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다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이다역은 일본 도호쿠 본선에 있는 역으로, 1922년 가이다 신호장으로 개설되어 1952년 역으로 승격되었다. 1984년 화물 운송 취급이 폐지되고 무인화되었으며, 1987년 국철 분할 민영화로 동일본 여객철도 소속이 되었다. 2009년 Suica 사용이 가능해졌고, 2024년 에키넷Q티켓 서비스가 시작될 예정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춘 지상역으로, 후쿠시마역이 관리하는 무인역이다.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일일 평균 승차 인원은 79명에서 115명 사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니미정 - 오키도촌
오키도촌은 1889년 후쿠시마현 다테군에 설치되었으나 1954년 후지타정 등과 합병되어 구니미정으로 개편되며 폐지된 행정 구역으로, 도호쿠 본선 가이다역과 국도 4호선이 지나는 교통의 요지였다. - 구니미정 - 모리에노촌
모리에노촌은 1889년에 성립되어 1954년에 폐지된 후쿠시마현 다테군의 촌으로, 모리야마촌, 도쿠에촌, 쓰카노메촌이 합쳐져 아부쿠마강 유역에 위치했었다. - 1952년 개업한 철도역 - 장생포역
장생포역은 1952년 개업하여 2024년 폐역된 장생포선의 종착역으로, 전용선 화물 취급역이었으나 2018년 영업이 종료되고 역사와 선로가 철거되었다. - 1952년 개업한 철도역 - 이왓파라스키조마에역
이와하라스키조마에역은 니가타현 유자와정에 있는 조에쓰선 역으로, 임시승강장으로 시작하여 폐쇄와 재개업을 거쳐 보통역이 되었으며, 이와하라 스키장 주변의 무인역이다. - 도호쿠 본선 - 모리오카역
모리오카역은 일본 이와테현 모리오카시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도호쿠 및 아키타 신칸센의 분기점이며, JR 동일본과 IGR 이와테 은하 철도의 여러 노선이 지나가는 주요 환승역이다. - 도호쿠 본선 - 후쿠시마역 (후쿠시마현)
후쿠시마역은 후쿠시마현 후쿠시마시에 위치한 JR 동일본, 아부쿠마 급행, 후쿠시마 교통의 복합역으로, 다양한 노선이 운행되며, 신칸센 고가역과 재래선 지상역 구조, 신칸센 분리·병결 작업, 그리고 후쿠시마시 중심부 위치와 주변 지역과의 연결성이 특징이다.
가이다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역 이름 | 가이다 역 |
로마자 표기 | Kaida-eki |
간이역 이름 | 히타 |
소재지 | 후쿠시마현 다테군 구니미정 가이다 다케노네 1 |
운영 정보 | |
운영 주체 | 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
노선 정보 | 도호쿠 본선 |
역사 | 1952년 6월 10일 개업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2면 2선 |
플랫폼 | 2개 |
선로 수 | 2개 |
도쿄역 기점 거리 | 294.9 km |
역 번호 | 없음 |
역 상태 | 무인역 (승차역 증명서 발행기 있음)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통계 정보 | |
1일 평균 승차 인원 | 79명 (2004년) |
인접 역 | |
노선 | 도호쿠 본선 |
이전 역 | 후지타역 |
이전 역 간 거리 | 5.6 km |
다음 역 | 고스고역 |
다음 역 간 거리 | 3.7 km |
2. 역사
1922년 6월 5일 가이다 신호장으로 처음 설치되었고, 1952년 6월 10일 가이다역으로 승격되어 영업을 시작했다.[1][4] 1987년 4월 1일 일본국유철도가 민영화되면서 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네트워크에 흡수되었다.[1]
2. 1. 연혁
- 1922년 (다이쇼 11년) 6월 5일: 가이다 신호장으로 개설.[1]
- 1952년 (쇼와 27년) 6월 10일: 가이다역으로 승격.[1][4]
- 1984년 (쇼와 59년)
- * 2월 1일: 일본국유철도의 화물 운송 취급 폐지.[1]
- * 12월 1일: 무인화.[5]
- 1987년 (쇼와 62년) 4월 1일: 일본국유철도의 국철 분할 민영화에 의해, 동일본 여객철도의 역이 됨.[1]
- 2009년 (헤이세이 21년) 3월 14일: IC 카드 Suica의 이용이 가능하게 됨.[6]
- 2024년 (레이와 6년) 10월 1일: 에키넷Q티켓 서비스 개시.[7][8]
3. 역 구조
이 역은 육교로 역 건물과 연결된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가진 지상역이다. 서로의 승강장은 육교로 연결되어 있으며, 후쿠시마역이 관리하는 무인역이다.[9]
3. 1. 시설
이 역은 육교로 역 건물과 연결된 2개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역은 무인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가진 지상역으로, 승강장들은 육교로 연결되어 있다.후쿠시마역이 관리하는 무인역이다. 역 구내에는 승차역 증명서 발행기(정산기 대응), 간이 Suica 개찰기, 대합실, 화장실, 자동 판매기(음료)가 있다.
3. 2. 승강장
이 역은 육교로 역 건물과 연결된 2개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무인역이다.[9]
4. 이용 현황
승차 인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