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교회 교리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톨릭교회 교리서는 가톨릭 교회의 교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문서이다. 1985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지시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가르침을 반영하여 작성되었으며, 1992년 공식 반포되었다. 신앙 고백, 성사, 그리스도 안에서의 삶, 기도 등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형 제도에 대한 가톨릭 교회의 입장을 담고 있다. 한국 천주교회에서도 신앙 교육의 중요한 지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요약본과 청소년용 교리서 등 다양한 파생 저작이 출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 2005년 콘클라베
2005년 콘클라베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후임자를 선출하기 위해 열린 콘클라베로, 베네딕토 16세가 새로운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며 115명의 추기경 선거인이 참여하였다.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 세계 청년 대회
세계 청년 대회는 젊은이들이 신앙을 나누고 국제적인 교류를 통해 연대 의식을 함양하기 위해 시작된 국제 행사로, 교황의 참여와 다양한 문화 교류 프로그램, 미사, 기도회 등이 진행되며 전 세계 각지에서 정기적으로 개최되고 2027년에는 대한민국 서울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 기독교 책 -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막스 베버의 저서인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은 칼뱅주의를 포함한 프로테스탄티즘 윤리가 근면, 절약, 합리성 등의 가치를 통해 자본주의 정신에 영향을 주어 경제 활동의 윤리적 토대를 마련했다는 주장을 담고 있지만, 방법론적 한계와 근거 부족으로 비판받으며 자본주의 발전의 복합적인 요인들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 기독교 책 - 그리스도를 본받아
《그리스도를 본받아》는 토마스 아 켐피스가 저술한 기독교 영적 수련서로, 그리스도의 삶을 본받는 신앙적 실천을 강조하며 영적 성장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고,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히지만, 신학적 관점과 여성관에 대한 비판도 있다.
가톨릭교회 교리서 | |
---|---|
일반 정보 | |
명칭 | 가톨릭교회 교리서 |
라틴어 명칭 | Catechismus Catholicae Ecclesiae |
이탈리아어 명칭 | Catechismo della Chiesa Cattolica |
약칭 | CCC |
주제 | 가톨릭교회의 교리 요약 |
목표 대상 | 주교, 사제, 교리 교사 등 |
관련 문서 | 신앙 유산, 대단히 기뻐하며 |
역사 | |
발행일 | 1992년 10월 11일 |
라틴어판 발행일 | 1997년 9월 17일 |
수정판 발행일 | 1999년 |
출판사 | 바티칸 출판사 |
내용 | |
구성 | 신경 성사 윤리 기도 |
특징 |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가르침 반영 성경, 교부들의 가르침, 전례 인용 |
영향 | |
중요성 | 가톨릭 신앙의 기준점 제시 |
관련 인물 | |
주요 인물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
2. 역사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가톨릭 교리의 현대적 쇄신 필요성에 따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1985년 주교 시노드 임시 총회를 소집하여 교리서 편찬을 결정했다.
초기에는 구전으로 전해지던 교리가 점차 책으로 쓰여졌고, 16세기 종교 개혁 이후 전 세계 가톨릭 교회로 퍼져나갔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까지 일본 가톨릭 교회에서 사용되었던 『공교 요리』 또한 이러한 교리 문답서를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34]
이후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요리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생겨나면서, 어린이와 세례 지원자뿐만 아니라 성인 신자도 요리 공부를 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이러한 움직임 속에서 1985년 개최된 임시 시노드스(주교 회의)에서 가톨릭의 모든 가르침을 담은 교리서가 요청되었고, 이에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1986년에 교황청 신앙교리성 장관 요제프 라칭거 추기경(훗날 베네딕토 16세)을 책임자로 하는 위원회를 구성하여 교리서 초안 작성을 위탁하였다.
1992년에 프랑스어판 『가톨릭교회 교리서』(약칭:"CCC")가 발행되었으며, 교황은 이를 "신앙의 살아있는 원천에 의해 요리 교육(교리서)을 쇄신하기 위한 참고서"라고 불렀다.[36][41]
CCC는 신앙 선언, 그리스도교의 신비를 기념함, 그리스도와 일치하여 삶, 그리스도인의 기도라는 네 가지 주요 요소, 즉 "네 개의 기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내용은 성경, 성전, 교부의 저술, 성인전, 공의회[42] 등 관련 가르침의 참조처 및 각주가 상세하게 달려있다.
CCC의 성경에 대한 장(101번-141번)은 교부들의 전통인 "영적 해석"을 "네 가지 의미"의 학문적 교리의 발달에 따라 부활시켰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가르침[43]을 토대로, 성경의 문자적 의미와 세 가지 영적 의미(알레고리적, 윤리적, 신비적)를 포함하는 네 가지 의미로부터 영적 해석을 추구해야 한다고 제시한다.[44]
2. 1.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교리서 편찬의 필요성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1985년에 제2차 바티칸 공의회 폐막 20주년을 기념하고자 주교 시노드 임시 총회를 소집했다.[4] 이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공의회의 가르침을 바르게 이해하고 실천하기 위해, 모든 가톨릭 교리를 담은 보편 교리서나 요약집을 작성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4] 이들은 "모든 가톨릭 교리에 대한 교리서 또는 요약집을 작성하여 신앙과 도덕을 다루고, 여러 지역에서 준비하는 교리서나 요약집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제안했다.[4]2. 2. 교리서 초안 작성 위원회 구성 및 작업 과정
1985년 1월 25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종료 20주년을 맞아 그 목표 이행 상황을 평가하기 위해 주교 시노드 임시 총회를 소집했다. 이 회의에서 "모든 가톨릭 교리에 대한 교리서 또는 요약집을 작성하여 신앙과 도덕을 다루고, 다양한 지역에서 준비되는 교리서나 요약집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4]이에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1986년에 요제프 라칭거 추기경(교황 베네딕토 16세)을 위원장으로 하는 12명의 추기경과 주교로 구성된 위원회를 구성하여 ''가톨릭교회 교리서'' 초안 작성을 맡겼다.[5] 이 위원회는 7명의 교구 주교, 신학 및 교리 교육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의 지원을 받았다.[5]
''교리서'' 초안 작성에는 다양한 인물들이 참여했다. 신앙 고백 부분은 호세 마누엘 에스테파 랴우렌스 주교와 알레산드로 마지올리니 주교가, 성사 부분은 호르헤 메디나 추기경과 에스타니스라오 에스테반 카를릭 추기경이, 그리스도 안에서의 삶 부분은 장 오노레 추기경과 데이비드 콘스탄트 주교가, 기도 부분은 레바논 멜키트 사제인 장 코르본 신부가 작성했다. 윌리엄 레바다 추기경은 ''교리서''의 용어집을 작성했으며, 크리스토프 쇤본 추기경이 편집 비서로 활동했다.[6] 조르주 코티에 추기경도 교리서 작업에 참여했다.[8]
라칭거 추기경은 2011년에 "오늘날에도 이 프로젝트[''가톨릭교회 교리서'']가 결국 성공했다는 것이 기적처럼 느껴진다"고 회상했다.[7]
2. 3. 교리서 반포 및 수정
요한 바오로 2세는 1992년 10월 11일 사도 헌장 ''Fidei depositum''(''신앙의 유산'')을 통해 《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공식 반포했다.[5][9] 1997년 8월 15일 성모 승천 대축일에는 사도 서한 ''Laetamur magnopere''를 통해 라틴어 표준판 (editio typica)을 공포하고,[10][11] 임시 프랑스어 텍스트의 내용을 몇 군데 수정했다.[16]3. 구성 및 내용
요한 바오로 2세는 교황 헌장 ''신앙의 보증''에서 ''가톨릭교회 교리서''가 "교회의 친교를 위한 유효하고 정당한 도구이며 신앙 교육을 위한 확실한 규범"이라고 선언했다. 그러나 이는 지역 교리서를 대체하기 위한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5] ''가톨릭교회 교리서''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교회의 전통 전체를 바탕으로 가톨릭 신학과 가톨릭 윤리학에 관한 가톨릭 교리의 핵심 내용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며, 주요 자료는 성경, 교부, 전례, 교회의 교도권이다.[19]
''가톨릭교회 교리서''는 다른 가톨릭 교리서와 가톨릭 교리 해설서의 기초 자료이며, 가톨릭 교리를 가르치고 지역 교리서를 준비하기 위한 참고 자료로 제공되었다.[20] ''가톨릭교회 교리서''는 사도 신경, 그리스도의 신비, 십계명, 주님의 기도를 포함하는 그리스도교 기도 등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21]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까지 일본 가톨릭 교회에서 사용되었던 『공교 요리』 또한 이러한 교리 문답서를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34] 1985년 주교 회의에서 "신앙과 도덕에 관한 가톨릭의 모든 가르침에 대한 교리서"가 요청되었고, 요한 바오로 2세는 1986년 교리서 초안 작성을 위탁, 1992년 프랑스어판 『가톨릭교회 교리서』(약칭:"CCC")가 발행되었다. 교황은 이를 "신앙의 살아있는 원천에 의해 요리 교육(교리서)을 쇄신하기 위한 참고서"라고 불렀다.[36][41]
CCC는 "네 개의 기둥"이라고도 불리는 네 가지 주요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용은 상세하게 각주가 달려 있으며, 관련 가르침의 참조처 및 성경, 성전, 교부의 저술, 성인전, 공의회[42] 및 최근 교황들의 교령 등이 제시되어 있다.
3. 1. 신앙 고백 (사도신경)
사도 신경을 통한 신앙 고백은 ''가톨릭교회 교리서''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21] 이는 하느님, 예수 그리스도, 성령, 교회 등 가톨릭 신앙의 기본 진리를 설명하며, 신자들이 믿는 바를 명확하게 요약한다.3. 2. 그리스도교 신비의 거행 (성사)
가톨릭교회는 일곱 성사를 통해 그리스도의 신비가 현재화되고 신자들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르친다.[21] 일곱 성사는 세례, 성체, 견진, 고해, 병자, 신품, 혼인이다.3. 3. 그리스도 안에서의 삶 (십계명)
Catechismus Catholicae Ecclesiaela의 네 가지 구성 요소 중 하나인 '그리스도 안에서의 삶'은 십계명을 포함한다.[21] 이는 그리스도인의 윤리적 삶의 기준과 방향을 제시하며, 인간 존엄성, 사회 정의, 사랑의 실천 등을 강조한다.3. 4. 그리스도교 기도 (주님의 기도)
Oratio Dominicala()를 중심으로 그리스도인의 기도가 무엇이며, 어떻게 기도해야 하는지를 설명하는 부분이다.[21]3. 5. 성경 해석
Sacrae Scripturaela 해석에 관한 ''가톨릭교회 교리서''의 내용은 교부 시대부터 이어져 온 "영적 해석"의 전통을 따르며, 스콜라 교리를 통해 발전된 "네 가지 의미"를 통해 성경을 해석해야 한다고 가르친다.[22]''가톨릭교회 교리서''는 성경의 네 가지 의미를 통해 필요한 영적 해석을 추구해야 한다고 명시한다.[23]
''가톨릭교회 교리서''의 이러한 성경 해석 방식은 계약 신학의 연구를 촉진했다.[26][27] 계약 신학은 성경의 네 가지 의미를 사용하여 성경적 계약을 통해 구원 역사를 구성하는 접근 방식이다.
4. 사형 제도에 대한 입장 변화 (2267항)
1997년 개정판에서는 1995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회칙 ''생명의 복음''에서 옹호된 사형에 대한 입장이 반영되었다.[28]
2018년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사형에 관한 단락(2267항)이 다시 개정되었다.
1997년 교리서에는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었다.[29]
> 유죄자의 신원과 책임이 완전히 확인되었다는 전제하에, 교회의 전통적인 가르침은 부당한 침략자로부터 인간의 생명을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일 경우 사형에 의존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
> 그러나 비치명적인 수단으로 침략자로부터 사람들의 안전을 방어하고 보호하는 것이 충분하다면, 권위는 그러한 수단에 국한될 것이며, 이는 공동선의 구체적인 조건에 더 부합하고 인간의 존엄성에 더 부합하기 때문이다.
>
> 사실 오늘날, 범죄를 저지른 자가 자신을 구원할 가능성을 완전히 앗아가지 않고 해를 끼칠 수 없도록 함으로써 국가가 범죄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가능성의 결과로, 범죄자의 사형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경우는 "거의 드물며,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2018년 개정된 ''교리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30][29]
> 정당한 권위에 의한 사형 집행은 공정한 재판을 거쳐, 오랫동안 특정 범죄의 심각성에 대한 적절한 대응으로, 그리고 공동선을 보호하는 용인할 만한 수단(비록 극단적이긴 하지만)으로 여겨졌다.
>
> 그러나 오늘날에는 매우 심각한 범죄를 저지른 후에도 인간의 존엄성이 상실되지 않는다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국가가 부과하는 형벌의 의미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생겨났다. 마지막으로, 시민의 적절한 보호를 보장하면서도 동시에 유죄자가 구원받을 가능성을 최종적으로 박탈하지 않는 보다 효과적인 구금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
> 결과적으로, 교회는 복음에 비추어 "사형은 인간의 불가침성과 존엄성에 대한 공격이므로 용납될 수 없다"고 가르치며, 가톨릭교회는 전 세계적인 사형 폐지를 위해 단호하게 노력한다.
5. 파생 저작
가톨릭교회 교리서의 내용을 간결하게 요약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파생 저작들이 출판되었다. 2005년에 출판된 『가톨릭교회 교리서 요약』은 교리서를 문답식으로 구성하고 삽화를 곁들인 판본이다.[33] 2011년에는 청소년을 위한 『유캣(Youcat)』이 출판되었다.
5. 1. 가톨릭교회 교리서 요약 (Compendium)
2005년에 출판된 『가톨릭교회 교리서 요약』은 『교리서』를 보다 간결하고 문답식으로 구성했으며, 삽화가 곁들여진 판본이다.[33] 2006년에 영어 초판이 발행되었다. 『요약』 본문은 바티칸 웹사이트에서 14개 언어로 제공되며, 웹사이트에서는 『교리서』 본문도 10개 언어로 제공한다.[33]유캣(Youcat)은 청소년들이 『교리서』를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2011년에 출판된 책이다.
5. 2. 유캣(YOUCAT)
유캣(Youcat)은 2011년에 출판된 책으로, 청소년들이 교리서를 쉽게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만들어졌다.[33]참조
[1]
문서
Copyright Information
[2]
간행물
2023-04-04
[3]
웹사이트
Address of John Paul II to the International Catechetical Congresso
https://www.vatican.[...]
2002-10-11
[4]
웹사이트
Apostolic Constitution Fidei Depositum
https://www.vatican.[...]
2021-11-30
[5]
웹사이트
Fidei depositum
https://www.vatican.[...]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7-10-05
[6]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3-08-19
[7]
웹사이트
Preface Written by the Holy Father Benedict XVI in YOUCAT, Aids to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for Young People, in view of WYD 2011 in Madrid
https://www.vatican.[...]
2021-11-30
[8]
웹사이트
"If everything is grace, then grace is no more" (by Gianni Valente)
http://www.30giorni.[...]
2021-12-23
[9]
서적
United States Catholic Catechism for Adults
https://www.usccb.or[...]
United State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10]
웹사이트
Laetamur magnopere (August 15, 1997) {{!}} John Paul II
https://www.vatican.[...]
2022-12-13
[11]
뉴스
Surfing the Catechism on its silver anniversary
https://www.osv.com/[...]
Our Sunday Visitor
2018-01-05
[12]
서적
Catéchisme de l'Église Catholique
Mame/Plon
[13]
뉴스
After Long Delay, a New Catechism Appears in English
https://www.nytimes.[...]
1994-05-28
[14]
서적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https://archive.org/[...]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94
[15]
웹사이트
Latin Edition of Catechism Promulgated
http://www.ewtn.com/[...]
L'Osservatore Romano
2007-10-05
[16]
웹사이트
Modifications from the Editio Typica
http://www.scborrome[...]
Amministrazione Del Patrimonio Della Sede Apostolica
2016-05-30
[17]
웹사이트
Glossary: Prefatory Note to the Glossary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2023-05-21
[18]
서적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Image Doubleday
[19]
간행물
[20]
웹사이트
Fidei Depositum – John Paul II – Apostolic Constitution (11 October 1992)
https://www.vatican.[...]
Vatican.va
2014-07-31
[21]
간행물
[22]
간행물
[23]
간행물
[24]
간행물
[25]
간행물
[26]
서적
Covenant and Communion: The Biblical Theology of Pope Benedict XVI
https://books.google[...]
Brazos Press
[27]
서적
For the Sake of Our Salvation: The Truth and Humility of God's Word
https://books.google[...]
Emmaus Road Publishing
[28]
웹사이트
The death penalty and the catechism
http://old.usccb.org[...]
United State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2012-05-12
[29]
웹사이트
Pope Francis: 'death penalty inadmissable' – Vatican News
https://www.vaticann[...]
2018-08-02
[30]
웹사이트
Nuova redazione del n. 2267 del Catechismo della Chiesa Cattolica sulla pena di morte
http://press.vatican[...]
Holy See Press Office
2018-08-09
[31]
웹사이트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in Context
http://www.usccb.org[...]
United State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Office for the Catechism
2007-10-05
[32]
웹사이트
Ulf Ekman Says Prophetic Word Confirmed His Catholic Conversion
https://www.charisma[...]
Charisma News
2018-01-03
[33]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and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Compendium
https://www.vatican.[...]
2023-05-22
[34]
문서
『カトリック教会のカテキズム 要約(コンペンディウム)』2頁 (扉絵のシンボルマークについて)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ISBN 9784877501532
[35]
간행물
Inside the Vatican
2014-10
[36]
웹사이트
FIDEI DEPOSITUM
http://www.vatican.v[...]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92-10-11
[37]
웹사이트
Laudate 「カテキズムを読もう」第1回 序:カテキズムって何? (女子パウロ会)
http://www.pauline.o[...]
[38]
웹사이트
LATIN EDITION OF CATECHISM PROMULGATED
https://web.archive.[...]
L'Osservatore Romano
1997-09-17
[39]
웹사이트
MODIFICATIONS from the Edito Typica
http://www.scborrome[...]
Amministrazione Del Patrimonio Della Sede Apostolica
[40]
웹사이트
http://www.bennetyee[...]
[41]
문서
『カトリック教会のカテキズム 要約(コンペンディウム)』23頁(序文)(教皇ヨハネ・パウロ2世使徒憲章『ゆだねられた信仰の遺産』(Fidei depositum)1992年10月11日 より引用)
[42]
웹사이트
(United State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http://www.usccb.org[...]
[43]
웹사이트
DOGMATIC CONSTITUTION ON DIVINE REVELATION - DEI VERBUM 12.
http://www.vatican.v[...]
[44]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 Intra Text III. The Holy Spirit, Interpreter of Scripture (109-119)
http://www.vatican.v[...]
[45]
웹사이트
『カトリック教会のカテキズム綱要』序文
http://www.cbcj.cath[...]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2005-06-30
[46]
웹사이트
自発教令『カトリック教会のカテキズム綱要』の認可と公布
http://www.cbcj.cath[...]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2005-06-30
[47]
웹사이트
カトリック教会のカテキズム要約(コンペンディウム)
http://www.cbcj.cath[...]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48]
웹사이트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in Context
http://www.usccb.org[...]
United State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Office for the Catechism
1992-12-09
[49]
문서
『カトリック教会のカテキズム 要約(コンペンディウム)』23頁(序文)(教皇ヨハネ・パウロ2世使徒的書簡『大きな喜びをもって』(Laetamur magnopere)1997年8月15日 より引用)
[50]
문서
(日本カトリック司教協議会 監修・[[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発行 『カトリック教会の教え』145頁、 [[2003年]] - ISBN 9784877501068)
[51]
문서
伝統にこだわる一部のカトリック信者のグループは、CCCに述べられているいくつかの文言は、過去のカトリックの教えと多くの事柄において衝突を起こしている、と異議を申し述べている。(彼らはCCCを)[[グノーシス主義]]に堕したものであり、[[進化論]]を活性化させ、依然として[[ユダヤ人]]を神の契約の民として表現し、その責任を曖昧にし、宗教的平等主義(宗教は等しいとする異端)、偽った世界教会運動の神学([[エキュメニズム]])、世俗への同調、妥協、[[同性愛]]と[[国際主義]]などを好んでいるとしているcf. [http://www.angelusonline.org/Article657-thread-order1-threshold0.phtml The Semi-Catholic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彼らは、神学に関する意見はCCCの意図するところではないにもかかわらず「信仰の問題と神学に関する議論は分けることができない」とする姿勢を、事実、崩していない。cf. Michael J. Wrenn & Kenneth D. Whitehead, ''Flawed Expectations:The Reception of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Ignatius Press, 1996, p.208. ある書き手は、カトリック教会は以下の適用を意図的に試みているとして教皇[[パウロ6世 (ローマ教皇)|パウロ6世]]の影響について言及している。CCCは、事実として、現在の教義から乖離し、カトリックの信仰を、真実の追究とする方向性を示すものとする主張を行っている。同様に使徒憲章中の声明に言及して、「内容は今の時代の問いに答えるため、しばしば新しい姿で示されている」「新しいカテケーシス(教義の口頭伝授)は、内的な確信というより寧ろ外的な反応を引き起こしがちである」とクレームを付けている。cf. Romano Amerio, ''Iota Unum: A Study of Changes in the Catholic Church in the XXth Century'', Sarto House, 1996.
[52]
문서
〈가톨릭 교회 교리서〉 라틴 어 표준판 승인과 공포에 관한 [[교황교서]] "큰 기쁨(Laetamur Magnopere)"
[53]
웹인용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 가톨릭 교회 교리서 개정판 수정 사항
http://www.cbck.or.k[...]
2010-03-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