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면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면하는 독립유공자 강재호의 본명으로, 1919년 3·1 운동 참여를 시작으로 항일운동에 헌신했다. 1920년 홍익청년단과 교통국을 조직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원했으며, 이로 인해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했다. 석방 후에도 항일 운동을 지속하다가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건국훈장 애족장 수훈자 - 강해석
    강해석은 광주학생항일운동을 배후에서 지도하고 조선공산당 사건으로 징역형을 받은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유공자로, 광복 후 농민운동과 통일운동에 헌신하다 만성 저혈압으로 사망, 사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 건국훈장 애족장 수훈자 - 이우석
    이우석은 아버지 이완용의 친일 행위에 대한 죄책감으로 만주에서 독립운동에 투신하여 서로군정서와 북로군정서에서 활동하며 청산리 전투 등에 참전했고, 해방 후에는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생활하다 건국훈장을 받았다.
  • 함경남도 출신 - 김정일
    김정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로, 김일성 사망 후 권력을 승계하여 조선로동당 총비서 및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통치하며 3대 세습, 핵무기 개발, 남북 정상회담 등의 사건과 경제난, 인권 탄압 등의 문제를 겪은 인물이다.
  • 함경남도 출신 - 김창룡
    김창룡은 일제강점기 관동군 헌병으로 항일 조직 색출에 참여한 군인으로, 해방 후 대한민국 육군에서 정보 및 방첩 업무를 담당하며 숙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특무부대장으로서 인권 침해 및 사건 조작 의혹, 김구 암살 사건 연루 의혹 등 각종 논란 속에 암살당해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 진주 강씨 - 강만수
    강만수는 행정고시 수석 합격 후 경제 부처 요직을 거쳐 IMF 외환위기 당시 금융 제도 개편에 참여하고 이명박 정부에서 기획재정부 장관을 역임하며 '대한민국 747' 비전을 주도한 경제관료 출신 정치인이다.
  • 진주 강씨 - 강기정
    강기정은 전남대학교 총학생회장 출신으로 삼민투 위원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국회의원과 문재인 정부 초대 정무수석비서관을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장을 역임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와 5·18 민주화운동 정신 계승에 힘쓰고 있다.
강면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강면하
원어 이름姜冕夏
본관진주(晉州)
성별남성
국적대한제국 (1897년~1910년)
일제강점기 조선 (1910년~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1919년~1948년)
대한민국 (1948년~1987년)
출생일1901년 8월 26일
출생지대한제국 함경남도 이원군 동면 관동리
사망일1987년 4월 23일
직업독립운동가
독립운동
주요 활동임시정부
독립운동
소속대한독립군단(大韓獨立軍團) 창립자 및 지휘자
연통제(聯通制) 전략 기획자
교통부(交通部) 운영 책임자
내무부(內務部) 정책 개발자
상훈[[파일:ROK Order of Merit for National Foundation - Order of National Pride.png|x10px]] (건국훈장 애족장)
가족 관계
자녀1남, 4녀

2. 동명이인 주의

강면하는 후에 강재호로 개명한 독립유공자로서, 다른 역사적 인물이나 친일파로 알려진 동명이인과는 전혀 다른 인물이다. 강면하(강재호)는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한 인물로, 그의 이름과 업적은 독립운동가로서의 공헌에 국한된다.

3. 생애

강면하는 3.1 운동에 참여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연계하여 독립운동을 펼쳤다. 홍익청년단과 교통국을 조직, 안창호와 협력하며 군자금을 모았으나 1921년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었다. 석방 후에도 장의단, 보천보 사건 등에 연루되었지만 항일 운동을 지속,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았다.[2]

일제강점기의 서대문 형무소

3. 1. 출생과 3.1 운동 참여

함경남도 이원 출신 강면하는 1919년 3.1 운동에 참여, 1920년 고향에서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4969 대한독립군비단]인 홍익청년단(弘益靑年團)을 조직하고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65703&cid=40942&categoryId=31667 교통국]을 설치했다. 임시정부 내무부의 비밀연락망 조직인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26672&cid=40942&categoryId=33384 연통제](聯通制)를 통해 당시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총장 안창호와 연락하며 군자금 모금에 힘썼으나, 1921년 1월 체포되었다.[2]

안창호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1921년 3월 함흥지방법원에서 징역 5년(최고형)을 선고받고, 서울복심법원에서 확정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했다.[2]

3. 2. 홍익청년단과 교통국 조직

함경남도 이원에서 태어난 강면하는 1919년 3.1운동에 참여하며 1920년 고향에서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4969 대한독립군비단]인 홍익청년단(弘益靑年團)을 조직하고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65703&cid=40942&categoryId=31667 교통국]을 설치했다. 임시정부 내무부의 비밀연락망 조직인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26672&cid=40942&categoryId=33384 연통제](聯通制)를 통해 당시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총장 안창호와 연락을 유지하며 군자금 모금에 힘썼으나 1921년 1월에 체포되었다.[2]

3. 3. 대한민국 임시정부와의 연계

함경남도 이원에서 태어난 강면하는 1919년 3.1운동에 참여했으며, 1920년 고향에서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4969 대한독립군비단]인 홍익청년단(弘益靑年團)을 조직하고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65703&cid=40942&categoryId=31667 교통국]을 설치했다. 임시정부 내무부의

비밀연락망 조직인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26672&cid=40942&categoryId=33384 연통제](聯通制)를 통해 당시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총장 안창호와 연락을 유지하며 군자금 모금에 힘썼으나, 1921년 1월에 체포되었다.[2]

이후 안창호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1921년 3월 함흥지방법원에서 징역 5년(최고형)을 선고받고, 서울복심법원에서 확정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했다.[2]

3. 4. 투옥과 석방

함경남도 이원에서 태어난 강면하는 1919년 3.1운동에 참여하며 1920년 고향에서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4969 대한독립군비단]인 홍익청년단(弘益靑年團)을 조직하고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65703&cid=40942&categoryId=31667 교통국]을 설치했다. 임시정부 내무부의 비밀연락망 조직인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26672&cid=40942&categoryId=33384 연통제](聯通制)를 통해 당시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총장 안창호와 연락을 유지하며 군자금 모금에 힘썼으나 1921년 1월에 체포되었다.

안창호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1921년 3월 함흥지방법원에서 징역 5년(최고형)을 선고받고, 서울복심법원에서 확정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했다.

석방된 후에도 항일운동을 계속하였으며, 1925년 장의단 서울 폭탄사건, 1927년 보천보사건 등에 관련되어 검거되었다. 석방 이후 항일구국운동을 지속했다.[2]

3. 5. 지속적인 항일운동

함경남도 이원에서 태어난 강면하는 1919년 3.1운동에 참여했으며, 1920년 고향에서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4969 대한독립군비단]인 홍익청년단(弘益靑年團)을 조직하고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65703&cid=40942&categoryId=31667 교통국]을 설치했다. 임시정부 내무부의 비밀연락망 조직인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26672&cid=40942&categoryId=33384 연통제](聯通制)를 통해 당시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총장 안창호와 연락을 유지하며 군자금 모금에 힘썼으나, 1921년 1월에 체포되었다.

안창호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1921년 3월 함흥지방법원에서 징역 5년(최고형)을 선고받고 서울복심법원에서 확정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했다.

석방된 후에도 항일운동을 계속하였으며, 1925년 장의단 서울 폭탄사건, 1927년 보천보사건 등에 관련되어 검거되었다. 석방 이후 항일구국운동을 지속했다.

강면하의 독립운동에 대한 기여는 건국훈장 애족장 수여를 통해 인정받았으며, 그의 노력은 한국 독립운동사에서 기록되어 있다. 특히, 연통제와 교통국의 활동을 통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국내외 국민 간의 독립 의지를 상통하고 구국 사업의 완성을 기하며, 내외의 독립을 수립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2]

3. 6. 서훈

4. 주요 활동

강면하는 1919년 3.1 운동에 참가하였고, 1920년 함남 이원군에서 대한독립군비단인 홍익청년단을 조직, 비밀연락기구인 교통국을 설치하여 상해 임시정부와 연락하며 독립운동을 지원하였다. 1921년 함흥지법과 경성복심법원에서 징역 5년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었으나, 8개월 후 특별사면으로 석방되었다. 1925년 장의단 서울 폭탄 사건, 1927년 보천보 사건에 연루되어 체포되기도 하였으나, 혐의를 벗고 풀려난 후에도 항일운동을 계속하였다. 이러한 공로로 1968년 대통령 표창,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3][4][5][6][7]

4. 1. 3.1 운동 참가 (1919)

1919년 3.1운동 당시 고향인 이원에서 장날을 이용하여 독립만세 시위운동에 참가하였다.[3][4][5][6][7]

4. 2. 대한독립군비단 홍익청년단 조직 (1920)

1920년 9월 함남 이원군(利原郡)에서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4969 대한독립군비단]인 홍익청년단을 조직했다.[3][4][5][6][7] 같은 시기, 함남 이원군에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5594#:~:text=%EC%A0%95%EC%9D%98-,1919%EB%85%84%20%EC%84%A4%EC%B9%98%EB%90%98%EC%97%88%EB%8D%98%20%EB%8C%80%ED%95%9C%EB%AF%BC%EA%B5%AD%20%EC%9E%84%EC%8B%9C%EC%A0%95%EB%B6%80,%EC%9D%98%20%ED%86%B5%EC%8B%A0%EC%97%B0%EB%9D%BD%20%EC%83%81%EC%84%A4%EA%B8%B0%EA%B5%AC.&text=%EA%B5%90%ED%86%B5%EA%B5%AD%EC%9D%80%201919%EB%85%84%204,%EC%82%AC%ED%95%AD%EC%97%90%20%EC%9D%98%ED%95%98%EC%97%AC%20%EC%84%A4%EC%B9%98%EB%90%98%EC%97%88%EB%8B%A4 교통국]을 설치하여 비밀연락기구를 통해 상해 임시정부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5597 교통부]와 연락하며 군사 활동, 군자금 모집, 대원 모집, 교육기관 설립 등을 지원했다.[3][4][5][6][7]

4. 3. 교통국 설치 및 임시정부 지원 (1920)

1920년 9월 대한독립군비단인 홍익청년단을 함남 이원군에 조직했다.[3] 같은 해 9월 함남 이원군에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5594#:~:text=%EC%A0%95%EC%9D%98-,1919%EB%85%84%20%EC%84%A4%EC%B9%98%EB%90%98%EC%97%88%EB%8D%98%20%EB%8C%80%ED%95%9C%EB%AF%BC%EA%B5%AD%20%EC%9E%84%EC%8B%9C%EC%A0%95%EB%B6%80,%EC%9D%98%20%ED%86%B5%EC%8B%A0%EC%97%B0%EB%9D%BD%20%EC%83%81%EC%84%A4%EA%B8%B0%EA%B5%AC.&text=%EA%B5%90%ED%86%B5%EA%B5%AD%EC%9D%80%201919%EB%85%84%204,%EC%82%AC%ED%95%AD%EC%97%90%20%EC%9D%98%ED%95%98%EC%97%AC%20%EC%84%A4%EC%B9%98%EB%90%98%EC%97%88%EB%8B%A4 교통국]을 설치하여 비밀연락기구를 통해 상해 임시정부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5597 교통부]와 소통하며 연락, 군사 활동, 군자금 모집, 대원 모집 활동, 교육기관 설립 등을 지원하였다.[3]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자취

4. 4. 함흥지법 징역 5년 선고 (1921)

1921년 3월 함흥지법(咸興地法)에서 징역 5년(최고형)을 선고받았다.[3][4][5][6][7] 같은 해 8월 조선총독부 재판소경성복심에서도 5년 징역형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西大門刑務所)에 투옥되었으나, 8개월 후 특별사면(特別赦免)으로 석방되었다.[3][4][5][6][7]

4. 5. 경성복심법원 5년 징역형 확정 및 서대문형무소 투옥 (1921)

강면하는 1921년 3월 함흥지법에서 징역 5년(최고형)을 선고받았다.[3][4][5][6][7] 이후 노령만주에 있는 조선인에게 임시정부 활동 상황을 알리는 문서를 전달한 혐의로, 같은 해 8월 조선총독부 재판소경성복심법원에서 5년 징역형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었다.[3][4][5][6][7]

4. 6. 특별사면 석방 (1921)

1921년 함흥지법(咸興地法)에서 징역 5년(최고형)을 선고받았다.[3] 같은 해 8월 조선총독부 재판소경성복심에서 5년 징역형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西大門刑務所)에 투옥되어, 노령만주에 있는 조선인에게 임시정부활동 상황을 알리는 문서를 전달하였다.[3][4][5][6][7] 서대문형무소에서 8개월 옥고를 치렀으나 특별사면(特別赦免)으로 석방되었다.[3][4][5][6][7]

4. 7. 장의단 서울 폭탄 사건 연루 (1925)

1925년 장의단 서울 폭탄 사건에 연루되어 체포되었으나, 6개월 후 석방되었다.[3]

4. 8. 보천보 사건 연루 (1927)

1927년 보천보 사건과 관련하여 혜산경찰서에 체포되었으나 석방되었다. 이후 그는 항일운동을 계속하였다.[3][4][5][6][7]

4. 9. 대통령 표창 (1968)

1968년 강면하는 건국 공로가 인정되어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3][4][5][6][7]

4. 10.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1990)

1990년 정부는 강면하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3][4][5][6][7]

5.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배우자박연희강철종의 어머니
장남강철종
강인숙
사위이어령[10]


5. 1. 장남: 강철종

강면하의 장남은 강철종이다. 강철종은 슬하에 손자 강태욱, 강태준, 손녀 강태이, 강태연을 두었다. 강태욱의 배우자는 박정순이며, 증손자 강윤식(배우자 윤아름)과 증손녀 강윤영을 두었다.[10]

5. 1. 1. 배우자: 박연희

박연희는 강철종의 배우자이다.[10]

5. 2. 딸: 강인숙

강면하의 딸은 강인숙이다. 강인숙의 배우자는 이어령이다.[10]

5. 2. 1. 배우자: 이어령

이어령[10]

참조

[1] 백과사전 강면하 https://www.doopedia[...] 두산백과 두피디아
[2] 기록물 강면하 독립운동 관련 판결문 https://theme.archiv[...] 국가기록원
[3] 웹인용 강면하 https://m.terms.nave[...] 국회전자도서관 2024-04-01
[4] 웹인용 인물정보 https://dosanwiki.kr[...] 도산아카데미 2024-04-01
[5] 웹인용 인물정보 https://m.terms.nave[...] 2024-04-01
[6] 웹인용 인물정보 https://e-gonghun.mp[...] 2024-04-01
[7] 웹인용 두피디아 https://www.doopedia[...]
[8] 웹인용 강면하 https://m.terms.nave[...] 호남기록문화유산 2024-03-22
[9] 웹인용 강면하 https://www.nmkpg.go[...] 호남기록문화유산 2024-03-22
[10] 웹인용 강철종 저작물 보관 정보 http://memoryhonam.j[...] 국회전자도서관 2024-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