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각시수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각시수랑은 껍질 길이가 30mm에서 61.7mm에 이르는 연체동물이다. 껍질은 황갈색 또는 황색 표피 아래 적갈색을 띠며, 일부 개체는 뚜껑을 가지고 있다. 뚜껑은 성장 과정에 따라 형태가 변화하며, 초기에는 난형이지만 성장 후기에는 중앙 핵을 가진 접시 모양으로 변한다. 각시수랑은 북태평양, 일본, 북해, 베링 해협, 알래스카 연안에 분포하며, 냉수성 해양 생물의 전형적인 분포 패턴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레고둥과 - 관절매물고둥
    관절매물고둥은 흑갈색의 굵고 짧은 방추형 고둥으로 동해안 등지에 분포하며 식용으로 이용되지만, 타액선에 독성 물질이 있어 섭취 시 주의가 필요하다.
  • 물레고둥과 - 유럽물레고둥
    유럽물레고둥은 북대서양 연안에 서식하며 조간대 하부에서 발견되는 육식성 연체동물로, 다양한 색상의 껍데기를 가지며 작은 무척추동물을 먹고 살지만, 식용으로 사용될 때 붉은물레고둥과의 혼동으로 인한 독성 위험과 임포섹스 현상으로 인한 개체 수 감소의 우려가 있다.
  • 1848년 기재된 동물 - 배꼽앵무조개
    배꼽앵무조개는 움푹 패인 배꼽과 연한 패각 무늬를 가지며, 서부 태평양의 대륙붕과 대륙사면에서 서식하는 앵무조개류의 일종으로, 최대 패각 직경은 약 20cm이다.
  • 1848년 기재된 동물 - 털게
    털게는 몸 전체가 털로 덮여 있고 육식성이며, 동해, 북태평양 연안 등지에 분포하는 중요한 어업 자원이며, 한국에서는 자원 보호를 위해 어획을 제한한다.
각시수랑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학명Volutharpa ampullacea
명명자(Middendorff, 1848)
분류
동물계
연체동물
복족류
신복족류
물레고둥과
각시수랑속
각시수랑
이명
이명 목록Buccinum (Volutharpa) ampullaceum (Middendorff, 1848) (이전 조합)
Buccinum ampullaceum (Middendorff, 1848)
Bullia ampullacea Middendorff, 1848 (원래 조합)
Tritonium (Volutharpa) ampullacea (Middendorff, 1848) (이전 조합)
Volutharpa deshayesiana P. Fischer, 1856
Volutharpa ampullacea 껍데기
Volutharpa ampullacea의 껍데기 (MNHN, Paris에 있는 신타입)

2. 형태

껍질의 길이는 30mm에서 61.7mm까지 다양하다. 껍질의 표면은 황갈색 또는 황색의 표피로 덮여 있으며, 그 아래는 적갈색을 띤다.

G.W. 트라이온에 따르면, 각시수랑은 개체에 따라 뚜껑이 없거나 잘 발달된 뚜껑을 가지는 등 차이를 보인다.

2. 1. 뚜껑의 특징

G.W. 트라이온의 기록에 따르면, 각시수랑 개체 대부분은 뚜껑이 없으며, 뚜껑을 만드는 부위의 흔적조차 없는 경우가 많다. 그가 조사한 특정 변종(var. ''acuminata'')의 경우 약 10%만이 뚜껑 형성 부위의 흔적을 보였고, 약 15%는 제대로 발달된 뚜껑을 가지고 있었다. 이처럼 같은 내에서도 뚜껑의 유무가 다른 것은 각시수랑의 특이한 점으로 여겨진다.

뚜껑이 있는 개체의 경우, 그 성장 과정에서 독특한 변화를 보인다.

  • 초기 단계: 뚜껑은 처음에는 난형(계란 모양)이며, 핵(성장 중심점)은 뚜껑의 더 넓은 쪽 가장자리 가까이에 위치한다. 뚜껑은 가장자리, 특히 좁은 위쪽 끝부분에 새로운 물질이 덧붙으면서 커진다.
  • 후기 단계: 성장이 진행되면, 이전 뚜껑 아래에서 새로운 뚜껑이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이 새로운 뚜껑은 중앙에 핵을 가지며, 환형 부착 방식으로 성장한다. 최종적으로 뚜껑의 가장자리는 매우 두꺼워지고 위쪽으로 휘어져 마치 접시 같은 모양이 된다. 이 과정에서 이전에 형성된 초기 뚜껑의 핵과 일부는 새로운 뚜껑의 앞쪽 가장자리에 붙어 돌출된 형태로 남게 된다. 완성된 뚜껑의 지름은 약 약 0.25cm 정도이다.


트라이온은 이러한 뚜껑의 형태 변화가 일부 개체의 기형이 아니라, 조사된 모든 표본에서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종 고유의 특징적인 성장 과정이라고 보았다.

3. 분포

이 종의 분포는 북태평양, 주로 일본, 북해, 베링 해협, 알래스카에 국한되어 있다.

4. 한국의 해양 생태계 연구와의 연관성

각시수랑은 그 독특한 형태적 특징과 특정 해역에 서식하는 분포 특성으로 인해, 한반도 주변 해양 생태계 연구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개체 간 형태적 다양성은 생물 다양성 연구에 흥미로운 사례를 제시하며, 냉수성 종으로서의 특성은 기후 변화가 해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한국 해양 생태계의 현황을 파악하고 미래 변화를 예측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4. 1. 생물 다양성 연구

각시수랑의 껍질 길이는 30mm에서 61.7mm까지 다양하며, 껍질 색깔은 황갈색 또는 황색 표피 아래에 적갈색을 띤다.[1]

조지 워싱턴 트라이온은 각시수랑의 뚜껑 유무와 형태에 대해 주목할 만한 관찰 결과를 기록했다. 그의 연구에 따르면, 각시수랑 개체군 내에서 뚜껑의 존재 여부와 형태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는 동일한 종 내에서도 뚜껑이 있거나 없는 개체가 공존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사례이다.[2]

트라이온은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했다.[2]

: 매우 주목할 만한 사실은 ''Volutharpa ampulacea''에 대해 언급될 수 있다. 개체의 대다수는 뚜껑이 분비되는 패드 모양의 샘이나 부위의 흔적조차 없이 뚜껑이 없다. 내가 검사한 ''var. acuminata'' 개체의 약 10%는 이 샘이나 부위의 흔적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과립상의 어두운 슬레이트색 발에서 부드럽고 다소 희끄무레한 표면으로 나타났다. 약 15%는 적절한 위치에 잘 발달된 뚜껑을 가지고 있었다. 나는 알코올 표본에서 베링 해협에서 윌리엄 스팀슨 박사가 수집한 전형적인 형태와 관련하여 동일한 경우임을 확인했다. 이것에 대해 실수할 여지가 없으며, 동일한 종의 서로 다른 개체가 뚜껑이 있거나 없는 것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은 이상하게 보일 수밖에 없다. 이 부속물을 주의 깊게 검사하면 주목할 만한 몇 가지 특이성이 드러난다. 처음에는 뚜껑이 난형이고, 핵은 더 큰 끝 가장자리 근처에 있으며, 가장자리 주위, 특히 더 작거나 위쪽 끝에 부착물에 의해 증가한다. 그러나 성장 후기에는 새로운 시작을 보이며, 겉보기에는 이전 뚜껑 아래에 중앙 핵을 가진 새로운 뚜껑이 시작되어 환형 부착물에 의해 증가하고, 마침내 가장자리가 매우 두꺼워지고 위로 향하여 접시 모양을 나타내는 반면, 이전 뚜껑은 핵과 인접한 부분 일부가 앞쪽 가장자리에 튀어나와 접시 위에 놓인 것처럼 보인다. 지름은 약 0.25cm이다. 그 형태가 개인의 기형에 기인하지 않는다는 것은 검사된 모든 표본이 유사하다는 사실로 분명하다.

이러한 뚜껑의 변이는 각시수랑의 생물학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여겨진다.

4. 2. 기후 변화 영향 연구

각시수랑은 북태평양의 일본, 북해, 베링 해협, 알래스카 등 비교적 차가운 해역에 주로 분포한다. 이러한 냉수성 특성을 가진 종들은 일반적으로 기후 변화로 인한 해수 온도 상승과 같은 해양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따라서 각시수랑의 분포 범위나 개체수 변화를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관찰하는 것은, 기후 변화가 한반도 주변을 포함한 해양 생태계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참조

[1] 간행물 Volutharpa ampullacea (Middendorff, 1848) https://www.marinesp[...]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2023-07-04
[2] 서적 Manual of Conchology III http://ia600307.us.a[...] Academy of Natural Sciences, Philadelphia 1880-188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