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매물고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절매물고둥(Neptunea arthritica)은 동해안과 북해, 일본, 러시아 등지에 분포하는 고둥의 일종이다. 껍질은 흑갈색이며 굵고 짧은 방추형이고, 껍질의 형태는 개체에 따라 차이가 있다. 암초나 모래 바닥에 서식하며, 껍질째 구워 먹는 요리인 '쯔부 구이' 등으로 식용된다. 하지만 침샘에 독성 물질인 테트라민이 함유되어 있어 섭취 시 중독을 일으킬 수 있으며, 섭취 전에 타액선을 제거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물레고둥과 - 각시수랑
각시수랑은 황갈색 또는 황색 껍질을 가진 연체동물로, 껍질 길이는 30mm에서 61.7mm이며, 뚜껑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성장 후기에는 여러 겹으로 겹쳐진 뚜껑을 형성하고, 북태평양에 주로 서식한다. - 물레고둥과 - 유럽물레고둥
유럽물레고둥은 북대서양 연안에 서식하며 조간대 하부에서 발견되는 육식성 연체동물로, 다양한 색상의 껍데기를 가지며 작은 무척추동물을 먹고 살지만, 식용으로 사용될 때 붉은물레고둥과의 혼동으로 인한 독성 위험과 임포섹스 현상으로 인한 개체 수 감소의 우려가 있다. - 1857년 기재된 동물 - 가리비
가리비는 부채 모양 껍데기를 가진 이매패강 연체동물로, 한국에서는 오래전부터 식용으로 이용되었으며 일본 북부 해역에서 어업 및 양식이 활발하고 껍데기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 1857년 기재된 동물 - 작은보호탑해파리
작은보호탑해파리는 붉은색 소화기를 가진 투명한 몸체의 작은 해파리로, 해파리 단계에서 폴립 단계로 되돌아가는 "생활환 역전" 능력 때문에 '불멸의 해파리'라고 불린다.
관절매물고둥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Neptunea arthritica |
명명자 | (아킬 발렌시엔)Valenciennes, 1858 |
다른 이름 | 히메에조보라 |
분류 | |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연체동물문 (Mollusca) |
강 | 복족강 (Gastropoda) |
목 | 신복족류 (Neogastropoda) |
상과 | 물레고둥상과 (Buccinoidea) |
과 | 에조바이과 (Buccinidae) |
속 | 에조보라속 (Neptunea) |
학명 이명 |
2. 분포
관절매물고둥은 동해안 주문진, 함경북도 나진 등 한반도 연안과 일본 홋카이도 네무로, 혼슈 북부, 조시, 산리쿠 해안, 시코쿠, 카미타, 러시아 오호츠크 해, 사할린 등지에 서식한다.[7] 서식지는 조간대부터 수심 25m 사이의 바위나 모래펄이다.[7]
유럽의 경우 북해 인근에 서식하며, 일본 연안과 흑해에서는 외래종으로 발견된다.
2. 1. 한국
동해안의 주문진(적골뱅이)이나 함경북도 나진(골뱅이)에서 주로 잡힌다.[7] 홋카이도 동해안, 사할린, 화북 등지에도 서식한다.2. 2. 일본
일본의 경우 홋카이도(北海道) 네무로(根室), 혼슈(本州) 북부, 쵸시(銚子), 산리쿠(三陸), 시코쿠(四国), 카미타에서 주로 서식한다.[7] 일본 연안과 흑해에서 외래종으로 발견된다. 쵸시 이북, 아키타현 앞바다, 홋카이도 동해안, 동해에서 발견된다. 홋카이도에서는 많이 생산되며, 명물인 '''고둥 구이'''에 이용되고 있다.2. 3. 러시아
러시아 오호츠크 해, 사할린 등지에 서식한다.[7]2. 4. 기타
한반도 동해안의 주문진(적골뱅이)이나 함경북도 나진(골뱅이)에서 주로 잡힌다.[7] 일본의 경우 홋카이도 네무로, 혼슈 북부와 조시와 산리쿠 해안, 시코쿠, 카미타에서 주로 서식한다.[7] 러시아 오호츠크해, 사할린 등에도 서식한다.[7] 서식지는 조간대부터 수심 25m 사이의 바위나 모래펄이다.[7]유럽의 경우 북해 인근에 서식하며, 일본 연안과 흑해에서는 외래종으로 발견된다. 한국에서는 조시 이북, 아키타현 앞바다, 홋카이도 동해안, 동해에서 발견된다. 그 외, 사할린, 한반도, 화북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홋카이도에서는 많이 생산되어 명물인 '''고둥 구이'''에 이용되고 있다.
3. 형태
껍데기 길이는 75.4mm에 달한다. 껍질은 굵고 짧은 방추형이며, 각 층은 잘 부풀어 오른다. 어깨에 결절이나 융기가 있는 개체도 있다. 껍질은 두껍고 견고하며, 표면은 흑갈색으로 농담이 있고 광택이 없다. 껍질 모양은 개체에 따라 변이가 크다. 껍질 입구 내부는 옅은 갈색 또는 자갈색이며 광택이 있다.[3]
3. 1. 껍데기
껍데기 길이는 75.4mm이다. 껍질은 껍질 높이 10cm, 껍질 지름 6cm 정도로 굵고 짧은 방추형이다. 각 층은 잘 부풀어 오르며, 어깨에 결절이나 융기가 있는 개체도 있다. 껍질은 비교적 두껍고[1] 견고하다. 표면은 흑갈색으로 농담이 있다[2]. 광택은 없다[3]. 껍질 모양은 개체에 따라 변이가 크다[4]. 뚜껑은 가죽질로 두껍다. 난원형으로 흑갈색이다[5]. 껍질 입구 내부는 옅은 갈색 또는 자갈색이며 광택이 있다[3].3. 2. 뚜껑
뚜껑은 가죽질로 두꺼우며, 난원형으로 흑갈색이다.[1]3. 3. 껍질 입구
껍질 입구 내부는 옅은 갈색 또는 자갈색이며 광택이 있다.[1]4. 생태
수심 100m까지의 암초나 모래 바닥에 서식한다.[1][2]
5. 인간과의 관계
에조보라속 고둥은 맛이 좋아 일본에서 중요한 수산물로 여겨진다.[1] 관절매물고둥은 껍질째 그물 위에서 구워 간장을 발라 먹는 "쯔부 구이" 외에도 사시미, 스시, 소금물에 데치거나 무침으로도 이용된다. 여름에 특히 맛있다. 그러나 타액선에 테트라민이라는 독소가 있어 쯔부 구이를 만들기 전에는 연체를 껍질에서 꺼내 타액선을 제거해야 한다.[2]
테트라민을 섭취하면 술에 취한 듯한 중독 증상이 나타나 졸리게 되므로, '''네무리쯔부'''라는 별명이 있다.[2]
5. 1. 식용
에조보라속 고둥은 맛이 좋아 일본에서 중요한 수산물로 여겨진다.[1] 관절매물고둥은 껍질째 그물 위에서 구워 간장을 발라 먹는 "쯔부 구이"로 소비된다. 그 외에도 사시미, 스시, 소금물에 데치거나 무침으로도 먹는다. 특히 여름에 맛이 좋다. 그러나 관절매물고둥의 타액선에는 테트라민이라는 독소가 들어있어, 쯔부 구이를 만들기 전에는 연체를 껍질에서 꺼내 타액선을 제거해야 한다.[2]테트라민을 섭취하면 술에 취한 듯한 중독 증상이 나타나 졸음을 유발하기 때문에 '''네무리쯔부'''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2]
5. 2. 독성
관절매물고둥은 흔히 테트라민(tetramine)이라 불리는 테트라메틸암모늄염이라는 독성이 세포조직, 특히 타액선(salivary gland)에 있으며, 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8][9][2][3]에조보라속의 고둥은 맛이 좋고, 일본에서는 중요한 수산물이다. 본 종도 껍질째 그물 위에서 구워 간장을 발라 먹는 "쯔부 구이"로 소비된다. 그 외, 사시미, 스시, 소금물에 데치기, 무침으로도 이용된다. 여름에 특히 맛있다. 그러나 타액선에는 테트라민이라는 독소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쯔부 구이를 만들기 전에 연체는 껍질에서 꺼내 타액선을 제거해야 한다.
테트라민을 섭취하면 술에 취한 듯한 중독 증상이 나타나 졸리게 되므로, '''네무리쯔부'''라는 별명도 있다.
5. 3. 한국에서의 이용
일본에서는 에조보라속 고둥이 맛이 좋아 중요한 수산물로 여겨진다[1]. 한국에서도 관절매물고둥을 껍질째 그물 위에서 구워 간장을 발라 먹는 "쯔부 구이"로 소비한다. 그 외에도 사시미, 스시, 소금물에 데치거나 무침으로도 먹는다. 특히 여름에 맛이 좋다. 그러나 관절매물고둥의 타액선에는 테트라민이라는 독소가 있으므로, 쯔부 구이를 만들기 전에는 연체를 껍질에서 꺼내 타액선을 제거해야 한다[2].테트라민을 섭취하면 술에 취한 듯한 중독 증상이 나타나 졸음을 유발할 수 있어 '''네무리쯔부'''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2].
참조
[1]
웹사이트
Neptunea arthritica (Valenciennes, 1858)
http://www.marinespe[...]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2021-09-20
[2]
논문
Salivary poison of a marine gastropod, ''Neptunea arthritica'' Bernardi, and the seasonal variation of its toxicity
1960
[3]
논문
Tetramine: Occurrence in marine organisms and pharmacology
1989
[4]
서적
한국의 무척추동물
https://www.nibr.go.[...]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2013
[5]
웹사이트
관절매물고둥
http://www.nifs.go.k[...]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생명자원정보센터
2021-06-27
[6]
웹사이트
Barbitonia arthritica (Valenciennes, 1858)
http://www.marinespe[...]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2014-10-23
[7]
웹사이트
관절매물고둥
http://www.nifs.go.k[...]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생명자원정보센터
2021-06-27
[8]
논문
Salivary poison of a marine gastropod, ''Neptunea arthritica'' Bernardi, and the seasonal variation of its toxicity
1960
[9]
논문
Tetramine: Occurrence in marine organisms and pharmacology
198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