓말, 가명 사용 또는 타인을 속이는 사기 행동을 함.
3충동적이거나 미리 계획을 세우지 못함.
4빈번한 육체적 싸움이나 폭력에서 드러나는 호전성과 공격성.
5자신이나 타인의 안전을 무시하는 무모성.
6꾸준하게 직업 활동을 수행하지 못하거나 채무를 이행하지 못하는 행동으로 나타나는 지속적인 무책임성.
7타인에게 상처를 입히거나 학대하거나 절도 행위를 하고도 무관심하거나 합리화하는 행동으로 나타나는 자책의 결여.



B. 진단을 받는 사람은 만 18세 이상이어야 한다.

C. 만 15세 이전에 품행 장애의 증상을 보였다는 증거가 있어야 한다.


  • 품행 장애(CD)는 아동기에 진단되는 장애로, 반사회성 인격장애에서 나타나는 특성과 유사하다. 타인의 기본 권리나 연령에 맞는 사회 규범을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위반하는 행동 패턴을 보인다. 충동성, 공격성, 냉담함, 부정직함, 절도, 기물 파손, 싸움 등의 행동을 보일 수 있다.[159] 아동기 및 청소년기의 지속적인 반사회적 행동과 타인에 대한 무관심은 품행 장애로 진단되며, 이는 반사회성 인격장애의 전조로 간주된다.[133] 품행 장애를 겪는 청소년의 약 25–40%가 성인이 되어 반사회성 인격장애로 진단받을 수 있다.[134]


D. 반사회적 행동이 조현병이나 양극성 장애의 경과 중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어야 한다.[159]

반사회성 인격장애는 만성적인 경향이 있지만, 나이가 들면서(특히 30대 이후) 증상이 완화되거나 관해(寬解, remission)되는 경우도 있다. 특히 범죄 행위나 약물 사용 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4. 2. ICD-10 진단 기준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질병분류(ICD) 제10판(ICD-10)에서는 'dissocial personality disorder'라는 진단명으로 기재되어 있다.[238][239] ICD-10 정신 및 행동 장애 분류에서는 F60.2 코드로 분류되며, 행위 장애는 이 진단에서 제외된다.[211]

진단을 위해서는 다음 설명 중 최소 3가지 이상의 특성을 보여야 한다.[238][239]

# 타인의 감정에 대한 냉담한 무관심 Callous unconcern for the feelings of otherseng

# 상당하고 지속적인 무책임한 태도 및 사회 규범, 규칙, 의무 무시 Gross and persistent attitude of irresponsibility and disregard for social norms, rules, and obligationseng

# 관계를 맺는 데 어려움은 없으나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능력 부족 Incapacity to maintain enduring relationships, though having no difficulty in establishing themeng

# 좌절에 대한 인내력이 매우 낮고, 폭력을 포함한 공격성을 표출하는 기준선이 낮음 Very low tolerance to frustration and a low threshold for discharge of aggression, including violenceeng

# 죄책감을 느끼거나 경험, 특히 처벌로부터 교훈을 얻는 능력 부족 Incapacity to experience guilt or to profit from experience, particularly punishmenteng

# 자신의 행동으로 사회와 갈등을 빚었을 때, 타인을 탓하거나 그럴듯한 이유를 들어 합리화하려는 뚜렷한 경향 Marked readiness to blame others or to offer plausible rationalizations for the behavior that has brought the person into conflict with societyeng

ICD-10은 이 장애가 비도덕적 인격(amoral personalityeng), 반사회적 인격(antisocial personalityeng), 비사교적 인격(asocial personalityeng), 사이코패스적 인격(psychopathic personalityeng), 소시오패스적 인격(sociopathic personalityeng)을 포함한다고 정의한다.[239][240]

반사회성 인격장애는 품행장애(conduct disorder)와는 구별되지만, 어린 시절이나 청소년기에 품행장애를 보인 이력은 반사회성 인격장애 진단의 근거가 될 수 있다. 또한, 지속적인 과민성(persistent irritabilityeng)이 관련 특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239][240]

ICD-10에서는 특정 인격장애 진단을 내리기 전에 인격 장애의 일반적 진단 가이드라인을 충족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239][211]

5. 치료

반사회성 인격장애(ASPD)는 치료가 가장 어려운 인격장애 중 하나로 여겨진다.[163][164][165][166] 효과적인 치료법을 확립하는 데에는 여러 어려움이 따르는데, 이는 진단 기준이나 치료 결과를 측정하는 방식이 통일되지 않았고, 주로 법적인 문제를 일으켜 수감된 환자들의 치료에 연구가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167]

ASPD를 가진 사람들은 공감이나 죄책감을 느끼는 능력이 부족하여 치료 동기가 낮고, 자신의 반사회적 행동이 초래할 결과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163] 이로 인해 치료 과정에서 진심으로 변화하기보다는 피상적인 모습을 보이거나 치료진을 속이려 할 수 있다.[168] 따라서 외래 통원 치료의 성공 가능성은 일반적으로 낮다고 평가되지만,[169] 이들이 치료에 전혀 반응하지 않는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169]

현재 이루어지는 치료의 상당수는 교정 시설 내 수감자를 대상으로 하며,[170] 가석방 조건 충족 등을 위해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166] 다양한 심리치료 기법들이 시도되고 있으며,[171][172] 일부 연구에서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고하기도 한다.

약물 치료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며,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ASPD 자체를 치료하기 위해 승인한 약물은 없다.[245][180] 다만, 공격성이나 충동성 같은 동반 증상을 관리하거나 함께 나타나는 다른 정신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항정신병제, 항우울제, 기분 안정제 등의 약물이 사용될 수 있다.[247][248][182][183][184][185]

5. 1. 심리 치료

반사회성 인격장애(ASPD)는 치료가 가장 어려운 인격장애 중 하나로 여겨진다.[163][164][165][166] 효과적인 치료법을 수립하는 데에는 여러 어려움이 따른다. 진단 기준이나 치료 결과 측정 방식이 통일되지 않았고, 주로 법적인 문제를 일으켜 수감된 환자들의 치료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일반적인 환자들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이다.[167] ASPD를 가진 사람들은 공감이나 죄책감을 느끼는 능력이 부족하여 치료 동기가 낮고, 자신의 반사회적 행동이 초래할 결과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163] 치료 과정에서 진심으로 변화하기보다는 죄책감을 느끼는 척하거나, 치료진이나 다른 환자들을 속이고 조종하려 할 수도 있다.[168] 따라서 통계적으로 외래 통원 치료의 성공 가능성은 낮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들이 치료에 전혀 반응하지 않는다고 단정하는 것은 지나칠 수 있다.[169]

현재 이루어지는 치료의 대부분은 교정 시설 내 수감자들을 대상으로 하며, 가석방 조건 충족 등을 위해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170][166] 이러한 환자들에게는 구조화되고 엄격하게 관리되는 환경을 제공하는 시설 프로그램이나, 잘못된 행동에 대해 동료들로부터 지적받는 직면 기법 등이 권장된다.[163] 일부 연구에서는 ASPD 치료 개입이 긍정적인 결과를 보인다고 보고하기도 했다.[171]

'대화 치료'라고도 불리는 정신 치료는 ASPD 환자 치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172] 도식치료 역시 치료법으로 연구되고 있다.[173] 찰스 보르둔(Charles M. Borduin)의 연구는 다체계 치료(MST)가 ASPD 문제 개선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하지만, 이 치료법은 환자 가족 구성원 모두의 적극적인 협조와 참여가 필수적이다.[174] ASPD가 약물 남용과 같은 다른 정신질환의 치료를 크게 방해하지 않는다는 연구도 있지만,[175] 상반된 결과를 보고하는 연구도 존재한다.[176]

치료사는 공격적이고 착취적이며 학대적인 행동을 보여온 환자에게 상당한 부정적인 감정을 느낄 수 있다.[177][163][178] ASPD의 특성상 환자에게 양심이나 도덕성을 길러주려는 시도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과거의 잘못을 반복하지 않도록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는 치료 기법이 더 합리적이다. 즉, 친사회적인 행동이 가져다주는 실질적인 이득을 강조하고 반사회적 행동을 멀리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ASPD 환자들이 보이는 충동적이고 공격적인 성향 때문에 이러한 치료법의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179]

약물 치료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며,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ASPD 치료제로 특별히 승인한 약물은 없다.[180] 2020년 코크란 리뷰에서는 ASPD 환자에 대한 약물 치료 연구 8건을 분석한 결과, 현재로서는 약물 사용을 권고할 만한 명확한 증거가 부족하다고 결론지었다.[181]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정신병제, 항우울제, 기분 안정제와 같은 정신과 약물은 공격성이나 충동성 같은 증상을 조절하고, ASPD와 함께 나타나는 다른 정신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182][183][184][185]

5. 2. 약물 치료

반사회성 인격장애 치료에 약물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며, 이 장애를 특정하여 치료하도록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승인한 약물은 없다.[245][180] 2020년 코크란 리뷰에서는 반사회성 인격장애 환자에 대한 약물 치료 연구 8건을 분석한 결과, 현재로서는 약물 치료를 권고하기에 증거가 충분하지 않다고 결론지었다.[246][181]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정신병제, 항우울제, 기분 안정제와 같은 정신과 약물들은 반사회성 인격장애 환자가 보이는 공격성이나 충동성 같은 증상을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 약물들은 반사회성 인격장애와 함께 나타날 수 있는 다른 정신 질환(동반 질환)을 치료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247][248][182][183][184][185]

5. 3. 기타 치료

반사회성 인격장애(ASPD)는 치료하기 가장 어려운 성격 장애 중 하나로 여겨진다.[163][164][165][166] ASPD를 가진 사람은 공감이나 죄책감을 느끼는 능력이 부족하여 치료 동기가 낮고 자신의 행동이 초래할 결과를 잘 헤아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163] 이들은 치료 과정에서 진정한 변화보다는 거짓된 모습을 보이며 치료진이나 다른 환자들을 조종하려 할 수도 있다.[168] 따라서 외래 통원 치료는 성공률이 낮지만,[169] 그렇다고 치료에 전혀 반응하지 않는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169]

현재 이루어지는 치료의 상당수는 교정 시설 내 수감자를 대상으로 하며, 가석방 조건 충족 등을 위해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경우가 많다.[170][166] 이러한 환경에서는 면밀하게 통제된 구조와 감독을 제공하는 시설 프로그램(residential programeng)이 권장된다.[163] 또한, 잘못된 행동에 대해 동료들로부터 직접 지적받는 집단 내 직면(peer confrontationeng) 방식도 활용될 수 있다.[163]

일부 연구에서는 치료적 개입이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171] 대화 치료(talk therapyeng)로도 알려진 심리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으며,[172] 도식 치료 역시 치료법으로 연구되고 있다.[173] 다체계 치료(MST)는 특히 청소년의 문제 행동 개선에 효과를 보일 가능성이 있지만, 가족 구성원 전체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수적이다.[174]

치료 과정에서 치료사는 환자의 공격적이고 착취적인 행동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을 느낄 수 있다.[163][177][178] 환자에게 양심을 길러주기보다는, 과거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하고 친사회적 행동이 가져오는 실질적인 이점을 강조하는 실용적인 접근법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179] 그러나 충동성과 공격성이 강한 경우에는 이러한 치료의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179]

약물 치료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며, 식품의약국(FDA)에서 ASPD 치료제로 승인한 약물은 없다.[180] 2020년 코크란 리뷰(Cochrane revieweng)에서는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만으로는 ASPD의 여러 문제에 대한 약물 치료를 권고하기 어렵다고 결론지었다.[181] 다만, 항정신병제, 항우울제, 기분 안정제 등의 약물이 공격성이나 충동성을 조절하고 함께 나타나는 다른 정신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는 있다.[182][183][184][185]

6. 예후

반사회성 인격장애는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는 평생 지속되는 인격장애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일부 증상은 완화될 수 있다.[252][186] 증상은 보통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에 가장 심하게 나타나며, 40대에 접어들면서 감소하거나 호전되는 경향을 보인다.[227][21] 15세 이전에 품행장애 등의 관련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경우에는 이후에 반사회성 인격장애로 발전할 가능성은 낮다.[252][186] 장기적인 예후는 개인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250][251]

치료를 통해 호전을 기대할 수 있지만,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252] 특히 증상이 심각할 경우 급격한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252] 과거 연구에 따르면, 증상이 호전되는 비율은 27~31% 정도로 낮게 나타났다.[252][186] 환자들은 치료에 저항하는 경우가 많으며, 개인적인 이득을 위해 매력적인 모습을 보이거나 타인을 조종하려는 경향 때문에 치료받는 척하며 실제로는 치료를 회피하려 할 수도 있다.[253][187] 법원의 명령 등 강제적인 상황이 아니면 치료에 응하지 않는 경우도 많아 치료 과정이 더욱 어렵다.[253][193]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자신이나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삶을 지속할 수 있으며, 이는 가족 관계나 직업 활동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254][255][188][189] 타인에 대한 공감 부족, 후회나 죄책감 결여 등 대인관계 기술 부족으로 인해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어려우며, 이는 이혼, 실직, 노숙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256][257][190][191] 범죄를 저지를 확률이 높으며, 특히 10대 후반에 범죄율이 정점에 달하고 어린 나이에 심각한 범죄를 저지르기도 한다.[252][186] 살인과 같은 강력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도 일반인보다 높다.[252][186] 중증우울장애나 물질사용장애와 같은 다른 정신질환을 동반하는 경우가 흔하다.[252] 자살 위험 역시 높은 편이며,[191] 이는 범죄 행위나 약물 사용 문제와 연관될 수 있다.[202] 장기 수감자의 경우 단기 수감자보다 증상 개선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경우도 보고되었다.[252][186]

공격적인 성향이 흔하게 나타나는데, 한 연구에서는 남성 환자의 약 72%가 공격성을 보였다.[258][192] 이러한 공격성은 대부분 충동적이지만, 일부에서는 계획적인 공격성을 보이기도 한다.[258][192] 특히 사이코패스 성향이 높은 경우 주변 사람들에게 계획된 공격성을 보일 수 있다.[258][192]

반사회성 인격장애 환자는 주변 사람들에게 정서적, 경제적 부담을 주는 경우가 많다.[253][187] 치료 저항성이 높아 환자 본인보다는 주변 사람들이 치료 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한다.[253][187][259][193] 하버드 의과대학 등 일부 전문가들은 환자 본인에 대한 직접적인 치료 노력보다는, 환자로 인해 피해를 입은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을 지원하는 데 자원을 집중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제안하기도 한다.[253][187] 궁극적으로 장애의 장기적인 영향을 관리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환자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가족, 치료 전문가, 사회 전체의 공동 노력이 필요하다.[259][193]

7. 사이코패스

사이코패스는 대중적으로 반사회적이고 비도덕적인 인물을 가리킬 때 흔히 사용되는 용어이다. 통상 사이코패스(psychopath)는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지 못하고 법적·윤리적 개념이 부족하여 옳고 그름을 판단하지 못하는 선천적인 경우를 의미한다고 알려져 있다. 반면, 소시오패스(sociopath)는 후천적 영향으로 인해 나쁜 행동임을 알면서도 자신의 이익을 위해 잘못된 행동을 하는 경우를 뜻한다고 구분되기도 한다.[260]

그러나 DSM이나 ICD와 같은 공식적인 정신질환 분류 체계 목록에는 사이코패스나 소시오패스라는 용어가 등재되어 있지 않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이 용어들을 정신의학적으로는 큰 의미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럼에도 일부 전문가들은 사이코패스라는 용어가 대개 반사회성 인격장애(ASPD) 진단을 받았거나 이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인물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고 분석하기도 한다.[261]

반사회성 인격장애 개념은 DSM 개정 과정에서 변화해왔으며, 사이코패스 개념과 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왔다.


  • DSM-I (1952): '반사회적 인격 장애'가 처음 수록되었다. 이는 주로 사회 부적응자를 포괄하는 넓은 범주였으며, 특히 '반사회적 반응' 하위 유형은 지속적인 문제 유발, 경험으로부터 배우지 못함, 충성심 결여, 냉담함, 책임감 부족, 자신의 행동을 합리화하는 능력 등을 특징으로 했다.[205] 이 정의는 허비 M. 클레클리가 제시한 기준과 유사하며, 조지 파트리지는 환경적 영향을 강조하며 '사회병질(sociopathy)'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206]
  • DSM-II (1968): '반사회적 인격'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나, 본질적으로 사회화되지 못하고 사회와 반복적인 갈등을 겪으며, 충성심, 책임감, 죄책감이 부족하고 경험에서 배우지 못하는 등의 특징은 유사하게 유지되었다.[207] 단순 법규 위반이나 사회적 일탈만으로는 진단할 수 없으며, 아동기 문제나 다른 정신 질환 가능성을 배제해야 함을 강조했다. 포식적, 범죄적 행위를 하는 '비사회적 인격 유형'은 별도로 분류되었다.[208]
  • DSM-III (1980): '반사회성 인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SPD)'라는 용어가 확립되었고, 진단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관찰 가능한 행동 중심의 구체적인 증상 목록이 도입되었다. 이 목록은 Feighner Criteria와 사회학자 리 로빈스의 연구에 큰 영향을 받았다.[209][210]
  • DSM-IV (1994): 행동 중심의 진단 기준을 유지하면서, ASPD가 '정신병질(psychopathy)', '사회병질(sociopathy)', '비사회적 인격 장애(dissocial personality disorder)' 등으로도 불린다고 명시하고, 이전 진단에서 다루었던 일부 기저 인격 특성을 '관련 특징'으로 다시 포함시켰다.[160]
  • DSM-5 (2013): ASPD에 대한 동일한 진단 기준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ASPD 진단을 받은 사람이 "불안이나 두려움이 없고 대담하며 효과적인 대인 관계 스타일"을 보일 경우 '정신병적 특징(psychopathic features)'을 명시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160]

8. 사회적 문제와 차별

체사레 롬브로소


다수 집단의 가치관에 기초하여 "반사회성" 이론을 일방적으로 정의하면서 특정 집단에 대한 부당한 차별이 발생한 역사가 있다.

19세기 이탈리아의 유대인 의사 체사레 롬브로소는 뇌가 생물학적으로 퇴화하여 범죄를 저지르기 쉬운 정신적 기질을 가진 "선천적 범죄자"라는 개념을 주장했다. 그는 "선천적 범죄자"를 골상학이나 관상학에 근거한 신체적 특징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범죄를 저지르기 전에 미리 식별하여 사회로부터 격리해야 한다고 보았다(미야자키, 2016, pp. 134-135). 롬브로소는 동성애자 역시 당시 유럽인보다 여러 세대 전의 미개하고 야만적인 상태로 퇴화했기 때문에 동성애라는 이상 행동을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미야자키, 2016, pp. 133-134).

롬브로소의 이론은 당시 이탈리아 통일 운동 과정에서 심화된 남부 이탈리아 차별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다. 19세기 이탈리아 통일 과정에서 남부 이탈리아를 통치하던 양 시칠리아 왕국(시칠리아 부르봉 왕가)의 프란체스코 2세와 로마 교황 비오 9세는 통일에 부정적이었다. 주세페 가리발디가 양 시칠리아 왕국을 정복하고 이탈리아 왕국이 성립되자, 부르봉 왕가에 대한 충성심이 강하고 독실한 기독교 신자가 많았던 남부 이탈리아에서는 저항 시위와 반란, Brigante|브리간테it("산적", "도적"으로 번역됨)의 활동이 활발해졌다.[212][213] 원래 남부 이탈리아인을 멸시하던 북부 이탈리아인들은 이를 계기로 "야만적인 남부"라는 차별 감정을 더욱 증폭시켰고[214], 통일 정부는 이들을 일률적으로 "산적"이라 부르며 탄압했다(→이탈리아 통일 운동#남부 문제의 발생 참조).[215] 이탈리아 왕국의 재상 카밀로 카보우르는 남부 이탈리아를 "이탈리아에서 가장 부패한 지역"이라고 부르기도 했다.[216]

롬브로소는 이러한 남부 차별에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 듯한 주장을 펼쳤다. 그는 수많은 범죄자 검시에 참여했으며, 스스로 "선천적 범죄자" 이론이 Brigante|브리간테it의 시체 검시 중에 떠올랐다고 밝혔다.[217] 그는 이탈리아 북부 주민과 남부 주민 사이에 "인종"적 차이가 있으며, "금발" 인구가 많은 북부에서는 범죄 발생률이 낮고, "금발" 인구가 적은 남부에서는 범죄 발생률이 높다고 주장했다.[218]

롬브로소의 제자 엔리코 페리는 스승의 학설을 발전시켜 "타고난 범죄자" 개념을 더욱 강조했다.[219] 페리는 북부 주민이 게르만족·슬라브족·켈트족의 혈통을 이어받은 반면, 남부 주민은 아랍인·페니키아인·그리스인의 혈통을 이어받았으며, 특히 아프리카나 오리엔트 혈통 때문에 범죄율이 높다고 주장했다.[220] 롬브로소 학파의 흐름을 이은 Alfredo Niceforo|알프레도 니체포로it는 남부 주민이 범죄를 저지르기 쉬운 정신적 기질과 야만성 때문에 Brigante|브리간테it마피아·카모라 같은 흉악 범죄 조직을 만들어왔다고 주장하며[221], 남부 주민의 정신적 기질을 치료하기 위해 북부 이탈리아인에 의한 남부의 "문명화"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222]

아이러니하게도, 민족주의를 내세우며 국민 통합을 강조한 무솔리니의 파시스트당 전체주의 체제 하에서는 국민 분열을 조장하는 롬브로소 학설 기반의 남부 차별 담론이 공적으로 제한되면서 쇠퇴했다.[223] 하지만 북부 이탈리아인의 남부에 대한 차별 감정은 여전히 남아, 심리학자 마르코 발터 바타키(Marco Walter Battacchi)는 1959년에도 북부 이탈리아인이 여전히 남부에 대한 차별 감정을 품고 있음을 자서전에서 언급했다.[224]

9. 창작물에서

반사회성 인격장애는 영화, 드라마, 소설 등 다양한 창작물에서 소재로 다루어지고 있다.


  • 악의 교전: 이 작품은 선천적인 반사회성 인격장애를 가지고 태어나 도덕심이 결여된 사이코 킬러를 주인공으로 내세운다.
  • 검은 집: 등장인물 "고모다 사치코"는 반사회성 인격장애를 가진 인물로 묘사된다. 그는 보험금을 노리고 자신의 자녀를 목 졸라 살해한 뒤 자살로 위장하며, 이후에도 장애 보험금을 타내기 위해 남편의 양팔을 절단하는 등 죄의식 없이 엽기적인 행동을 반복하는 모습을 보인다.

참조

[1] 웹사이트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ttps://www.ncbi.nlm[...] 2018-05-16
[2]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https://archive.org/[...]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Psychiatry Oxford University Press
[4] 논문 Psychopathic Personality
[5] 논문 Prediction of alcohol use disorder using personality disorder traits: A twin study
[6] 논문 Gambling Disorder in Male Violent Offenders in the Prison System: Psychiatric and Substance-Related Comorbidity
[7] 논문 The specificity of pathological gambling
[8] 논문 Among long-term crack smokers, who avoids and who succumbs to cocaine addiction?
[9] 논문 Anti-soci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psychotic symptoms: Two pathways associated with offending in schizophrenia
[10] 논문 Specific personality traits and associated psychosocial distresses among individuals with heroin or methamphetamine use disorder in Taiwan
[11] 논문 Prepulse Inhibition in Cocaine Addiction and Dual Pathologies
[12] 논문 Profiles of psychiatric disorders among heroin-dependent individuals in Changsha, China
[13] 논문 Psychiatric comorbidity and gender difference among treatment-seeking heroin abusers in Taiwan http://ntur.lib.ntu.[...]
[14] 논문 Individual and Network Correlates of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mong Rural Nonmedical Prescription Opioid Users
[15] 논문 Gambling Dual Disorder: A Dual Disorder and Clinical Neuroscience Perspective
[16] 논문 Pathological gambling, personality patterns and clinical syndromes
[17] 논문 Does personality predict mortality? Results from the GAZEL French prospective cohort study
[18] 논문 Facets of impuls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social personality and abstinence
[19] 논문 What are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aggression in patients with co-occurring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nd substance abuse?
[20] 웹사이트 Overview-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ttp://www.mayoclini[...] 2016-04-12
[21] 웹사이트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https://medlineplus.[...] 2016-11-01
[22] 서적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prevention and management https://www.ncbi.nlm[...]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2013
[23] 논문 Psychopathic heroin addicts are not uniformly impaired across neurocognitive domains of impulsivity
[24] 논문 Interacting mechanisms of impulsivity in bipolar disorder and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25] 뉴스 Differences Between a Psychopath vs Sociopath https://psychcentral[...] 2018-02-18
[26] 논문 Antisocial personality and bipolar disorder: Interactions in impulsivity and course of illness
[27] 논문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in people with co-occurring severe mental illness and substance use disorders: Clinical, functional, and family relationship correlates
[28] 논문 Marital interaction in alcoholic and nonalcoholic couples: Alcoholic subtype variations and wives' alcoholism status
[29] 논문 Association of psychiatric and substance use disorder comorbidity with cocaine dependence severity and treatment utilization in cocaine-dependent individuals
[30] 논문 Understanding mechanisms underl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nd substance-impaired driving among young adults involved with the justice system as minors
[31] 논문 Impulsive and premeditated aggression in male offenders with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32] 논문 Personality traits of drivers serving a custodial sentence for drink driving
[33] 논문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nd borderline symptoms are differentially related to impulsivity and course of illness in bipolar disorder
[34] 논문 Moral cognitive correlates of empathy in juvenile delinquents
[35] 논문 Gang membership and sexual violence: Associations with childhood maltreatment and psychiatric morbidity
[36] 논문 Sexuality of dissocial persons
[37] 논문 Conduct Disorder and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in Persons with Severe Psychiatric and Substance Use Disorders
[38] 논문 Psychiatric Disorders and Substance Use in Homeless Youth: A Preliminary Comparison of San Francisco and Chicago
[39] 논문 Comparison of Personality Correlates of Machiavellianism, Narcissism and Psychopathy (Dark Triad of Personality) in Three Factor Personality Model
[40] 논문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Shoplifting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 (NESARC)
[41] 논문 Predictors of personality disorders in prisoners
[42] 간행물 Firesetting Behavior and Psychiatric Disorders
[43] 논문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Fire-Setting in the United States
[44] 논문 Roles of Boredom and Life Goals in Juvenile Delinquency1 https://onlinelibrar[...]
[45] 논문 Impulsivity in pathological gambling: The antisocial impulsivist https://onlinelibrar[...]
[46] 논문 Cognitive Empathy in Subtypes of Antisocial Individuals
[47] 서적 Personality and dangerousness: genealogies of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48]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49] 논문 Monitoring the emotional facial reactions of individuals with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during the retrieval of self-defining memories
[50] 논문 Mentalization for Offending Adult Males (MOAM): Study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evaluate mentalization-based treatment for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in male offenders on community probation
[51] 간행물 Are difficulties in mentalizing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University College London
[52] 간행물 Offenders with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Display More Impairments in Mentalizing University College London
[53] 논문 The Emotional Lexicon of Individuals Diagnosed with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54] 논문 Differences in social cognition between male prisoners with antisocial personality or psychotic disorder
[55] 논문 Personality disorder, emotional intelligence, and locus of control of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56] 웹사이트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2022-07-04
[57] 논문 Primary and Secondary Variants of Psychopathic Traits in at-Risk Youth: Links with Maltreatment, Aggression, and Empathy
[58] 논문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incarcerated in prison in Dessie city correctional center, Dessie, Ethiopia: A cross-sectional study
[59] 논문 The influence of testosterone on human aggression https://onlinelibrar[...] 1991-02
[60] 논문 Testosterone, aggressiveness, and antisocial personality. Hormone Sensitivity and Bone Mineral Metabolism 1999-02-12
[61] 논문 The influence of testosterone on human aggression https://onlinelibrar[...] 1991-02
[62] 논문 Testosterone and cortisol jointly regulate dominance: evidence for a dual-hormone hypothesis http://www.sciencedi[...] 2010-11
[63]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64] 논문 The outcome of childhood conduct disorder: Implications for defining adult personality disorder and conduct disorder
[65]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66] 서적 Conduct and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s Guilford Press
[67] 웹사이트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ttps://www.psycholo[...] Sussex Publishers 2018-02-18
[68] 논문 Genetic and environmental influence on antisocial behavior-PMC 2013
[69] 논문 Epidemiology, Comorbidity, and Behavioral Genetics of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nd Psychopathy 2015-04
[70] 논문 Frontal brain dysfunction in alcoholism with and without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2009-04
[71] 논문 Alcohol Use Disorder and Antisocial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s 2019
[72] 웹사이트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 MentalHealth.gov https://www.mentalhe[...] 2018-02-18
[73] 논문 Antisocial Alcoholism in Parents of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ith Childhood ADHD 2020-07
[74] 논문 Researchers Explore Link Between Animal Cruelty, Personality Disorders https://psychnews.ps[...] 2002-09-20
[75] 웹사이트 6 Seeds of Despair: The Causes of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ttps://academic.oup[...] 2021-12
[76] 논문 Predictors of antisocial personality. Continuities from childhood to adult life 2004-02
[77] 논문 Delinquent Behavior: Systematic Review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2019-12
[78]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CE) and juvenile offending trajectories in a juvenile offender sample. 2015-05
[79] 논문 Behavioral Genetics: The Science of Antisocial Behavior 2006-01-01
[80] 논문 The VNTR 2 repeat in MAOA and delinquent behavior in adolescence and young adulthood: associations and MAOA promoter activity 2008-05
[81] 논문 The integration of genetic propensities into social-control models of delinquency and violence among male youths http://www.asanet.or[...] 2016-11-20
[82] 논문 Role of genotype in the cycle of violence in maltreated children 2002-08
[83] 논문 Early trauma and increased risk for physical aggression during adulthood: the moderating role of MAOA genotype 2007-05
[84] 논문 Candidate genes for aggression and antisocial behavior: a meta-analysis of association studies of the 5HTTLPR and MAOA-uVNTR 2014-09
[85] 논문 Impulsive-disinhibited personality and serotonin transporter gene polymorphisms: association study in an inmate's sample 2009-07
[86] 논문 The other allele: exploring the long allele of the serotonin transporter gene as a potential risk factor for psychopathy: a review of the parallels in findings 2011-01
[87] 논문 Systematic review, structural analysis, and new theoretical perspectives on the role of serotonin and associated genes in the etiology of psychopathy and sociopathy https://www.research[...] 2013-08
[88] 논문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of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2016-09
[89] 웹사이트 What Causes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ttp://psychcentral.[...] 2011-11-01
[90] 논문 A meta-analysis of serotonin metabolite 5-HIAA and antisocial behavior
[91] 논문 Serotonin and aggression 2004-12
[92] 웹사이트 Diagnostic criteria for 301.7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ttp://behavenet.com[...]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Text Revision 2013-07-08
[93] 논문 Childhood maltreatment, subsequent antisocial behavior, and the role of monoamine oxidase A genotype 2006-10
[94] 논문 Neurocognitive elements of antisocial behavior: Relevance of an orbitofrontal cortex account 2004-06
[95] 논문 Neural bases of antisocial behavior: a voxel-based meta-analysis 2014-08
[96] 논문 Untangling Intelligence, Psychopathy,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nd Conduct Problems: A Meta–Analytic Review https://journals.sag[...] 2019-09-01
[97] 논문 Executive–cognitive functioning in the development of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ttps://www.scienced[...] 2003-03
[98] 논문 Exploring the relations among executive functions, fluid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https://psycnet.apa.[...] 2009
[99] 논문 Intelligence, Callous-Unemotional Traits, and Antisocial Behavior https://link.springe[...] 1998-09
[100] 논문 Prefrontal structural and functional brain imaging findings in antisocial, violent, and psychopathic individuals: a meta-analysis 2009-11
[101] 논문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 current review http://link.springer[...] 2013-12
[102] 논문 Prefrontal structural and functional brain imaging findings in antisocial, violent, and psychopathic individuals: a meta-analysis 2009
[103] 논문 Dysfunction in the neural circuitry of emotion regulation--a possible prelude to violence https://pubmed.ncbi.[...] 2000-07-28
[104] 논문 The best of a bad bunch: the ventromedial prefrontal cortex and dorsal anterior cingulate cortex in decision-making 2007-01-17
[105] 논문 Prefrontal cortical control of a brainstem social behavior circuit 2017-02
[106] 논문 Neural bases of antisocial behavior: a voxel-based meta-analysis 2014-08
[107] 논문 Cavum septum pellucidum and its increased prevalence in schizophrenia: a neuroembryological classification
[108] 논문 Cavum septum pellucidum in monozygotic twins discordant for combat exposure: relationship to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2004-03
[109] 논문 Neurodevelopmental marker for limbic maldevelopment in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nd psychopathy 2010-09
[110] 서적 The Boy Who Was Raised as a Dog Basic Books
[111] 논문 Parenting Style Dimensions As Predictors of Adolescent Antisocial Behavior 2016-09
[112] 웹사이트 The 4 types of parenting styles https://americanspcc[...] 2023
[113] 웹사이트 Authoritarian parenting style https://www.canr.msu[...] 2017-01-19
[114] 웹사이트 Permissive Parenting https://www.hli.org/[...] 2021-11-12
[115] 웹사이트 The effects of uninvolved parents https://rightforeduc[...] 2022-12-31
[116] 웹사이트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https://www.canr.msu[...] 2017-01
[117] 웹사이트 How is parenting style related to child antisocial behaviour https://www.bl.uk/br[...] 2023-05-10
[118] 웹사이트 Parenting Styles- Which One is Best? https://www.fatherho[...] 2022-08
[119] 논문 Clarifying the link between childhood abuse history and psychopathic traits in adult criminal offenders 2015-09-21
[120] 논문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trauma, parental bonding and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in adulthood: A machine learning approach 2021
[121] 논문 Childhood trauma history and dissociative experiences among Turkish men diagnosed with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ttp://dx.doi.org/10[...]
[122] 웹사이트 Childhood Trauma: Understanding How Trauma Impacts Mental Health and Wellness https://onlinenursin[...] 2021-01-04
[123] 웹사이트 Trauma and Stressor- related Disorders in Children https://www.chop.edu[...] 2017-06-14
[124] 웹사이트 Understanding 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https://www.mcleanho[...] 2022-08-29
[125] 웹사이트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adults: Epidemiology, Pathophysiology, Clinical manifestations, course assessment, and diagnosis https://www.uptodate[...] 2023-05-10
[126] 논문 Treatment of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2008-11
[127] 서적 The sociopath next door: the ruthless versus the rest of us https://archive.org/[...] Broadway Books 2006
[128] 서적 Comprehensive Handbook of Psychopathology Springer 2002
[129] 서적 A Layman's Guide to Psychiatry and Psychoanalysis Grove 1976
[130] 서적 Personality and Dangerousness: Genealogies of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Cambridge Univ. Press 2001
[131] 서적 Forensic Uses of Clinical Assessment Instruments Routledge
[132] 서적 Personality and dangerousness: genealogies of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133]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134] 논문 The outcome of childhood conduct disorder: implications for defining adult personality disorder and conduct disord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11
[135] 서적 Child Psychopathology https://books.google[...] Guilford Press 2003
[136] 논문 Childhood conduct problems, attention deficit behaviors, and adolescent alcohol, tobacco, and illicit drug use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1995-06
[137] 논문 Evidence for developmentally based diagnoses of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and conduct disorder 1993-08
[138] 논문 Adolescence-limited and life-course-persistent antisocial behavior: a developmental taxonomy 1993-10
[139] 논문 Childhood predictors differentiate life-course persistent and adolescence-limited antisocial pathways among males and females 2001-06
[140] 논문 '[DSM-5--what has changed in therapy for and research on substance-related and addictive disorders?]' https://www.karger.c[...] 2017-05-20
[141] 논문 How important are the common factors in psychotherapy? An update 2015
[142]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143] 논문 Examining the DSM–5 alternative personality disorder model operationalization of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nd psychopathy in a male correctional sample
[144] 논문 Examining the Associations Between DSM-5 Section III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Traits and Psychopathy in Community and University Samples 2014-10
[145] 논문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in DSM-5: Missteps and missed opportunities
[146] 논문 Psychopathic Personality: Bridging the Gap Between Scientific Evidence and Public Policy http://www.psycholog[...] 2011-12
[147] 논문 Neurobiological basis of psychopathy 2003-01
[148] 웹사이트 Definition of psychopathy http://www.merriam-w[...] 2013-05-15
[149] 웹사이트 Hare Psychopathy Checklist http://www.minddisor[...] 2013-05-15
[150] 서적 Manual for the Revised Psychopathy Checklist Multi-Health Systems
[151] 웹사이트 Dissocial personality disorder –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10th Revision (ICD-10) http://www.mentalhea[...] 2020-04-08
[152] 서적 DSM-IV-TR: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https://archive.org/[...]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ress Inc. 2000
[153] 웹사이트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http://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154] 논문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psychopathy
[155] 서적 Handbook of Psychopathy https://books.google[...] Guilford Press
[156] 논문 Psychopathy and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 Case of Diagnostic Confusion http://www.psychiatr[...] UBM plc 1996-02-01
[157] 논문 Psychopathy and the DSM-IV criteria for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ttp://www.psych.uto[...] 1991-08
[158]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Psychiat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59]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https://archive.org/[...]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60] 서적 The Pocket Guide to the DSM-5 Diagnostic Exam https://books.googl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4-01-05
[161] 서적 Personality Disorders in Modern Life John Wiley & Sons, Inc. 2000
[162] 웹사이트 Millon, Theodore – Personality Subtypes http://millon.net/ta[...] 2011-12-07
[163] 서적 Psychotherapy for Personality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00
[164] 서적 Abnormalities of Personality. Within and Beyond the Realm of Treatment Norton
[165] 웹사이트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ttps://www.samhsa.g[...] 2024-01-24
[166] 서적 Abnormal psychology 2013-12-02
[167] 서적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2011
[168] 서적 The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Textbook of Personality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169] 논문 Psychopathy and therapeutic pessimism. Clinical lore or clinical reality? 2002-02
[170] 논문 Rehabilitating antisocial personalities: treatment through self-governance strategies 2013-02
[171] 서적 The Medical Basis of Psychiatry
[172] 뉴스 Treatment – Mayo Clinic http://www.mayoclini[...] Mayo Clinic 2017-06-13
[173] 논문 Schema Focused Therapy in Forensic Settings: Theoretical Model and Recommendations for Best Clinical Practice http://www.iafmhs.or[...]
[174] 논문 Treatment and prevention implications of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2000-02
[175] 논문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and response to methadone maintenance treatment 1996-09
[176] 논문 Prediction of 7 months methadone maintenance treatment response by four measures of antisociality 1998-02
[177] 웹사이트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ttp://www.nhs.uk/co[...] 2016-05-11
[178] 웹사이트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prevention and management https://www.nice.org[...] 2013-03
[179] 서적 Cognitive Therapy of Personality Disorders https://archive.org/[...] Guilford Press 2007
[180] 웹사이트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Treatments and drugs http://www.mayoclini[...]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2013-04-12
[181] 논문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2020-09
[182] 논문 Clozapine: an effective treatment for seriously violent and psychopathic men with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in a UK high-security hospital 2014
[183] 웹사이트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Beyond Keeping to Yourself https://my.cleveland[...] 2024-01-25
[184] 서적 Encyclopedia of Drugs, Alcohol & Addictive Behavior Macmillan Reference USA 2009
[185] 논문 Treatment Guidelines for Clients with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ttps://meridian.all[...] 2015-01-01
[186] 서적 StatPearls [Internet]. StatPearls Publishing 2019-11-23
[187] 웹사이트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ttps://www.health.h[...] 2019-03-13
[188] 논문 A behavioral genetic analysis of callous-unemotional traits and Big Five personality in adolescence 2015-11
[189] 논문 Emotional processing in psychopathic personality. 2002-09
[190] 논문 Conduct disorder and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in persons with severe psychiatric and substance use disorders 2006-10
[191] 논문 Antisocial personality and risks of cause-specific mortality: results from the Epidemiologic Catchment Area study with 27 years of follow-up 2019-05
[192] 논문 Impulsive and premeditated aggression in male offenders with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2020-03
[193] 웹사이트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ttps://www.nhs.uk/c[...] 2018-03-21
[194] 논문 DSM-IV Personality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2007-09
[195] 논문 Prevalence, Correlates, and Comorbidity of DSM-IV Antisocial Personality Syndromes and Alcohol and Specific Drug Use Disorder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 http://article.psych[...] 2005-06-15
[196] 서적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Treatment, Management and Prevention. https://www.ncbi.nlm[...] British Psychological Society 2010
[197] 논문 Serious mental disorder in 23,000 prisoners: a systematic review of 62 surveys https://pubmed.ncbi.[...] 2002-02-16
[198] 서적 Psychiatric Disorders in America. Free Press 1991
[199] 논문 Mental health disorders among homeless, substance-dependent men who have sex with men
[200] 논문 Criminal conviction, impulsivity, and course of illness in bipolar disorder
[201] 논문 Personality disorders and violence: What is the link?
[202] 논문 Psychopathy, antisocial personality, and suicide risk 2001-08
[203] 논문 Parental Psychiatric Disease and Risks of Attempted Suicide and Violent Criminal Offending in Offspring: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2016-10
[204] 논문 Suicidal ideation and behaviors among youths in juvenile detention 2008-03
[205]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https://ia800701.us.[...]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6] 서적 Chemical dependency and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psychotherapy and assessment strategies https://archive.org/[...] Haworth Press 1994
[207]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II) http://www.germantow[...]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8] 서적 International Handbook on Psychopathic Disorders and the Law https://books.google[...] 2008-04-15
[209] 논문 The development of the Feighner criteria: a historical perspective 2010-02
[210] 서적 The DSM-IV Personality Disorders https://books.google[...] Guilford Press
[211] 서적 ICD‐10精神および行動の障害:臨床記述と診断ガイドライン 医学書院 2005
[212] 문서 藤澤(1992) p.49
[213] 문서 藤澤(2016) p.146
[214] 문서 竹内(1998) p.4
[215] 문서 北村他(2012) p.76
[216] 문서 藤澤(2021) p.209-210
[217] 문서 北村(2005) p.48
[218] 문서 北村(2005) p.50-51
[219] 문서 北村(2005) p.53-54
[220] 문서 北村(2005) p.54
[221] 문서 北村(2005) p.60
[222] 문서 北村(2005) p.66
[223] 문서 北村(2005) p.69
[224] 문서 北村(2005) p.70
[225] 웹인용 Overview-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ttp://www.mayoclini[...] 2016-04-02
[226] 웹인용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ttps://www.psycholo[...] Sussex Publishers 2018-02-18
[227] 웹인용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https://medlineplus.[...] 2016-07-29
[228] 웹인용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ttp://www.nhs.uk/co[...] 2016-05-11
[229] 웹인용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prevention and management https://www.nice.org[...] 2013-03
[230] 뉴스 Differences Between a Psychopath vs Sociopath https://psychcentral[...] 2015-02-12
[231] 서적 The Boy Who Was Raised as a Dog Basic Books
[232] 저널 Treatment of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2008-11
[233] 서적 The sociopath next door: the ruthless versus the rest of us https://archive.org/[...] Broadway Books 2006
[234] 서적 Comprehensive Handbook of Psychopathology Springer 2002
[235] 서적 A Layman's Guide to Psychiatry and Psychoanalysis Grove 1976
[236] 서적 Personality and Dangerousness: Genealogies of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Cambridge Univ. Press 2001
[237] 서적 Forensic Uses of Clinical Assessment Instruments Routledge
[238] 웹인용 Dissocial personality disorder –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10th Revision (ICD-10) http://www.mentalhea[...]
[239] 문서 WHO (2010) https://www.who.int/[...]
[240] 웹인용 F60.2 Dissocial personality disorder http://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01-12
[241] 문서 Internet Mental Health –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ttp://www.mentalhea[...]
[242] 저널 Frontal brain dysfunction in alcoholism with and without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2009-04
[243] 저널 Alcohol Use Disorder and Antisocial an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s 2019
[244] 저널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in patients with substance abuse disorders: a problematic diagnosis? https://archive.org/[...] 1990-02
[245] 웹인용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Treatments and drugs http://www.mayoclini[...]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2013-12-17
[246] 저널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ttps://pubmed.ncbi.[...] 2020-09
[247] 서적 Encyclopedia of Drugs, Alcohol & Addictive Behavior Macmillan Reference USA 2009
[248] 저널 Treatment Guidelines for Clients with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ttps://meridian.all[...] 2015-01-01
[249] 저널 Predictors of antisocial personality. Continuities from childhood to adult life 2004-02
[250] 저널 Delinquent Behavior: Systematic Review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2019-12
[251] 저널 The relationship between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CE) and juvenile offending trajectories in a juvenile offender sample. 2015-05
[252] 서적 StatPearls [Internet]. StatPearls Publishing 2019-11-23
[253] 웹인용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ttps://www.health.h[...] 2020-12-13
[254] 저널 A behavioral genetic analysis of callous-unemotional traits and Big Five personality in adolescence https://archive.org/[...] 2015-11
[255] 저널 Emotional processing in psychopathic personality. 2002-09
[256] 저널 Conduct disorder and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in persons with severe psychiatric and substance use disorders https://archive.org/[...] 2006-10
[257] 저널 Antisocial personality and risks of cause-specific mortality: results from the Epidemiologic Catchment Area study with 27 years of follow-up 2019-05
[258] 저널 Impulsive and premeditated aggression in male offenders with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2020-03
[259] 웹인용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ttps://www.nhs.uk/c[...] 2020-12-13
[260] 뉴스 토요이슈 착하고 완벽한 아이… 당연히 있어야할 양심이 없었다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13-07-20
[261] 저널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psychopathy 201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