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원대학교는 1947년 강원도립 춘천농업대학으로 설립된 대한민국 국립 종합대학교이다. 춘천캠퍼스를 중심으로 삼척캠퍼스, 도계캠퍼스를 운영하며, 19개의 단과대학, 93개의 학과, 15개의 대학원, 2만 명 이상의 재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사구시'를 교육 이념으로, 학문 연구와 인재 양성에 힘쓰며, 국내외 여러 대학과 국제 교류를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원대학교 - 함인섭
함인섭은 춘천농업대학 설립을 주도하고 제6대 농림부 장관을 지낸 교육자이자 정치인으로, 토지개혁 문제 해결에 힘썼으며 교육계에 헌신했다. - 강원대학교 - 강원대학교 중앙박물관
강원대학교 중앙박물관은 삼척캠퍼스에 위치하며 강원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다양한 유물을 소장한 박물관으로, 고고학, 민속학, 미술, 공예 등 다양한 분야의 유물을 전시하고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 춘천시의 학교 - 한림성심대학교
한림성심대학교는 1939년 설립되어 여러 차례 교명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6개 계열 18개 학과를 운영하며 전문학사 및 일반학사 과정을 제공하는 사립 전문대학이다. - 춘천시의 학교 - 춘천교육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는 1939년 춘천사범학교로 시작하여 초등교육학과 단일 학과를 운영하며, 교육학사 학위와 초등학교 교사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고, 교육대학원을 통해 석사 학위 과정도 제공한다.
강원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모토 | 실사구시 (實事求是) |
모토 (라틴어) | Inquirere Veritatem Ex Praxe |
모토 (영어 번역) | "seek for the truth from reality, seek for the very truth to enable us to renovate the world as it should be from the world as it is." (진실을 현실에서 찾고, 세상을 있는 그대로가 아닌 있는 그대로 혁신할 수 있는 진실을 찾다) |
설립일 | 1947년 6월 14일 |
종류 | 국립대학 |
총장 | 김헌영 (Kim Heon Young) 박사 |
소재지 | 춘천시 및 삼척시 |
주 | 강원특별자치도 |
국가 | 대한민국 |
교직원 | 964명 |
행정 직원 | 1,418명 |
학생 수 | 38,264명 |
학부생 | 34,335명 |
캠퍼스 | 교외 (3 km2) |
교색 | 파란색 및 주황색 |
별칭 | 오픈 캠퍼스 (캠페인 모토) |
마스코트 | 곰두리 (파란 곰, 공식) |
웹사이트 | 강원대학교 영문 웹사이트 |
캠퍼스 정보 | |
캠퍼스 위치 | 춘천캠퍼스: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 삼척캠퍼스: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중앙로 346 도계캠퍼스: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황조길 346 |
조직 | |
규모 | 2 캠퍼스, 1 부속 캠퍼스, 21 대학, 1 일반대학원, 2 전문대학원, 7 특수대학원 |
부총장 | 교학: 임의영 삼척: 박철우 산학연구: 이득찬 |
통계 | |
학부생 (2016년) | 33,039명 |
대학원생 (2016년) | 3,374명 |
전임 교원 (2016년) | 995명 |
기타 교원 (2016년) | 1,357명 |
2. 역사
1947년 6월 14일 강원도 최초의 4년제 대학인 강원도립 '''춘천농업대학'''이 설립되어 농학과가 신설되었다.[1] 초대 학장에는 함인섭이 취임했다.
1950년 5월 10일 부설 중등교원양성소가 설립되고, 농업토목과, 원예과가 신설되었다.
1951년 10월 5일 총동창회가 결성되었다.
1951년 12월 31일 강원도립 '''춘천농과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고, 임학과, 축산학과를 신설하였다.
1953년 2월 6일 국립으로 이관되었다.
1953년 9월 10일 중앙도서관이 개관되었다.
1953년 7월 25일 춘천시 효자동 캠퍼스(20만 평)로 이전하고, 한국 최대 학술림(1,000만 평)을 조성하였다.
1954년 4월 1일 농예화학과, 농업공학과, 중등교사 양성소 생물과가 신설되었다.
1955년 4월 1일 과학중등교사 양성소에 수학과를 신설하고, 원예과를 농업과로, 토목과를 물상과로 개편하였다.
1956년 1월 15일 대학신문이 창간되었다.
1959년 3월 17일 과학중등교사 양성소가 폐소되었다.
1961년 4월 1일 농예화학과를 농화학과로 개편하였다.
1963년 3월 5일 대학방송국이 창설되었다.
1965년 3월 1일 학군단(ROTC)이 창설되었다.
1968년 1월 10일 일반대학원이 신설되고 농공학과가 신설되었다.
1969년 3월 1일 국어교육과, 영어교육과, 수학교육과가 신설되었다.
1970년 3월 1일 국립 '''강원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고, 체육교육과, 법학과, 행정학과, 경영학과를 신설하였다.
1972년 3월 1일 임산학과가 신설되었다.
1973년 농학과'''(現 생물자원과학부)''', 임학과'''(現 산림환경시스템학과 산림자원학 전공)'''가 특성화 학과로 선정되었다.
1974년 3월 1일 원예학과, 생물학과, 국사학과, 미술교육과, 음악교육과, 관광개발학과가 신설되었다.
1975년 3월 1일 통계학과를 신설하고, 임산학과를 임산가공학과로, 국사학과를 사학과로, 관광개발학과를 관광경영학과로 개편하였다.
1976년 3월 1일 가정학과가 신설되었다.
1978년 3월 1일 국립 '''강원대학교'''로 승격되고, 농과대학, 사범대학, 법경대학, 이공대학, 교양과정부가 인가되었으며, 식품공학과, 낙농학과, 한문교육과, 지적학과가 신설되고, 사학과를 역사교육과로 개편하였다.
1978년 12월 30일 교육대학원이 신설되었다.
1979년 3월 1일 이공대학을 자연과학대학과 공과대학으로 분리하고, 회계학과, 무역학과, 경제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수학과, 지질학과, 병리곤충학과, 자원공학과, 발효공학과, 재료공학과, 산업공학과, 교육학과를 신설하였다.
1979년 5월 1일 중앙박물관이 개관되었다.
1980년 9월 15일 여학생 기숙사(난지원)가 개관되었다.
1981년 3월 1일 인문사회대학(국어국문학과, 영어영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사학과, 사회학과, 심리학과), 국민윤리교육과가 신설되었다.
1982년 3월 1일 사범대학에 부속고등학교가 설치되고, 임과대학. 약학과, 기계공학과, 전기공학과, 산림경영학과가 신설되었다.
1983년 3월 1일 일반사회교육과, 철학과, 생화학과가 신설되고, 병리곤충학과를 식물보호학과로, 산림경영학과를 삼림경영학과로 개편하였다.
1983년 4월 25일 남학생 기숙사(율곡관)가 개관되었다.
1983년 10월 29일 병리곤충학과를 식물보호학과로 변경하였다.
1984년 축산학과'''(現 동물자원과학부)'''가 특성화 학과로 선정되었다.
1985년 3월 1일 전자공학과, 불어불문학과, 중어중문학과가 신설되었다.
1986년 3월 1일 공업화학과, 축산경영학과, 녹지조경학과가 신설되었다.
1986년 9월 15일 남학생 기숙사(퇴계관)가 개관되었다.
1987년 3월 2일 제어계측공학과, 산업디자인학과, 미생물학과가 신설되었다.
1988년 3월 1일 축산대학(축산학과, 낙농학과, 축산경영학과, 축산가공학과, 수의학과), 환경공학과, 제지공학과, 인류학과가 신설되었다.
1988년 9월 30일 여학생 기숙사(국지원)가 준공되었다.
1989년 3월 1일 약학대학이 신설(약학과를 자연과학대학에서 분리)되고, 자원식물개발학과, 생물응용공학과, 신문방송학과, 지구물리학과, 사료생산공학과가 신설되었으며, 식물보호학과를 농생물학과로 개편하고, 강원대학교 부속 동물병원이 개원되었다.
1990년 3월 1일 식물보호학과를 농생물학과로, 정치학과를 정치외교학과로 변경하였다.
1991년 3월 1일 인문사회대학을 사회과학대학과 인문대학으로 분리하고, 법과대학 행정학과, 토지행정학과를 사회과학대학으로 소속을 변경하였다.
1992년 3월 1일 정밀기계공학과, 농업기계공학과, 삼림자원보호학과가 신설되었다.
1993년 3월 1일 컴퓨터공학과가 신설되었다.
1994년 3월 1일 예술대학(산업디자인학과, 미술학과, 음악학과). 정보통신공학과가 신설되었다.
1995년 2월 11일 백령문화관(現 백령아트센터)이 신설되었다.
1995년 3월 1일 자연과학대학에 의예과, 예술대학에 무용학과가 신설되었다.
1995년 7월 4일 제3학생회관(태백관)이 준공되었다.
1996년 3월 1일 발효공학과와 환경공학과를 환경·생물공학부로 통합, 농학과, 원예학과, 자원식물학과를 식물응용과학부로 통합, 농화학과와 농생물학과를 자원생물환경학부로 통합, 공법학과와 사법학과를 법학부로 통합, 생화학과, 미생물학과를 생명과학부로 통합, 토지행정학과를 부동산학과로 변경, 축산경영학과를 농업자원경제학과로 변경, 자연과학대학 간호학과가 신설되었다.
1996년 농업대학'''(現 농업생명과학대학)''', 임업대학'''(現 산림환경과학대학)'''이 농림·수산계 특성화 대학으로 선정되었다.
1997년 3월 1일 의과대학(의학과)이 신설되고, 임과대학을 산림과학대학으로 변경, 임산가공학과를 임산공학과로 변경, 자연과학대학 간호학과를 의과대학으로 소속을 변경하였다.
1998년 3월 1일 인문대학에 일본학과, 자연과학대학에 수의예과가 신설되고, 사범대학 국민윤리교육과를 윤리교육과로 변경하였다.
2000년 5월 18일 강원대학교병원이 개원되었다.
2000년 5월 20일 제1기숙사 다산관, 예지원이 준공되었다.
2002년 7월 9일 강원대학교 서울센터가 개소되었다.
2003년 12월 23일 서암관이 준공되었다.
2005년 12월 26일 국제생활관이 준공되었다.
2006년 3월 1일 통합 강원대학교가 출범하여, 1 대학 2 캠퍼스(춘천, 삼척) 체제로 전환되고, BT특성화학부'''(現 의생명과학대학)'''가 신설되었다.
2007년 개교 60주년을 맞이하였다.
2008년 3월 1일 의학전문대학원이 설립되었다.
2009년 2월 25일 BTL 생활관이 개관되었다.
2009년 3월 1일 법학전문대학원이 설립되었다.
2009년 2월 25일 삼척 제2캠퍼스(도계)가 출범하여, 1 대학 2 캠퍼스(춘천, 삼척), 1 부속 캠퍼스 체제로 전환되었다.
2010년 3월 1일 IT대학이 신설되고, 자연과학대학 수의학과, 수의학부(대학)를 수의과대학으로 변경하였다.
2015년 : 교육부 대학구조개혁평가 결과 D+등급[7]
2017년 : 교육부 대학구조개혁평가 2차년도 이행점검 결과 재정지원제한 완전 해제[8]
2023년 : 국립강릉원주대학교와 연합 으로 교육부의 글로컬대학30에 선정[9]
2. 1. 강원도립 춘천농업대학 (1947-1952)
1947년 6월 14일, 강원농업중학교에서 재직 중이었던 함인섭 교장을 주축으로 설립이 결정되어, 박권원 강원도지사, 이재학 강원도 학무국장 등 지역 유지들의 지원으로 대학설립준비위원회를 구성하여 강원농업중학교, 강릉농업중학교에 각각 5학년, 6학년 한반씩을 설치해 신입생을 충원하여 미군정청 문교국에 의해 강원특별자치도 최초 4년제 대학으로 '''강원도립 춘천농업대학'''이 설립되었다.[10] 초대 학장에는 함인섭이 취임했다.[1]2. 2. 춘천농과대학 (1952-1970)
1947년 6월 14일, 강원도립 춘천농업대학(춘천농대)으로 개교하였다. 춘천농대는 1946년 강원농업중학교에서 재직 중이었던 함인섭 교장을 주축으로 설립이 결정되어 박권원 강원도지사, 이재학 강원도 학무국장 등의 지역 유지들의 지원으로 대학설립준비위원회를 구성하여 강원농업중학교, 강릉농업중학교에 각각 5학년, 6학년 한반씩을 설치해 신입생을 충원하여 미군정청 문교국에 의해 강원특별자치도 최초 4년제 종합대학으로 설립되었다.[10] 초대 학장에는 함인섭이 취임했다.[1]1952년 3월, '''춘천농과대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1953년 2월, 도립에서 국립으로 이관되었다.[1] 이후 농업 전문 대학으로서 순조롭게 학과를 증설해 1968년에는 대학원 설치에 이르렀다.[1]
2. 3. 강원대학 (1970-1978)
춘천농과대학은 춘천대학을 합병하고 1970년 3월 1일 강원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한다.[11] 1978년 3월 1일 종합대학인 강원대학교로 승격되어[11] 농과대학, 사범대학, 법정대학, 이공대학, 교양과정부를 인가받아 산하 대학을 개설한다. 오늘날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 대부분이 해당 시기에 형성된 것이다. 1947년에 설립된 '''강원도립 춘천농업대학'''이 시작으로, 초대 학장에는 함인섭이 취임했다.[1] 1952년 3월, '''춘천농과대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1953년 2월, 도립에서 국립으로 이관되었다. 이후 농업 전문 대학으로서 순조롭게 학과를 증설해 1968년에는 대학원 설치에 이른다.[1]2. 4. 강원대학교 (1978-현재)
1970년 3월 1일, 춘천농과대학은 춘천대학을 합병하고 강원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78년 3월 1일 강원대학교로 승격되어[11] 농과대학, 사범대학, 법정대학, 이공대학, 교양과정부를 인가받아 산하 대학을 개설하였다. 오늘날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 대부분이 해당 시기에 형성된 것이다.2000년을 전후해 강원도에선 각 대학간 통합 시도가 있었다. 영서권에서는 강원대학교와 원주대학교, 영동권에서는 삼척대학교와 강릉대학교가 통합을 서로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2004년 말부터 원주대학교와 강릉대학교가 연합 대학 구상을 펼치게 되면서 강원대학교는 영동권의 삼척대학교와 통합 논의에 들어가게 되었다.[12] 2005년 3월 17일 양 대학 총장과 교무의원, 총동문회장, 학생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통합 추진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고,[13] 2006년 3월 1일 강원대학교와 삼척대학교의 통폐합이 시행되어 삼척대학교는 강원대학교 삼척캠퍼스의 명칭으로 강원대학교의 이원화 캠퍼스가 되었다. 삼척대학교의 도계 캠퍼스로 출범할 예정이던 도계캠퍼스는 2009년 3월 1일 강원대학교 도계캠퍼스의 이름으로 출범한다.
강원대학교는 원래 농업대학으로 설립되었으나, 점차 확대되어 모든 학문 분야를 포괄하는 종합대학으로 발전했다. 1997년에는 의학 학위 과정을 추가했고, 2000년에는 부속 병원을 설립하며 규모를 키웠다. 2002년에는 '사법대학원'이라는 법학전문대학원을 개원하여 운영하고 있는데, 이는 한국 법률 시스템 개혁의 초기 단계를 위한 모델로서, 대한민국에서 유일한 실험 학교이다. 2006년에는 삼척대학교와 통합하여 수의과대학과 정보기술대학을 기존의 강원대학교 단과대학에 추가했다. 2009년 3월 2일부터 강원대학교는 대한민국 정부의 공식 인가를 받은 최첨단 전문 로스쿨을 운영하고 있다.[1]
3. 교육
강원대학교는 실사구시(實事求是: shí shì qiú shì/實事求是중국어)를 교육 이념으로 삼아 인류의 지적 발전에 기여하는 학술 공동체이다.[14] 학문의 자유를 수호하며, 독단과 편견을 배척하고 사실에 근거하여 진리를 탐구한다.[14] 이성의 힘을 바탕으로 합리적인 문화와 선진 문명사회를 이룩하고, 진리에 따라 가르치며 배움의 윤리를 강조한다.[14] 또한, 다양한 학문 분야의 가치를 존중하고 지식의 개방과 균형을 추구하며, 지적 탁월성을 기르는 학풍을 조성한다.[14] 학문 연구를 통해 지성과 덕성, 감성의 조화를 추구하고, 정의로운 대학인의 양심을 길러 인류 공동선 실현에 이바지한다.[14]
강원대학교 교육과정은 강원대학교 학칙 제53조 및 학사운영규정 제7조에 근거하여 편성한다. 대학의 교육이념인 ‘실사구시형 인재 양성’에 주력하고자 실용학문을 개설 운영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들이 연계된 융복합 연계전공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특화교양 영역을 설치하여 실용 위주의 교과목을 편성하여 운영한다. 교육과정은 기초교양, 균형교양, 특화교양, 대학별교양, 전공필수, 전공선택, 자유선택, 교직과정으로 구성한다. 졸업에 필요한 학점은 130학점으로 하되 공과대학과 사범대학은 140학점, 수의과대학 수의예과는 76학점(수료), 수의학과는 160학점, 약학대학은 160학점, 의과대학 간호학과는 140학점, 건축학전공은 170학점으로 한다.
강원대학교는 19개의 단과대학, 93개의 학과, 5개의 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과대학 목록'''
'''학과 목록'''
- 경영대학
- * 경영학과
- * 회계학과
- * 관광경영학과
- * 경제학과
- * 국제무역학과
- 공과대학
- * 환경공학과
- * 에너지·자원공학과
- * 건축학 전공
- * 건축공학 전공
- * 기계의용공학과
- * 기계메카트로닉스공학과
- * 토목공학과
- * 신소재공학과
- * 산업공학과
- * 화학공학과
- * 생물공학과
- 농업생명과학대학
- * 식물자원응용공학과
- * 응용생물학과
- * 지역건설공학과
- *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원예학과
- * 바이오자원환경학과
- * 농업자원경제학과
- 동물생명과학대학
- * 동물자원과학과
- * 동물생명시스템학과
- * 동물생물응용과학과
- * 동물생명공학과
- 문화예술대학
- * 디자인학과
- * 미술학과
- * 음악학과
- * 무용학과
- * 영상문화학과
- * 스토리텔링학과
- 법과대학
- * 법학 전공
- 사범대학
- * 국어교육과
- * 영어교육과
- * 한문교육과
- * 교육학과
- * 윤리교육과
- * 역사교육과
- * 지리교육과
- * 일반사회교육과
- * 수학교육과
- * 과학교육학부
- * 가정교육과
- 사회과학대학
- * 행정학과
- * 부동산학과
- * 정치외교학과
- * 신문방송학과
- * 심리학과
- * 사회학과
- * 문화인류학과
- 산림환경과학대학
- * 산림경영학과
- * 조경학과
- * 산림자원조성학과
- * 산림환경보호학과
- * 산림바이오소재공학과
- * 제지공학과
- 약학대학
- * 약학과
- 의과대학
- * 간호학과
- 인문대학
- * 국어국문학과
- * 영어영문학과
- * 독어독문학과
- * 불어불문학과
- * 중어중문학과
- * 일본학과
- * 사학과
- * 철학과
- 자연과학대학
- * 수학과
- * 정보통계학과
- * 생화학과
- * 생명과학과
- * 물리학과
- * 화학과
- * 지질학과
- * 지구물리학과
- * 환경과학과
- * 수의예과
- 바이오산업공학부
- * 생물소재공학 전공
- * 식품생명공학 전공
- 의생명과학대학
- * 분자생명과학 전공
- * 시스템면역과학 전공
- IT대학
- * 전기전자공학 전공
- * 전자통신공학 전공
- * 컴퓨터정보통신공학 전공
- * 컴퓨터과학 전공
- * 전자공학 전공
- 수의과대학
- * 수의예과
- * 수의학과
- 스포츠과학부
- * 스포츠과학 전공
- * 스포츠지도 전공
강원대학교는 일반대학원과 특수대학원으로 구성된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일반대학원은 인문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예술·체육대학, 의과대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를 포괄한다. 특수대학원으로는 교육대학원, 경영대학원, 산업기술대학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법무대학원, 녹색·생명산업정책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의학전문대학원이 있다.
일반대학원은 경영대학, 공과대학,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생명과학대학, 문화예술대학, 법과대학, 사범대학, 사회과학대학, 산림과학대학, 수의과대학, 약학대학, 의과대학, 의생명과학대학, 인문대학, 자연과학대학, IT대학, 독립학부, 그리고 여러 협동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대학 및 학부에는 다양한 학과들이 개설되어 있으며, 학과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일반대학원'''
대학 | 학과 |
---|---|
경영대학 | 경영학과, 경제학과, 관광경영학과, 국제통상학과, 회계학과 |
공과대학 | 건축공학과, 기계메카트로닉스공학과, 기계의용공학과, 산업공학과, 생명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에너지·자원공학과, 토목공학과, 화학공학과, 환경공학과 |
농업생명과학대학 | 농업자원경제학과, 농화학과, 바이오시스템공학과, 식물자원응용공학과, 원예학과, 응용생물학과, 지역건설공학과 |
동물생명과학대학 | 동물생명공학과, 동물생명시스템학과, 동물식품응용학과, 동물자원화학과 |
문화예술대학 | 디자인학과, 무용학과, 미술학과, 영상문화학과, 음악학과 |
법과대학 | 법학과 |
사범대학 | 가정교육학과, 과학교육학과, 교육학과, 국어교육학과, 사회교육학과, 영어교육학과 |
사회과학대학 | 문화인류학과, 부동산학과, 사회학과, 신문방송학과, 심리학과, 정치외교학과, 행정학과 |
산림과학대학 | 산림경영학과, 산림환경보호학과, 임학과, 산림바이오소재공학과, 제지공학과, 조경학과 |
수의과대학 | 수의학과 |
약학대학 | 약학과 |
의과대학 | 간호학과, 의학과 |
의생명과학대학 | 분자생명과학과 |
인문대학 | 국어국문학과, 독어독문학과, 불어불문학과, 사학과, 영어영문학과, 일어일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철학과 |
자연과학대학 | 물리학과, 생물학과, 생화학과, 수학과, 지구물리학과, 지질학과, 통계학과, 화학과, 환경학과 |
IT대학 | 전기전자공학과, 전자공학과, 전자통신공학과, 컴퓨터과학과, 컴퓨터정보통신공학과 |
독립학부 | 생명공학과, 스포츠과학과 |
협동과정 | 외국인을 위한 한국학협동과정, 지리정보체계과정, 환경관리 및 정책협동과정, 문화예술경영협동과정, 의료·바이오신소재협동과정 |
특수대학원은 경영대학원, 교육대학원, 산업대학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의학전문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 '''특수대학원'''
-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 교육대학원: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과
- 산업대학원: 건축공학과, 토목공학과, 에너지자원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산업공학과, 전기공학과, 기계공학과, 화학공학과, 기계메카트로닉스공학과, 생물공학과, 컴퓨터정보통신공학과, 디자인학과, 전자통신공학과
- 정보과학·행정대학원: 정보처리전공, 행정정보전공, 언론정보전공, 지리정보전공, 행정학과, 부동산학과
- 법학전문대학원
- 의학전문대학원
더 자세한 내용은 강원대학교 대학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강원대학교 교육과정은 강원대학교 학칙 제53조 및 학사운영규정 제7조에 근거하여 편성한다.[16] 대학의 교육이념인 ‘실사구시형 인재 양성’에 주력하고자 실용학문을 개설 운영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들이 연계된 융복합 연계전공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특화교양 영역을 설치하여 실용 위주의 교과목을 편성하여 운영한다.[16] 교육과정은 기초교양, 균형교양, 특화교양, 대학별교양, 전공필수, 전공선택, 자유선택, 교직과정으로 구성한다.[16] 졸업에 필요한 학점은 130학점으로 하되 공과대학과 사범대학은 140학점, 수의과대학 수의예과는 76학점(수료), 수의학과는 160학점, 약학대학은 160학점, 의과대학 간호학과는 140학점, 건축학전공은 170학점으로 한다.[16]
졸업에 필요한 조건으로 외국어, 컴퓨터 2개 분야 중 1개 분야 이상을 선택하고 선택한 분야는 반드시 통과하여야 하며 기준은 대학(학부), 학과(전공)별로 상이하다.[16] 외국어 인증에는 NEAT, TOEIC, TEPS, TOEFL (CBT, PBT, IBT)(영어), Start Deutsch2, ZD(독일어), DELF(프랑스어), HSK(중국어), JLPT, JPT(일본어)등이 있고 컴퓨터 인증에는 전산회계, AutoCAD, 컴퓨터활용능력 2급, 워드프로세서, 문서실무사, MOS Core, PC정비사, 전산회계운용사, 기계설계제도사, 전산세무, ICDL등이 있다.[16] 졸업인증관리는 “졸업자격인증분야선택”에서 선택한 분야를 학생 스스로 관리하며 시험신청 및 고지서 출력, 확인평가, 결과내역 등을 조회할 수 있다.[16]
공학교육인증이란 산업체가 요구하는 실무능력과 창의성을 갖추고,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엔지니어를 양성하기 위한 제도이다.[17] 이는 해당 프로그램(전공)을 이수한 졸업생이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공학실무를 적절하게 수행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보증해주는 인증제도이다.[17] 공학교육인증 과정을 통하여 기존의 공학교육에 새롭고 창의적인 접근방법을 접목하며, 인증된 프로그램을 사회에 공지하여, 궁극적으로 공학교육의 발전과 개선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17] 강원대학교에서는 2016학년도 기준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의 공학교육인증을 받은 공과대학 10개 학과(전공)에서 공학교육인증제도에 의한 인증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다.[18]
강원대학교는 성적우수장학금, 저소득층 장학금, 우선면제 장학금, 학과장특별 장학금, 학과장특별 장학금, 장학사정관제 장학금, 부서지원(RA) 장학금, 특별 장학금 등 다양한 장학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2015학년도 기준 재학생 1인당 장학금은 2,492,600원으로 2015학년도 강원대학교 1인당 평균등록금의 약 61.5%에 달한다.[19]
현재 재학생 수는 학부생과 대학원생을 합쳐 2만 명 이상이다. 많은 대한민국의 대학교와 마찬가지로, 강원대학교의 학사 일정 또한 학기제를 기반으로 하며, 봄 학기는 매년 3월 첫째 주 월요일에 시작하고, 가을 학기는 보통 8월 넷째 주 월요일에 시작한다.
3. 1. 교육 이념 및 목표
강원대학교는 실사구시(實事求是)를 교육 이념으로 삼아 인류의 지적 발전에 기여하는 학술 공동체이다.[14] 학문의 자유를 수호하며, 독단과 편견을 배척하고 사실에 근거하여 진리를 탐구한다.[14] 이성의 힘을 바탕으로 합리적인 문화와 선진 문명사회를 이룩하고, 진리에 따라 가르치며 배움의 윤리를 강조한다.[14] 또한, 다양한 학문 분야의 가치를 존중하고 지식의 개방과 균형을 추구하며, 지적 탁월성을 기르는 학풍을 조성한다.[14] 학문 연구를 통해 지성과 덕성, 감성의 조화를 추구하고, 정의로운 대학인의 양심을 길러 인류 공동선 실현에 이바지한다.[14]3. 2. 학부
강원대학교 교육과정은 강원대학교 학칙 제53조 및 학사운영규정 제7조에 근거하여 편성한다. 대학의 교육이념인 ‘실사구시형 인재 양성’에 주력하고자 실용학문을 개설 운영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들이 연계된 융복합 연계전공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특화교양 영역을 설치하여 실용 위주의 교과목을 편성하여 운영한다. 교육과정은 기초교양, 균형교양, 특화교양, 대학별교양, 전공필수, 전공선택, 자유선택, 교직과정으로 구성한다. 졸업에 필요한 학점은 130학점으로 하되 공과대학과 사범대학은 140학점, 수의과대학 수의예과는 76학점(수료), 수의학과는 160학점, 약학대학은 160학점, 의과대학 간호학과는 140학점, 건축학전공은 170학점으로 한다.강원대학교는 19개의 단과대학, 93개의 학과, 5개의 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과대학 목록'''
'''학과 목록'''
- 경영대학
- * 경영학과
- * 회계학과
- * 관광경영학과
- * 경제학과
- * 국제무역학과
- 공과대학
- * 환경공학과
- * 에너지·자원공학과
- * 건축학 전공
- * 건축공학 전공
- * 기계의용공학과
- * 기계메카트로닉스공학과
- * 토목공학과
- * 신소재공학과
- * 산업공학과
- * 화학공학과
- * 생물공학과
- 농업생명과학대학
- * 식물자원응용공학과
- * 응용생물학과
- * 지역건설공학과
- * 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원예학과
- * 바이오자원환경학과
- * 농업자원경제학과
- 동물생명과학대학
- * 동물자원과학과
- * 동물생명시스템학과
- * 동물생물응용과학과
- * 동물생명공학과
- 문화예술대학
- * 디자인학과
- * 미술학과
- * 음악학과
- * 무용학과
- * 영상문화학과
- * 스토리텔링학과
- 법과대학
- * 법학 전공
- 사범대학
- * 국어교육과
- * 영어교육과
- * 한문교육과
- * 교육학과
- * 윤리교육과
- * 역사교육과
- * 지리교육과
- * 일반사회교육과
- * 수학교육과
- * 과학교육학부
- * 가정교육과
- 사회과학대학
- * 행정학과
- * 부동산학과
- * 정치외교학과
- * 신문방송학과
- * 심리학과
- * 사회학과
- * 문화인류학과
- 산림환경과학대학
- * 산림경영학과
- * 조경학과
- * 산림자원조성학과
- * 산림환경보호학과
- * 산림바이오소재공학과
- * 제지공학과
- 약학대학
- * 약학과
- 의과대학
- * 간호학과
- 인문대학
- * 국어국문학과
- * 영어영문학과
- * 독어독문학과
- * 불어불문학과
- * 중어중문학과
- * 일본학과
- * 사학과
- * 철학과
- 자연과학대학
- * 수학과
- * 정보통계학과
- * 생화학과
- * 생명과학과
- * 물리학과
- * 화학과
- * 지질학과
- * 지구물리학과
- * 환경과학과
- * 수의예과
- 바이오산업공학부
- * 생물소재공학 전공
- * 식품생명공학 전공
- 의생명과학대학
- * 분자생명과학 전공
- * 시스템면역과학 전공
- IT대학
- * 전기전자공학 전공
- * 전자통신공학 전공
- * 컴퓨터정보통신공학 전공
- * 컴퓨터과학 전공
- * 전자공학 전공
- 수의과대학
- * 수의예과
- * 수의학과
- 스포츠과학부
- * 스포츠과학 전공
- * 스포츠지도 전공
3. 3. 대학원
강원대학교는 일반대학원과 특수대학원으로 구성된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일반대학원은 인문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예술·체육대학, 의과대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를 포괄한다. 특수대학원으로는 교육대학원, 경영대학원, 산업기술대학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법무대학원, 녹색·생명산업정책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의학전문대학원이 있다.일반대학원은 경영대학, 공과대학,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생명과학대학, 문화예술대학, 법과대학, 사범대학, 사회과학대학, 산림과학대학, 수의과대학, 약학대학, 의과대학, 의생명과학대학, 인문대학, 자연과학대학, IT대학, 독립학부, 그리고 여러 협동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대학 및 학부에는 다양한 학과들이 개설되어 있으며, 학과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일반대학원
대학 | 학과 |
---|---|
경영대학 | 경영학과, 경제학과, 관광경영학과, 국제통상학과, 회계학과 |
공과대학 | 건축공학과, 기계메카트로닉스공학과, 기계의용공학과, 산업공학과, 생명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에너지·자원공학과, 토목공학과, 화학공학과, 환경공학과 |
농업생명과학대학 | 농업자원경제학과, 농화학과, 바이오시스템공학과, 식물자원응용공학과, 원예학과, 응용생물학과, 지역건설공학과 |
동물생명과학대학 | 동물생명공학과, 동물생명시스템학과, 동물식품응용학과, 동물자원화학과 |
문화예술대학 | 디자인학과, 무용학과, 미술학과, 영상문화학과, 음악학과 |
법과대학 | 법학과 |
사범대학 | 가정교육학과, 과학교육학과, 교육학과, 국어교육학과, 사회교육학과, 영어교육학과 |
사회과학대학 | 문화인류학과, 부동산학과, 사회학과, 신문방송학과, 심리학과, 정치외교학과, 행정학과 |
산림과학대학 | 산림경영학과, 산림환경보호학과, 임학과, 산림바이오소재공학과, 제지공학과, 조경학과 |
수의과대학 | 수의학과 |
약학대학 | 약학과 |
의과대학 | 간호학과, 의학과 |
의생명과학대학 | 분자생명과학과 |
인문대학 | 국어국문학과, 독어독문학과, 불어불문학과, 사학과, 영어영문학과, 일어일문학과, 중어중문학과, 철학과 |
자연과학대학 | 물리학과, 생물학과, 생화학과, 수학과, 지구물리학과, 지질학과, 통계학과, 화학과, 환경학과 |
IT대학 | 전기전자공학과, 전자공학과, 전자통신공학과, 컴퓨터과학과, 컴퓨터정보통신공학과 |
독립학부 | 생명공학과, 스포츠과학과 |
협동과정 | 외국인을 위한 한국학협동과정, 지리정보체계과정, 환경관리 및 정책협동과정, 문화예술경영협동과정, 의료·바이오신소재협동과정 |
특수대학원은 경영대학원, 교육대학원, 산업대학원, 정보과학·행정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의학전문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 특수대학원
-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 교육대학원: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과
- 산업대학원: 건축공학과, 토목공학과, 에너지자원공학과, 신소재공학과, 산업공학과, 전기공학과, 기계공학과, 화학공학과, 기계메카트로닉스공학과, 생물공학과, 컴퓨터정보통신공학과, 디자인학과, 전자통신공학과
- 정보과학·행정대학원: 정보처리전공, 행정정보전공, 언론정보전공, 지리정보전공, 행정학과, 부동산학과
- 법학전문대학원
- 의학전문대학원
더 자세한 내용은 강원대학교 대학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4. 교육 제도
강원대학교 교육과정은 강원대학교 학칙 제53조 및 학사운영규정 제7조에 근거하여 편성한다.[16] 대학의 교육이념인 ‘실사구시형 인재 양성’에 주력하고자 실용학문을 개설 운영하며, 다양한 학문 분야들이 연계된 융복합 연계전공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특화교양 영역을 설치하여 실용 위주의 교과목을 편성하여 운영한다.[16] 교육과정은 기초교양, 균형교양, 특화교양, 대학별교양, 전공필수, 전공선택, 자유선택, 교직과정으로 구성한다.[16] 졸업에 필요한 학점은 130학점으로 하되 공과대학과 사범대학은 140학점, 수의과대학 수의예과는 76학점(수료), 수의학과는 160학점, 약학대학은 160학점, 의과대학 간호학과는 140학점, 건축학전공은 170학점으로 한다.[16]졸업에 필요한 조건으로 외국어, 컴퓨터 2개 분야 중 1개 분야 이상을 선택하고 선택한 분야는 반드시 통과하여야 하며 기준은 대학(학부), 학과(전공)별로 상이하다.[16] 외국어 인증에는 NEAT, TOEIC, TEPS, TOEFL (CBT, PBT, IBT)(영어), Start Deutsch2, ZD(독일어), DELF(프랑스어), HSK(중국어), JLPT, JPT(일본어)등이 있고 컴퓨터 인증에는 전산회계, AutoCAD, 컴퓨터활용능력 2급, 워드프로세서, 문서실무사, MOS Core, PC정비사, 전산회계운용사, 기계설계제도사, 전산세무, ICDL등이 있다.[16] 졸업인증관리는 “졸업자격인증분야선택”에서 선택한 분야를 학생 스스로 관리하며 시험신청 및 고지서 출력, 확인평가, 결과내역 등을 조회할 수 있다.[16]
공학교육인증이란 산업체가 요구하는 실무능력과 창의성을 갖추고,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엔지니어를 양성하기 위한 제도이다.[17] 이는 해당 프로그램(전공)을 이수한 졸업생이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공학실무를 적절하게 수행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보증해주는 인증제도이다.[17] 공학교육인증 과정을 통하여 기존의 공학교육에 새롭고 창의적인 접근방법을 접목하며, 인증된 프로그램을 사회에 공지하여, 궁극적으로 공학교육의 발전과 개선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17] 강원대학교에서는 2016학년도 기준 한국공학교육인증원(ABEEK)의 공학교육인증을 받은 공과대학 10개 학과(전공)에서 공학교육인증제도에 의한 인증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다.[18]
강원대학교는 성적우수장학금, 저소득층 장학금, 우선면제 장학금, 학과장특별 장학금, 학과장특별 장학금, 장학사정관제 장학금, 부서지원(RA) 장학금, 특별 장학금 등 다양한 장학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2015학년도 기준 재학생 1인당 장학금은 2,492,600원으로 2015학년도 강원대학교 1인당 평균등록금의 약 61.5%에 달한다.[19]
현재 재학생 수는 학부생과 대학원생을 합쳐 2만 명 이상이다. 많은 대한민국의 대학교와 마찬가지로, 강원대학교의 학사 일정 또한 학기제를 기반으로 하며, 봄 학기는 매년 3월 첫째 주 월요일에 시작하고, 가을 학기는 보통 8월 넷째 주 월요일에 시작한다.
4. 학생 활동
4. 1. 총학생회
40대41대
42대
43대
44대
45대
46대
47대
48대
49대
50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