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핵꼬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핵꼬치는 몸이 길고 횡단면이 원통형이며, 몸 측면에 줄무늬가 있는 어종이다. 푸른색과 회백색의 몸 빛깔에 등지느러미 끝은 검은색을 띠며, 멸치, 청어, 정어리, 꽁치 등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는 육식성이다. 서부 태평양과 인도양, 남중국해, 오스트레일리아, 동남아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연안, 산호초, 암초 지역에서 무리 지어 생활한다. 식용으로 이용되며, 회나 구이로 먹거나 낚시 대상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꼬치고기과 - 꼬치고기속
    꼬치고기속은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하는 꼬치고기과의 어류 속으로, 가늘고 긴 몸, 날카로운 이빨, 발달한 측선을 가지며 사나운 포식성을 띈다.
  • 꼬치고기과 - 창꼬치
    창꼬치는 분류되지 않은 문서로, 관련 문서 링크를 통해 연결을 요청하며,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고 진보적 가치를 추구한다.
  • 1905년 기재된 물고기 - 갈라파고스상어
    갈라파고스상어는 흉상어과에 속하며, 열대 해양 섬 주변의 맑은 물에서 발견되고 최대 3.7m까지 자라며, 인간에게 잠재적으로 위험하고 상업 어업으로 인해 개체 수 감소의 위험에 직면해 있다.
  • 1905년 기재된 물고기 - 짱뚱어
    짱뚱어는 동아시아 갯벌에 서식하며 피부 호흡을 하는 초식성 어류로, 독특한 생태와 서식지 파괴, 남획 등으로 인해 보존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한국과 일본에서는 식용으로도 이용된다.
  • 고등어목 - 가다랑어
    가다랑어는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몸에 검은색 세로띠가 있는 방추형 어류로, 작은 어류 등을 섭취하고 다른 어류의 먹이가 되기도 하며, 다양한 형태로 판매되지만 수은 오염 문제가 있어 섭취 시 주의해야 한다.
  • 고등어목 - 참다랑어
    참다랑어는 태평양과 인도양의 열대 및 온대 해역에 서식하는 대형 온혈 어류로, 굵고 짧은 방추형 몸체와 짙은 감청색 등, 은회색 배를 가지며 높은 경제적 가치로 인해 과도한 어획과 함께 양식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핵꼬치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핵꼬치
핵꼬치
핵꼬치
핵꼬치
학명Sphyraena jello
명명자Cuvier in Cuvier and Valenciennes, 1829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강
상목극기상목
(미분류) 전갱이류
꼬치고기과
꼬치고기속
핵꼬치

2. 특징

핵꼬치는 무리를 지어 유영하는 어종이다. 새궁에는 새파(원구류 제외)가 있으며, 이는 골질 중심부에 편평한 상피로 덮여 있고 점액 세포와 맛봉오리가 흩어져 있다. 제1등지느러미는 두 번째 가시가, 제2등지느러미는 두 번째 연조가 가장 길며 마지막 연조는 실처럼 늘어나 있다. 뒷지느러미도 마지막 연조가 실처럼 늘어나 있다. 양턱 끝에는 송곳니처럼 날카로운 이빨이 줄지어 나 있으며, 안쪽으로 위턱에는 8개, 아래턱에는 13개의 작고 날카로운 이빨이 있다. 멸치, 청어, 정어리, 꽁치 등 작은 물고기를 주로 먹는 육식성 물고기이다.

2. 1. 형태

핵꼬치는 몸이 길고 횡단면은 원통형이다. 몸 측면에 잘 발달된 줄무늬가 있다. 몸 빛깔은 푸른색과 회백색이며 등지느러미 끝쪽은 검은색이다. 눈은 크고 머리 뒤쪽에 위치하며 콧구멍은 2쌍이다. 입은 매우 크고 위턱 뒤끝은 눈 앞가장자리에 달한다. 몸은 작은 둥근비늘로 덮여 있고, 머리는 두 눈 부위에만 비늘이 있다. 양턱 끝에는 송곳니처럼 날카로운 이빨이 줄지어 나 있다. 등지느러미는 2개이며, 가슴지느러미는 몸 중앙에, 배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보다 조금 앞에 위치한다. 뒷지느러미는 제2등지느러미 바로 아래에서 시작하며, 꼬리지느러미는 가랑이형이다.[4]

어린 개체

2. 2. 생태

핵꼬치는 무리를 이뤄 군집 유영을 하는 어종이다. 10월과 11월에 페르시아만에서 산란하며,[5] 산란 후에는 먹이를 섭취한다.[5][3] 멸치, 청어, 정어리, 꽁치와 같은 작은 물고기들을 주로 잡아먹는 육식성 물고기이다.

퀸즐랜드


태평양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며,[4] 보통 산호초 주변을 포함한 태평양의 열대 해역에서 무리를 지어 헤엄치는 것을 볼 수 있다.[2] 하지만 밤에는 사냥을 시작한다.[2] 수심 2~200m의 다양한 깊이에서 발견될 수 있다.[2]

3. 분포 및 서식지

핵꼬치는 태평양 서부와 인도양에 주로 서식하며, 중국 남중국해부터 오스트레일리아, 동남아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수심 10~60m의 연안, 산호초, 암초가 많은 지역에서 주로 서식하는 표해수대 어류이다.[4] 태평양의 열대 해역에서 무리를 지어 헤엄치는 것을 볼 수 있으며,[2] 밤에는 사냥을 한다.[2] 수심 2~200m의 다양한 깊이에서 발견될 수 있다.[2]

4. 인간과의 관계

핵꼬치는 식용으로 이용되며 주로 , 구이 등으로 먹는다.[1]

참조

[1] 서적 Sphyraena jello FishBase 2005-11
[2] 웹사이트 Pickhandle Barracuda, Sphyraena Jello Cuvier, 1829 https://australian.m[...] 2022-02-28
[3] 논문 Are mangroves a limiting resource for two coral reef fishes? 2004
[4] 웹사이트 Pickhandle Barracuda – Facts and Photographs https://seaunseen.co[...] 2021-01-14
[5] 논문 Feeding and Spawning of Sphyraena jello in the North-West of Persian Gulf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