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갈라파고스상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라파고스상어는 흉상어과에 속하는 상어의 일종으로, 1905년 처음 명명되었다. 열대 해양 섬 주변의 맑은 물과 강한 해류를 가진 암초 서식지에서 주로 발견되며, 대서양, 인도양, 태평양 등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 몸길이는 최대 3.7m까지 자라며, 가늘고 유선형의 몸체와 둥근 주둥이, 삼각형 이빨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얕은 섬 근해에서 발견되며, 때로는 무리 지어 생활하기도 한다. 인간에게 잠재적으로 위험할 수 있으며, 공격 사례도 보고된 바 있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갈라파고스상어를 관심대상으로 평가하며, 상업 어업으로 인해 개체 수 감소의 위험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5년 기재된 물고기 - 핵꼬치
    핵꼬치는 태평양과 인도양의 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줄무늬가 있는 원통형 몸통을 가진 꼬치고기과의 육식성 어류로, 식용으로 이용되고 한국에서는 수입산 냉동 형태로 유통된다.
  • 1905년 기재된 물고기 - 짱뚱어
    짱뚱어는 동아시아 갯벌에 서식하며 피부 호흡을 하는 초식성 어류로, 독특한 생태와 서식지 파괴, 남획 등으로 인해 보존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한국과 일본에서는 식용으로도 이용된다.
  • 멕시코의 물고기 - 붕메기과
    붕메기과는 북아메리카 남부에서 과테말라에 이르는 지역에 분포하며 4쌍의 수염, 비늘 없는 피부, 가시가 있는 지느러미를 특징으로 하는 메기목의 어류 과로, 크라노글라니스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일부 종은 식용으로 이용되거나 미국 남부 문화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 멕시코의 물고기 - 키클라소마속
    키클라소마속은 키클리드과의 한 속이며, 현재 3종의 어류가 속해 있고, 많은 종들이 다른 속, 예를 들어 헤로스속, 토르키클라스속 등으로 재분류되었다.
  • 흉상어과 - 황소상어
    황소상어는 전 세계 열대, 아열대 해역, 기수역, 담수에서 서식하며, 4m까지 자라는 크고 뚱뚱한 체형에 짧고 둥근 주둥이를 가진 상어로, 뛰어난 삼투압 조절 능력으로 담수 생존이 가능하고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며, 어획과 서식지 파괴로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었다.
  • 흉상어과 - 레몬상어
    레몬상어는 아열대 및 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노란색을 띤 회색의 체색과 짧고 넓은 주둥이를 가진 사회적인 야행성 육식 동물로,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난태생으로 번식하지만, 어업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보호가 필요한 종이다.
갈라파고스상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갈라파고스상어
갈라파고스상어
학명Carcharhinus galapagensis
명명자Snodgrass & Heller, 1905
이명Carcharias galapagensis Snodgrass & Heller, 1905
영명Galapagos shark
멸종 위기 등급LC (관심 필요)
IUCN 3.1https://www.iucnredlist.org/species/41736/2954286
갈라파고스상어 분포도
갈라파고스상어 분포
몸길이3.0 m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연골어강
흉상어목
흉상어과
흉상어속
고생물학
화석 범위플라이오세-현재

2. 분류 및 계통

갈라파고스상어는 1905년 로버트 에반스 스노드그래스와 에드먼드 헬러에 의해 처음에는 *Carcharias galapagensis*로 기술되었으며, 이후 이 종은 *Carcharhinus* 속으로 옮겨졌다. 모식표본은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채집된 65cm 길이의 태아였으며, 이에 따라 종명은 *galapagensis*로 명명되었다.[3][4]

개릭(1982)은 갈라파고스상어와 둔한상어를 *Carcharhinus* 내의 두 주요 그룹 중 하나인 "obscurus group"의 중심에 위치시켰다. 이 그룹은 큰코상어 (*C. altimus*), 카리브상어 (*C. perezi*), 모래상어 (*C. plumbeus*), 둔한상어 (*C. obscurus*), 흰긴수염상어 (*C. longimanus*)로 구성되었으며, 모두 크고 삼각형 이빨을 가진 상어이며, 두 등지느러미 사이에 능선이 있는 특징으로 정의된다.[5] 알로자임 데이터를 기반으로 네일러(1992)는 이 그룹의 통합성을 재확인했으며, 실크상어 (*C. falciformis*)와 청상아리 (*Prionace glauca*)를 추가했다. 갈라파고스상어의 가장 가까운 친척은 둔한상어, 흰긴수염상어, 청상아리로 밝혀졌다.[6]

3. 분포 및 서식지

갈라파고스상어는 주로 열대 해양 섬에서 발견된다. 대서양에서는 버뮤다, 버진아일랜드, 마데이라, 카보베르데, 어센션섬, 세인트헬레나, 상투메 프린시페 주변에서 발견된다. 인도양에서는 남부 마다가스카르 앞바다의 월터스 숄에서 발견된다. 태평양에서는 로드하우섬, 마리아나 제도, 마셜 제도, 케르마덱 제도, 투파이, 투아모투 제도, 후안 페르난데스 제도, 하와이 제도, 갈라파고스 제도, 코코스섬, 레비야히헤도 제도, 클리퍼턴섬, 말펠로섬 주변에서 발견된다.[7] 일본에서는 오가사와라 제도에 서식하고, 이즈 제도에도 서식할 가능성이 있다.[26]

일반적으로 해안 근처의 대륙붕과 섬 선반에서 발견되며, 맑은 물과 강한 해류가 있는 울퉁불퉁한 암초 서식지를 선호한다.[4] 또한 암석 섬과 해산 주변에서 무리를 이루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종은 섬 사이의 공해를 건널 수 있으며, 육지에서 최소 50km 떨어진 곳에서도 보고되었다. 어린 개체는 25m 이상 깊은 곳으로 거의 가지 않지만, 성체는 180m 깊이에서도 보고되었다.[7] 회유할 가능성도 있다.[28]

4. 형태

갈라파고스상어는 흉상어과에서 가장 큰 종 중 하나로, 일반적으로 3m 길이에 이른다. 최대 길이는 3.3m에서 3.7m까지 다양하게 기록되었다.[8] 최대 기록된 무게는 3m 길이 암컷의 195kg이다.[9]

몸체는 가늘고 유선형이며, 주둥이는 넓고 둥글며 뚜렷하지 않은 전방 비강 덮개가 있다. 눈은 둥글고 중간 크기이다. 입에는 양쪽 턱에 각각 14개(범위 13-15)의 이빨 열과 교합부에 이빨 하나가 있다. 위쪽 이빨은 튼튼하고 삼각형 모양인 반면, 아래쪽 이빨은 더 좁고, 위아래 이빨 모두 톱니 모양의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다.[7]

첫 번째 등지느러미는 키가 크고 적당히 낫 모양이며, 기원은 가슴지느러미 뒷부분 끝에 위치한다. 두 번째 등지느러미까지 이어지는 낮은 중앙선 능선이 뒤따른다. 두 번째 등지느러미는 뒷지느러미 위에 위치한다. 가슴지느러미는 크고 뾰족한 끝을 가지고 있다.

몸 색깔은 위쪽은 갈색 회색이고 아래쪽은 흰색이며, 옆면에는 희미한 흰색 줄무늬가 있다. 지느러미 가장자리는 더 어둡지만 눈에 띄게 표시되지는 않는다.[7]

갈라파고스상어는 흑상어, 회색 암초 상어와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으나, 꼬리 전방(꼬리 앞) 척추뼈의 수에서 차이가 있다. 갈라파고스상어는 58개, 흑상어는 86–97개, 회색 암초 상어는 110–119개이다.[4][7]

5. 생태

갈라파고스상어는 얕은 섬 근해에서 가장 흔한 상어 중 하나이다.[7] 대서양 중앙 해령을 따라 떨어진 상 페드루 이 상 파울루 암초에서 서식하는 갈라파고스상어는 "대서양에서 가장 밀집된 상어 개체군 중 하나"로 묘사되었다.[10] 일부 지역에서는 대규모 무리를 형성하지만, 이것은 진정한 무리는 아니다.[7]

집단 상호 작용 시 갈라파고스상어는 검정지느러미상어보다 우세하지만, 같은 크기의 백지느러미상어에게는 굴복한다.[7] 위협을 받거나 궁지에 몰리면 위협 행동을 보일 수 있는데, 이는 상어가 등을 아치형으로 만들고, 가슴지느러미를 내리고, 아가미를 부풀리고, 턱을 벌리면서 과장된 회전 수영 동작을 수행하는 잿빛상어의 위협 행동과 유사하다. 상어는 또한 위협으로 인식되는 것을 시야 안에 유지하기 위해 머리를 좌우로 흔들 수 있다.[11] 갈라파고스상어의 알려진 기생충은 상어의 피부에 부착되는 편형동물 ''Dermophthirius carcharhini''이다.[12] 한 기록에 따르면, 푸른점무늬만새기가 기생충을 제거하기 위해 갈라파고스상어의 거친 피부에 몸을 비비는 모습이 관찰되었다.[13]

6. 인간과의 관계

호기심이 많고 끈기 있는 갈라파고스상어는 잠재적으로 인간에게 위험한 종으로 여겨진다. 이 상어는 수영하는 사람들에게 가까이 다가가 오리발이나 손에 관심을 보이기도 하고, 어업 활동에 대규모로 유인되기도 한다. 세인트폴 록스(St. Paul's Rocks)에서는 물고기가 잡히자마자 상어들이 덤벼들어 낚인 물고기의 절반 이상을 빼앗으려 했다는 기록이 있다.[10] 클리퍼턴 섬(Clipperton Island)에서는 상어들이 처음에는 멀리서 맴돌다가 점차 접근하여 공격적으로 변했으며, 상어를 물리치는 다양한 방법들이 효과가 없었다는 보고도 있다.[15] 흥분한 갈라파고스상어는 쉽게 물러나지 않으며, 물리적 접촉은 오히려 다른 상어들의 공격을 유발할 수 있고, 무기를 사용하면 피딩 프렌지를 일으킬 수 있다.[7]

2008년 기준으로, 갈라파고스상어는 3건의 인간 공격을 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2건은 치명적이었는데, 한 건은 버진 아일랜드에서,[16] 다른 한 건은 세인트토마스 섬 북쪽 해안의 마겐스 만(Magens Bay)에서 발생했다.[17] 세 번째는 버뮤다 근해에서 발생한 비치명적인 공격이었다.[7][16]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갈라파고스상어를 관심대상(least concern)으로 평가했지만, 낮은 번식률로 인해 개체수 감소에 대한 회복력이 제한적이다. 이 종은 서식 범위의 여러 지역에서 활동하는 상업 어업에 의해 포획되며, 육질은 매우 우수하다고 한다.[4]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흔하지만, 중앙 아메리카 주변 지역에서는 멸종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단편적인 분포로 인해 다른 지역 개체군 또한 위험에 처할 수 있다. 케르마데크 제도와 갈라파고스 제도의 개체군은 해양 보호 구역 내에서 보호받고 있다.

하와이 근해에서 낚시에 걸린 갈라파고스상어


파파하노모쿠아키아 해양 국립 기념물(Papahānaumokuākea Marine National Monument)에서 연구원들이 꼬리표를 부착하고 있는 갈라파고스상어

7. 보존 상태

자연 보호부는 갈라파고스상어를 뉴질랜드 위협 분류 시스템에 따라 "위협받지 않음"으로 분류했으며, "보존 의존" 및 "해외 안전"의 수식어를 붙였다.[19]

참조

[1] 웹사이트 The Life and Times of Long Dead Sharks http://www.elasmo.co[...] 2023-10-03
[2] 간행물 "''Carcharhinus galapagensis''" 2019
[3] 논문 Papers from the Hopkins-Stanford Galapagos Expedition, 1898–1899. XVII. Shore fishes of the Revillagigedo, Clipperton, Cocos and Galapagos Islands. 1905-01-31
[4] 웹사이트 Biological Profiles: Galapagos Shark http://www.flmnh.ufl[...] 2010-04-30
[5] 문서 "Sharks of the genus ''Carcharhinus''" NOAA Technical Report, NMFS CIRC-445 1982
[6] 논문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requiem and hammerhead sharks: inferring phylogeny when thousands of equally most parsimonious trees result https://deepblue.lib[...]
[7] 서적 Shark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Shark Species Known to Date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8] 웹사이트 Galapagos shark http://www.fishbase.[...]
[9] 서적 The Sharks of North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10] 논문 The Shark Population of Saint Paul's Rocks American Society of Ichthyologists and Herpetologists 1982-02-23
[11] 논문 A review of shark agonistic displays: comparison of display features and implications for shark–human interactions 2007-03
[12] 논문 "Attachment of ''Dermophthirius carcharhini'' (Monogenea: Microbothriidae) to the Galapagos Shark ''Carcharhinus galapagensis''" American Microscopical Society 1986-04
[13] 논문 Sharks as cleaners for reef fish 2007-06
[14] 논문 Biology of the Galapagos shark, ''Carcharhinus galapagensis'', in Hawai'i
[15] 서적 Sharks and Survival D. C. Heath Canada, Ltd
[16] 웹사이트 ISAF Statistics on Attacking Species of Shark http://www.flmnh.ufl[...]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University of Florida 2018-01-24
[17] 논문 A fatal attack by the shark Carcharhinus galapagensis at St. Thomas, Virgin Islands http://documentslide[...] 2016-11-11
[18] 웹사이트 London businessman attacked by shark while snorkelling in the Galapagos Islands https://standard.co.[...] 2018-02-06
[19] 서적 Conservation status of New Zealand chondrichthyans (chimaeras, sharks and rays), 2016 https://www.doc.govt[...] Department of Conservation
[20] 간행물 Carcharhinus galapagensis
[21] 논문 Papers from the Hopkins-Stanford Galapagos Expedition, 1898–1899. XVII. Shore fishes of the Revillagigedo, Clipperton, Cocos and Galapagos Islands. 1905-01-31
[22] 웹사이트 Biological Profiles: Galapagos Shark http://www.flmnh.ufl[...] 2009-04-26
[23] 문서 "Sharks of the genus ''Carcharhinus''" NOAA Technical Report, NMFS CIRC-445 1982
[24] 논문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requiem and hammerhead sharks: inferring phylogeny when thousands of equally most parsimonious trees result
[25] 논문 The Biology of Sharks and Their Relatives http://prosper.cofc.[...] CRC Press
[26] 문서 日本魚類額雑誌vol.31 No.4 p.449-p.452 「小笠原諸島より採集したガラパゴスザメ(新称)」 著者 谷内透・立川浩之・倉田洋二・能勢幸雄 より
[27] 서적 Shark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Shark Species Known to Date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28] 서적 『サメガイドブック―世界のサメ・エイ図鑑』 アンドレア フェッラーリ (著), アントネッラ フェッラーリ (著), 谷内 透 (監修), Andrea Ferrari (原著), Antonella Ferrari (原著), 御船 淳 (翻訳), 山本 毅 (翻訳) 阪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29] 서적 The Sharks of North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30] 논문 The Shark Population of Saint Paul's Rocks American Society of Ichthyologists and Herpetologists 1982-02-23
[31] 논문 A review of shark agonistic displays: comparison of display features and implications for shark–human interactions 2007-03
[32] 논문 "Attachment of ''Dermophthirius carcharhini'' (Monogenea: Microbothriidae) to the Galapagos Shark ''Carcharhinus galapagensis''" American Microscopical Society 1986-04
[33] 논문 Sharks as cleaners for reef fish 2007-06
[34] 논문 Biology of the Galapagos shark, ''Carcharhinus galapagensis'', in Hawai'i
[35] 서적 Sharks and Survival D. C. Heath Canada, Ltd
[36] 웹사이트 ISAF Statistics on Attacking Species of Shark http://www.flmnh.ufl[...] 2009-04-22
[37] 서적 サメウォッチング 平凡社
[38] 간행물 Carcharhinus galapagensis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