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리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감리교회는 정통 복음주의와 개신교 공교회주의를 따르는 기독교 교파로, 성경, 전통, 이성, 체험을 신학적 토대로 삼는다. 존 웨슬리의 신학을 기반으로 하며, 모든 사람이 구원받을 수 있다는 만인구원론을 강조한다.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시작된 감리교는 평신도의 참여를 중시하며, 사회 복지 및 교육에도 힘썼다. 한국에는 1885년 아펜젤러 선교사에 의해 처음 전래되었으며, 현재 기독교대한감리회와 예수교대한감리회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연합 감리교회가 가장 큰 교단이며, 영국 감리교회 또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감리교는 에큐메니칼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다른 교단과의 협력을 통해 기독교의 연합을 추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감리교회 | |
---|---|
감리교 정보 | |
![]() | |
관련 항목 | 역사 (미국에서) |
교리 표준 | 성경 구약성경 신약성경 신경 니케아 신경 사도신경 신앙개조 여러 경우에 대한 설교 신약성서 주해 |
독특한 신념과 실행 | 믿음의 확신 조건부 성도의 견인 만인제사장 성도 신학적 권위의 네 가지 원천 언약신학 대속죄 주입된 의 도덕법 새로운 탄생 자유 의지 외적 거룩 선행적 은총 실재 성화 (은혜 안에서의 성장) 주일성수 기독교 완전 두 번째 은혜의 역사 성령 세례 죄에 대한 관점 경건의 행위 자비의 행위 |
관련 인물 | 존 웨슬리 찰스 웨슬리 |
추가 정보 | |
관련 링크 | 단체 교회 |
관련 링크 (추가) | 기독교 포털 |
관련 웹사이트 | 세계 감리교 협의회 |
2. 감리교 신학적 배경
감리교회의 신학은 정통적인 복음주의와 개신교회 공교회주의를 따르며, 성경, 전통, 이성, 체험을 신학적 토대로 가진다. 모든 것은 하나님의 은혜이나 그것을 받아들이는 인간의 응답이 반드시 따라야한다는 것이 웨슬리가 말하는 자유의지다. 이를 다섯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332]
아프리카 감리교 감독 교회와 미합중국 감리교회와 같은 많은 감리교 단체들은 그들의 교리적 표준을 신앙규정에 두고 있는데,[56] 이는 존 웨슬리가 칼뱅주의적 특징을 제거하여 영국 성공회의 39개조 신앙고백을 요약한 것이다.[57] 일부 감리교 교단은 또한 기독교 교리를 간결하게 요약한 교리문답을 발행한다.[55] 감리교인들은 일반적으로 공유된 기독교 신앙의 선언으로서 사도신경과 니케아 신경을 받아들인다.[55][58] 감리교는 삼위일체 하나님(성부, 성자, 성령)에 대한 전통적인 기독교적 신앙과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에 대한 정통적인 이해, 즉 하나님으로 성육신하신 분으로서 완전히 신적이고 완전히 인간적인 분임을 확증한다.[59] 감리교는 또한 신자들의 신앙을 강화하고 그들의 개인적인 삶을 변화시키는 성령의 능력을 보여주는 교리들을 강조한다.[60]
감리교는 교리적으로 광범위하게 복음주의적이며 웨슬리 신학으로 특징지어진다.[61] 존 웨슬리는 그의 교회 관행과 교리에 대한 해석 때문에 감리교인들에 의해 연구된다.[55] 그 핵심에서 존 웨슬리의 신학은 그리스도인의 성결의 삶을 강조했다. 즉, 마음과 정신과 영혼과 힘을 다하여 하나님을 사랑하고 네 이웃을 네 자신처럼 사랑하는 것이다.[62][63] 감리교 교리의 한 가지 대중적인 표현은 찰스 웨슬리의 찬송가에 있다.[64] 열정적인 회중 찬송이 초기 복음주의 운동의 일부였기 때문에, 웨슬리 신학은 이 경로를 통해 뿌리를 내리고 퍼져나갔다.[65][66]
;공교회적 구원론
감리교회는 초대교회와 공교회의 만인구원론을 바탕으로 구원론을 재발견하였다. 이는 누구나 구원을 받을 수 있으며, 구원에 참여하는 인간의 자유의지를 존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정론과는 달리, "절대적인 사랑의 하나님"은 구원을 베푸시는 분이며, 인간은 하나님의 구원에 다가가기 위한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본다.
웨슬리 감리교는 신학적 결정론과는 대조적으로 자유 의지에 대한 아르미니우스주의적 개념과 동일시한다.[68] 감리교는 구원은 하나님께로 향하는 개인을 이끄시는(웨슬레의 예비 은총 교리) 하나님께 반응하기로 선택할 때 시작된다고 가르치며, 협동설을 주장한다.[72][73]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의 사역은 모든 사람을 위한 것이지만(무제한 속죄론) 오직 반응하고 믿는 자들에게만 효과적이라고 가르치며, ''sola gratia''(오직 은혜로)와 ''sola fide''(오직 믿음으로)라는 종교 개혁 원칙에 따른다.[74]
존 웨슬리는 감리교의 근본이 되는 네 가지 핵심 사항을 가르쳤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사람은 자유 의지의 행위로 구원을 거부할 뿐만 아니라 받아들일 자유도 있다.
# 주어진 지식의 척도에 따라 복음에 순종하는 모든 사람은 구원받을 것이다.
# 성령은 그리스도인에게 예수에 대한 믿음으로 칭의되었다는 것을 확신시킨다(믿음의 확신).[7][75]
# 이 땅에서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인의 완전에 도달할 수 있으며, 하나님께서 그것을 추구하도록 명령하셨다.[76]
첫 번째 은총의 사역(새로운 탄생) 후,[6] 감리교 구원론은 구원에서 거룩을 추구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77] "참된 믿음...은 행위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79] 성결 운동을 포함한 감리교는 "칭의는 성화에서의 순종과 진보에 조건이 달려 있다"고 가르치며,[78] "믿음에 이르는 것뿐만 아니라 믿음 안에 머무는 것에도 그리스도에 대한 깊은 의존"을 강조한다.[80] 존 웨슬리는 십계명[81]에 담긴 도덕법을 지키는 것과 경건의 행위와 자비의 행위에 참여하는 것은 "우리의 성화에 필수적"이라고 가르쳤다.[79]
감리교 교리는 죄를 (1) "진정한 의미의 죄"와 (2) "알려져 있거나 알려지지 않은 신의 법에 대한 무의식적인 범죄"로 구분한다. 전자는 하나님에 대한 고의적인 범죄를 포함하고, 후자는 ("미성숙, 무지, 신체적 장애, 건망증, 식별력 부족 및 의사소통 기술 부족"과 같은) 허약함을 포함한다.[82][83] 웨슬리는 하나님께서 낳으신 자들은 죄를 ''습관적으로'' 짓지 않으며, 그렇게 하는 것은 죄가 여전히 지배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믿지 않는 자의 표시라고 설명한다. 그리스도인은 믿는 자의 의지가 이제 그리스도를 위해 사는 것에 굳게 서 있기 때문에 ''고의적으로'' 죄를 짓지 않는다. 또한, 믿는 자들이 욕망으로 죄를 짓지 않는다고 주장하는데, 그 이유는 마음이 하나님의 완전한 뜻만을 원하도록 철저히 변화되었기 때문이다. 웨슬리는 “허약으로 인한 죄”는 “의지의 동의”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생각, 말, 행위에서 이러한 일탈은 “진정한” 의미의 죄가 아니라고 결론짓는다.[83]
감리교도들은 두 번째 은총의 사역을 믿는다.원죄를 제거하고, 믿는 자를 거룩하게 만들고, 하나님을 온전히 섬길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완전한 성화로도 알려져 있다.[6][85] 존 웨슬리는 "완전한 성화 또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은 순수한 사랑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사랑은 죄를 몰아내고 하나님의 자녀의 마음과 삶 모두를 다스린다. 정련하는 불은 사랑에 반대되는 모든 것을 제거한다."고 설명했다.[86][87]
감리교회는 배도가 믿음의 상실이나 죄를 짓는 것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고 가르친다.[88][89] 어떤 사람이 타락했지만 나중에 하나님께 돌아가기로 결정하면, 그는 죄에 대해 회개하고 다시 완전히 성화되어야 한다(조건적 안전이라는 아르미니우스주의 교리).[90][91]
;삼위일체 하나님 체험
둘째,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체험신앙이다. 종교적인 체험은 추상적인 절대적인 교리로서 하나님이 아니라 누구나 체험할 수 있는 삶의 변화, 회개, 거룩한 용서를 느끼고 십자가를 지신 역사 속, 신약성경에 기록된 부활의 그리스도를 따르고 확인하는 신앙을 강조한다.
;평신도의 참여
평신도를 교회의 온전한 지체로 이해한다. 평신도를 위해 교회 교리를 찬송으로 고백하고 이해하도록 하고, 교회활동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성례전을 제외한 교회 활동을 평신도에게 개방한다.
평신도가 교회 내에서 속회를 통해 작은 모임으로 활동하며 선교와 전도, 성경공부 활동을 강화하고, 속회 지도자를 평신도에서 선출하였다. 야외전도와 순회전도에 성직자의 설교와 성찬식과 함께 평신도들을 동참시켜 회개와 체험 나누고 평신도의 역량으로 교회의 지체가 되도록 한다.
군대나 학교와 잘 맞아 선교 학교나 병원 건설, 빈민 구제 등의 사회복지에도 열심이었다. 당시 교육 기회에 혜택을 받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일반 교육을 제공하는 주일학교(교회학교로서 기독교 교육을 실시하도록 시대에 따라 변화했다)나, 당시 유행가에 가사를 붙여 구어체의 평이한 찬송가를 보급한 것도 메소디스트 신자들이 중심이었다.
;기독자의 완전 성화 교리
웨슬리의 신학은 “완전을 향한 실천”이지 완전한 교리가 아니었고, “완전한 사랑”이지 완전한 도덕이 아니었다. 그리스도를 향한 신앙을 실천하는 과정을 중요시하며 그 과정에서 과정을 통해 발전하는 완전한 사랑을 강조한다.
완전한 실천을 위해 어른만이 아니라 그들의 자녀도 성경의 복음으로 훈육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알고 따라 살게 하며, 그리스도를 닮은 인격이 되도록 노력한다.
완전한 실천은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 사회적 차원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18세기 산업혁명 시기에 영국의 극심한 대립적 사회 구조 상태에서 빈민, 고아, 노인, 노동자, 농노, 노예의 신앙적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적 생활환경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사회적 복지와 사회제도 개선을 주장하였고, 하나님의 창조의지를 벗어난 농노 제도, 노예 제도, 아동 노동, 과다한 노동시간, 고리대금업을 폐지하는 사회개혁 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는 당시 영국의 사회, 정치, 경제적인 대립적 갈등을 줄이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공교회주의적 일치
공교회주의(보편교회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교회 연합을 강조한다. 교회가 동서로 분리되는 11세기 이전인 공교회 시기의 신학과 교회 제도에 대한 신학적 관심을 바탕으로 공교회를 따르는 현재 세계 교회들의 일치를 강조한다. 대한민국에서도 미국의 선교로 남북 감리교회가 하나의 감리교회가 되었고, 한국전쟁과 역사적 문제들에서 대한민국 감리교회는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교회를 이루고 있다. 세계적으로도 감리교회는 최초의 개신교 연합회인 세계감리교협의회를 설립하고, 20세기에 전 세계의 교회 일치 운동, 즉 에큐메니컬 운동을 시작한 지도적 교회이다.
2. 1. 공교회적 구원론
감리교회는 초대교회와 공교회의 만인구원론을 바탕으로 구원론을 재발견하였다. 이는 누구나 구원을 받을 수 있으며, 구원에 참여하는 인간의 자유의지를 존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정론과는 달리, "절대적인 사랑의 하나님"은 구원을 베푸시는 분이며, 인간은 하나님의 구원에 다가가기 위한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본다.웨슬리 감리교는 신학적 결정론과는 대조적으로 자유 의지에 대한 아르미니우스주의적 개념과 동일시한다.[68]아르미니우스주의는 구원에 있어 자유 의지의 역할을 주장하고 예정론과 무조건적 선택의 교리를 거부한다.[70] 존 웨슬리는 아마도 아르미니우스 신학을 가장 명확하게 주장한 영국의 대표자였을 것이다.[71]|group="nb"|name="아르미니우스주의"}} 감리교는 구원은 하나님께로 향하는 개인을 이끄시는(웨슬레의 예비 은총 교리) 하나님께 반응하기로 선택할 때 시작된다고 가르치며, 협동설을 주장한다.[72][73]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의 사역은 모든 사람을 위한 것이지만(무제한 속죄론) 오직 반응하고 믿는 자들에게만 효과적이라고 가르치며, ''sola gratia''(오직 은혜로)와 ''sola fide''(오직 믿음으로)라는 종교 개혁 원칙에 따른다.[74]
존 웨슬리는 감리교의 근본이 되는 네 가지 핵심 사항을 가르쳤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사람은 자유 의지의 행위로 구원을 거부할 뿐만 아니라 받아들일 자유도 있다.
# 주어진 지식의 척도에 따라 복음에 순종하는 모든 사람은 구원받을 것이다.
# 성령은 그리스도인에게 예수에 대한 믿음으로 칭의되었다는 것을 확신시킨다(믿음의 확신).[7][75]
# 이 땅에서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인의 완전에 도달할 수 있으며, 하나님께서 그것을 추구하도록 명령하셨다.[76]
첫 번째 은총의 사역(새로운 탄생) 후,[6] 감리교 구원론은 구원에서 거룩을 추구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77] 감리교 복음 전도자 피비 팔머는 “내가 거룩해지는 것을 거부했다면 칭의는 나로 끝났을 것이다.”라고 말했다.[78] "참된 믿음...은 행위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79] 성결 운동을 포함한 감리교는 "칭의는 성화에서의 순종과 진보에 조건이 달려 있다"고 가르치며,[78] "믿음에 이르는 것뿐만 아니라 믿음 안에 머무는 것에도 그리스도에 대한 깊은 의존"을 강조한다.[80] 존 웨슬리는 십계명[81]에 담긴 도덕법을 지키는 것과 경건의 행위와 자비의 행위에 참여하는 것은 "우리의 성화에 필수적"이라고 가르쳤다.[79]
감리교 교리는 죄를 (1) "진정한 의미의 죄"와 (2) "알려져 있거나 알려지지 않은 신의 법에 대한 무의식적인 범죄"로 구분한다. 전자는 하나님에 대한 고의적인 범죄를 포함하고, 후자는 ("미성숙, 무지, 신체적 장애, 건망증, 식별력 부족 및 의사소통 기술 부족"과 같은) 허약함을 포함한다.[82][83] 웨슬리는 하나님께서 낳으신 자들은 죄를 ''습관적으로'' 짓지 않으며, 그렇게 하는 것은 죄가 여전히 지배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믿지 않는 자의 표시라고 설명한다. 그리스도인은 믿는 자의 의지가 이제 그리스도를 위해 사는 것에 굳게 서 있기 때문에 ''고의적으로'' 죄를 짓지 않는다. 또한, 믿는 자들이 욕망으로 죄를 짓지 않는다고 주장하는데, 그 이유는 마음이 하나님의 완전한 뜻만을 원하도록 철저히 변화되었기 때문이다. 웨슬리는 “허약으로 인한 죄”는 “의지의 동의”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생각, 말, 행위에서 이러한 일탈은 “진정한” 의미의 죄가 아니라고 결론짓는다.[83]
자유 감리교회의 종교 조항은 다음과 같이 반영한다.[84]
감리교도들은 두 번째 은총의 사역을 믿는다.원죄를 제거하고, 믿는 자를 거룩하게 만들고, 하나님을 온전히 섬길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완전한 성화로도 알려져 있다.[6][85] 존 웨슬리는 "완전한 성화 또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은 순수한 사랑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사랑은 죄를 몰아내고 하나님의 자녀의 마음과 삶 모두를 다스린다. 정련하는 불은 사랑에 반대되는 모든 것을 제거한다."고 설명했다.[86][87]
감리교회는 배도가 믿음의 상실이나 죄를 짓는 것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고 가르친다.[88][89] 어떤 사람이 타락했지만 나중에 하나님께 돌아가기로 결정하면, 그는 죄에 대해 회개하고 다시 완전히 성화되어야 한다(조건적 안전이라는 아르미니우스주의 교리).[90][91]
2. 2. 삼위일체 하나님 체험
둘째,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체험신앙이다. 종교적인 체험은 추상적인 절대적인 교리로서 하나님이 아니라 누구나 체험할 수 있는 삶의 변화, 회개, 거룩한 용서를 느끼고 십자가를 지신 역사 속, 신약성경에 기록된 부활의 그리스도를 따르고 확인하는 신앙을 강조한다.2. 3. 평신도의 참여
평신도를 교회의 온전한 지체로 이해한다. 평신도를 위해 교회 교리를 찬송으로 고백하고 이해하도록 하고, 교회활동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성례전을 제외한 교회 활동을 평신도에게 개방한다.평신도가 교회 내에서 속회를 통해 작은 모임으로 활동하며 선교와 전도, 성경공부 활동을 강화하고, 속회 지도자를 평신도에서 선출하였다. 야외전도와 순회전도에 성직자의 설교와 성찬식과 함께 평신도들을 동참시켜 회개와 체험 나누고 평신도의 역량으로 교회의 지체가 되도록 한다.
군대나 학교와 잘 맞아 선교 학교나 병원 건설, 빈민 구제 등의 사회복지에도 열심이었다. 당시 교육 기회에 혜택을 받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일반 교육을 제공하는 주일학교(교회학교로서 기독교 교육을 실시하도록 시대에 따라 변화했다)나, 당시 유행가에 가사를 붙여 구어체의 평이한 찬송가를 보급한 것도 메소디스트 신자들이 중심이었다.
2. 4. 기독자의 완전 성화 교리
웨슬리의 신학은 “완전을 향한 실천”이지 완전한 교리가 아니었고, “완전한 사랑”이지 완전한 도덕이 아니었다. 그리스도를 향한 신앙을 실천하는 과정을 중요시하며 그 과정에서 과정을 통해 발전하는 완전한 사랑을 강조한다.완전한 실천을 위해 어른만이 아니라 그들의 자녀도 성경의 복음으로 훈육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알고 따라 살게 하며, 그리스도를 닮은 인격이 되도록 노력한다.
완전한 실천은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 사회적 차원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18세기 산업혁명 시기에 영국의 극심한 대립적 사회 구조 상태에서 빈민, 고아, 노인, 노동자, 농노, 노예의 신앙적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적 생활환경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사회적 복지와 사회제도 개선을 주장하였고, 하나님의 창조의지를 벗어난 농노 제도, 노예 제도, 아동 노동, 과다한 노동시간, 고리대금업을 폐지하는 사회개혁 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는 당시 영국의 사회, 정치, 경제적인 대립적 갈등을 줄이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2. 5. 공교회주의적 일치
공교회주의(보편교회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교회 연합을 강조한다. 교회가 동서로 분리되는 11세기 이전인 공교회 시기의 신학과 교회 제도에 대한 신학적 관심을 바탕으로 공교회를 따르는 현재 세계 교회들의 일치를 강조한다. 대한민국에서도 미국의 선교로 남북 감리교회가 하나의 감리교회가 되었고, 한국전쟁과 역사적 문제들에서 대한민국 감리교회는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교회를 이루고 있다. 세계적으로도 감리교회는 최초의 개신교 연합회인 세계감리교협의회를 설립하고, 20세기에 전 세계의 교회 일치 운동, 즉 에큐메니컬 운동을 시작한 지도적 교회이다.3. 복음적 성화 개념
감리교회는 이전 종교개혁에서 강조한 성화를 기독교인의 완전과 연합시켜 감리교회의 '''성화 사상'''으로 발전시켰다.[333] 감리교회의 성화는 인간의 의지와 하나님의 은총으로 하나님을 더 높은 수준으로 만나며, 더 가까이 갈 수 있으며, 이를 체험하면서 한 번의 구원 은총에만 멈추지 않아야 한다는 신학적 입장이다. 이러한 신학적 배경에는 영국의 국가 주도 종교개혁을 부족하다고 보고 언약사상으로 개혁하려고 했던 청교도와 독일 교회의 경건주의, 초대교회의 전통을 존중하는 공교회(보편교회) 전통의 영향이 있다.[333]
4. 한국 전래
한국에서는 감리교의 첫 선교가 한국 개신교의 시작을 의미하기도 한다. 개신교회 최초로 1884년 6월 27일 일본에서 활동중인던 미국 감리교 선교사인 매클레이(Maclay,R.S.)가 내한하여 같은해 7월에 개화파 지도자인 김옥균(金玉均)을 통하여 대한제국 고종에게 감리교회의 선교사업에 대한 윤허를 요청하였고,[334] 고종은 교육사업과 의료사업 활동만을 허용하였다.[335] 직접적인 선교는 1885년 미국 감리교 선교사인 아펜젤러가 인천에 도착하며 시작되었다. 일제 강점기에는 기독교대한감리회의 전신인 조선감리회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전래 초기부터 교육에 관심을 기울여, 한국 내 관련 대학으로 감리교신학대학교, 협성대학교, 목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배재대학교, 배화여자대학교, 안산대학교 등이 있고, 감리교회 목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으로 감리교신학대학교, 협성대학교, 목원대학교 등의 신학대학과 신학대학원이 있다. 장로교회와 연합하여 세운 연세대학교 신학대학원 출신자들은 교역자필수과목을 이수하면 감리교회 목회자가 될 수 있다.
4. 1. 한국 감리교의 주요 교단
한국감리교회(KMC)는 약 150만 명의 신자와 8,306명의 목회자를 보유한 대한민국 최대 교단 중 하나이다.[258] 한국의 감리교는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영국과 미국의 선교 활동에서 비롯되었다. 최초의 선교사는 맥라이(Robert Samuel Maclay)로, 1884년 일본에서 출발하여 고종 황제로부터 의료 및 교육 허가를 받았다.[259] 한국 감리교회는 1930년에 미국 감리교회, 그리고 후에 연합감리교회와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완전한 자치권을 획득하였다.[258] 20세기 대부분의 기간 동안 한국 전쟁에도 불구하고 신자 수가 급증하였고, 1990년대에 안정세에 접어들었다.[258] 세계감리교협의회의 회원이며, 2001년에는 제1회 아시아 감리교 대회를 개최하였다.[258]북미에는 한국어를 사용하는 이민자들을 위한 많은 한국어 감리교회가 있으며, 그 중 일부는 감리교라는 이름으로 명명되지 않은 곳도 있다.
주요 교단으로는 [http://www.kmc.or.kr/ 기독교 대한 감리회]와 [http://www.jmckorea.org/ 예수교 대한 감리회]가 있다.
4. 2. 한국 감리교의 교육 기관
한국의 이화여자대학교는 감리교 선교사에 의해 설립된 명문 여자대학이다. 일본에서는 진제이가쿠인대학, 아오야마가쿠인대학, 간사이가쿠인대학이 감리교 미션스쿨로 유명하다. 미국에서는 웨슬리언대학교(Wesleyan University), 남감리교대학교(Southern Methodist University), 아메리칸대학교(American University), 테네시 웨슬리언 대학교/Tennessee Wesleyan University영어 등이 감리교 계통의 유명한 학교이며, 보스턴대학교(Boston University)도 감리교 목사에 의해 설립되었다.5. 미국 연합 감리교회
미국 내 감리교회는 영국 감리회와 달리 감독제 교회 형태를 유지하며 발전하여 1950년대까지 미국 내에서 가장 큰 개신교 교회로 성장하였다.[275] 현재 대표적인 교단은 1968년 '감리교회' (The Methodist Church)와 '복음주의 연합 형제교회' (The Evangelical United Brethren Church)가 통합하여 세워진 '연합 감리교회(United Methodist Church)' (The United Methodist Church)이다.[284] 그 외에 '자유 감리교회(Free Methodist Church)' 및 '나사렛교회(Church of the Nazarene)'가 전통을 공유하고 있다.
존 웨슬리는 사제 서품 권한이 감독에게만 국한되지 않고 다른 사제들도 서품할 수 있다고 믿었다. 1784년, 웨슬리는 토마스 코크를 미국에 파견했고, 프랜시스 애즈버리는 볼티모어 성탄절 회의에서 감리교 감독교회(Methodist Episcopal Church)를 설립했다. 코크는 애즈버리를 집사, 장로, 감독으로 서품했다.[271] 순회 설교자들이 복음을 전파하며 교회를 세웠는데, 그중 로버트 스트로브리지가 유명했다.[272]
제1차 대각성(First Great Awakening) 시기, 조지 화이트필드는 식민지 전역을 여행하며 모든 사람을 청중으로 받아들여 설교했다.[273] 사람들은 열정적이고 감정적으로 종교에 참여했으며, 집에서 성경을 공부했다.
제2차 대각성(Second Great Awakening)으로 뉴잉글랜드에서 종교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나면서 감리교는 성장하여 보스턴 대학교(Boston University) 등 여러 대학을 설립했다. 감리교는 제2차 대각성(Second Great Awakening)에서 빠르게 성장하여 1820년에는 미국에서 가장 큰 교파가 되었다.[275] 1790년 5만 8천 명에서 1860년 166만 1천 명으로 성장했다.[275] 감리교는 독일 이민자들을 끌어들였고, 첫 번째 독일 감리교회가 오하이오주 신시내티(Cincinnati, Ohio)에 세워졌다.[277]
노예제에 대한 논쟁으로, 웨슬리안 감리교회(웨슬리안 감리교 연합)(Wesleyan Methodist Church (United States))(후에 웨슬리안 감리교회로 개명됨)와 자유 감리교회(Free Methodist Church)는 확고한 노예 폐지론자들에 의해 설립되었다.[278] 1845년 켄터키주 루이빌에서 노예 소유 주의 교회들이 감리교 감독교회에서 탈퇴하여 남부 감리교 감독교회(Methodist Episcopal Church, South)를 설립했다. 1939년에 북부와 남부 지부가 재결합되었고, 감리교 프로테스탄트 교회(Methodist Protestant Church)도 참여했다. 신학적으로 더 보수적인 일부 남부 사람들은 1940년에 남부 감리교회(Southern Methodist Church)를 설립했다.
제3차 대각성(Third Great Awakening)은 감리교 회원 수의 증가와 모닝사이드 대학 등 기관의 증가를 가져왔다. 감리교인들은 "선교 부흥"과 사회복음(Social Gospel) 운동에 참여했다.
1914년~1917년에 많은 감리교 목사들이 세계 평화를 호소했고, 우드로 윌슨(Woodrow Wilson) 대통령은 "모든 전쟁을 끝내기 위한 전쟁"을 약속했다.[281] 1930년대 많은 감리교인들은 고립주의 정책을 선호했으나, 중국을 침략한 일본에 대한 불매 운동을 촉구했다.[282] 1941년 전쟁 발발 시 대다수 감리교인들은 전쟁을 지지했지만, 소수의 양심적 병역 거부자(conscientious objectors)도 있었다.[283]
연합 감리교회(United Methodist Church)(UMC)는 1968년 복음 연합 형제 교회(Evangelical United Brethren Church)(EUB)와 미국 감리교회(Methodist Church (USA))의 합병으로 설립되었다.[284] 미국 연합 감리교회는 회원 수가 감소하고 있지만, 개발도상국에서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284]
미국 감리교회는 연합 모델로 조직되어 있다. 목사들은 감독에 의해 교회에 배정되며, 평신도 회원들에게 대표성을 부여한다.
연합 감리교회 외에도 40개 이상의 감리교 교파가 있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감리교 감독교회(African Methodist Episcopal Church), 자유 감리교인, 웨슬리안 교회 등이 감리교이다. 성결 부흥은 감리교 신앙을 가진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났다.[288]
2020년 연합 감리교인들은 동성 결혼 문제로 교파를 분열시킬 계획을 발표했고,[290] 이는 2022년 5월 1일에 세계 감리교회(Global Methodist Church)가 설립되는 결과로 이어졌다.[291][292][293]
6. 감리교의 기원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존 웨슬리와 찰스 웨슬리 형제는 "성결 클럽"을 설립했다.[26] 이 클럽은 매주 모여 체계적으로 거룩한 삶을 살기 시작했다. 그들은 매주 성찬을 받고, 정기적으로 금식하며, 대부분의 오락과 사치를 삼가고, 자주 병자와 가난한 사람들과 죄수들을 방문했다.[27] 이러한 종교 활동의 "규칙"과 "방법" 때문에 동료 학생들로부터 "감리교도"라는 별명을 얻었으며,[27] 존 웨슬리는 이를 명예로운 칭호로 바꾸었다.[27][28]
6. 1. 옥스퍼드 대학교 성결 클럽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존 웨슬리와 찰스 웨슬리 형제는 "성결 클럽"을 설립했다.[26] 이 클럽은 매주 모여 체계적으로 거룩한 삶을 살기 시작했다. 그들은 매주 성찬을 받고, 정기적으로 금식하며, 대부분의 오락과 사치를 삼가고, 자주 병자와 가난한 사람들과 죄수들을 방문했다.[27] 이러한 종교 활동의 "규칙"과 "방법" 때문에 동료 학생들로부터 "감리교도"라는 별명을 얻었으며,[27] 존 웨슬리는 이를 명예로운 칭호로 바꾸었다.[27][28]6. 2. 알더스게이트 체험
감리교 부흥은 18세기 영국에서 존 웨슬리(1703–1791)와 그의 동생 찰스(1707–1788)를 포함한 여러 사람들에 의해 성공회 내부 운동으로 시작되었다.[24][25] 웨슬리 형제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성결 클럽"을 설립했는데, 존은 옥스퍼드 대학교의 연구원이었고 나중에는 링컨 칼리지의 강사가 되었다.[26] 이 클럽은 매주 모여 체계적으로 거룩한 삶을 살기 시작했다. 그들은 매주 성찬을 받고, 정기적으로 금식하며, 대부분의 오락과 사치를 삼가고, 자주 병자와 가난한 사람들, 죄수들을 방문했다. 이 모임의 회원들은 종교 활동에 "규칙"과 "방법"을 사용하는 방식 때문에 동료 학생들로부터 "감리교도"라는 오명을 얻었다.[27] 클럽의 지도자였던 존은 이러한 조롱을 받아들여 명예로운 칭호로 바꾸었다.[27][28]1735년, 조지아 식민지의 설립자 제임스 오글소프 장군의 초청으로 존과 찰스 웨슬리 형제는 식민지 주민들에게 목사가 되고 아메리카 원주민들에게 선교사가 되기 위해 미국으로 떠났다.[29] 그들의 활동은 성공적이지 못했고, 형제들은 진정한 기독교 신앙의 부족을 인식하고 영국으로 돌아왔다. 그들은 페터 보엘러와 모라비안 교회의 다른 회원들로부터 도움을 요청했다. 1738년 5월 24일, 알더스게이트에서 모라비안 예배 중에 존은 "마음이 이상하게 따뜻해지는" 경험을 했는데, 이는 그의 복음주의적 회심으로 여겨진다.[30] 그는 자신의 일기에 "나는 그리스도, 오직 그리스도만을 구원의 근거로 믿는다는 것을 느꼈고, 그가 나의 죄, 심지어 나의 죄까지도 제거하고 나를 죄와 사망의 법에서 구원했다는 확신을 얻었다."라고 적었다.[31] 찰스는 며칠 전에 비슷한 경험을 했다고 보고했다. 다니엘 L. 버넷은 "[존] 웨슬리의 알더스게이트 체험의 중요성은 엄청나다... 이 체험이 없었다면 웨슬리와 감리교의 이름은 아마 교회사의 페이지에서 희미한 각주 이상의 의미가 없었을 것이다."라고 적었다.[32]
웨슬리 형제는 즉시 가정, 종교 협회 및 복음주의 설교자들에게 문을 닫지 않은 몇몇 교회에서 개인과 집단에게 믿음을 통한 구원을 전파하기 시작했다.[33] 존 웨슬리는 네덜란드 신학자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1560–1609)의 영향을 받아, 하나님이 일부 사람들을 영원한 행복으로, 다른 사람들을 영원한 멸망으로 미리 정하셨다는 칼뱅주의적 가르침을 거부했다.
6. 3. 평신도 설교자와 지도자 임명
감리교 부흥은 18세기 영국에서 존 웨슬리(1703–1791)와 그의 동생 찰스(1707–1788)를 포함한 여러 사람들에 의해 성공회 내부 운동으로 시작되었다.[24][25] 웨슬리 형제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성결 클럽"을 설립했는데, 존은 옥스퍼드 대학교의 연구원이었고 나중에는 링컨 칼리지의 강사가 되었다.[26] 이들은 규칙적인 종교 활동으로 인해 "감리교도"라는 별명을 얻었고, 존 웨슬리는 이를 명예로운 칭호로 바꾸었다.[27][28]1735년, 웨슬리 형제는 조지아 식민지 설립자의 초청으로 미국에 갔으나 실패하고 영국으로 돌아와 모라비안 교회의 도움을 받았다.[29] 1738년 5월 24일, 알더스게이트에서 모라비안 예배 중에 존 웨슬리는 "마음이 이상하게 따뜻해지는" 복음주의적 회심을 경험했다.[30] 그는 자신의 일기에 "그리스도, 오직 그리스도만을 구원의 근거로 믿는다"고 적었다.[31] 찰스 웨슬리도 비슷한 경험을 했다고 보고했다. 다니엘 L. 버넷은 이 체험이 없었다면 웨슬리와 감리교는 역사에 남지 않았을 것이라고 평가했다.[32]
웨슬리 형제는 개인과 집단에게 믿음을 통한 구원을 전파하기 시작했고,[33]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의 영향을 받아 칼뱅주의적 예정론을 거부했다. 조지 화이트필드(1714–1770), 하웰 해리스(1714–1773),[34] 헌팅던 백작 부인 셀리나 헤이스팅스(1707–1791)[35]는 칼뱅주의 감리교도였다.

조지 화이트필드는 웨슬리 형제와 함께 전국적인 운동을 이끌었으며, 비정통적인 순회 사역으로 유명했다.[33] 존 웨슬리는 들판, 탄광, 교회 묘지 등에서 교구 교회 예배에 참석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설교했다.[33] 많은 감리교 개종자들은 영국 성공회와 단절된 사람들이었다. 웨슬리는 감리교도들이 감리교 모임과 지역 교구 교회에 모두 참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
증가하는 복음주의 및 사목적 책임에 직면하여 웨슬리와 화이트필드는 평신도 설교자와 지도자들을 임명했다.[33] 이들은 특히 영국 성공회가 "소홀히 한"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파했다. 웨슬리와 그의 조수 설교자들은 새로운 개종자들을 감리교 사회로 조직했다.[33] 이들은 ''반''과 사랑 잔치에 참여했고,[36] 이는 감리교 공동체 정체성을 강화했다.[33] 감리교도들은 전적 타락, 오직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얻음, 내적이고 외적 거룩함을 믿음의 기초로 보았다.[37]
웨슬리는 예정론을 반대했고,[38] 기독교인들이 이 세상에서 두 번째 축복전적인 성결(그리스도인 완전성)을 누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6][39] 이 차이는 화이트필드와의 동맹에 긴장을 가져왔지만, 그들의 우정은 회복되었다.[40]

성공회 성직자들은 감리교의 거듭남, 믿음으로 의롭다 함, 성령의 역사 등의 교리가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두려워했다.[41] 감리교도들은 "열광자"로 공격받았고,[41] 폭력적인 공격도 있었다.[42] 그러나 감리교는 비평가들에게 대응하며 번창했다.[43]
초기 감리교는 영국 성공회 내 개혁을 추구했지만 점차 벗어났다. 조지 화이트필드는 ''공동기도서''의 고정된 기도 형식보다 즉흥적인 기도를 선호했고, 거듭남을 주장하여 앵글리칸 성직자들과 대립했다.[44]
감리교 사회가 증가하고 교회 제도가 채택되면서 웨슬리와 영국 성공회 사이의 균열은 커졌다. 1784년 웨슬리는 미국 독립 전쟁으로 인한 사제 부족에 대응하여 미국을 위한 설교자들을 서임했다.[45] 이는 미국 감리교도들과 영국 성공회 사이의 분열을 초래했다.[46]
존 웨슬리는 감리교의 발전이 하나님의 일이며, 전적인 성결 교리의 전파가 감리교도들을 일으키신 이유라고 가르쳤다.[47][48][130] 감리교도들은 "주님께 거룩함을"이라는 모토를 사용한다.[3]
화이트필드와 헌팅던 백작 부인의 영향은 1844년 영국 자유 교회 설립에 영향을 미쳤다. 웨슬리 사후 영국 식민지와 미국에는 500명이 넘는 감리교 설교자들이 있었다.[33] 영국 감리교 사회 회원 수는 1791년 56,000명에서 1836년 360,000명으로 증가했고, 1851년에는 1,463,000명에 달했다.[49]
초기 감리교는 기독교 여성#교회 지도자로서의 여성 권위를 허용했지만, 교회가 체계화되면서 여성의 역할은 감소했다.[50]
1838년부터 1902년까지 웨슬리안 교육 위원회는 감리교회의 어린이 교육 참여를 기록했다. 처음에는 주일학교 설립에 집중했지만, 1836년 영국 감리교 회의는 "평일 학교" 설립을 승인했다.[51][52]
감리교는 영국 제국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제1차 대각성 시기 화이트필드의 설교를 통해 미국으로 확산되었다. 1770년 화이트필드 사후 미국 감리교는 웨슬리안적이고 아르미니우스적인 발전을 했다.[53] 부흥 예배와 야영 집회는 감리교 메시지 전파에 사용되었고,[54] 프랜시스 애스버리는 이를 "우리의 수확철"이라고 했다.[54] 헨리 보엠은 1805년 도버 야영 집회에서 1100명이 거듭남을 받고 600명이 전적으로 성결되었다고 보고했다.[54] 존 스와넬 인스킵은 기독교 성결 증진을 위한 전국 야영 집회 협회를 이끌었고, 남부 감리교 감독 교회의 조지아 북부 회의 회원의 80%가 전적으로 성결되었다고 주장했다.[54]
메소디스트 운동은 존 웨슬리가 모라비아 형제단의 그리스도인들과 접촉하여 시작되었다. 웨슬리에게 매료된 사람들은 그의 지도를 구했고, 웨슬리는 목요일 밤에 이들과 교제하며 지도했다. 이는 메소디스트 소사이어티(Methodist Society)로 이어졌고, 평신도 전도자들이 세워져 대영제국 전체에 영향을 미쳤다.
식민지 미국에서의 메소디스트 활동도 평신도에 의해 시작되었다. 18세기 영국에서 시작된 신앙 각성 운동에서 생겨난 메소디스트 계열 교회들은 평신도 운동의 성격이 강했다.
초기에는 존 웨슬리 등 소수의 잉글랜드 국교회 사제들에 의해 지도되었고, 성직자의 참여가 거의 없어 평신도 설교자를 사용했기 때문에 국교회의 인정을 받지 못하고 박해를 받았다. 신학적으로는 국교회와 마찬가지로 로마 신학을 계승하지만, 평신도에 의한 자립적인 종교 활동을 뒷받침하기 위해 특이한 성령론(Pneumatology)을 가지고 있다.
영국에서의 메소디스트 운동은 중하층 계급 시민과 군인을 대상으로 한 대중 운동이었지만, 웨슬리의 존재로 인해 엄격한 퓨리탄(Puritan)적인 요소를 포함했다.
6. 4. 칼뱅주의와의 갈등
감리교 부흥은 18세기 영국에서 존 웨슬리(1703–1791)와 그의 동생 찰스(1707–1788)를 포함한 여러 사람들에 의해 영국 성공회 내부 운동으로 시작되었다.[24][25] 존 웨슬리는 네덜란드 신학자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1560–1609)의 영향을 받아, 하나님이 일부 사람들을 영원한 행복으로, 다른 사람들을 영원한 멸망으로 미리 정하셨다는 칼뱅주의적 가르침을 거부했다.[38] 반대로, 조지 화이트필드(1714–1770)는 예정론을 지지하는 칼뱅주의 감리교도였다.[38]웨슬리는 (칼뱅주의 교리에 반대하여) 기독교인들이 이 세상에서 두 번째 축복전적인 성결(그리스도인 완전성)을 누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즉,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고, 온유와 겸손한 마음을 가지고, 모든 악의 모양을 피하는 것이다.[6][39] 이러한 차이점은 화이트필드와 웨슬리 사이의 동맹에 긴장을 가져왔고,[38] 이전에는 가까운 관계였던 웨슬리는 화이트필드에 대해 적대적이 되었다. 화이트필드는 신학적 차이가 그들의 우정을 끊지 않도록 끊임없이 웨슬리에게 간청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들의 우정은 회복되었지만, 이것은 화이트필드의 많은 추종자들에게는 교리적인 타협으로 여겨졌다.[40]
웨일스에서는 조지 화이트필드 등의 칼뱅주의 감리교가 확산되어 웨일스 감리교 부흥이 일어났다.
6. 5. 영국 성공회와의 분열
존 웨슬리와 그의 동생 찰스 웨슬리를 포함한 여러 사람들이 18세기 영국에서 성공회 내부 운동으로 감리교 부흥을 시작했다.[24][25] 웨슬리 형제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성결 클럽"을 설립하여 매주 모임을 갖고 체계적으로 거룩한 삶을 살았다.[26] 이들은 매주 성찬식에 참여하고, 정기적으로 금식하며, 병자와 가난한 사람들을 방문했다. 이러한 종교 활동 방식 때문에 동료 학생들로부터 "감리교도"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존 웨슬리는 이를 명예로운 칭호로 받아들였다.[27][28]1735년, 웨슬리 형제는 조지아 식민지로 건너갔으나 선교에 실패하고 영국으로 돌아와 모라비안 교회의 도움을 받았다. 1738년 5월 24일, 존 웨슬리는 알더스게이트에서 "마음이 이상하게 따뜻해지는" 복음주의적 회심을 경험했다.[30] 찰스 웨슬리도 며칠 전 비슷한 경험을 했다고 전해진다. 다니엘 L. 버넷은 존 웨슬리의 알더스게이트 체험이 없었다면 웨슬리와 감리교는 교회사의 각주에 불과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32]
웨슬리 형제는 개인과 집단에게 믿음을 통한 구원을 전파하기 시작했다.[33] 존 웨슬리는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의 영향을 받아 칼뱅주의의 예정론을 거부했다. 반면, 조지 화이트필드는 칼뱅주의 감리교도로 유명했다.
조지 화이트필드는 웨슬리 형제들과 합류하여 전국적인 운동을 이끌었다.[33] 그는 옥스퍼드 시절 성결 클럽 회원이자 순회 설교자로서 수천 명의 군중에게 설교했다.[33] 존 웨슬리도 화이트필드처럼 들판, 탄광, 교회 묘지에서 설교하며 성공회와 단절된 사람들을 개종시켰다.[33] 웨슬리는 감리교도들이 지역 교구 교회에도 참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
복음주의 및 사목적 돌봄의 필요성이 커지자, 웨슬리와 화이트필드는 평신도 설교자와 지도자들을 임명했다.[33] 이들은 감리교 사회로 조직되었고, ''반''과 사랑 잔치에 참여하며 공동체 정체성을 형성했다.[36] 감리교도들은 전적 타락, 오직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얻음, 내적이고 외적 거룩함을 믿음의 기초로 삼았다.[37]
웨슬리는 예정론을 반대하며, 기독교인들이 이 세상에서 두 번째 축복인 전적인 성결(그리스도인 완전성)을 누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6][39] 이러한 신학적 차이는 화이트필드와의 관계에 긴장을 초래했지만, 둘의 우정은 회복되었다.[38][40]
성공회 성직자들은 감리교의 거듭남, 믿음으로 의롭다 함 등의 교리가 사람들을 미치게 만들 것이라고 두려워했다.[41] 윌리엄 호가스는 감리교를 "열광자"로 묘사하며 공격했고,[41] 웨슬리는 1743년 웨즈베리에서 폭도들에게 살해당할 뻔했다.[42] 그러나 감리교는 비평에 대응하며 성장했다.[43]
초기 감리교는 성공회 내 개혁을 추구했지만, 점차 그 교회에서 벗어났다.[44] 1784년, 웨슬리는 미국 독립 전쟁으로 인한 사제 부족에 대응하여 미국 설교자들을 서임했고,[45] 이는 미국 감리교와 성공회의 분열을 초래했다.[46]
존 웨슬리는 감리교의 발전이 하나님의 일이며, 전적인 성결 교리의 전파가 감리교도들을 일으키신 이유라고 가르쳤다.[47][48][130] 감리교도들은 "주님께 거룩함을"이라는 모토를 사용한다.[3]
화이트필드와 헌팅던 백작 부인의 영향은 1844년 영국 자유 교회 설립에 영향을 미쳤다. 웨슬리 사후, 영국과 미국에는 500명이 넘는 감리교 설교자들이 있었고,[33] 1851년 영국 감리교 신자는 1,463,000명에 달했다.[49]
초기 감리교는 기독교 여성#교회 지도자로서의 여성 권위를 허용했지만, 1790년 이후 여성의 역할은 감소했다.[50] 1836년 영국 감리교 회의는 "평일 학교" 설립을 승인했다.[51][52]
감리교는 영국 제국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제1차 대각성 시기 화이트필드의 설교를 통해 미국으로 확산되었다. 1770년 화이트필드 사후, 미국 감리교는 웨슬리안적이고 아르미니우스적인 발전을 이루었다.[53] 프랜시스 애스버리는 부흥 예배와 야영 집회를 통해 감리교 메시지를 전파했다.[54] 헨리 보엠은 1805년 도버 야영 집회에서 1100명이 거듭남을 받고 600명이 전적으로 성결되었다고 보고했다.[54]
7. 감리교 신학
감리교회의 신학은 정통적인 복음주의와 개신교회 공교회주의를 따르며, 성경, 전통, 이성, 체험을 신학적 토대로 가진다. 모든 것은 하나님의 은혜이나 그것을 받아들이는 인간의 응답이 반드시 따라야한다는 것이 웨슬리가 말하는 자유의지다. 이를 다섯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332]
아프리카 감리교 감독 교회와 미합중국 감리교회와 같은 많은 감리교 단체들은 그들의 교리적 표준을 신앙규정에 두고 있는데,[56] 이는 존 웨슬리가 칼뱅주의적 특징을 제거하여 영국 성공회의 39개조 신앙고백을 요약한 것이다.[57] 일부 감리교 교단은 또한 기독교 교리를 간결하게 요약한 교리문답을 발행한다.[55] 감리교인들은 일반적으로 공유된 기독교 신앙의 선언으로서 사도신경과 니케아 신경을 받아들인다.[55][58] 감리교는 삼위일체 하나님(성부, 성자, 성령)에 대한 전통적인 기독교적 신앙과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에 대한 정통적인 이해, 즉 하나님으로 성육신하신 분으로서 완전히 신적이고 완전히 인간적인 분임을 확증한다.[59] 감리교는 또한 신자들의 신앙을 강화하고 그들의 개인적인 삶을 변화시키는 성령의 능력을 보여주는 교리들을 강조한다.[60]
감리교는 교리적으로 광범위하게 복음주의적이며 웨슬리 신학으로 특징지어진다.[61] 존 웨슬리는 그의 교회 관행과 교리에 대한 해석 때문에 감리교인들에 의해 연구된다.[55] 그 핵심에서 존 웨슬리의 신학은 그리스도인의 성결의 삶을 강조했다. 즉, 마음과 정신과 영혼과 힘을 다하여 하나님을 사랑하고 네 이웃을 네 자신처럼 사랑하는 것이다.[62][63] 감리교 교리의 한 가지 대중적인 표현은 찰스 웨슬리의 찬송가에 있다.[64] 열정적인 회중 찬송이 초기 복음주의 운동의 일부였기 때문에, 웨슬리 신학은 이 경로를 통해 뿌리를 내리고 퍼져나갔다.[65][66] 감리교 찬송가의 역사를 기록한 마틴 V. 클라크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신학적으로나 교리적으로, 찬송가의 내용은 전통적으로 모든 사람을 위한 구원, 사회적 성결, 그리고 개인적인 헌신에 대한 감리교의 강조를 표현하는 주요 수단이었으며, 특정 찬송가와 찬송을 함께 부르는 공동체적 행위는 감리교인들의 영적 삶에서 중요한 요소였다.[67]
'''모든 사람은 구원받을 필요가 있다.'''
'''모든 사람은 구원받을 수 있다.'''
'''모든 사람은 자신이 구원받았음을 알 수 있다.'''
'''모든 사람은 극진히 구원받을 수 있다.'''
''감리교도들을 위한 교리문답''.[55]
=== 구원 ===
감리교회는 초대교회와 공교회의 만인구원론을 바탕으로, 인간의 자유의지를 존중하며 누구나 구원을 받을 수 있다고 본다.[68] 예정론을 거부하고, "절대적인 사랑의 하나님"은 구원을 베푸시는 분이며 인간은 이에 대한 결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68]
웨슬리 감리교는 신학적 결정론과 대조적으로 자유 의지에 대한 아르미니우스주의적 개념을 중시한다.[68][69] 감리교는 구원은 하나님께로 향하는 개인을 이끄시는 하나님의 예비 은총에 반응하기로 선택할 때 시작된다고 가르친다.[72][73] 무제한 속죄론을 따르며, ''sola gratia''(오직 은혜로)와 ''sola fide''(오직 믿음으로)라는 종교 개혁 원칙에 따라,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의 사역은 모든 사람을 위한 것이지만 오직 믿는 자들에게만 효과적이라고 해석한다.[74] 존 웨슬리는 다음 네 가지 핵심 사항을 가르쳤다.
# 사람은 자유 의지로 구원을 거부할 수도, 받아들일 수도 있다.
# 복음에 순종하는 모든 사람은 구원받을 것이다.
# 성령은 그리스도인에게 칭의되었다는 것을 확신시킨다(믿음의 확신).[7][75]
#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인의 완전에 도달할 수 있으며, 하나님께서 그것을 추구하도록 명령하셨다.[76]
첫 번째 은총의 사역(새로운 탄생) 후,[6] 감리교 구원론은 구원에서 거룩을 추구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77] 감리교 복음 전도자 피비 팔머는 "내가 거룩해지는 것을 거부했다면 칭의는 나로 끝났을 것이다"라고 말했다.[78] 감리교는 "참된 믿음...은 행위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고 가르친다.[79] 성결 운동을 포함한 감리교는 "칭의는 성화에서의 순종과 진보에 조건이 달려 있다"고 가르치며,[78] "믿음에 이르는 것뿐만 아니라 믿음 안에 머무는 것에도 그리스도에 대한 깊은 의존"을 강조한다.[80] 존 웨슬리는 십계명[81]을 지키는 것과 경건의 행위와 자비의 행위에 참여하는 것은 "우리의 성화에 필수적"이라고 가르쳤다.[79]
감리교 교리는 죄를 "진정한 의미의 죄"와 "알려져 있거나 알려지지 않은 신의 법에 대한 무의식적인 범죄"로 구분한다. 전자는 고의적인 범죄를, 후자는 ("미성숙, 무지, 신체적 장애, 건망증, 식별력 부족 및 의사소통 기술 부족"과 같은) 허약함을 포함한다.[82][83]
웨슬리는 하나님께서 낳으신 자들은 죄를 ''습관적으로'' 짓지 않으며, 그렇게 하는 것은 죄가 여전히 지배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믿지 않는 자의 표시라고 설명한다. 그리스도인은 믿는 자의 의지가 그리스도를 위해 사는 것에 굳게 서 있기 때문에 ''고의적으로'' 죄를 짓지 않는다. 믿는 자들은 욕망으로 죄를 짓지 않는데, 그 이유는 마음이 하나님의 완전한 뜻만을 원하도록 철저히 변화되었기 때문이다. 웨슬리는 “허약으로 인한 죄”는 “의지의 동의”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죄가 아니라고 결론짓는다.[83]
자유 감리교회의 종교 조항은 다음과 같이 반영한다.
''칭의받은 자들은 겉으로 죄를 짓지 않지만'', 여전히 마음속에 남아 있는 죄를 의식한다. 완전히 성화된 자들은 모든 내적인 죄, 즉 악한 생각과 악한 성품으로부터 구원받는다. 사랑에 반하는 잘못된 성품은 영혼에 남아 있지 않다. 그들의 모든 생각, 말, 행위는 순수한 사랑에 의해 지배된다. 완전한 성화는 칭의 이후에 일어나며, 헌신적이고 믿는 영혼 위에 하나님이 순간적으로 이루시는 사역이다. 영혼이 모든 죄로부터 깨끗하게 된 후에야 은혜 속에서 성장할 준비가 완전히 된다" (''규율'', "종교 조항," 제1장, § 1, 23쪽).[84]
감리교도들은 두 번째 은총의 사역을 믿으며, 이는 원죄를 제거하고, 믿는 자를 거룩하게 만들고, 하나님을 온전히 섬길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완전한 성화로도 알려져 있다.[6][85] 존 웨슬리는 "완전한 성화 또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은 순수한 사랑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사랑은 죄를 몰아내고 하나님의 자녀의 마음과 삶 모두를 다스린다. 정련하는 불은 사랑에 반대되는 모든 것을 제거한다."고 설명했다.[86][87]
감리교회는 배도가 믿음의 상실이나 죄를 짓는 것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고 가르친다.[88][89] 타락한 사람이 하나님께 돌아가기로 결정하면, 그는 죄에 대해 회개하고 다시 완전히 성화되어야 한다(조건적 안전).[90][91]
=== 성례전 ===
감리교는 성례전(sacrament)이 신의 제정에 따른 거룩한 행위라고 믿는다. 감리교는 앵글리칸교회로부터 전례를 계승했지만, 웨슬레 신학은 복음주의 앵글리칸교회보다 더 강한 "성례전적 강조"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92]
대부분의 프로테스탄트와 마찬가지로 감리교는 그리스도께서 제정하신 두 가지 성례전, 즉 세례와 성찬식(주찬이라고도 함)을 인정한다.[93] 대부분의 감리교회는 나중에 응답할 것을 기대하며 영아세례를 실시하며, 믿는 성인의 세례도 행한다.[94] '''감리교도들을 위한 교리문답'''에는 "[성찬식에서]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예배드리는 백성들과 함께 현존하시며 그들을 주님이자 구세주로서 자신을 주십니다"라고 명시되어 있다.[55] 미국 감리교회에서는 그리스도의 현존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설명을 "거룩한 신비"로 묘사한다.[95]
감리교회는 일반적으로 성례전을 은혜의 수단으로 인정한다.[96] 존 웨슬리는 하나님께서 공개적 및 사적인 기도, 성경 읽기, 공부, 설교, 공예배, 금식과 같은 다른 확립된 수단을 통해서도 은혜를 주셨다고 믿었다. 이것들은 경건의 행위를 구성한다.[97] 웨슬리는 은혜의 수단을 "[하나님]이 사람들에게 예방적인 [즉, 준비하는], 의롭게 하는 또는 거룩하게 하는 은혜를 전달할 수 있는 보통의 통로가 되는 외적인 표지, 말, 또는 행위"로 간주했다.[98] 교회 모임과 같은 특히 감리교적인 수단은 이러한 신중한 은혜의 수단에 대한 그의 주요 예시를 제공했다.[99]
=== 가르침의 출처 ===
미국의 감리교 신학자 앨버트 아웃러(Albert Outler)는 존 웨슬리의 신학적 성찰 방식을 평가하면서 "웨슬리 사각형"이라는 방법론을 제시했다.[100] 웨슬리 사각형은 감리교에서 "우리의 신학적 지침"으로 언급되며, 성경을 해석하고 일상생활에서 직면하는 도덕적 질문과 딜레마에 대한 지침을 얻는 주요 접근 방식으로 신학교에서 목사(성직자)들에게 가르치고 있다.[101]
전통적으로 감리교인들은 성경(구약과 신약 성경)을 유일하게 하나님의 영감을 받은 성경이며 그리스도인들에게 권위의 주요 원천이라고 선포한다.[102] 역사적 감리교의 성경 이해는 웨슬리 언약 신학의 상부 구조를 기반으로 한다.[103] 감리교인들은 또한 권위의 보조적 원천으로 교부들의 가르침을 주로 활용하여 전통을 이용한다. 전통은 성경을 해석하는 렌즈 역할을 할 수 있다. 감리교인들을 위한 신학적 담론은 거의 항상 더 넓은 그리스도교 신학 전통 안에서 읽은 성경을 사용한다.[104][105]
존 웨슬리(John Wesley)는 신학적 방법의 일부는 경험적 신앙을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00] 다시 말해, 진실이 정말 진실이라면 그리스도인들(전반적으로, 개별적으로는 아님)의 개인적 경험에서 생생하게 살아날 것이다. 그리고 모든 교리는 합리적으로 옹호될 수 있어야 한다. 그는 믿음을 이성과 분리하지 않았다. 이성을 통해 사람은 믿음에 대해 질문하고 하나님의 행동과 뜻을 이해하려고 한다. 그러나 웨슬리는 전통, 경험, 이성은 항상 성경에 종속된다고 주장했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말씀이 "우리 구원에 필요한 만큼"만 계시되기 때문이다.[101]
7. 1. 구원
감리교회는 초대교회와 공교회의 만인구원론을 바탕으로, 인간의 자유의지를 존중하며 누구나 구원을 받을 수 있다고 본다.[68] 예정론을 거부하고, "절대적인 사랑의 하나님"은 구원을 베푸시는 분이며 인간은 이에 대한 결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68]웨슬리 감리교는 신학적 결정론과 대조적으로 자유 의지에 대한 아르미니우스주의적 개념을 중시한다.[68][69] 감리교는 구원은 하나님께로 향하는 개인을 이끄시는 하나님의 예비 은총에 반응하기로 선택할 때 시작된다고 가르친다.[72][73] 무제한 속죄론을 따르며, ''sola gratia''(오직 은혜로)와 ''sola fide''(오직 믿음으로)라는 종교 개혁 원칙에 따라,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의 사역은 모든 사람을 위한 것이지만 오직 믿는 자들에게만 효과적이라고 해석한다.[74] 존 웨슬리는 다음 네 가지 핵심 사항을 가르쳤다.
# 사람은 자유 의지로 구원을 거부할 수도, 받아들일 수도 있다.
# 복음에 순종하는 모든 사람은 구원받을 것이다.
# 성령은 그리스도인에게 칭의되었다는 것을 확신시킨다(믿음의 확신).[7][75]
#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인의 완전에 도달할 수 있으며, 하나님께서 그것을 추구하도록 명령하셨다.[76]
첫 번째 은총의 사역(새로운 탄생) 후,[6] 감리교 구원론은 구원에서 거룩을 추구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77] 감리교 복음 전도자 피비 팔머는 "내가 거룩해지는 것을 거부했다면 칭의는 나로 끝났을 것이다"라고 말했다.[78] 감리교는 "참된 믿음...은 행위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고 가르친다.[79] 성결 운동을 포함한 감리교는 "칭의는 성화에서의 순종과 진보에 조건이 달려 있다"고 가르치며,[78] "믿음에 이르는 것뿐만 아니라 믿음 안에 머무는 것에도 그리스도에 대한 깊은 의존"을 강조한다.[80] 존 웨슬리는 십계명[81]을 지키는 것과 경건의 행위와 자비의 행위에 참여하는 것은 "우리의 성화에 필수적"이라고 가르쳤다.[79]
감리교 교리는 죄를 "진정한 의미의 죄"와 "알려져 있거나 알려지지 않은 신의 법에 대한 무의식적인 범죄"로 구분한다. 전자는 고의적인 범죄를, 후자는 ("미성숙, 무지, 신체적 장애, 건망증, 식별력 부족 및 의사소통 기술 부족"과 같은) 허약함을 포함한다.[82][83]
자유 감리교회의 종교 조항은 다음과 같이 반영한다.
감리교도들은 두 번째 은총의 사역을 믿으며, 이는 원죄를 제거하고, 믿는 자를 거룩하게 만들고, 하나님을 온전히 섬길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완전한 성화로도 알려져 있다.[6][85] 존 웨슬리는 "완전한 성화 또는 그리스도인의 완전은 순수한 사랑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사랑은 죄를 몰아내고 하나님의 자녀의 마음과 삶 모두를 다스린다. 정련하는 불은 사랑에 반대되는 모든 것을 제거한다."고 설명했다.[86][87]
감리교회는 배도가 믿음의 상실이나 죄를 짓는 것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고 가르친다.[88][89] 타락한 사람이 하나님께 돌아가기로 결정하면, 그는 죄에 대해 회개하고 다시 완전히 성화되어야 한다(조건적 안전).[90][91]
7. 2. 성례전
감리교는 성례전(sacrament)이 신의 제정에 따른 거룩한 행위라고 믿는다. 감리교는 앵글리칸교회로부터 전례를 계승했지만, 웨슬레 신학은 복음주의 앵글리칸교회보다 더 강한 "성례전적 강조"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92]대부분의 프로테스탄트와 마찬가지로 감리교는 그리스도께서 제정하신 두 가지 성례전, 즉 세례와 성찬식(주찬이라고도 함)을 인정한다.[93] 대부분의 감리교회는 나중에 응답할 것을 기대하며 영아세례를 실시하며, 믿는 성인의 세례도 행한다.[94] '''감리교도들을 위한 교리문답'''에는 "[성찬식에서]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예배드리는 백성들과 함께 현존하시며 그들을 주님이자 구세주로서 자신을 주십니다"라고 명시되어 있다.[55] 미국 감리교회에서는 그리스도의 현존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설명을 "거룩한 신비"로 묘사한다.[95]
감리교회는 일반적으로 성례전을 은혜의 수단으로 인정한다.[96] 존 웨슬리는 하나님께서 공개적 및 사적인 기도, 성경 읽기, 공부, 설교, 공예배, 금식과 같은 다른 확립된 수단을 통해서도 은혜를 주셨다고 믿었다. 이것들은 경건의 행위를 구성한다.[97] 웨슬리는 은혜의 수단을 "[하나님]이 사람들에게 예방적인 [즉, 준비하는], 의롭게 하는 또는 거룩하게 하는 은혜를 전달할 수 있는 보통의 통로가 되는 외적인 표지, 말, 또는 행위"로 간주했다.[98] 교회 모임과 같은 특히 감리교적인 수단은 이러한 신중한 은혜의 수단에 대한 그의 주요 예시를 제공했다.[99]
7. 3. 가르침의 출처
미국의 감리교 신학자 앨버트 아웃러(Albert Outler)는 존 웨슬리의 신학적 성찰 방식을 평가하면서 "웨슬리 사각형"이라는 방법론을 제시했다.[100] 웨슬리 사각형은 감리교에서 "우리의 신학적 지침"으로 언급되며, 성경을 해석하고 일상생활에서 직면하는 도덕적 질문과 딜레마에 대한 지침을 얻는 주요 접근 방식으로 신학교에서 목사(성직자)들에게 가르치고 있다.[101]전통적으로 감리교인들은 성경(구약과 신약 성경)을 유일하게 하나님의 영감을 받은 성경이며 그리스도인들에게 권위의 주요 원천이라고 선포한다.[102] 역사적 감리교의 성경 이해는 웨슬리 언약 신학의 상부 구조를 기반으로 한다.[103] 감리교인들은 또한 권위의 보조적 원천으로 교부들의 가르침을 주로 활용하여 전통을 이용한다. 전통은 성경을 해석하는 렌즈 역할을 할 수 있다. 감리교인들을 위한 신학적 담론은 거의 항상 더 넓은 그리스도교 신학 전통 안에서 읽은 성경을 사용한다.[104][105]
존 웨슬리(John Wesley)는 신학적 방법의 일부는 경험적 신앙을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00] 다시 말해, 진실이 정말 진실이라면 그리스도인들(전반적으로, 개별적으로는 아님)의 개인적 경험에서 생생하게 살아날 것이다. 그리고 모든 교리는 합리적으로 옹호될 수 있어야 한다. 그는 믿음을 이성과 분리하지 않았다. 이성을 통해 사람은 믿음에 대해 질문하고 하나님의 행동과 뜻을 이해하려고 한다. 그러나 웨슬리는 전통, 경험, 이성은 항상 성경에 종속된다고 주장했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말씀이 "우리 구원에 필요한 만큼"만 계시되기 때문이다.[101]
8. 감리교의 예배와 전례
감리교회는 공동기도서에 기반한 의식적인 예배와 비의식적인 설교 예배를 결합한 독특한 예배 방식을 가지고 있다.[106] 이는 성공회의 예배가 ''공동기도서''에만 근거하고, 비국교도 교회의 예배는 주로 설교 예배였으며 성찬식이 드물었던 당시 상황에서 비롯되었다. 존 웨슬리의 영향으로 감리교회는 이 두 가지 예배 형식을 결합하여 발전시켰다.[106][107]
감리교회는 "즉흥적이고 자발적인 기도"를 강조해 왔다.[108] 부흥회와 캠프 미팅에서는 사람들이 온전한 성화를 추구하며 신음하고 외치는 모습을 보였다.[109][110] 이러한 예배 중 자유로운 표현 때문에 웨슬레파는 "소리 지르는 감리교도들"로 불리기도 했다.[111]
역사적으로 감리교회는 주일(일요일) 아침 예배와 저녁 예배, 그리고 수요일 저녁 중간 주중 기도회를 중요하게 여겼다.[112][115] 18세기 감리교 예배는 "예비(찬송, 기도, 간증)에서 '메시지'로 이어지고, 그 후 제단 호소 형태의 초청"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는 여전히 예배의 중요한 부분으로 남아있다.[157][113] 많은 감리교회는 주일 저녁 예배와 수요일 저녁 기도회에서 교인들이 기도 요청을 공유하고, 신앙과 경험에 대한 간증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114] 교인들은 기도 요청을 들은 후 중보기도를 위해 무릎을 꿇기도 했다.[115] 사랑잔치는 초기 감리교의 또 다른 특징적인 관행으로, 존 웨슬리는 이를 사도적 성례전으로 가르쳤다.[12] 감리교의 예배, 찬송, 묵상 및 예배 관행은 루터파 경건주의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성결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116]
초기 감리교는 "거의 수도원적인 엄격함, 규칙에 따른 생활, [그리고] 정해진 기도 시간"으로 알려졌다.[117] 성공회 유산으로부터 감리교 기독교인들이 기도해야 할 기도를 암송하는 관행을 물려받았다.[118] 감리교의 첫 번째 기도서인 ''감리교 주일 예배 및 기타 특별 예배''에는 아침 기도와 저녁 기도의 정경 시간이 포함되어 있었고, 이는 초기 기독교에서 매일 지켜졌으며 주일에는 성찬식이 포함되었다.[119][118][120] ''감리교 예배서(Methodist Worship Book)''(1999)와 같은 후대의 감리교 예배서에도 매일 드리는 아침 기도와 저녁 기도가 포함되어 있으며, 미국 감리교회는 정경 시간 기도를 "필수적인 실천"으로 권장한다.[129][121] 일부 감리교 수도회는 일곱 번의 정해진 기도 시간에 맞춰 기도하는 정경 시간을 포함한 매일의 예배를 발행한다.
미국에서는 미국 감리교회, 자유 감리교회, 원시 감리교회, 웨슬레 감리교회 등이 고교회파에서 저교회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예배 형태를 보인다. 미국 독립 전쟁으로 미국의 감리교도들이 성공회에서 분리되었을 때, 존 웨슬리는 ''감리교 주일 예배; 기타 특별 예배''(1784)라는 ''공동기도서'' 개정판을 제공했다.[124][125] 오늘날 미국 감리교회의 주요 예배서는 ''미국 감리교 찬송가''와 ''미국 감리교 예배서''(1992)이다.
영국 감리교회는 예배에서 좀 더 자유로운 형식을 가진다. ''감리교 예배서(Methodist Worship Book)''는 성공회의 ''공동 예배''와 유사하며, 결혼식 등 의식을 위한 예배와 루브릭을 포함하고 있다. ''예배서''는 웨슬리의 ''주일 예배''에서 유래했다.[126]
미국 감리교의 독특한 특징은 절기인 왕국절을 지키는 것이다. 왕국절은 대림절 전 마지막 13주를 포함하며, 오순절 이후의 긴 절기를 두 부분으로 나눈다. 왕국절 동안 감리교 전례는 자선 활동과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것을 강조한다.[127]
감리교의 또 다른 독특한 전례적 특징은 언약 예배이다. 대부분의 감리교회는 매년 존 웨슬리가 요청한 하나님과의 언약 갱신을 따른다. 각 교회는 송구영신 예배 중 12월 31일 밤에 언약 갱신 전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128] 영국에서는 새해 첫 번째 일요일에 사용하기도 한다. 웨슬리의 언약 기도는 예배 순서에서 약간 수정된 형태로 여전히 사용된다.
{{blockquote|그리스도께서는 해야 할 많은 일들을 가지고 계십니다. 어떤 일은 쉽고 어떤 일은 어렵습니다. 어떤 일은 영광을 가져다주고 어떤 일은 치욕을 가져다줍니다. 어떤 일은 우리의 타고난 성향과 세상적인 이익에 적합하지만 어떤 일은 둘 다에 반대됩니다... 그러나 이 모든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은 우리를 강하게 하시는 그리스도 안에서 주어집니다.
...나는 더 이상 나 자신이 아니라 당신의 것입니다. 당신이 원하는 대로 나를 사용하십시오. 당신이 원하는 사람들과 함께 나를 두십시오. 나를 일하게 하거나, 나를 고난에 처하게 하십시오. 나를 당신을 위해 사용하거나, 당신을 위해 내버려 두십시오. 나를 당신을 위해 높이거나, 당신을 위해 낮추십시오. 나를 풍족하게 하거나, 나를 빈곤하게 하십시오. 모든 것을 가지게 하거나, 아무것도 가지지 않게 하십시오. 나는 모든 것을 당신의 뜻과 처분에 자유롭고 기꺼이 맡깁니다.[129]}}
존 웨슬리가 야외 전도를 주장했듯이, 부흥회는 교회뿐만 아니라 캠프 미팅, 덤불 숲 부흥회, 천막 부흥회에서도 열리는 감리교의 전통적인 예배 관행이다.[131][132][133]
8. 1. 기도와 예배의 특징
감리교회는 공동기도서에 기반한 의식적인 예배와 비의식적인 설교 예배를 결합한 독특한 예배 방식을 가지고 있다.[106] 이는 성공회의 예배가 ''공동기도서''에만 근거하고, 비국교도 교회의 예배는 주로 설교 예배였으며 성찬식이 드물었던 당시 상황에서 비롯되었다. 존 웨슬리(John Wesley)의 영향으로 감리교회는 이 두 가지 예배 형식을 결합하여 발전시켰다.[106][107]감리교회는 "즉흥적이고 자발적인 기도"를 강조해 왔다.[108] 부흥회와 캠프 미팅에서는 사람들이 온전한 성화를 추구하며 신음하고 외치는 모습을 보였다.[109][110] 이러한 예배 중 자유로운 표현 때문에 웨슬레파는 "소리 지르는 감리교도들"로 불리기도 했다.[111]
역사적으로 감리교회는 주일(일요일) 아침 예배와 저녁 예배, 그리고 수요일 저녁 중간 주중 기도회를 중요하게 여겼다.[112][115] 18세기 감리교 예배는 "예비(찬송, 기도, 간증)에서 '메시지'로 이어지고, 그 후 제단 호소 형태의 초청"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는 여전히 예배의 중요한 부분으로 남아있다.[157][113] 많은 감리교회는 주일 저녁 예배와 수요일 저녁 기도회에서 교인들이 기도 요청을 공유하고, 신앙과 경험에 대한 간증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114] 교인들은 기도 요청을 들은 후 중보기도를 위해 무릎을 꿇기도 했다.[115] 사랑잔치는 초기 감리교의 또 다른 특징적인 관행으로, 존 웨슬리는 이를 사도적 성례전으로 가르쳤다.[12] 감리교의 예배, 찬송, 묵상 및 예배 관행은 루터파 경건주의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성결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116]
초기 감리교는 "거의 수도원적인 엄격함, 규칙에 따른 생활, [그리고] 정해진 기도 시간"으로 알려졌다.[117] 성공회 유산으로부터 감리교 기독교인들이 기도해야 할 기도를 암송하는 관행을 물려받았다.[118] 감리교의 첫 번째 기도서인 ''감리교 주일 예배 및 기타 특별 예배''에는 아침 기도와 저녁 기도의 정경 시간이 포함되어 있었고, 이는 초기 기독교에서 매일 지켜졌으며 주일에는 성찬식이 포함되었다.[119][118][120] ''감리교 예배서(Methodist Worship Book)''(1999)와 같은 후대의 감리교 예배서에도 매일 드리는 아침 기도와 저녁 기도가 포함되어 있으며, 미국 감리교회는 정경 시간 기도를 "필수적인 실천"으로 권장한다.[129][121] 일부 감리교 수도회는 일곱 번의 정해진 기도 시간에 맞춰 기도하는 정경 시간을 포함한 매일의 예배를 발행한다.
미국에서는 미국 감리교회, 자유 감리교회, 원시 감리교회, 웨슬레 감리교회 등이 고교회파에서 저교회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예배 형태를 보인다. 미국 독립 전쟁으로 미국의 감리교도들이 성공회에서 분리되었을 때, 존 웨슬리는 ''감리교 주일 예배; 기타 특별 예배''(1784)라는 ''공동기도서'' 개정판을 제공했다.[124][125] 오늘날 미국 감리교회의 주요 예배서는 ''미국 감리교 찬송가''와 ''미국 감리교 예배서''(1992)이다.
영국 감리교회는 예배에서 좀 더 자유로운 형식을 가진다. ''감리교 예배서(Methodist Worship Book)''는 성공회의 ''공동 예배''와 유사하며, 결혼식 등 의식을 위한 예배와 루브릭을 포함하고 있다. ''예배서''는 웨슬리의 ''주일 예배''에서 유래했다.[126]
미국 감리교의 독특한 특징은 절기인 왕국절을 지키는 것이다. 왕국절은 대림절 전 마지막 13주를 포함하며, 오순절 이후의 긴 절기를 두 부분으로 나눈다. 왕국절 동안 감리교 전례는 자선 활동과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 것을 강조한다.[127]
감리교의 또 다른 독특한 전례적 특징은 언약 예배이다. 대부분의 감리교회는 매년 존 웨슬리가 요청한 하나님과의 언약 갱신을 따른다. 각 교회는 송구영신 예배 중 12월 31일 밤에 언약 갱신 전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128] 영국에서는 새해 첫 번째 일요일에 사용하기도 한다. 웨슬리의 언약 기도는 예배 순서에서 약간 수정된 형태로 여전히 사용된다.
{{blockquote|그리스도께서는 해야 할 많은 일들을 가지고 계십니다. 어떤 일은 쉽고 어떤 일은 어렵습니다. 어떤 일은 영광을 가져다주고 어떤 일은 치욕을 가져다줍니다. 어떤 일은 우리의 타고난 성향과 세상적인 이익에 적합하지만 어떤 일은 둘 다에 반대됩니다... 그러나 이 모든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은 우리를 강하게 하시는 그리스도 안에서 주어집니다.
...나는 더 이상 나 자신이 아니라 당신의 것입니다. 당신이 원하는 대로 나를 사용하십시오. 당신이 원하는 사람들과 함께 나를 두십시오. 나를 일하게 하거나, 나를 고난에 처하게 하십시오. 나를 당신을 위해 사용하거나, 당신을 위해 내버려 두십시오. 나를 당신을 위해 높이거나, 당신을 위해 낮추십시오. 나를 풍족하게 하거나, 나를 빈곤하게 하십시오. 모든 것을 가지게 하거나, 아무것도 가지지 않게 하십시오. 나는 모든 것을 당신의 뜻과 처분에 자유롭고 기꺼이 맡깁니다.[129]}}
존 웨슬리가 야외 전도를 주장했듯이, 부흥회는 교회뿐만 아니라 캠프 미팅, 덤불 숲 부흥회, 천막 부흥회에서도 열리는 감리교의 전통적인 예배 관행이다.[131][132][133]
8. 2. 전례적 특징
감리교회는 공동기도서의 의식적인 예배 의식과 비의식적인 설교 예배의 두 가지 관행을 결합한 예배를 드린다.[106] 이는 성공회의 예배가 ''공동기도서''에만 근거했고, 비국교도 교회의 예배는 설교 예배 중심이었으며, 성찬식은 드물게 지켜졌기 때문에 감리교의 특징이 되었다.[106][107] 존 웨슬리(John Wesley)의 영향으로 감리교에서는 두 가지 관행이 결합되었으며, 즉흥적이고 자발적인 기도를 강조해 왔다.[108]역사적으로 감리교회는 주일(일요일) 아침 예배와 저녁 예배를 정성껏 지켰으며, 수요일 저녁 중간 주중 기도회를 여는 것이 관례였다.[112][115] 많은 감리교회는 주일 저녁 예배와 수요일 저녁 중간 주중 기도회의 일부를 교인들이 기도 요청을 공유하고, 그리스도인의 삶에서 신앙과 경험에 대한 개인적인 간증을 듣는 데 할애한다.[114] 사랑잔치는 전통적으로 분기별로 실시되었으며, 존 웨슬리는 사도적 성례전이라고 가르쳤다.[12]
초기 감리교는 "거의 수도원적인 엄격함, 규칙에 따른 생활, [그리고] 정해진 기도 시간"으로 알려져 있었다.[117] 감리교의 첫 번째 기도서인 ''감리교 주일 예배 및 기타 특별 예배''에는 아침 기도와 저녁 기도의 정경 시간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 예배는 초기 기독교에서 매일 지켜졌지만, 주일에는 성찬식이 포함되었다.[119][118][120] 일부 감리교 수도회는 일곱 번의 정해진 기도 시간에 전통적으로 기도하는 정경 시간을 포함하여 그 공동체에서 사용할 매일의 예배를 발행한다.[122]
미국에서는 미국 감리교회와 자유 감리교회뿐만 아니라 원시 감리교회와 웨슬레 감리교회가 고교회파에서 저교회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의 예배를 가지고 있다. 영국 감리교회는 예배에서 더 질서 정연하지 않거나 전례가 적다. 성공회의 ''공동 예배''와 유사한 ''감리교 예배서(Methodist Worship Book)''를 사용하며, 결혼식과 같은 다른 의식의 축하를 위한 정해진 예배와 루브릭을 포함하고 있다. ''예배서''는 또한 궁극적으로 웨슬리의 ''주일 예배''에서 유래했다.[126]
미국 감리교의 독특한 특징은 대림절 전 마지막 13주를 포함하는 절기인 왕국절을 지키는 것이다. 왕국절 동안 감리교 전례는 전통적으로 자선 활동과 가난한 사람들의 고통을 완화하는 것을 강조해 왔다.[127]
감리교의 두 번째 독특한 전례적 특징은 언약 예배의 사용이다. 대부분의 감리교회는 매년 존 웨슬리가 하나님과의 언약을 갱신하도록 한 요청을 따른다. 각 교회가 송구영신 예배 중 12월 31일 밤에 언약 갱신 전례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128] 영국에서는 종종 새해 첫 번째 일요일에 사용한다.
존 웨슬리가 야외 전도를 주장했듯이, 부흥회는 교회뿐만 아니라 캠프 미팅, 덤불 숲 부흥회 및 천막 부흥회에서도 종종 열리는 감리교의 전통적인 예배 관행이다.[131][132][133]
9. 감리교 회원
전통적으로 감리교회는 개인이 정회원이 되기 전 6개월의 수습 기간을 거쳤다.[134] 많은 사람들이 감리교 부흥회에 참석했지만, 회원 서약을 하지 않고 예배에 참석하는 경우가 많았다.[134] 수습 회원이 되는 것은 정회원이 되기 위한 첫 단계였으며, 이 기간 동안 "정회원으로 받아들여지기 전에 그들의 신앙의 진지함과 교회 규율을 준수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추가적인 교육"을 받았다.[134] 수습 회원이 되려면 "자신의 죄로부터 구원받고자 하는 간절한 소망"이 필요했다.[134] 수습 회원들은 세포모임에서 신앙 훈련을 받았다.[134]
''수습 회원 안내서(The Probationer's Handbook)''와 같은 교리 문답(Catechism)은 수습 회원들이 감리교 신앙을 배우는 데 사용되었다.[135] 6개월 후, 수습 회원들은 소그룹 지도자와 집사로 구성된 회의에서 심사를 받았고, "자신의 신앙의 정확성과 교회의 규칙을 준수하려는 의지에 대한 만족스러운 확신"을 제공해야 했다.[134] 이를 통과하면 담임목사(pastor)에 의해 정회원으로 받아들여졌다.[134]
정회원은 "정기적으로 예배에 참석할 의무가 있었고", "특히 약물 사용, 도박, 이혼 및 부도덕한 오락과 관련하여 특정한 도덕적 계율을 준수해야 했다."[134] 럼버 리버 연회와 같은 특정 감리회에서는 수습 회원이 정회원이 되려면 세례 외에도 목사, 소그룹 지도자, 위원회의 심사를 받아야 한다.[136] 아프리카 감리교회 자이온파(African Methodist Episcopal Zion Church)에서도 유사한 구조를 찾아볼 수 있다.[137]
앨러게니 웨슬리안 감리교 연합(Allegheny Wesleyan Methodist Connection)은 "1) 주님께서 지금 당신의 죄를 용서하십니까? 2) 당신은 우리 연합의 규율을 알고 하나님께서 이해를 주시는 대로 당신의 삶을 그 규칙에 따라 열심히 다스리려고 노력하시겠습니까?"라는 두 질문에 긍정적으로 답하는 사람들을 준회원으로 받아들인다.[138] 정회원이 되기를 원하는 수습 회원은 네 가지 서약(거듭남, 온전한 성화(entire sanctification), 외적 거룩(outward holiness), 신앙강령 동의)과 성약을 통해 정회원으로 받아들여지기 전 자문 위원회의 심사를 받는다.[138] 연합감리교회(United Methodist Church)에서는 교육 기간 후 회원 서약을 하고 견진성사(confirmation) 예식에서 세례 성례전을 받음으로써 공개적 회원이 된다.[139] 어떤 감리회에서는 교회의 회원이 되면 교제의 오른손(Right Hand of Fellowship)을 받는 것이 관례이다.[138][140] 감리교도들은 매년 12월 31일에 새해맞이 예배(watchnight service)로서 성약 갱신 예배를 거행하며, 이때 회원들은 하나님과 교회와의 성약을 갱신한다.[141]
10. 감리교인의 생활 방식
초기 감리교도들은 소박한 복장을 착용했으며, 감리교 성직자들은 "높은 머리 장식, 주름 장식, 레이스, 금, 그리고 '비싼 의복'"을 비난했다.[142] 존 웨슬리는 감리교도들이 매년 그의 글 ''옷에 관하여''를 읽을 것을 권장했으며,[143] 그 설교에서 "퀘이커 신도들처럼 옷차림이 소박한 감리교 신도들의 모임을 보고 싶다"는 바람을 표명했다.[144] 1858년 웨슬리 감리교 연합의 교리서는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 소박한 옷차림을 권고한다"고 명시했다.[145] 감리교 부흥 전도사 피터 카트라이트는 초기 감리교도들이 소박한 복장을 착용하는 것 외에도, 일주일에 한 번 금식하고, 술을 삼가하며, 경건하게 안식일을 지킴으로써 사회의 다른 구성원들과 구별되었다고 말했다.[146] 감리교 순회 전도사들은 새벽 일찍 일어나 독서 기도를 하고, 때로는 몇 시간 동안 음식이나 음료 없이 혹은 육체적인 안락함 없이 무릎을 꿇고 앉아 육체를 고행하는 영적 훈련을 실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7] 초기 감리교도들은 "카드 놀이, 경마, 도박, 극장 관람, 춤(놀이와 무도회 모두), 그리고 투계"를 포함한 "세속적인 습관"에 참여하지 않았고, 이를 비난했다.[142]
감리교에서 금식은 경건의 행위 중 하나로 간주된다.[148] 존 웨슬리가 1744년 12월 25일에 제정한 '밴드 사회에 주어진 지침'은 (예수의 십자가 처형을 기억하며) 매년 모든 금요일 고기를 먹지 않고 금식할 것을 명령한다.[149][150] 웨슬리 자신도 성찬을 받기 전에 "하나님께 그의 관심을 집중하기 위해" 금식했고, 다른 감리교도들에게도 그렇게 할 것을 요청했다.[151]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류 감리교에서 이러한 관행 중 상당수가 완화되었지만, 절주와 금식과 같은 관행은 여전히 장려되고 있으며, 도박 금지 또한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152][153] 보수적인 성결 운동의 교파, 예를 들어 앨러게니 웨슬리 감리교 연합과 복음 감리교회 회의는 "사람을 겸손하고 적절하게 덮지 않는 의복을 입지 않고", "보석을 착용하지 않고", "결혼반지를 포함한 과다한 장신구를 삼가는 것"을 통해 역사적인 감리교의 소박한 복장 관행의 정신을 계속 반영한다.[154][155] 독립 감리교회 연합은 성례전인 여성의 머리 덮개를 계속 준수하며, "모든 허영심과 영광을 버리고" "겸손한 복장으로 자신을 단장하는 것"을 규정한다.[156] 미국의 감리교회 일반 규칙은 "하나님의 모든 성례전에 참석하는 것", 즉 "하나님께 대한 공공 예배"를 요구하고 "일반적인 일을 함으로써 또는 매매를 함으로써 주의 날을 더럽히는 것"을 금지함으로써 첫째 날 안식일 준수를 장려한다.[157][158]
감리교는 일과를 구분한 규칙적인 생활 방식(메소드)을 권장했다. 메소디스트라는 명칭은 "메소드"를 중시하는 데서 "꼼꼼한 사람"(메소디스트)이라는 별명으로 시작되었다. 규칙적인 생활을 실천하고 있는지 서로 보고하는 소규모의 교회 모임, 그리고 신앙 수준별 밴드 미팅을 중시했다. 군대나 학교와 잘 맞아 선교 학교나 병원 건설, 빈민 구제 등의 사회복지에도 열심이었다. 당시 교육 기회에 혜택을 받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일반 교육을 제공하는 주일학교(교회학교로서 기독교 교육을 실시하도록 시대에 따라 변화했다)나, 당시 유행가에 가사를 붙여 구어체의 평이한 찬송가를 보급한 것도 메소디스트 신자들이 중심이었다. 상류층보다 중하층민 또는 군인에게의 보급에 힘썼다.
메소디스트 운동의 원동력이 된 것은 "확신의 교리"였고, 이 "신앙의 확신"은 메소디스트 운동을 특징짓는 것이 되었다. 당시 형식화된 잉글랜드 국교회로서는 메소디스트의 이 "성령의 증거" 강조는 광신주의로 여겨졌기 때문에, 그들은 메소디스트 운동을 다른 이유와 더불어 방해하려 했다.
교회 자체에 군대 조직을 채택한 구세군이나 "성결"을 강조하는 성결운동, 성령의 역사를 강조하는 오순절파 등도 이 웨슬리안 메소디스트 운동의 흐름이다.
11. 현대 감리교 교단
감리교회는 세계적인 운동이며, 모든 대륙에 존재한다.[159] 영국과 북미에서는 감리교가 감소하고 있지만, 다른 지역, 예를 들어 한국에서는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160] 전 세계적인 사법 권한을 가진 단일 감리교회는 없으며, 감리교인들은 여러 독립적인 교단 또는 "연합체"에 속한다. 대다수의 감리교인들은 80개의 감리교, 웨슬레안, 그리고 관련 합동 교단[161]으로 구성된 국제 협회인 세계 감리교 협의회의 일부인 교단의 회원이다.[5] 약 8천만 명의 사람들을 대표한다.
존 웨슬리는 ''나는 온 세상을 나의 교구로 여긴다.''' 즉, 내가 어떤 곳에 있든지, 들으려고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구원의 기쁜 소식을 전하는 것이 내게 합당하고 옳으며, 나의 의무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5]
11. 1. 세계 감리교 협의회
감리교회는 세계적인 운동이며, 모든 대륙에 존재한다.[159] 영국과 북미에서는 감리교가 감소하고 있지만, 다른 지역, 예를 들어 한국에서는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160] 전 세계적인 사법 권한을 가진 단일 감리교회는 없으며, 감리교인들은 여러 독립적인 교단 또는 "연합체"에 속한다. 대다수의 감리교인들은 80개의 감리교, 웨슬레안, 그리고 관련 합동 교단[161]으로 구성된 국제 협회인 세계 감리교 협의회의 일부인 교단의 회원이다.[5] 약 8천만 명의 사람들을 대표한다.존 웨슬리는 ''나는 온 세상을 나의 교구로 여긴다.''' 즉, 내가 어떤 곳에 있든지, 들으려고 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구원의 기쁜 소식을 전하는 것이 내게 합당하고 옳으며, 나의 의무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했다.[5]
12. 지역별 감리교 현황
감리교는 영어권 국가에서 널리 퍼져 있지만, 영국과 미국의 감리교 선교 활동 덕분에 유럽 대륙에도 조직되어 있다.[188] 영국 선교사들은 아일랜드와 이탈리아 전역에 감리교를 설립하는 데 주로 책임이 있었다.[188] 현재 미국 감리교회(UMC)는 알바니아, 오스트리아, 벨라루스, 벨기에, 불가리아, 체코 공화국, 크로아티아,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독일, 헝가리,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몰도바, 북마케도니아, 노르웨이, 폴란드, 루마니아, 세르비아, 슬로바키아, 스웨덴, 스위스, 우크라이나에 진출해 있다.[162][163][164] 유럽에는 다른 소규모 감리교 교단들도 존재한다.
영국 감리교회는 1932년 감리교 연합으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165] 영국에서 네 번째로 큰 교단인 영국 감리교회는 4,650개의 교회에 약 202,000명의 회원을 두고 있다.[166] 영국 감리교는 주교가 없지만, 항상 강력한 중앙 조직인 연합이 특징이다. 웨스트민스터 사원 맞은편 런던 중심부에 있는 웨스트민스터 중앙홀이 잘 알려져 있다. 영국 감리교도들은 19세기와 20세기 초 금주 운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171][172] 오늘날까지도 감리교 시설에서는 알코올이 금지되어 있지만, 이러한 제한은 더 이상 개인 주택의 가정적인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173]
오늘날 아일랜드 감리교회()는 아일랜드 전역, 즉 북아일랜드와 아일랜드 공화국 모두에서 활동하고 있다. 2018년 기준으로 아일랜드 전역에 약 5만 명의 감리교인이 있었다.[179]
이탈리아 감리교회()는 이탈리아에 있는 작은 프로테스탄트 공동체이다.[186] 1975년부터 발도파 교회와 공식적인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187] 이탈리아 감리교는 이탈리아 자유교회, 영국 웨슬리 감리교회 선교회, 그리고 미국 감리교 감독회 선교회에서 유래했다.[188] 2016년 4월, 세계 감리교 협의회는 로마에 에큐메니칼 사무소를 개설했다.[190]
미합중국 감리교회의 "북유럽과 발트해 지역"은 북유럽 국가(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와 발트해 국가(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를 포함한다. 감리교는 19세기 후반 북유럽 국가들에 소개되었다.[192] 오늘날 노르웨이 감리교회(United Methodist Church in Norway)()가 이 지역에서 가장 큰 연례 회의를 개최한다.[163] 스웨덴 감리교회(United Methodist Church in Sweden)()는 2011년 스웨덴 통합교회에 합류했다.[193]
핀란드에서는 1860년대 오스트로보트니아 출신 선원들을 통해 감리교가 전파되었고, 특히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오스트로보트니아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최초의 감리교회는 1881년 바사에, 최초의 핀란드어 사용 교회는 1887년 포리에 설립되었다.[194]
프랑스 감리교 운동은 1820년대 찰스 쿡(Charles Cook)에 의해 시작되었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연합 감리교회(Union of Evangelical Methodist Churches) 또는 UEEM()이다. 이는 미국 감리교회의 자치 지역 회의이며, 2005년 "프랑스 감리교회"와 "감리교회 연합"의 합병의 결과물이다. [197]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에서는 ''Evangelisch-methodistische Kirche''가 미합중국 감리교회를 가리킨다. 독일 지역 교회는 북부, 동부, 남부의 세 연회로 조직되어 있다.[164] 감리교는 남부 작센과 슈투트가르트 주변 지역에서 가장 널리 퍼져 있다. 독일의 감리교는 네 가지 뿌리를 가지고 있다. 영국에서 돌아온 감리교 선교사가 1830년에, 처음에는 뷔르템베르크 지역에 영국 감리교를 소개했다. 감리교는 1849년 브레멘에서 시작된 감리교 감독 교회의 선교 활동을 통해 독일 전역으로 확산되었다.[199]
헝가리 최초의 감리교 선교회는 1898년 베르바스(Verbász)의 바치카(Bácska)에 설립되었다. 1905년에는 부다페스트에도 감리교 선교회가 설립되었다. 1974년, 헝가리 복음주의 연합(Hungarian Evangelical Fellowship)으로 알려진 단체가 헝가리 감리교회에서 분리되었다. 현재, 헝가리 연합 감리교회()는 여러 자선 단체를 운영하고 있다.[203] 분리된 헝가리 복음주의 연합(Magyarországi Evangéliumi Testvérközösséghu)은 조직과 신학에서 여전히 감리교적이며, 다양한 자선 단체를 운영한다.
감리교회는 러시아상트페테르부르크 서부와 동부 블라디보스토크 지역에 여러 교세가 강한 지역을 확립했으며, 모스크바와 예카테린부르크(Ekaterinburg)에 큰 감리교 중심지가 있었다. 감리교도들은 1881년 서부의 스웨덴 이민자들 사이에서 사역을 시작했고, 1910년 동부에서 사역을 시작했다.[212]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에도 안나 에클룬드(Anna Eklund) 집사의 노력으로 감리교는 러시아에 존속했다.[213] 1990년대에 감리교는 러시아에서 강력한 부흥을 경험했다.[212]
12. 1. 유럽
감리교는 영어권 국가에서 널리 퍼져 있지만, 영국과 미국의 감리교 선교 활동 덕분에 유럽 대륙에도 조직되어 있다.[188] 영국 선교사들은 아일랜드와 이탈리아 전역에 감리교를 설립하는 데 주로 책임이 있었다.[188] 현재 미국 감리교회(UMC)는 알바니아, 오스트리아, 벨라루스, 벨기에, 불가리아, 체코 공화국, 크로아티아,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독일, 헝가리,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몰도바, 북마케도니아, 노르웨이, 폴란드, 루마니아, 세르비아, 슬로바키아, 스웨덴, 스위스, 우크라이나에 진출해 있다.[162][163][164] 유럽에는 다른 소규모 감리교 교단들도 존재한다.
영국 감리교회는 1932년 감리교 연합으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165] 영국에서 네 번째로 큰 교단인 영국 감리교회는 4,650개의 교회에 약 202,000명의 회원을 두고 있다.[166] 영국 감리교는 주교가 없지만, 항상 강력한 중앙 조직인 연합이 특징이다. 웨스트민스터 사원 맞은편 런던 중심부에 있는 웨스트민스터 중앙홀이 잘 알려져 있다. 영국 감리교도들은 19세기와 20세기 초 금주 운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171][172] 오늘날까지도 감리교 시설에서는 알코올이 금지되어 있지만, 이러한 제한은 더 이상 개인 주택의 가정적인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173]
오늘날 아일랜드 감리교회()는 아일랜드 전역, 즉 북아일랜드와 아일랜드 공화국 모두에서 활동하고 있다. 2018년 기준으로 아일랜드 전역에 약 5만 명의 감리교인이 있었다.[179]
이탈리아 감리교회()는 이탈리아에 있는 작은 프로테스탄트 공동체이다.[186] 1975년부터 발도파 교회와 공식적인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187] 이탈리아 감리교는 이탈리아 자유교회, 영국 웨슬리 감리교회 선교회, 그리고 미국 감리교 감독회 선교회에서 유래했다.[188] 2016년 4월, 세계 감리교 협의회는 로마에 에큐메니칼 사무소를 개설했다.[190]
미합중국 감리교회의 "북유럽과 발트해 지역"은 북유럽 국가(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와 발트해 국가(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를 포함한다. 감리교는 19세기 후반 북유럽 국가들에 소개되었다.[192] 오늘날 노르웨이 감리교회(United Methodist Church in Norway)()가 이 지역에서 가장 큰 연례 회의를 개최한다.[163] 스웨덴 감리교회(United Methodist Church in Sweden)()는 2011년 스웨덴 통합교회에 합류했다.[193]
핀란드에서는 1860년대 오스트로보트니아 출신 선원들을 통해 감리교가 전파되었고, 특히 스웨덴어를 사용하는 오스트로보트니아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최초의 감리교회는 1881년 바사에, 최초의 핀란드어 사용 교회는 1887년 포리에 설립되었다.[194]
프랑스 감리교 운동은 1820년대 찰스 쿡(Charles Cook)에 의해 시작되었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연합 감리교회(Union of Evangelical Methodist Churches) 또는 UEEM()이다. 이는 미국 감리교회의 자치 지역 회의이며, 2005년 "프랑스 감리교회"와 "감리교회 연합"의 합병의 결과물이다. [197]
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에서는 ''Evangelisch-methodistische Kirche''가 미합중국 감리교회를 가리킨다. 독일 지역 교회는 북부, 동부, 남부의 세 연회로 조직되어 있다.[164] 감리교는 남부 작센과 슈투트가르트 주변 지역에서 가장 널리 퍼져 있다. 독일의 감리교는 네 가지 뿌리를 가지고 있다. 영국에서 돌아온 감리교 선교사가 1830년에, 처음에는 뷔르템베르크 지역에 영국 감리교를 소개했다. 감리교는 1849년 브레멘에서 시작된 감리교 감독 교회의 선교 활동을 통해 독일 전역으로 확산되었다.[199]
헝가리 최초의 감리교 선교회는 1898년 베르바스(Verbász)의 바치카(Bácska)에 설립되었다. 1905년에는 부다페스트에도 감리교 선교회가 설립되었다. 1974년, 헝가리 복음주의 연합(Hungarian Evangelical Fellowship)으로 알려진 단체가 헝가리 감리교회에서 분리되었다. 현재, 헝가리 연합 감리교회()는 여러 자선 단체를 운영하고 있다.[203] 분리된 헝가리 복음주의 연합(Magyarországi Evangéliumi Testvérközösséghu)은 조직과 신학에서 여전히 감리교적이며, 다양한 자선 단체를 운영한다.
감리교회는 러시아상트페테르부르크 서부와 동부 블라디보스토크 지역에 여러 교세가 강한 지역을 확립했으며, 모스크바와 예카테린부르크(Ekaterinburg)에 큰 감리교 중심지가 있었다. 감리교도들은 1881년 서부의 스웨덴 이민자들 사이에서 사역을 시작했고, 1910년 동부에서 사역을 시작했다.[212]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에도 안나 에클룬드(Anna Eklund) 집사의 노력으로 감리교는 러시아에 존속했다.[213] 1990년대에 감리교는 러시아에서 강력한 부흥을 경험했다.[212]
12. 2. 카리브해
1760년, 안티구아 의회 의장이자 사탕수수 재배업자인 내덜니얼 길버트(Nathaniel Gilbert, 약 1719~1774)가 안티구아에 있는 자신의 사탕수수 농장으로 돌아오면서 카리브해에 감리교가 전파되었다.[215] 흔히 알려진 바에 따르면, 1755년 길버트는 요양 중 형 프랜시스가 보낸 존 웨슬리의 논문 "이성과 종교의 사람들에게 호소하다(An Appeal to Men of Reason and Religion)"를 읽었다. 그는 2년 후 세 명의 노예와 함께 영국으로 갔고, 1759년 1월 15일 완즈워스에서 열린 모임에서 존 웨슬리를 만났다. 그 후 카리브해로 돌아와 자신의 노예들에게 설교하기 시작했다.[215]1774년 길버트가 사망한 후, 그의 사역은 형 프랜시스 길버트가 이어받아 약 200명의 감리교도에게 전파되었다. 그러나 1년 후 프랜시스는 병으로 영국으로 돌아갔고, 소피아 캠벨("흑인 여성")과 메리 앨리("혼혈 여성")가 기도 모임 등을 통해 신도들을 이끌었다.[216]
1778년 4월 2일, 영국 켄트 주 채텀 출신의 설교자이자 조선공인 존 벅스터(John Baxter)가 안티구아 잉글리시 항구(현재 넬슨 조선소)에 상륙, 해군 조선소에서 일하며 감리교 지도자들과 만나 설교를 시작했다. 1년 만에 감리교 공동체는 600명으로 성장했고, 1783년에는 약 2,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최초의 감리교 예배당이 안티구아에 건립되었다.[217] 1785년, 바베이도스 출신 윌리엄 터턴은 안티구아에서 존 벡스터를 만났고, 1796년부터 생바르텔레미에서 감리교 활동을 도왔다.[215]
1786년, 카리브해 지역 선교 사업은 영국의 감리교 연회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같은 해 존 웨슬리에 의해 2년 전 미국에서 감독으로 임명되었던 토마스 코크는 노바스코샤로 가던 중 악천후로 안티구아에 정박하게 되었다.[218][219][220] 영국 선교사들의 활동으로 영국령 서인도 제도에 감리교 부흥 운동이 퍼져나갔다.[216]

1818년, 바베이도스 출신 노예 에드워드 프레이저는 버뮤다로 이주, 제임스 던바 목사를 만나 조수로 임명되었다. 프레이저는 1827년까지 새 예배당 건축을 도왔고, 해방 후 감리교 목사로 임명되어 안티구아와 자메이카에서 봉직했다.[215] 1820년대 윌리엄 J. 슈루즈베리(윌리엄 슈루즈베리)의 설교 이후, 사라 앤 길(사라 앤 길)(1779~1866)은 시민 불복종을 통해 교인들의 기도 모임을 금지하려는 치안판사의 결정을 막았다. 그녀는 새로운 예배당 건립을 위해 노력했고, 주지사가 임명한 민병대가 그녀의 집 철거를 막기도 했다.[221]
1884년, 두 개의 서인도 제도 연회가 구성되면서 자치를 위한 시도가 있었지만 1903년에 실패했다. 1960년대에 이르러서야 자치를 위한 두 번째 시도가 이루어졌고, 1967년 5월 카리브해 및 아메리카 감리교회(MCCA)가 출현했다.[216] MCCA는 168명의 목사가 700개 이상의 교회에서 사역하며 약 6만 2천 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216]
감리교 목사였던 프랜시스 고드슨(프랜시스 고드슨)(1864~1953)은 카리브해 여러 섬에서 봉사 후, 바베이도스에서 제1차 세계 대전의 고난을 겪는 사람들을 도왔다. 그는 바베이도스 입법평의회에 임명되어 연금 수령자의 권리를 위해 싸웠다. 그 뒤를 이어 어거스터스 로울 파킨슨(어거스터스 로울 파킨슨)(1864~1932)[222]이 바베이도스 브리지타운(브리지타운)의 웨슬리 홀 스쿨 초대 교장을 역임했다.[215]
최근 바베이도스에서는 빅터 알폰소 쿡과 로렌스 버논 하코트 루이스가 섬의 감리교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215] 프랜시스 우드바인 블랙먼(1922~2010)은 서인도 제도 대학교의 전 사무총장이자 문필가로, 그의 연구와 출판물은 카리브해 감리교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했다.[223][224]
12. 3.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대부분의 감리교 교단은 영국 감리교회(Methodist Church of Great Britain)를 모교회로 여기며 영국 감리교 전통을 따른다.[225] 원래 영국 구조를 본떠 만들어졌지만, 대부분의 교회는 독립 이후 감독제 교회 통치 모델을 채택했다.[225]나이지리아 감리교회는 세계에서 가장 큰 감리교 교단 중 하나이며, 나이지리아에서 가장 큰 기독교 교회 중 하나이다. 2000년에는 약 200만 명의 신자가 2000개의 교회에 소속되어 있었으며,[225] 밀레니엄 시대 이후 급격한 성장을 보였다.[226] 1842년 웨슬리 감리교 선교사가 도착하면서 나이지리아에 기독교가 전파되었다.[225] 그는 시에라리온에서 나이지리아로 돌아온 흑인 노예 출신들의 선교사 요청에 응답하여 온 것이었다. 바다그리와 아베오쿠타에 세워진 선교 기지를 중심으로 감리교회는 니제르 강 서쪽과 일부 북부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1893년에는 원시 감리교회 선교사들이 나이지리아 남부 해안의 섬인 페르난도 포에서 도착하여 감리교회는 니제르 강 동쪽과 북부 지역으로 더욱 확산되었다. 니제르 강 서쪽과 일부 북부 지역은 서나이지리아 지구, 동쪽과 다른 일부 북부 지역은 동나이지리아 지구로 알려졌으며, 1962년 나이지리아 감리교회 총회를 구성할 때까지 서로 독립적으로 존재했다. 1976년에 채택된 감독제 교회 통치 시스템은 모든 교회 부문에서 완전히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나, 양측이 합의하여 갈등을 해결했다. 1990년 새로운 헌법이 비준되었으며, 시스템은 여전히 감독제이지만 불만을 야기했던 부분은 양측 모두에게 수용될 수 있도록 수정되었다. 오늘날 나이지리아 감리교회는 1명의 수장(prelate), 8명의 대주교 및 44명의 주교를 두고 있다.[225]
가나 감리교회는 약 2,905개의 교회에 700명의 목사가 사역하며 약 800,000명의 회원을 보유한 가장 큰 감리교 교단 중 하나이다.[227] 전 세계 영국 감리교회와 연합 감리교회와 자매 관계를 맺고 있다. 가나의 감리교는 1835년 조셉 로즈 던웰이 골드코스트에 도착하면서 시작된 웨슬리 감리교회의 선교 활동의 결과로 생겨났다.[228] 로마 가톨릭과 성공회 선교사들은 15세기부터 골드코스트에 왔으며, 가나인 사제 필립 콰케 시대에 성공회는 케이프코스트에 학교를 설립했다. 이 학교 출신들은 기독교 지식 전파 협회가 제공한 성경과 연구 자료를 가지고 있었고, 그 결과 생긴 성경 연구 모임의 회원인 윌리엄 드그래프트는 ''콩고''호의 선장 포터를 통해 성경을 요청했다. 성경뿐만 아니라 감리교 선교사도 파견되었다. 교회 설립 초기 8년 동안 골드코스트에서 일한 21명의 선교사 중 11명이 사망했다. 1838년 골드코스트에 도착한 토마스 버치 프리먼은 선교 확장의 선구자였다. 그는 1838년부터 1857년 사이에 해안 지역에서 골드코스트의 아산테 내륙에 있는 쿠마시까지 감리교를 전파했다. 그는 또한 윌리엄 드그래프트의 도움으로 나이지리아의 바다그리와 아베오쿠타에 감리교회를 설립했다.[229] 1854년까지 교회는 T. B. 프리먼을 의장으로 하는 구역으로 구성된 지구로 조직되었고, 1856년 프리먼은 윌리엄 웨스트로 교체되었다. 1878년 총회에서 당시 골드코스트와 나이지리아 지역을 포함하도록 지구가 분할되고 확장되었고, 이는 영국 총회에서 확인되었다. 지구는 T. R. 피콧을 의장으로 하는 골드코스트 지구와 존 밀럼을 의장으로 하는 요루바와 포포 지구였다. 가나 북부의 감리교 복음 전파는 1910년에 시작되었고, 식민 정부와의 오랜 갈등 끝에 1955년 선교 사업이 설립되었다. 폴 아두는 가나 북부 최초의 토착 선교사였다.[230] 1961년 7월, 가나의 감리교회는 자치권을 얻어 교회의 ''헌법 및 상임 명령''의 일부인 설립 증서에 따라 가나 감리교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27]

감리교회는 남아프리카공화국, 나미비아, 보츠와나, 레소토, 스와질란드 전역에서 활동하며, 짐바브웨와 모잠비크에도 제한적으로 존재한다. 세계 감리교 협의회의 회원 교회이다. 남부 아프리카의 감리교는 영국 연대의 아일랜드 군인 존 어윈(John Irwin)의 평신도 기독교 활동으로 시작되었으며, 그는 케이프에 주둔하면서 1795년 초부터 기도 모임을 시작했다.[231] 케이프 최초의 감리교 평신도 설교자인 조지 미들미스(George Middlemiss)는 1805년 케이프에 주둔한 영국군 제72연대 군인이었다.[232] 이러한 기반은 영국 감리교 선교 단체의 선교 활동의 길을 열었고, 그들은 많은 선교사들을 1820년 영국 정착민들과 함께 서케이프와 동케이프로 파송했다. 초기 선교사 중 가장 주목할 만한 사람은 바나바스 쇼(Barnabas Shaw)와 윌리엄 쇼(William Shaw)이다.[233][234][235] 가장 큰 그룹은 감리교회였지만, 나중에 남아프리카 감리교회로 알려진 남아프리카 감리교회를 형성하기 위해 여러 그룹이 합류했다.[236] 남아프리카 감리교회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가장 큰 주류 개신교 교단이며, 최근 국세 조사에서 남아프리카공화국 인구의 7.3%가 종교적 소속을 '감리교'로 기록했다.[237]
12. 4. 아시아

감리교는 1847년 가을, 미국 감리교회(Methodist Episcopal Church)에 의해 중국에 전래되었다. 최초로 파송된 선교사는 저드슨 드와이트 콜린스와 모세 클락 화이트였는데, 그들은 1847년 4월 15일 보스턴(Boston)을 출발하여 9월 6일 푸저우(福州)에 도착했다. 그 뒤를 이어 헨리 히콕과 로버트 새뮤얼 맥레이(Robert Samuel Maclay)가 1848년 4월 15일에 도착했다. 1857년, 감리교의 활동과 관련하여 최초의 개종자가 세례를 받았다. 1856년 8월에는 "참 하나님의 교회"(真神堂 (Zhēnshén táng))라는 이름의 벽돌 교회가 봉헌되었는데, 이는 프로테스탄트 선교부가 푸저우에 세운 최초의 본격적인 교회 건물이었다. 같은 해 겨울에는 민강(閩江) 남쪽 기슭 교외 언덕에 위치한 또 다른 벽돌 교회가 완공되어 "푸저우 천국 평화 교회"(Church of Heavenly Peace)라는 이름으로 봉헌되었다. 1862년 당시 교인 수는 87명이었다. 1867년 12월 6일, 아이작 W. 와일리(Isaac W. Wiley)에 의해 푸저우 연회(Fuzhou Conference)가 조직되었는데, 그때 교인과 수련자 수는 2,011명에 달했다.
호 차우(周學 (Zhōu Xué), 라이통 차우(周勵堂 (Zhōu Lìtáng))로도 알려짐)는 중국 감리교 남중국 지구의 최초로 안수받은 중국인 목사였다(재임 기간: 1877년~1916년). 1839년 런던 선교회(London Missionary Society)에서 파송된 의료 선교사인 벤자민 홉슨(Benjamin Hobson)은 혜애의원(惠愛醫館 (Huì ài yī guǎn))을 설립했다. 량파(梁發), 호 차우 등이 그곳에서 일했다. 량파는 1852년에 차우에게 세례를 베풀었다. 영국에 본부를 둔 감리교회는 선교사 조지 피어시(George Piercy)를 중국으로 파송했다. 1851년 피어시는 광저우(Canton)로 가서 무역회사에서 일했다. 1853년 그는 광저우에 교회를 설립했다. 1877년 차우는 감리교회에서 안수받아 39년 동안 목회를 했다.
1867년, 선교부는 중국 중부에 최초의 선교사들을 파송하여 구강(九江)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1869년에는 베이징(北京)에도 선교사들이 파송되어 북경 선교부(North China Mission)의 기초를 마련했다. 1880년 11월에는 서중국 선교부(West China Mission)가 쓰촨성(四川省)에 설립되었다. 1896년에는 흥화부(興化府, 현재의 푸톈(莆田)) 및 그 주변 지역의 활동이 선교 회의로 조직되었다.
1947년, 중화민국(Republic of China)의 감리교회는 100주년을 기념했다. 그러나 1949년, 감리교회는 중국 국민당 정부와 함께 대만으로 이전했다. 1953년 6월 21일, 타이베이 감리교회가 설립되었고, 이후 2,500명이 넘는 세례교인을 보유한 지역 교회와 예배당들이 생겨났다. 교육, 의료, 사회복지 등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었으며(동해대학교 포함), 1972년 중화민국 감리교회는 자치권을 획득하였고, 1986년 첫 감독이 임명되었다.
홍콩 감리교회}}
P. Dayanandan의 연구에 따르면 감리교는 1817년과 1856년 두 차례에 걸쳐 인도에 전파되었다. 토마스 코크와 다른 6명의 선교사들은 1814년 신년 첫날 인도로 향해 출항했다. 당시 66세였던 코크는 항해 중 사망했다. 제임스 린치 목사가 1817년 블랙타운(브로드웨이), 후에 조지타운으로 알려진 마드라스에 도착했다.
최초의 감리교회는 1819년 로이야페타에 헌납되었다. 브로드웨이(블랙타운)에 있는 예배당은 나중에 건축되어 1822년 4월 25일에 헌납되었다. 이전 건물이 붕괴되어 1844년에 재건축되었다. 당시 마드라스 전체에 약 100명의 감리교 신자가 있었는데, 그들은 유럽인이나 유라시아인(유럽인과 인도인 혼혈)이었다. 인도 감리교 설립 시기에 관련된 인물로는 마드라스로 선교사로 온 엘리야 훌과 토마스 크라이어가 있다.
1857년 감리교 감독 교회가 인도에서 활동을 시작했고, 에마누엘 감리교회의 저명한 복음 전도사인 윌리엄 테일러(William Taylor) (1874년생)가 베페리에서 활동했다. 테일러와 복음 전도사 제임스 밀스 토번(James Mills Thoburn)은 1873년 콜카타에 토번 기념 교회를, 1877년에는 콜카타 소년학교를 설립했다.
1947년 인도 웨슬리 감리교회는 장로교, 성공회, 기타 개신교 교회와 합병하여 인도 남부 감리교회를 설립했고, 미국 감리교회는 1981년까지 미국 본교회인 연합 감리교회에 소속된 인도 남부 아시아 감리교회(MCSA)로 남았다. 그 후 인도 감리교회(MCI)는 법률에 따라 인도의 자치 교회가 되었다. 현재 인도 감리교회는 뭄바이에 본부를 두고 6명의 감독이 이끄는 인도 감리교회 총회에서 관할한다.
영국, 북미, 호주 출신 선교사들이 많은 영연방 국가에 감리교회를 설립했다. 이 교회들은 현재 이전의 "모교회"로부터 독립되어 있다. 선교사들은 교회 외에도 종종 지역 사회에 봉사하기 위한 학교를 설립했다. 이러한 학교의 좋은 예로는 쿠알라룸푸르 감리교 소년학교, 조지타운의 감리교 여학교와 감리교 소년학교, 그리고 싱가포르의 앵글로차이니즈 스쿨, 싱가포르 감리교 여학교, 파야레바르 감리교 여학교, 페어필드 감리교 학교가 있다.

필리핀의 감리교는 1898년 미국이 스페인-미국 전쟁의 결과로 필리핀을 점령한 직후 시작되었다. 1898년 6월 21일, 마닐라 만 해전 이후이지만 파리 조약 이전에, 감리교 감독교회의 미국 선교회 임원들은 다른 개신교 교파들과 함께 섬에서 선교 사업을 시작하고 그러한 선교 사업의 설립을 용이하게 하는 협의 협약에 참여하고자 했다. 최초의 개신교 예배는 1898년 8월 28일 조지 C. 스털이라는 미국 군목이 집례하였다. 스털은 감리교 감독교회(1968년 이후에는 연합 감리교회의 일부가 됨) 몬태나 연회의 안수 받은 감리교 목사였다.
필리핀의 감리교와 웨슬리안 전통은 필리핀에서 가장 큰 주류 개신교 교회 세 곳인 필리핀 연합 감리교회, ''Iglesia Evangelica Metodista En Las Islas Filipinas''("필리핀 제도 복음 감리교회", 약칭 IEMELIF), 그리고 필리핀 그리스도 연합 교회가 공유하고 있다. 또한 필리핀에는 필리핀 웨슬리안 교회, 자유 감리교회, 그리고 나사렛 교회 와 같이 감리교 전통을 따르는 복음주의 개신교 교회들이 있다. 또한 IEMELIF 개혁 운동(IRM), 필리핀 웨슬리안(순례 성결)교회, 필리핀 성서 감리교회, 합병된 오순절 자유 감리교회, 기본주의 기독교 감리교회, 합병된 개혁 감리교회, 합병된 생명의 떡 감리교회, 그리고 합병된 웨슬리 복음 감리교회 및 선교회가 있다.
필리핀 연합 감리교회에는 감독 구역이 세 곳 있다. 바기오 감독 구역, 다바오 감독 구역, 마닐라 감독 구역이다.
필리핀 연합 감리교회 내 여러 단체들의 자치권 요구는 주로 감독 후보들이 주도한 여러 회의에서 논의되었다. 이는 2010년 리토 C. 탕고난 감독, 조지 부에나벤투라, 치타 밀란, 조 프랭크 E. 주니가가 이끄는 ''Ang Iglesia Metodista sa Pilipinas''("필리핀 감리교회")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이 단체는 2011년 12월 7일에 필리핀 증권거래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완전한 자치권과 법인 설립을 선언했으며, 현재 대리인들이 서류를 보관하고 있다. 현재 메트로 마닐라, 팔라완, 바탄, 잠발레스, 팡가시난, 불라칸, 아우로라, 누에바 에시하, 그리고 팜팡가와 카비테 일부 지역에 126개의 지역 교회가 있다. 탕고난은 2012년 3월 17일에 이 교단의 초대 감독으로 서임되었다.

일본에서는 캐나다·북미 교회의 선교에서 아오야마가쿠인이, 남 메소디스트 감독교회의 선교에서 간사이가쿠인이 생겨났다. 일본 메소디스트 교회는 일본기독교단 설립과 동시에 이에 참여했다. 그 외에 일본 자유 메소디스트 교단, 일본 프리 메소디스트 교단, 도쿄 프리 메소디스트 교회 등이 존재한다. 이들은 미국계 웨슬리안 메소디스트이다.
1873년 미국 메소디스트 감독교회가 선교사를 파견하여 요코하마, 도쿄, 나가사키, 하코다테를 전도의 거점으로 삼았다(미이 교회). 혼다 요이치(本多庸一)가 히로사키에서 메소디스트로 개종하고, 곧 혼다를 중심으로 1884년 일본 연회를 조직했다. 고베를 중심으로 서일본에 전도하고 있던 미국 남 메소디스트 감독교회(남미이 교회)와 시즈오카를 중심으로 전도하고 있던 캐나다 메소디스트 교회가 1907년에 합동하여 일본 메소디스트 교회가 탄생했다.
1881년에 미국 메소디스트 프로테스탄트 교회 본부가 일본에서의 교육 및 전도 사업을 시작했다. 그 결과 요코하마 에이와 여학교와 나고야 에이와 학교, 그리고 요코하마 제1, 제2, 제3 미푸 교회가 설립되었고, 그 후 히라츠카, 치가사키, 이세하라에 교회당을 건설했다. 요코하마에 이어 나고야에서 전도 사업을 시작하여, 1897년 나고야 제1(히로미치) 교회, 제2(나카쿄), 제3(아쓰타) 교회가 설립되었고, 이어 시즈오카, 하마마쓰 등 도카이도(東海道)를 따라 전도 사업이 진행되었다. 이후 일본 미푸(美普) 교회가 되고, 1939년 관리가 미국 본부에서 일본인에게 인계되었다.
1895년 미국 자유 메소디스트 교회가 까키하라 마사츠구(柿原正次)를 일본 자유 메소디스트 교회 초대 감독으로 임명하여 일본에 파견했다. 이어 1896년 가와베 사다키치(河辺貞吉)가 미국 자유 메소디스트 교회로부터 일본 전도의 책임자로 임명되어 일본에 파견되었다. 가와베 사다키치(河辺貞吉) 등이 아와지섬에서 전도 활동을 시작했다. 8년간 아와지섬에서 전도 활동을 하고, 오사카와 효고에서도 활동했다. 1903년 미국 자유 메소디스트 교회는 최초의 선교사로 매튜슨(マチウソン) 부부, 영글렌(ヤングレン) 부부를 일본에 파견했다. 1908년 전도자 양성을 위해 오사카 전도관(현: 오사카 기독교 단기대학)을 설립했다.
1940년 자유 메소디스트 교회, 일본 나자렌 교회, 일본 동맹 기독교회, 세계 선교단이 일본 성화 기독교단을 결성한다. 총리에 쓰치야마 테쓰지(土山鉄次)가 취임했다. 1941년 일본 기독교단의 성립과 함께 일본 성화 기독교단이 제8부가 되고, 일본 메소디스트 교회와 일본 미푸 교회가 제2부가 된다. 전후 8부의 구성 단체는 일본 기독교단을 탈퇴했지만, 2부의 대부분은 일본 기독교단에 남아 있으며, 현재 전통을 계승하는 단체로 [https://www.methodist.jp/ 일본 기독교단 갱신 전도회]가 있다.
전후, 일본 자유 메소디스트 교단이 일본 기독교단으로부터 독립했고(1952년 창립), 1970년대 이후의 소위 “교단 문제”에 의해 1984년 거기서 일본 프리 메소디스트 교단이 분리되었다. 또한, 전후 일본에 온 북미 자유 메소디스트 교회 은퇴 교사의 전도에 의해 도쿄 프리 메소디스트 교회가 탄생했다.
또한, 혼다 요이치(本多庸一)에 의해 개종하여 메소디스트 교회의 전도사가 된 나카다 주지(中田重治)에 의해 홀리니스 운동이 일어나, 그 결과 홀리니스파의 여러 교회가 탄생했다. 일본 홀리니스 교회의 교직에 있던 쓰타다 후미오(蔦田二雄)를 중심으로 탄생한 리바이벌 리그라고 불리는 초교파 운동은 18세기의 메소디스트 운동을 일본에서 재현하려는 것이었지만, 1943년에 시작된 군벌 정부의 교회 탄압에 의해 중단될 수밖에 없었다. 1945년에 창설된 임마누엘 종합 전도단은 그 흐름을 계승하는 교파 중 하나이며, 신학적으로는 메소디스트 계열에 있다.
또한, 영국 메소디스트에서 태어난 구세군이 에드워드 라이트(エドワード・ライト) 대좌에 의해 1895년부터 일본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그 후 얼마 안 있어 야마무로 군페이(山室軍平)가 입대하여, 후에 일본인 최초의 사관으로 임명되어 일본 구세군의 자립과 성장을 위해 공헌했다. 일본에서는 부스 기념 병원 등에서의 의료 활동, 재해의 의연금 모금 활동, 갱생 보호 사업 등의 사회 사업을 실시했다.
12. 5. 아메리카
메소디스트 운동은 아일랜드, 미국(미국 합중국) 등에 일찍부터 전교되어 현재 미국에서 신도 수가 두 번째로 많은 프로테스탄트 교단이다. 첫 번째는 침례교이다. 교리로는 루터교에 가까우며, 회개를 통한 구원을 강조한다. 장 칼뱅이 설파한 예정론적인 생각은 취하지 않는다.
미국에 전교된 감리교는 개척 시대의 서부로 급속히 퍼져나가면서 성격이 변화되었다. 웨슬리가 설파한 교리의 어떤 부분과 대중 운동이라는 측면이 강조되었는데, 구원은 죄의 자각과 함께 이미 있는 것으로서 체험되는 영적인 기쁨과, 그 기쁨에 근거하여 이 현세에서 하나님 나라를 실현하려는 강렬한 사회 변혁 의욕이었다. 개척 시대 미국의 전교에 종사한 설교자들의 대부분은 전문 교육은 충분히 받지는 않았지만, 열렬한 신앙심을 가지고 사회 사업에 대한 활력이 넘치는 사람들이었다.
1784년 토마스 코크는 프랜시스 애즈버리와 함께 미국으로 파견되어, 볼티모어 성탄절 회의에서 감리교 감독교회(Methodist Episcopal Church)를 설립했다.[271] 코크는 애즈버리를 사흘 연속으로 각각 집사, 장로, 감독으로 서품했다.[271] 많은 평신도들이 순회 설교자로서 말을 타고 다니며 복음을 전파하고 여러 곳에 교회를 세웠다.[272]
제1차 대각성(First Great Awakening)은 1730년대와 1740년대에 뉴저지에서 시작되어 뉴잉글랜드로, 그리고 결국 버지니아와 노스캐롤라이나 남쪽으로 확산된 종교 운동이었다.[273] 제2차 대각성(Second Great Awakening)은 1790년부터 1840년까지 전국적인 부흥의 물결이었으며,[275] 감리교는 제2차 대각성(Second Great Awakening)에서 빠르게 성장하여 1820년에는 미국에서 가장 큰 교파가 되었다.[275] 1790년 5만 8천 명의 회원에서 1860년 166만 1천 명으로 70년 만에 28.6배 성장했다.[275] 감리교는 독일 이민자들을 끌어들였고, 첫 번째 독일 감리교회가 오하이오주 신시내티(Cincinnati, Ohio)에 세워졌다.[277]
1828년 미국 감리교회에서 교회 정치의 의견 차이로 메소디스트 프로테스탄트가 분리 독립했다. 1843년 노예 문제를 둘러싸고 웨슬리안 감리교회(웨슬리안 감리교 연합)(Wesleyan Methodist Church (United States))(후에 웨슬리안 감리교회로 개명됨)와 자유 감리교회(Free Methodist Church)는 확고한 노예 폐지론자들에 의해 설립되었고, 자유 감리교인들은 특히 노예 해방에 도움이 된 지하철도(Underground Railroad)에서 활동했다.[278]
남북 전쟁에서는 교회 자체가 남북으로 나뉘어 싸웠다. 1845년 켄터키주 루이빌에서 노예 소유 주의 교회들이 감리교 감독교회에서 탈퇴하여 남부 감리교 감독교회(Methodist Episcopal Church, South)를 설립했다. 1939년 북부와 남부 지부가 재결합되었으며, 이 합병에는 감리교 프로테스탄트 교회(Methodist Protestant Church)도 참여했다. 신학적으로 더 보수적인 일부 남부 사람들은 합병에 반대하여 1940년에 남부 감리교회(Southern Methodist Church)를 설립했다.
1860년 미국 북감리교회에서 미국 자유 감리교회가 분리되었다. 1968년 복음 연합 형제 교회(Evangelical United Brethren Church)(EUB)와 미국 감리교회(Methodist Church (USA))의 합병으로 연합 감리교회(United Methodist Church)(UMC)가 설립되었다.[284]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 부부가 열렬한 신자이다.
성결 부흥은 주로 감리교 신앙을 가진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났으며,[288] 1867년 뉴저지주 비넬랜드에서 열린 많은 성결 캠프 미팅(camp meeting) 중 첫 번째 미팅이 설립되었다.
2020년 연합 감리교인들은 동성 결혼 문제를 놓고 교파를 분열시킬 계획을 발표했고,[290] 이는 2022년 5월 1일에 설립된 전통적인 감리교 교파인 세계 감리교회(Global Methodist Church)를 형성했다.[291][292][293]
캐나다 감리교의 선구자는 1763년 뉴펀들랜드에 도착하여 학교를 열고 광범위하게 활동한 코글런 목사였다. 1884년, 대부분의 캐나다 감리교회는 캐나다 감리교회의 깃발 아래 모였다. 1925년, 캐나다 감리교회와 대부분의 캐나다 장로교회, 온타리오와 퀘벡의 대부분의 회중 연합 교회, 서부 캐나다의 연합 교회, 그리고 몬트리올의 미국 장로교회가 합병하여 캐나다 연합교회를 설립했다.
감리교회는 1872년 미국에서 온 두 명의 감리교 전도사가 멕시코에서의 전도 활동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도착하면서 멕시코에 들어왔다. 1885년 1월 18일, 멕시코 합동 감리교회(United Episcopal Church of México)의 첫 번째 연례 총회가 설립되었다.[270]
브라질 감리교회(The Methodist Church in Brazil)는 1835년 최초의 시도가 실패한 후, 1867년 미국 선교사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1975년에는 라틴 아메리카 최초의 감리교 대학교인 피라시카바 감리교 대학교(Methodist University of Piracicaba)를 설립했다.[261] 2011년 기준으로 브라질 감리교회는 8개의 연회로 나뉘어 있으며 16만 2천 명의 교인을 두고 있다.[262]
12. 6. 오세아니아
19세기 각 오스트레일리아 식민지(뉴질랜드 포함)에서 매년 연례 회의가 열렸다. 1881년부터 20년 동안 오스트레일리아의 여러 감리교 분파가 합병되었다.[294][295] 오스트레일리아 감리교회는 1902년 1월 1일 오스트레일리아의 5개 감리교 교단, 즉 웨슬리 감리교회, 원시 감리교회, 성경 기독교회, 연합 감리교 자유 교회 및 감리교 신연합 교회가 합병하여 설립되었으며, 교회 정치는 주로 웨슬리 감리교회를 따랐다.1945년 킹즐리 리드웨이(Kingsley Ridgway)는 미국 감리교 교단 신자였던 미군 장교를 만난 후, 미국 웨슬리 감리교회의 오스트레일리아 지부 설립을 위한 멜버른을 기반으로 하는 "현장 대표"를 자처했다.[296] 오스트레일리아 웨슬리 감리교회는 그의 활동을 통해 설립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 감리교회는 1977년 오스트레일리아 장로교회와 오스트레일리아 합동 교회 연합의 대다수와 합병하여 통합 교회가 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 웨슬리 감리교회와 일부 독립 교회는 합병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297] 시드니(Sydney) 피트 스트리트(Pitt Street)에 있는 웨슬리 선교회는 통합 교회에서 가장 큰 교구이며, 웨슬리 전통을 강하게 유지하고 있다.[298]
1980년대 중반부터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감리교회의 선교사들과 다른 신자들에 의해 여러 독립 감리교회가 설립되었다. 이들 중 일부는 1993년 현재 오스트레일리아 중국 감리교회로 알려진 교회를 형성했으며, 2002년 첫 번째 정기 연례 총회를 개최했다.[299] 2000년대 이후로 많은 독립 감리교회들이 통가 이민자들에 의해 설립되거나 성장했다.[300]

1823년 6월, 뉴질랜드 최초의 웨슬리 감리교회 선교부인 웨슬리데일이 카에오에 설립되었다.[304] 19세기 선교사들로부터 직접적으로 계승된 뉴질랜드 감리교회는 2018년 뉴질랜드 인구조사에서 네 번째로 흔한 기독교 교파로 기록되었다.[305] 1990년대 초부터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출신의 선교사들과 다른 감리교인들이 뉴질랜드 주요 도시 지역에 감리교회를 설립했다. 이러한 교회들은 2003년에 뉴질랜드 중국 감리교회(CMCNZ)를 결성하기 위해 모였다.[306]
선교사들의 초기 노력의 결과로, 피지 제도의 원주민 대부분은 1840년대와 1850년대에 감리교로 개종했다.[301] 200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34.6%(피지 원주민의 거의 3분의 2 포함)[302]이 감리교 신자이며, 이로써 피지는 감리교가 가장 큰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 최대 종교 단체인 피지 로투마 감리교회(Methodist Church of Fiji and Rotuma)는 전통적인 족장 제도와 함께 중요한 사회적 세력이다. 과거에는 교회가 신정(theocracy)을 요구하고 반힌두 감정을 부추기기도 했다.[303]
감리교회는 사모아와 아메리칸사모아를 포함한 사모아 제도 전체에서 세 번째로 큰 교단이다.[307] 1868년, 사모아 우폴루 섬 북쪽 해안 루필루피에 피울라 신학교가 설립되었으며, 이곳은 사모아 감리교회의 주요 본부 역할을 한다.[308] 이 신학교에는 역사적인 피울라 수도원과 교회 아래 바닷가에 위치한 자연 샘인 피울라 동굴 풀이 있다.

감리교는 통가 주민들에게 특별한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1830년대에 감리교 선교사들은 최고 족장인 타우파아하우 투포우를 개종시켰고, 그는 차례로 다른 섬 주민들을 개종시켰다. 오늘날, 감리교는 통가 자유 교회(Free Church of Tonga)와 통가에서 가장 큰 교회인 자유 감리교회(Free Wesleyan Church)를 통해 섬들에 나타나고 있다. 2011년 기준으로 통가인의 48%가 감리교회에 속해 있었다.[309] 이 나라의 왕실은 자유 감리교회의 저명한 구성원이며, 고(故) 국왕은 평신도 설교자였다.[310][311] 통가 감리교 목사인 시오네 아마나키 하베아(Sione 'Amanaki Havea)는 태평양 섬의 맥락에 맞는 신학인 코코넛 신학(coconut theology)을 개발했다.[312]
13. 에큐메니칼 관계
공교회주의(보편교회주의)를 바탕으로 교회 연합을 강조한다.[313] 대한민국에서도 한국전쟁과 역사적 문제들에서 감리교회는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교회를 이루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감리교회는 최초의 개신교 연합회인 세계감리교협의회를 설립하고, 20세기에 전세계의 교회일치 운동, 즉 에큐메니컬 운동을 시작한 지도적 교회이다. 많은 감리교도들은 기독교의 분열된 교파들을 통합하려는 에큐메니칼 운동에 적극 참여해 왔다.[313] 특히 교회 연합의 초기 사례, 특히 캐나다 연합교회와 인도 남부 교회에 깊이 관여했다.[314]
감리교도들은 다른 종교와의 대화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으며,[315] 세계교회협의회 하위 부서의 책임자였던 웨슬리 아리아라자는 감리교도이다.[315]
2006년 7월, 대한민국 서울에서 세계 감리교 위원회(WMC) 회원 교회들은 칭의 교리에 관한 공동선언과의 "감리교 협회 선언"을 승인하고 서명하기로 투표했다. 이 합의는 1999년 가톨릭 교회와 루터 세계 연맹(LWF)에 의해 도달되어 공식적으로 받아들여졌으며, "함께 고백합니다: 오직 은혜로, 그리스도의 구원의 역사에 대한 믿음으로, ... 우리는 하나님께 받아들여지고, ... 성령을 받습니다. ... 죄인으로서 우리의 새로운 삶은 ... 용서하고 새롭게 하는 자비 때문이며, 결코 공로를 가질 수 없습니다."라고 선언하며, 가톨릭교회, LWF, 그리고 세계 감리교 위원회 사이의 칭의에 대한 "근본적인 교리적 합의"를 확인한다.[316] 그러나 가톨릭교도와 감리교도는 구원이 하나님과 인간의 협력을 포함한다고 믿는 반면, 루터교도들은 하나님이 개인의 구원을 어떠한 협력도 없이 이룬다고 믿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감리교 목사이자 영국 감리교회의 에큐메니칼 담당관인 켄 호우크로프트(Ken Howcroft)는 가톨릭교회 지도자들과의 지속적인 대화에 대해 "이 대화들은 매우 유익했습니다"라고 언급했다.[317] 그러나 로마 가톨릭과 감리교를 분리시키는 중요한 해결되지 않은 교리적 차이점이 존재한다.[319]
1960년대, 영국 감리교회는 영국 성공회에 에큐메니칼 제안을 했으나, 1972년 영국 성공회의 총회에서 거부되었다. 그러나 대화와 협력은 계속되어 2003년 두 교회 간의 계약 체결로 이어졌다.[320] 1990년대와 21세기 초, 영국 감리교회는 스코틀랜드 교회 연합 이니셔티브에 참여했다.[321]
영국 감리교회는 세계교회협의회, 유럽교회협의회 등을 포함한 여러 에큐메니칼 기구의 회원이다.
미합중국 감리교회의 감독들은 2005년 4월 "임시 성찬 공유에 대한 제안"을 승인했다. 이 문서는 미국 복음 루터교회(ELCA)와의 완전한 친교를 위한 첫 번째 단계였다.[322] 2008년 총회에서 미국 감리교회는 미국 복음 루터교회와의 완전한 친교를 승인했다.[323] UMC는 또한 미국 성공회와 완전한 친교를 위해 대화를 나누고 있다.[324]
13. 1. 다른 교단과의 관계
공교회주의(보편교회주의)를 바탕으로 교회 연합을 강조하며, 감리교회는 세계감리교협의회를 설립하고 에큐메니컬 운동을 이끌었다.[313] 감리교는 영국 성공회에서 비롯되었으며, 캐나다 연합교회, 인도 남부 교회 등 교회 연합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314]감리교는 다른 종교와의 대화에도 적극적이다. 예를 들어 세계교회협의회에서 "살아있는 신앙과 이념을 가진 사람들과의 대화" 부서 책임을 맡았던 웨슬리 아리아라자는 감리교도이다.[315]
세계 감리교 위원회는 2006년 칭의 교리에 관한 공동선언과의 "감리교 협회 선언"을 승인했다.[316] 이는 가톨릭 교회, 루터 세계 연맹과의 칭의에 대한 근본적인 교리적 합의를 확인하는 것이었다.[316] 그러나 세 교파 간 완전한 합의가 이루어진 것은 아니며, 성찬의 의미, 그리스도의 현존 방식 등에서 여전히 이견이 존재한다.[319]
1960년대 영국 감리교회는 영국 성공회와 연합을 시도했으나 실패했지만, 2003년 두 교회 간 계약이 체결되었다.[320] 감리교회는 연합 개혁 교회 등과 지역 에큐메니칼 파트너십(LEP)을 맺기도 했다. 영국 감리교회는 세계교회협의회를 비롯한 여러 에큐메니칼 기구의 회원이다.
미합중국 감리교회는 미국 복음 루터교회(ELCA)와 완전한 친교를 맺었으며,[322][323] 미국 성공회와도 대화 중이다.[324]
13. 2. 에큐메니칼 기구 참여
감리교회는 공교회주의(보편교회주의)를 바탕으로 교회 연합을 강조한다.[313] 대한민국에서도 한국전쟁과 역사적 문제들에서 감리교회는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교회를 이루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감리교회는 최초의 개신교 연합회인 세계감리교협의회를 설립하고, 20세기에 전세계의 교회일치 운동, 즉 에큐메니컬 운동을 시작한 지도적 교회이다. 많은 감리교도들은 기독교의 분열된 교파들을 통합하려는 에큐메니칼 운동에 적극 참여해 왔다.[313] 특히 교회 연합의 초기 사례, 특히 캐나다 연합교회와 인도 남부 교회에 깊이 관여했다.[314]감리교도들은 다른 종교와의 대화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으며,[315] 세계교회협의회 하위 부서의 책임자였던 웨슬리 아리아라자는 감리교도이다.[315]
2006년 7월, 대한민국 서울에서 세계 감리교 위원회(WMC) 회원 교회들은 칭의 교리에 관한 공동선언과의 "감리교 협회 선언"을 승인하고 서명하기로 투표했다. 이 합의는 1999년 가톨릭 교회와 루터 세계 연맹(LWF)에 의해 도달되어 공식적으로 받아들여졌으며, "함께 고백합니다: 오직 은혜로, 그리스도의 구원의 역사에 대한 믿음으로, ... 우리는 하나님께 받아들여지고, ... 성령을 받습니다. ... 죄인으로서 우리의 새로운 삶은 ... 용서하고 새롭게 하는 자비 때문이며, 결코 공로를 가질 수 없습니다."라고 선언하며, 가톨릭교회, LWF, 그리고 세계 감리교 위원회 사이의 칭의에 대한 "근본적인 교리적 합의"를 확인한다.[316] 그러나 가톨릭교도와 감리교도는 구원이 하나님과 인간의 협력을 포함한다고 믿는 반면, 루터교도들은 하나님이 개인의 구원을 어떠한 협력도 없이 이룬다고 믿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감리교 목사이자 영국 감리교회의 에큐메니칼 담당관인 켄 호우크로프트(Ken Howcroft)는 가톨릭교회 지도자들과의 지속적인 대화에 대해 "이 대화들은 매우 유익했습니다"라고 언급했다.[317] 그러나 로마 가톨릭과 감리교를 분리시키는 중요한 해결되지 않은 교리적 차이점이 존재한다.[319]
1960년대, 영국 감리교회는 영국 성공회에 에큐메니칼 제안을 했으나, 1972년 영국 성공회의 총회에서 거부되었다. 그러나 대화와 협력은 계속되어 2003년 두 교회 간의 계약 체결로 이어졌다.[320] 1990년대와 21세기 초, 영국 감리교회는 스코틀랜드 교회 연합 이니셔티브에 참여했다.[321]
영국 감리교회는 세계교회협의회, 유럽교회협의회 등을 포함한 여러 에큐메니칼 기구의 회원이다.
미합중국 감리교회의 감독들은 2005년 4월 "임시 성찬 공유에 대한 제안"을 승인했다. 이 문서는 미국 복음 루터교회(ELCA)와의 완전한 친교를 위한 첫 번째 단계였다.[322] 2008년 총회에서 미국 감리교회는 미국 복음 루터교회와의 완전한 친교를 승인했다.[323] UMC는 또한 미국 성공회와 완전한 친교를 위해 대화를 나누고 있다.[324]
참조
[1]
논문
The Cambridge Companion to American Protestantism
2024-04-11
[2]
웹사이트
Methodist Church
https://www.bbc.co.u[...]
BBC
2017-01-04
[3]
서적
Probationer's Handbook
Eaton and Mains
1908
[4]
서적
American Methodism
https://archive.org/[...]
S. S. Scranton & Company
2007-10-18
[5]
웹사이트
Member Churches
http://worldmethodis[...]
World Methodist Council
2013-06-17
[6]
서적
Major United Methodist Beliefs
Abingdon Press
[7]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Methodist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8]
웹사이트
Distinctive Emphases of Methodist Belief
https://www.irishmet[...]
2019-11-01
[9]
서적
Jacob Arminius: Theologian of Grac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10]
웹사이트
"Fishing with a large net": United Methodist camp meetings
https://www.umc.org/[...]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1-06-04
[11]
서적
American Methodist Worship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2]
서적
The Theory and Practice of Extended Communion
Routledge
2016-02-24
[13]
서적
Methodism
Hamilton, Adams, & Co.
1865
[14]
학술지
The Relevance of the 18th Century Wesleyan Class Meeting in the 21st Century Church
Allegheny Wesleyan Methodist Connection
2018-08
[15]
서적
A Collection of Hymns, for the use of the people called Methodists
https://archive.org/[...]
T. Blanshard
2007-12-31
[16]
서적
The Poor and the People Called Methodists
Abingdon Press
2002
[17]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 in the South
Mercer University Press
2005
[18]
웹사이트
Wesley on Social Holiness
http://www.methodist[...]
The Methodist Church in Britain
2016-10-18
[19]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Methodist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20]
서적
Models for Christian Higher Education: Strategies for Survival and Success in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archive.org/[...]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07-10-18
[21]
서적
Romance and Heroism in Early Methodism
1901
[22]
서적
Encyclopedia of Religion and Society
Rowman & Littlefield
[23]
서적
Under Their Own Vine and Fig Tree: The African-American Church in the South, 1865–1900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1993
[24]
웹사이트
What We Believe – Founder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http://www.umcwfb.or[...]
United Methodist Church of Whitefish Bay
2007-08-01
[25]
서적
An Introduction to World Methodis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12-31
[26]
웹사이트
Lincoln College, Oxford, Famous Alumni, John Wesley (1703–1791)
http://www.linc.ox.a[...]
Lincoln College, Oxford University
2011-05-24
[27]
웹사이트
Methodist Church History: A Brief History of the Methodist Denomination
http://christianity.[...]
2013-04-26
[28]
웹사이트
The Holy Club
http://www.methodist[...]
The Methodist Church in Britain
2016-10-20
[29]
웹사이트
John Wesley and Savannah
http://www.sip.armst[...]
2017-01-01
[30]
웹사이트
John Wesley's Heart Strangely Warmed
https://www.christia[...]
[31]
서적
The Genesis of Methodism
Lehigh University Press
[32]
서적
In the Shadow of Aldersgate: An Introduction to the Heritage and Faith of the Wesleyan Tradition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2006
[33]
서적
Evangelicals in the Church of England 1734–1984
Bloomsbury
1992
[34]
서적
Howell Harris and the Dawn of Revival
Evangelical Press of Wales
1962
[35]
서적
Queen of the Methodists: The Countess of Huntingdon and the Eighteenth-Century Crisis of Faith and Society
Durham Academic Press
1997
[36]
서적
Recovering the Love Feast: Broadening Our Eucharistic Celebrations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7-01-04
[37]
웹사이트
The Works of the Reverend John Wesley, A. M.
http://www.umcmissio[...]
2016-10-21
[38]
잡지
John Wesley: Methodical Pietist
http://www.christian[...]
2017-01-04
[39]
웹사이트
The Wesley Center Online: A Plain Account of Christian Perfection
http://wesley.nnu.ed[...]
Northwest Nazarene University
2017-01-05
[40]
문서
George Whitefield
[41]
간행물
Methodism, Religious Dissent and Revolution in the English Satiric Prints, 1780–1815
[42]
간행물
Vile or Reviled? The Causes of the anti-Methodist Riots at Wednesbury between May, 1743 and April, 1744 in the Light of New England Revivalism
[43]
문서
Writing the Revival: The Intersections of Methodism and Literature in the Long 18th Century
[44]
서적
History of The Episcopal Church
[45]
웹사이트
The Christmas Gift: A New Church
https://web.archive.[...]
The United Methodist Church of Indiana
2019-12-11
[46]
서적
A Short World History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47]
웹사이트
The Birth Pangs of United Methodism as a Unique, Global, Orthodox Denomination
https://peopleneedje[...]
2016-08-25
[48]
서적
A History of the Methodist Church in Great Britain, Volume Three
Wipf & Stock Publishers
2017
[49]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British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50]
간행물
Mothering, Catechesis, and Ecclesial Leadership: The Women of Early Methodism and Their Call to Witness to the Gospel of Christ
[51]
웹사이트
A historical perspective on Methodist involvement in school education after Wesley
http://www.methodist[...]
The Methodist Church in Britain
2015-06-06
[52]
서적
Methodist Secondary Education: A History of the Contribution of Methodism to Secondary Education in the United Kingdom.
Epworth
[53]
서적
George Whitefield: America's Spiritual Founding Father
2014
[54]
서적
The Holiness Heritage
Allegheny Publications
2003
[55]
서적
A Catechism for the Use of the People Called Methodists
Methodist Publishing House
2000
[56]
서적
A Wesleyan Theology of the Eucharist: The Presence of God for Christian Life and Ministry
https://books.google[...]
BookBaby
2017-03-11
[57]
서적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Infobase Publishing
2005
[58]
웹사이트
Why do we say creeds?
http://www.umc.org/w[...]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16-10-16
[59]
웹사이트
The Articles of Religion of the Methodist Church
https://web.archive.[...]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17-01-07
[60]
웹사이트
Methodism {{!}} History, Beliefs, & Organization
https://www.britanni[...]
2019-02-05
[61]
서적
A Statement of the Faith of World-Wide Methodism
https://books.google[...]
Publishing House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South
2017-03-11
[62]
성경
[63]
웹사이트
Our Wesleyan Heritage
http://www.umc.org/w[...]
2016-10-18
[64]
학술지
Methodist Theology
https://www.saet.ac.[...]
2022
[65]
문서
Preface to ''The Methodist Hymn Book''
1933-12
[66]
문서
Preface to ''A collection of Hymns for use of the People called Methodists''
1779-10-20
[67]
서적
British Methodist Hymnody: Theology, Heritage, and Experience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7
[68]
서적
Arminian Theology: Myths and Realities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69]
서적
His Waiting Bride
[70]
서적
Reformed Arminianism
Zondervan
[71]
웹사이트
Sermons on Several Occasions
http://www.ccel.org/[...]
[72]
서적
The Mosaic of Christian Belief: Twenty Centuries of Unity & Diversity
InterVarsity Press
2002
[73]
서적
The Mosaic of Christian Belief: Twenty Centuries of Unity & Diversity
InterVarsity Press
2002
[74]
서적
A Light in the Land
2002
[75]
서적
The Doctrine of Assurance: With Special Reference to John Wesley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5
[76]
서적
The Way to Heaven: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Wesley
1983
[77]
서적
United Methodist Answers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7
[78]
서적
The Survivor's Guide to Theology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6
[79]
웹사이트
Wesley on Faith and Good Works
http://www.catalystr[...]
AFTE
2013-07-09
[80]
웹사이트
Means of Grace: Why I am a Methodist and an Evangelical
http://timothytennen[...]
Asbury Theological Seminary
2011-07-09
[81]
서적
Methodist Doctrine: The Essentials
Abingdon Press
2011
[82]
학술지
What Holiness is Not
2024
[83]
웹사이트
John Wesley on Sin and Holiness
https://wesleyschola[...]
Wesley Scholar
2022-06-04
[84]
웹사이트
Methodists, Free
https://www.biblical[...]
McClintock and Strong Biblical Cyclopedia Online
2024
[85]
서적
Exploring Protestant Traditions
InterVarsity Press
2009-08-20
[86]
서적
The Works of John Wesley
Wesleyan Methodist Book Room
1872
[87]
웹사이트
Adventist Theology: The Wesleyan Connection
https://adventistbib[...]
Biblical Research Institute
2005-04-18
[88]
서적
Four Views on Eternal Security
Harper Collins
2002
[89]
웹사이트
Meet a Reformed Arminian
https://www.thegospe[...]
The Gospel Coalition
2016-08-25
[90]
웹사이트
Meet a Reformed Arminian
https://www.thegospe[...]
The Gospel Coalition
2016-08-25
[91]
서적
Methodism in Earnest
https://archive.org/[...]
Charles H. Peirce
1850
[92]
서적
Eucharistic Sacramentality in an Ecumenical Context: The Anglican Epiclesi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93]
서적
Protestant Nonconformist Texts: The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imited
2006
[94]
웹사이트
FAQs about Baptism, Membership, and Salvation
https://www.umcdisci[...]
United Methodist Church
[95]
웹사이트
This Holy Mystery
http://www.umc.org/s[...]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04
[96]
웹사이트
Means of Grace
http://www.irishmeth[...]
Methodist Church in Ireland
[97]
웹사이트
The Wesleyan Means of Grace
https://www.umc.org/[...]
United Methodist Church
[98]
웹사이트
The Wesley Center Online: Sermon 16 – The Means Of Grace
http://wesley.nnu.ed[...]
[99]
웹사이트
The Holy Communion as a Means of Grace and the Question of On-line Communion
http://www.gbhem.org[...]
United Methodist Church General Board of Higher Education and Ministry
2014
[100]
웹사이트
The Wesleyan Quadrilateral in John Wesley
http://wesley.nnu.ed[...]
Wesley Center for Applied Theology
1985
[101]
서적
The Book of Discipline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United Methodist Publishing House
1984
[102]
학술지
Methodist Theology
https://www.saet.ac.[...]
2022
[103]
서적
From Faith to Faith: John Wesley's Covenant Theology and the Way of Salvation
James Clarke & Company
2014
[104]
웹사이트
Wesleyan Quadrilateral, the
http://www.umc.org/w[...]
United Methodist Church
[105]
학술지
The Wesleyan Quadrilateral and Contemporary Biblical Exegesis
2020-09-02
[106]
웹사이트
Methodist Worship
http://etheses.bham.[...]
University of Birmingham
2013-02-07
[107]
서적
The Sunday Service of the Methodists: Twentieth-Century Worship in Worldwide Methodism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08]
서적
The Collect in the Churches of the Reformation
SCM Press
2012-05-12
[109]
서적
Methodism in the American Forest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110]
서적
The Holiness-Pentecostal Tradition: Charismatic Movements in the Twentieth Century
Wm. B. Eerdmans Publishing
1997-08-25
[111]
서적
I'm Black. I'm Christian. I'm Methodist.
Abingdon Press
2020-11-03
[112]
서적
American Methodist Worship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4-27
[113]
웹사이트
The Origin of the Altar Call in American Methodism
https://place.asbury[...]
Asbury Theological Seminary
[114]
서적
Catechism of the Pillar of Fire Church
Pillar of Fire Church
1948
[115]
웹사이트
Prayer
https://wilmorefmc.o[...]
Wilmore Free Methodist Church
2024
[116]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Methodist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117]
서적
The History of Methodism
Eaton & Mains
[118]
서적
Everyday Public Worship
SCM Press
[119]
서적
Dictionary of Early Christian Beliefs: A Reference Guide to More Than 700 Topics Discussed by the Early Church Fathers
Tyndale House Publishers, Inc.
2021-12-28
[120]
서적
Calendar, Chronology And Worship: Studies in Ancient Judaism And Early Christianity
Brill Academic Publishers
2005
[121]
웹사이트
Praying the Hours of the Day: Recovering Daily Prayer
https://www.umcdisci[...]
General Board of Discipleship
2007-05-06
[122]
서적
The Book of Offices and Services
Order of St. Luke
2012-09-06
[123]
웹사이트
Philosophy of St. Paul's
http://www.stpaulsfm[...]
St Paul's Free Methodist Church
[124]
서적
John Wesley and Marriage
Lehigh University Press
[125]
서적
John Wesley's Sunday service of the Methodists in North America
Quarterly Review
[126]
웹사이트
Methodist Publishing: Resources Catalogue
https://web.archive.[...]
Methodist Publishing
[127]
웹사이트
Kingdomtide
https://web.archive.[...]
First United Methodist Church of Orlando
2013-09-07
[128]
서적
The Well-Played Life
Tyndale House Publishers
2014-02-21
[129]
서적
The Methodist Worship Book
Methodist Publishing House
1999
[130]
웹사이트
Wesleyan Heritage Series: Entire Sanctification
https://web.archive.[...]
South Georgia Confessing Association
[131]
서적
Martha's Vineyard: A History
Arcadia Publishing Incorporated
[132]
서적
Religious Bodies: 1906
Government Printing Office
[133]
서적
The Study of Evangelism: Exploring a Missional Practice of the Church
Wm. B. Eerdmans Publishing
2008
[134]
서적
Mission as Globalization: Methodists in Southeast Asia at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Lexington Books
2016
[135]
서적
The Methodists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6
[136]
서적
Doctrines and Discipline of the Lumber River Conference of the Holiness Methodist Church
2011
[137]
서적
The Doctrine and Discipline of the African Methodist Episcopal Zion Church
African Methodist Episcopal Zion Church
2012
[138]
서적
The Discipline of the Allegheny Wesleyan Methodist Connection (Original Allegheny Conference)
Allegheny Wesleyan Methodist Connection
[139]
웹사이트
The Meaning of Membership in The United Methodist Church
https://www.umcdisci[...]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12
[140]
서적
Guidebook of the Emmanuel Association of Churches
Emmanuel Association
2002
[141]
웹사이트
Covenant Renewal
https://www.umcdisci[...]
Discipleship Ministries
2021-06-04
[142]
서적
Methodism and the Southern Mind, 1770–1810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6-19
[143]
간행물
Journals of Wesley
Epworth Press
[144]
웹사이트
The Wesley Center Online: Sermon 88 – On Dress
http://wesley.nnu.ed[...]
Wesley Center for Applied Theology
2017-06-19
[145]
서적
The Discipline of the Wesleyan Methodist Connection, of America
Wesleyan Methodist Connection of America
[146]
서적
Autobiography of Peter Cartwright: The Backwoods Preacher
https://archive.org/[...]
Carlton & Porter
[147]
서적
By the Vision of Another World: Worship in American History
Wm. B. Eerdmans Publishing
[148]
웹사이트
John Wesley and Spiritual Disciplines – The Works of Piety
https://web.archive.[...]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14-04-05
[149]
서적
Fasting: The Ancient Practices
Thomas Nelson
2010
[150]
서적
A Portraiture of Methodism: Or, The History of the Wesleyan Methodists
T. Blanshard
[151]
학술지
The spiritual discipline of fasting
United Methodist Church
2012-01-30
[152]
서적
United Methodist Doctrine: The Extreme Center
Abingdon Press
[153]
웹사이트
Views of the Church
https://www.methodis[...]
Methodist Church in Britain
2021-03-16
[154]
서적
Discipline of the Allegheny Wesleyan Methodist Connection
Allegheny Wesleyan Methodist Connection
[155]
서적
Evangelical Methodist Church Discipline
Evangelical Methodist Church Conference
2017-07-15
[156]
웹사이트
Brief Description
http://fimc.org.uk/a[...]
Fellowship of Independent Methodist Churches
2022-08-03
[157]
서적
American Methodist Worship
Oxford University Press
[158]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Methodist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59]
서적
An Introduction to World Methodism
http://assets.cambri[...]
[160]
웹사이트
Korean Methodist Church
http://www.oikoumene[...]
World Council of Churches
2013-04-23
[161]
웹사이트
Who We Are
http://worldmethodis[...]
World Methodist Council
2017-01-08
[162]
웹사이트
Central and Southern Europe
http://www.umc-europ[...]
United Methodist Church Europe UMC / Evangelisch-Methodistische Kirche Europa
2017-01-20
[163]
웹사이트
3.7.1 Statistical Reports, details
https://web.archive.[...]
The United Methodist Church – Northern Europe & Eurasia
2017-01-20
[164]
웹사이트
Statistische Zahlen
http://www.emk.de/em[...]
2017-01-20
[165]
웹사이트
Deed of Union
https://web.archive.[...]
The Methodist Church in Britain
2013-07-05
[166]
웹사이트
Methodism in Numbers – Statistics at a Glance
https://web.archive.[...]
The Methodist Conference
2015-12-23
[167]
서적
Methodis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8]
서적
Methodism in Australia: A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169]
서적
Religion in the Age of Decline: Organisation and Experience in Industrial Yorkshire, 1870–1920
[170]
서적
T&T Clark Companion to Methodism
https://books.google[...]
A&C Black
[171]
웹사이트
Temperance
https://dmbi.online/[...]
2021-04-24
[172]
학술지
'The Devil in Solution': How temperate were the Methodists?
2000
[173]
웹사이트
Alcohol
http://www.methodist[...]
The Methodist Church in Britain
2013-04-20
[174]
웹사이트
Meet the Team
https://www.brmethod[...]
[175]
웹사이트
Schools
https://www.methodis[...]
Methodist Schools
2018-01-29
[176]
웹사이트
Wesleyan Reform Union of Churches
http://thewru.com/
Thewru.com
2013-04-19
[177]
웹사이트
Welcome to IMCGB – Home page
http://www.imcgb.org[...]
2014-09-15
[178]
웹사이트
John Wesley in Ireland
http://www.irishhist[...]
Irish History Links
2017-01-20
[179]
웹사이트
Churches in Ireland website, Methodist Church in Ireland
https://www.irishchu[...]
[180]
뉴스
Going beyond the church buildings and into the community
http://www.irishtime[...]
2013-06-12
[181]
웹사이트
Census 2011: Key Statistics for Northern Ireland
http://www.nisra.gov[...]
nisra.gov.uk
2013-04-21
[182]
웹사이트
Census 2021: Main statistics for Northern Ireland Statistical bulletin - Religion
https://www.nisra.go[...]
NISRA website
[183]
웹사이트
Conflict, controversy and co-operation
http://www.catholici[...]
Columba Press
2013-04-21
[184]
서적
Timetables of History for Students of Methodism
Abingdon Press
2007
[185]
서적
The Methodists in Ireland: A Short History
Columba Press
2001
[186]
웹사이트
Opera per le Chiese Metodiste in Italia
http://www.metodisti[...]
Evangelical Methodist Church in Italy
[187]
웹사이트
La diaspora Valdese
http://www.chiesaval[...]
Chiesa Evangelica Valdese
[188]
웹사이트
Italian fact sheet
http://www.methodist[...]
The Methodist Church in Britain
[189]
뉴스
Methodists buy Rome Site; Will Build a College in Connection with Mission Work
https://timesmachine[...]
1914-01-26
[190]
웹사이트
World Methodist Council opens new ecumenical office in Rome
http://en.radiovatic[...]
Vatican Radio
2016-04-06
[191]
웹사이트
About the Methodist Ecumenical Office Rome
http://www.methodist[...]
Methodist Church in Britain
[192]
간행물
Religion og makt: metodismen i norsk historie
http://www.nb.no/nbs[...]
Tapir
[193]
웹사이트
Swedish Methodists join new denomination
https://www.umnews.o[...]
2012-05-01
[194]
웹사이트
Metodistikirkon historia
https://www.lappeenr[...]
2016-01-19
[195]
서적
Rikssvenska metodistpredikanters betydelse för metodistkyrkans framväxt och utveckling i Finland 1880–1923
https://core.ac.uk/d[...]
Åbo Akademis förlag
2005
[196]
웹사이트
Methodist influences in 19th century in France
https://www.museepro[...]
Virtual Museum of Protestantism
[197]
웹사이트
France
http://www.umc-europ[...]
United Methodist Church Europe UMC / Evangelisch-Methodistische Kirche Europa
[198]
웹사이트
France – General Board of Global Ministries
http://www.umcmissio[...]
[199]
웹사이트
Germany Central Conference
https://worldmethodi[...]
World Methodist Council
2019-11-09
[200]
서적
History Of The Church Of The United Brethren in Christ
http://archive.org/d[...]
1924
[20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in Europe – The United Methodist Church
http://www.umc.org/w[...]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202]
웹사이트
The EMF in Hungary
http://www.umc-europ[...]
United Methodist Church Europe UMC / Evangelisch-Methodistische Kirche Europa
[203]
웹사이트
Magyarországi Metodista Egyház
https://metodista.hu[...]
2020-12-01
[204]
웹사이트
UMTV: Ministry with the Roma
http://ee.umc.org/wh[...]
[205]
웹사이트
G. Blagojevic, The Influence of Migrations on the Ethnic/National and Religious Identities: the Case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in Banat
https://www.academia[...]
[206]
웹사이트
John Wesley Theological College
https://archive.toda[...]
2012-03-26
[207]
웹사이트
Fellowship and Wesley Intézmények
http://www.metegyhaz[...]
[208]
웹사이트
Neues Gesetz: Ungarns Kirche von Viktor Orbáns Gnaden abhängig – WELT
https://www.welt.de/[...]
2015-09-07
[209]
웹사이트
Opinion on Act CCVI/2011
http://www.venice.co[...]
2012-03-26
[210]
웹사이트
Üdvhadsereg Szabadegyház Magyarország
https://www.udvhadse[...]
[211]
웹사이트
Wesley Kiadó site
https://archive.toda[...]
2012-03-26
[212]
웹사이트
Centennial of Methodism in Russia observed
http://www.umc.org/s[...]
United Methodist Church
2009-12-29
[213]
웹사이트
Develop United Methodist Center in St. Petersburg
http://gbgm-umc.org/[...]
United Methodist Church
2009-12-29
[214]
웹사이트
Soviets OK New Religious Freedoms
https://www.deseret.[...]
deseretnews
2011-05-11
[215]
서적
John Wesley 300: Pioneers, Preachers and Practitioners
Dalkeith Methodist Church
2003
[216]
웹사이트
Methodist Church in the Caribbean and the Americas
https://www.oikoumen[...]
World Council of Churches
1967-01-01
[217]
웹사이트
Baxter Memorial
http://methodistchur[...]
Methodist Church of Antigua & Barbuda
2017-01-20
[218]
웹사이트
Our HISTORY
https://mccaconferen[...]
2024-06-13
[219]
웹사이트
Thomas Coke
https://www.theopedi[...]
2024-06-13
[220]
웹사이트
Thomas Coke (1747–1814)
https://www.umc.org/[...]
2024-06-13
[221]
서적
National heroine of Barbados: Sarah Ann Gill
Methodist Church
1998
[222]
웹사이트
Black History Month: Augustus Rawle Parkinson
http://www.nationnew[...]
Nation News (Barbados)
2014-02-24
[223]
서적
Methodism: 200 Years in British Virgin Islands
Methodist Church
1989
[224]
서적
Methodism, 200 years in Barbados
Caribbean Contact
1988
[225]
웹사이트
Methodist Church Nigeria
http://www.oikoumene[...]
World Council of Churches
1963-01-01
[226]
웹사이트
Life Coalition International – Jesus Is The Standard
http://www.lifecoali[...]
2014-09-15
[227]
웹사이트
Methodist Church Ghana
https://www.oikoumen[...]
World Council of Churches
1960-01-01
[228]
서적
The Roots of Ghana Method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5
[229]
웹사이트
Freeman, Thomas Birch (B)
https://dacb.org/sto[...]
[230]
논문
The Roots of Ghana Methodism. By F. L. Barte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5. 368 pp. 50s.)
http://dx.doi.org/10[...]
1969-08-13
[231]
서적
Methodism in Southern Africa: A celebration of Wesleyan Mission
AcadSA publishers
2008
[232]
서적
Methodism in Southern Africa: A celebration of Wesleyan Mission
AcadSA publishers
2008
[233]
서적
Methodism in Southern Africa: A celebration of Wesleyan Mission
AcadSA publishers
2008
[234]
서적
Methodism in Southern Africa: A celebration of Wesleyan Mission
AcadSA publishers
2008
[235]
서적
Methodism in Southern Africa: A celebration of Wesleyan Mission
AcadSA publishers
2008
[236]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the Methodist Church of Southern Africa
http://www.methodist[...]
Methodist.org.za
2013-04-19
[237]
서적
Methodism in Southern Africa: A celebration of Wesleyan Mission
AcadSA publishers
2008
[238]
웹사이트
回眸:当年传教士进羊城-MW悦读室之岭南话廊-凤凰网博客
http://blog.ifeng.co[...]
Blog.ifeng.com
2013-04-19
[239]
웹사이트
合信的《全体新论》与广东士林-《广东史志》1999年01期-中国知网
http://mall.cnki.net[...]
Mall.cnki.net
2013-04-19
[240]
서적
Piloted to Serve
2012
[241]
웹사이트
Piloted to Serve
https://www.facebook[...]
Facebook
2013-04-19
[242]
서적
Foreign Missions of the Protestant Churches
1900
[243]
뉴스
In commemoration of John Wesley
http://www.hindu.com[...]
The Hindu
2004-10-29
[244]
웹사이트
Rev James Lynch
https://archiveshub.[...]
[245]
웹사이트
Pastorate – Mount Wesley Church
https://mountwesleyc[...]
2023-11-11
[246]
웹사이트
Mr Elija Hoole – India – Biographical Papers – Special Series – (Wesleyan) Methodist Missionary Society Archive – Archives Hub
https://archiveshub.[...]
2022-12-06
[247]
웹사이트
Calcutta Boys' School website, ''About''
https://calcuttaboys[...]
[248]
웹사이트
The Methodist Church in India: Bangalore Episcopal Area
https://web.archive.[...]
Gbgm-umc.org
2013-04-19
[249]
웹사이트
The Methodist Church in Singapore – Methodist Schools
https://methodist.or[...]
2021-07-23
[250]
웹사이트
The United Methodist Church in the Philippines
http://archives.gcah[...]
United Methodist Church
[251]
웹사이트
uccp.ph
http://www.uccp.ph/
2014-09-15
[252]
웹사이트
Free Methodist Church in Cebu
https://web.archive.[...]
2008-10-11
[253]
웹사이트
Philippines Church of the Nazarene – Mabuhay!
http://www.nazarene.[...]
2014-09-15
[254]
웹사이트
Manila Episcopal Area
http://www.meaweb.bl[...]
2014-09-15
[255]
웹사이트
AIM Pilipinas Website
https://web.archive.[...]
2012-03-28
[256]
웹사이트
Philippine Methodist
http://philmethodist[...]
2011-06-09
[257]
웹사이트
AIM Pilipinas Blogsite
http://aimpilipinas.[...]
2012-03-28
[258]
웹사이트
Korean Methodist Church
https://www.oikoumen[...]
World Council of Churches
1948-01-01
[259]
서적
A History of Korean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0]
웹사이트
Asia – World Methodist Council
https://worldmethodi[...]
2019-11-09
[261]
웹사이트
Conheça a Unimep – Histórico
http://unimep.edu.br[...]
2021-01-09
[26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ethodism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3
[263]
웹사이트
Biography – Black, William (1760–1834) – Volume VI (1821–1835) – Dictionary of Canadian Biography
http://www.biographi[...]
2023-11-11
[264]
웹사이트
A history of Grace United Church, Niagara-on-the-Lake
https://vitacollecti[...]
2012
[265]
웹사이트
Chapter 48: The First Methodist Church
http://www.landmarks[...]
[266]
서적
History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in Mexico
Theclassics Us
[267]
논문
American Protestant Missionaries and the Diaz Regime in Mexico: 1876–1911
[268]
웹사이트
Instituto Mexicano Madero Plantel Centro
https://web.archive.[...]
Imm.edu.mx
2013-04-19
[269]
웹사이트
Universidad Madero de Puebla
http://www.umad.edu.[...]
Umad.edu.mx
2013-04-19
[270]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ethodism
https://www.worldcat[...]
Scarecrow Press
2013
[271]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Methodist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ttps://books.google[...]
Magill and Clime
2021-07-28
[272]
웹사이트
Who was Robert Strawbridge?
http://www.strawbrid[...]
[273]
웹사이트
Great Awakening
https://www.history.[...]
2019-09-20
[274]
서적
Historical Atlas of Religion in America
[275]
간행물
Historical Statistics of the United States: From: the Colonial Times to the Present
U.S. Bureau of the Census
[276]
서적
Antirevivalism in Antebellum America: A Collection of Religious Voices
https://books.google[...]
Rutgers University Press
[277]
서적
A Forgotten Heritage: The German Methodist Church
Little Miami Publishing Company
[278]
서적
The Essential Handbook of Denominations and Ministries
Baker Books
2017
[279]
서적
The Encyclopedia of Cults, Sects, and New Religions
Prometheus Books, Publishers
[280]
학술지
Born Again in the Trenches: Revivals in the Army of Tennessee
https://www.jstor.or[...]
1984
[281]
서적
Mission and Menace: Four Centuries of American Religious Zeal
https://books.google[...]
Fortress Press
[282]
문서
Meyer 200, 354.
[283]
웹사이트
List of CPS Camps
http://www.swarthmor[...]
2006-04-04
[284]
학술지
World Growth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in Comparative Perspective: A Brief Statistical Analysis – Robert
http://www.methodist[...]
2011-04-21
[285]
서적
Are Southern Baptists 'Evangelicals'?
Mercer University Press
[286]
서적
In Search of Another Country: Mississippi and the Conservative Counterrevolutio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87]
서적
Methodism in Australia: A History
Routledge
2016
[288]
웹사이트
Holiness movement American history
https://www.britanni[...]
[289]
웹사이트
Phoebe Palmer: The Mother of the Holiness Movement
https://margmowczko.[...]
2011-06-10
[290]
웹사이트
United Methodists Announce Plan to Split Over Same-Sex Marriage
https://www.nytimes.[...]
2020-01-03
[291]
뉴스
United Methodist Church breaking up in schism over LGBT acceptance
https://www.ksdk.com[...]
2022-04-29
[292]
웹사이트
Traditional Methodists Search for New Path Forward
https://www.thegospe[...]
The Gospel Coalition
2022-08-17
[293]
웹사이트
Planned traditionalist Methodist denomination gets name
https://www.christia[...]
The Christian Century
2021-03-22
[294]
뉴스
Methodist Church of Australasia.
http://nla.gov.au/nl[...]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1902-01-01
[295]
서적
Religious Bodies in Australia
Robert Humphreys and Rowland Ward
[296]
서적
Kingsley Ridgway: Pioneer with a Passion
Wesleyan Methodist Church
[297]
서적
Methodism in Australia: A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298]
서적
Religious Bodies in Australia
Robert Humphreys and Rowland Ward
[299]
웹사이트
Australia, Chinese Methodist Church
https://worldmethodi[...]
World Methodist Council
2019-11-09
[300]
웹사이트
Tongan Methodist Church
https://web.archive.[...]
[301]
웹사이트
Methodist Church in Fiji and Rotuma
http://www.oikoumene[...]
World Council of Churches
2013-02-08
[302]
웹사이트
Population by Religion and Province of Enumeration
https://web.archive.[...]
Fiji Bureau of Statistics
2012-06
[303]
웹사이트
Hindus in South Asia and the Diaspora: A Survey of Human Rights 2005
https://web.archive.[...]
Hafsite.org
[304]
웹사이트
Wesleyan mission established
https://nzhistory.go[...]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016-12-21
[305]
웹사이트
Most common religious affiliations in New Zealand
https://figure.nz/ch[...]
Figure NZ Trust.
[306]
웹사이트
CMCNZ website, About
https://cmcnz.org.nz[...]
[307]
웹사이트
Report on a visit to Samoa for the Methodist Consultative Council of the Pacific (MCCP)
https://www.methodis[...]
Methodist Church in Britain
2015-04
[308]
서적
Samoan women: widening choic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he South Pacific
[309]
서적
Tonga 2011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tonga-data.s[...]
Statistics Department Tonga
2011
[310]
학술지
The Archives of the Free Wesleyan Church of Tonga
https://www.jstor.or[...]
1978
[311]
학술지
Christianity and Taufa'āhau in Tonga: 1800–1850
https://biblicalstud[...]
2007
[312]
학술지
I Am the Cocconut of Life: An Evaluation of Coconut Theology
South Pacific Association of Theological Schools
1993
[31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Methodist Studi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314]
서적
Methodism
https://archive.org/[...]
Epworth Press
[315]
웹사이트
S. Wesley Ariarajah
http://www.users.dre[...]
Drew University
[316]
웹사이트
Methodist Association with the Joint Declaration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https://www.vatican.[...]
Vatican.va
2013-04-19
[317]
웹사이트
Vatican Radio, 2012, Methodist Viewpoint on Ecumenical Dialogue
http://www.news.va/e[...]
2014-09-15
[318]
웹사이트
Catholic-Methodist relations: Working for a "joint living out of the Gospel
https://www.vatican.[...]
Vatican.va
2007
[319]
웹사이트
Joint Commission for Dialogue Between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the World Methodist Council, 2006, "The Grace Given You in Christ: Catholics and Methodists Reflect Further on the Church
https://www.vatican.[...]
2014-09-15
[320]
웹사이트
Anglican–Methodist Covenant
http://www.anglican-[...]
Anglican-methodist.org.uk
2013-04-19
[321]
웹사이트
The Methodist Church in Britain | The Scottish Church Initiative For Union (SCIFU)
http://www.methodist[...]
2011-12-11
[322]
웹사이트
Lutheran – United Methodist Dialogue
http://www.elca.org/[...]
Evangelical Lutheran Church in America
2007-06-08
[323]
웹사이트
Methodists yes to full communion with Lutherans; no on gay change
http://www.eni.ch/fe[...]
Ecumenical News International
2007-05-16
[324]
웹사이트
Council approves interim pacts with Episcopalians, Lutherans
http://archives.umc.[...]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07-06-08
[325]
웹사이트
Confessing our faith together; a study and discussion guide
https://www.unitedme[...]
United Methodist Bishops website
[326]
웹사이트
日本の韓国人メソジスト教会宣教師が宣教師会設立
http://www.christian[...]
2022-08-28
[327]
서적
オックスフォードキリスト教辞典
教文館
2017
[328]
서적
写真集 明治大正昭和 静岡
図書刊行会
2019-03-22
[329]
서적
성찬, 어떻게 알고 실행할 것인가?
대한기독교서회
2002
[330]
서적
세계사와 함께 보는 타임라인 한국사 3
다산에듀
2013
[331]
웹사이트
World Methodist Council
http://www.worldmeth[...]
2018-04-17
[332]
서적
교리와 장정
기독교대한감리회
2016
[333]
문서
19세기에 형성된 보수적 개신교사상과 구분되는 16세기 형성된 개신교 기본 정신인 고유의 복음주의
[334]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감리교
https://encykorea.ak[...]
[335]
서적
한국기독교회사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5
[336]
문서
"Episcopal" 번역에 대한 설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