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인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인섭은 1907년 충청남도 천안에서 태어나 일제강점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교육자, 관료, 농학자로 활동한 인물이다. 동경농업대학에서 농학을 전공하고 연희전문학교 교수를 거쳐, 춘광원예학교, 자동농업학교 교사를 역임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농림부 농업경제국 통계과장, 문교부 농업교육담당을 지냈으며, 춘천농업대학 학장 서리를 거쳐 초대 학장을 역임했다. 제6대 농림부 장관을 역임했으나 중석불 사건으로 사임했다. 춘천농과대학 학장, 강원대학교 학장을 지냈으며, 콩 연구에 매진했다. 1970년 국민훈장 동백장, 1972년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았으며, 1986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원대학교 - 강원대학교 중앙박물관
강원대학교 중앙박물관은 삼척캠퍼스에 위치하며 강원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다양한 유물을 소장한 박물관으로, 고고학, 민속학, 미술, 공예 등 다양한 분야의 유물을 전시하고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 강원대학교 - 강원대학교 도서관
강원대학교 도서관은 1947년 개교와 함께 설립되어 학문 연구와 교육을 지원하며, 춘천캠퍼스 중앙도서관을 포함한 여러 캠퍼스에 도서관 시설을 갖추고 150만 권 이상의 도서와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며, 백령시네마 운영과 더불어 2025년 9월 개관을 목표로 '동문 미래 도서관' 건립을 추진 중이다. - 상지대학교 교수 - 김정란
김정란은 1953년생으로, 상지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문학평론가, 시인, 번역가, 사회 운동가로 활동했고, 문학의 상업주의와 언론과의 유착 관계를 비판하며 사회적 발언과 저술 활동을 해왔다. - 상지대학교 교수 - 서영은 (소설가)
서영은은 1969년 등단하여 자아 갈등을 상징적으로 묘사하는 리얼리즘 소설가로 평가받으며, 이상문학상과 연암문학상을 수상했고 소설가 김동리와 결혼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강원대학교 교수 - 정문헌
정문헌은 대한민국 국회의원과 종로구청장을 역임한 정치인으로, 국회의원 시절 한나라당과 새누리당 소속으로 외교통일위원회 등에서 활동하며 북한 문제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보였고, 종로구청장 재직 기간에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주민 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을 추진했다. - 강원대학교 교수 - 남광우
남광우는 중세 한국어 어휘 및 한자음 연구와 고어사전 편찬에 기여하고 한자어 병행 교육을 강조한 대한민국의 국어학자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다.
함인섭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함인섭 |
원래 이름 | 咸仁燮 |
출생일 | 1907년 3월 6일 |
출생지 | 대한제국 충청남도 천안 |
사망일 | 1986년 9월 15일 |
사망지 | 대한민국 강원도 춘천 효자3동 17-1 춘천의료원 병실 (만성 폐렴) |
거주지 | 대한민국 서울 대한민국 충청남도 천안 대한민국 강원도 춘천 |
종교 | 개신교 (장로회) |
배우자 | 유순희(사별), 유명숙(재혼) |
자녀 | 함양호(장남), 함춘호(차남), 함선호(장녀), 함연호(차녀) |
부모 | 함병철(부), 진주 강씨 부인(모) |
형제 | 함의섭(남동생) |
친인척 | 함태영(친조부), 함병춘(이복 숙부), 함재봉(사촌 남동생), 함재학(사촌 남동생) |
학력 | |
학교 | 일본 도쿄 농업대학교 농업대학원 |
경력 | |
주요 경력 | 前 자유당 농과학행정특임촉탁위원 前 한국독립당 농림행정특보위원 前 강원대학교 명예교수 前 강원대학교 명예총장 前 연세대학교 석좌교수 前 상지대학교 초빙교수 |
정치 활동 | |
정당 | 무소속 |
직책 | |
직책 | 前 제6대 대한민국 농림부 장관 |
대통령 | 이승만 |
총리 | 장면 (대한민국 국무총리) 허정 (대한민국 국무총리 서리) 이윤영 (대한민국 국무총리 권한대행 서리) 장택상 (대한민국 국무총리) |
차관 | 원용석 (대한민국 농림부 차관) 정재설 (대한민국 농림부 차관) |
부통령 | 이시영 |
임기 | 1952년 3월 6일 ~ 1952년 8월 28일 |
2. 생애
함인섭은 1907년 5월 3일 충청남도 천안군에서 아버지 함병석과 어머니 진주 강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천안에서 태어나 잠시 강원도 춘천에서 유아기를 보낸 후, 1909년 한성부로 이주하여 성장하였다. 본래 이름은 함재인이었으나, 후에 함인섭으로 개명하였다. 아버지 함병석은 대한제국의 법관이자 일제강점기 장로교 목사였던 함태영의 장남이었다. 그러나 함인섭의 부모는 일찍 세상을 떠났다.
함인섭이 태어날 당시 할아버지 함태영은 대한제국의 판사였다. 함태영은 본처 밀양 손씨와의 사이에서 1889년에 장남 함병석을 얻었고, 함병석은 진주 강씨와 결혼하여 함인섭을 얻었다. 친할아버지인 함태영과는 나이 차이가 34살 밖에 나지 않아 제1공화국에서 함께 사회활동을 하였다.
1923년 중동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한 함인섭은 1924년 유기환의 딸 유순희와 결혼하여 6남매를 두었으나, 1949년 사별하였다. 1927년 중동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 동경농업학교에 입학하였다. 1933년 동경농업대학 농학부를 졸업하였다.
귀국 후 연희전문학교 촉탁직원을 거쳐 교수가 되었으며, 7년간 직접 농장을 운영하기도 했다. 일제 강점기 후반에는 황해도 황주군의 춘광원예학교와 경기도 자동농업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였다.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농림부 농업경제국 통계과장과 문교부 농업교육담당을 역임했으나 곧 사퇴하였다. 이후 강원도립대학 교수로 활동하면서 1948년 2월 1일 춘천농업대학(現 강원대학교) 학장 서리가 되었다. 춘천농업대학 부설로 농업토목기술원 양성소를 설립했으나, 운영 여건이 좋지 않아 1949년 폐소하였다.
1948년 8월 춘천농업대학 학장서리가 되었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문교부 국가고등고시 전형위원으로 위촉되었다. 1949년 8월 30일 춘천농업대학 초대 학장이 되었다. 할아버지 함태영과 이승만의 인연으로 법무장관 물망에 오르기도 했으나 성사되지 않았다. 1950년 4월 16일 중앙선거위원회 선거위원에 위촉되었다.[1]
1952년 3월 6일 제6대 농림부 장관이 되어 토지개혁 당시 농지보상금 문제와 토지 관련 분쟁을 해결하였다. 그러나 1952년 8월 28일 중석불 사건으로 사임[2]하였는데, 일각에서는 그를 중석불 사건의 피해자로 보기도 한다.[3] 1956년 9월 12일 UN가입추진위원회 전원위원회 강원도지부 부위원장[4]이 되었다. 1957년 춘천농과대학 학장과 문교부 중앙교육위원회 위원을 겸임하였으며, 1960년까지 고등고시 전형위원으로도 활동하였다.
1962년 3월 27일 일본 도쿄 농업대학교 농업대학원에서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같은 해 8월 11일 다시 춘천농과대학 학장이 되었고, 1967년부터 1972년까지 농과대학원 원장을 겸직했다. 1968년 강원도교육위원회 교육위원[5]에 위촉되었고, 춘천농과대학 학장에 재선임되었다. 강원대학 학장으로 재직하며 교내 학술림 조성에 기여하였다.
1964년 할아버지 함태영이 사망했을 때 국민장이 거행되었는데, 함인섭이 상주 노릇을 하였다. 1970년 춘천농과대학이 강원대학으로 바뀌면서 강원대학 학장이 되었다. 1972년 강원대학 학장에 재선임되고, 같은 해 정년 퇴임하였다. 이후 학교법인 상임이사, 강원대학교 명예 교수, 중동학교 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농학 연구 활동으로는 콩을 전문적으로 연구하였다.
독실한 기독교 장로였던 함인섭은 1970년 국민훈장 동백장, 1972년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상하였다. 재산을 마련하지 못해 자기 집이 없었으나, 제자들과 교직원들이 기금을 마련하여 집을 마련해 주었다. 1986년 9월 15일 강원도 춘천시 춘천의료원에서 별세하였다.
2. 1. 초기 활동
1907년 5월 3일 충청남도 천안군에서 함병석과 진주 강씨 강리백가(姜利百加)의 아들로 태어났다. 충청남도 천안에서 출생하여 한때 강원도 춘천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냈으며 만 2세 시절이던 1909년 한성부에 이주하여 그 후 한성부에서 성장하였다. 처음 이름은 '''함재인'''이었으나 뒤에 '''함인섭'''으로 고쳤다. 아버지 함병석은 대한제국 시대의 법관이자 일제강점기 장로교 목사였던 함태영의 본처 밀양 손씨 소생 아들이었다. 그러나 함인섭의 부모는 일찍 사망하였다. 형제로는 남동생 함의섭이 있었다.함인섭이 태어날 당시 할아버지 함태영은 대한제국의 판사였다. 함태영은 본처 밀양손씨와의 사이에서 1889년에 장남 함병석을 얻었고, 함병석은 1년 연하인 강성흠(姜星欽)의 딸 진주강씨와 결혼하여 함인섭을 얻었다. 친할아버지인 함태영과는 나이 차이가 34살 밖에 나지 않아 제1공화국에서 함께 사회활동을 하였다.
천안 출신인 함인섭은 경성으로 올라와 1923년 중동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다. 중동고보 재학 중인 1924년 3월 26일 유기환(柳基桓)의 딸 유순희(柳順嬉)와 결혼하였으며, 슬하에 6남매를 두고 1949년 사별하였다. 1927년 중동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해 일본으로 유학, 동경농업학교에 입학하였다. 1930년 3월 동경농업대학 예과를 수료하고 동경농대 본과 농학부에 입학, 1933년 3월 24일 동경농업대학 농학부를 졸업하였다.
2. 2. 교육 활동
귀국 후 연희전문학교 촉탁직원이 되었다가 연희전문학교 교수가 되었다. 그는 동시에 7년간 직접 농장을 운영하였다.일제 강점기 후반 황해도 황주군 춘광원예학교(6년제, 소학교 과정) 교사와 경기도 자동농업학교 교사로 교단에 섰다.
2. 3. 정부 수립 이후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농림부 농업경제국 통계과장이 되고 이어 문교부 농업교육담당이 되었으나 곧 사퇴했다. 이후 춘천 강원도립대학 교수로 활동하면서 농대 설립을 추진하다가 1948년 2월 1일 춘천농업대학(現 강원대학교) 학장 서리가 되었다.1948년 2월 1일 춘천농업대학을 설립하면서 농업토목기술원 양성소를 부설로 설립하였다. 그러나 춘천농대 부설 토목기술원양성소는 1948년 10월 30일 1기 수료생을 배출하였으나, 운영 여건이 여의치 않아 1949년 5월 5일 2기생을 배출하고 폐소하게 되었다.
1948년 8월 춘천농업대학(現 강원대학교)을 설립하고, 춘천농업대학 학장서리가 되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그는 문교부 국가고등고시 전형위원의 한 사람으로 위촉되었다. 1949년 8월 30일 춘천농업대학 초대 학장이 되었다. 건국 이후 그의 할아버지 함태영이 조선 말 독립협회사건과 만민공동회 사건으로 수감된 이승만에게 관대한 판결을 내려 그 인연으로, 내각 법무장관 물망에 오르기도 했다. 그러나 성사되지 않고 할아버지 함태영은 심계원장과 제3대 부통령을 지냈다. 전쟁이 발생하자 그의 동생 함의섭이 일가족을 이끌고 부산으로 피신하였다.
1950년 4월 16일 중앙선거위원회 선거위원에 위촉되었다.[1]
1952년 3월 6일 제6대 농림부 장관이 되었다. 농림부 장관이 되자 그는 정부 수립 직후에 시행한 토지개혁 당시 농지보상금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고, 8·15 광복 직후에 발생한 토지관련 분쟁과 토지보상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러나 1952년 8월 28일, 1952년의 중석불 사건으로 인책 사임[2]하였다. 그는 중석불 사건의 피해자라는 시각도 있다.[3] 그밖에 그는 강원도 노동위원회 공익위원, 강원도 교육위원 등으로도 위촉되었다. 1956년 9월 12일 UN가입추진위원회 전원위원회 강원도지부 부위원장[4]이 되었다. 1957년 4월 20일 춘천농과대학 학장이 되고 1957년 5월 12일부터 1960년 7월 7일까지 문교부 중앙교육위원회 위원을 겸임하였다. 그는 또 1960년 7월 5일까지 고등고시 전형위원에도 위촉되었다.
1962년 3월 27일 일본 도쿄 농업대학교 농업대학원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2년 8월 11일 다시 춘천농과대학 학장이 되었다. 1967년 12월 29일부터 1972년까지 농대 학장으로 농과대학원 원장도 겸직했다. 1968년 1월 1일 강원도교육위원회 교육위원에 위촉되었다.[5] 1968년 1월 1일부터 다시 춘천농과대학 학장에 재선임되었다. 강원대학의 학장으로 있으면서 그는 교내에 학술림을 조성하는데도 기여하였다.
1964년 할아버지 함태영이 사망했을 때 국민장이 거행되었는데, 그는 일찍 죽은 아버지와 삼촌들, 그밖에 나이 어린 이복 삼촌들을 대신해서 그가 상주 노릇을 하였다.
2. 4. 생애 후반
1948년 8월 춘천농업대학(現 강원대학교) 학장서리가 되었다.[1]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문교부 국가고등고시 전형위원으로 위촉되었다. 1949년 8월 30일 춘천농업대학 초대 학장이 되었다.[1] 건국 이후 그의 할아버지 함태영이 조선 말 독립협회사건과 만민공동회 사건으로 수감된 이승만에게 관대한 판결을 내려 그 인연으로, 내각 법무장관 물망에 오르기도 했다. 그러나 성사되지 않고 할아버지 함태영은 심계원장과 제3대 부통령을 지냈다. 전쟁이 발생하자 그의 동생 함의섭이 일가족을 이끌고 부산으로 피신하였다.1950년 4월 16일 중앙선거위원회 선거위원에 위촉되었다.[1]
1952년 3월 6일 제6대 농림부 장관이 되었다.[1] 농림부 장관으로서 정부 수립 직후 시행한 토지개혁 당시 농지보상금 문제를 해결하고, 8·15 광복 직후 발생한 토지관련 분쟁과 토지보상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러나 1952년 8월 28일, 1952년의 중석불 사건으로 인책 사임[2]하였다. 그는 중석불 사건의 피해자라는 시각도 있다.[3] 그밖에 강원도 노동위원회 공익위원, 강원도 교육위원 등으로도 위촉되었다. 1956년 9월 12일 UN가입추진위원회 전원위원회 강원도지부 부위원장[4]이 되었다. 1957년 4월 20일 춘천농과대학 학장이 되고,[1] 1957년 5월 12일부터 1960년 7월 7일까지 문교부 중앙교육위원회 위원을 겸임하였다. 1960년 7월 5일까지 고등고시 전형위원에도 위촉되었다.
1962년 3월 27일 일본 도쿄 농업대학교 농업대학원에서 농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2년 8월 11일 다시 춘천농과대학 학장이 되었다.[1] 1967년 12월 29일부터 1972년까지 농대 학장으로 농과대학원 원장도 겸직했다. 1968년 1월 1일 강원도교육위원회 교육위원에 위촉되었다.[5] 1968년 1월 1일부터 다시 춘천농과대학 학장에 재선임되었다. 강원대학 학장으로 있으면서 교내에 학술림을 조성하는데 기여하였다.
1964년 할아버지 함태영이 사망했을 때 국민장이 거행되었는데, 그는 일찍 죽은 아버지와 삼촌들, 그밖에 나이 어린 이복 삼촌들을 대신해서 상주 노릇을 하였다. 1970년 3월 3일 춘천농과대학이 강원대학으로 바뀌면서 강원대학 학장이 되었다. 1972년 1월 1일부터 강원대학 학장에 재선임되고, 1972년 8월 31일 정년 퇴임하였다. 이후 학교법인 상임이사, 강원대학교 명예 교수, 중동학교 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그밖에 농학 학문연구 활동으로는 주로 콩(豆)을 전문적으로 연구하였다.
독실한 신앙인이었던 그는 기독교 장로로도 활약하였다. 1970년 국민훈장 동백장을 받고 1972년에는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상하였다. 그는 재산을 마련하지 못해 자기 집이 없었고, 일부 제자들과 교직원들이 기금을 마련해서 그의 집을 마련해 주었다. 1986년 9월 15일 오전 10시 강원도 춘천시 춘천의료원에서 병으로 사망하였다.
3. 학력
학력 |
---|
1927년 경성중앙고등보통학교 졸업 |
1930년 동경농업대학 예과 |
1933년 동경농업대학 농학부 졸업 |
동경농업대학 대학원 |
1933년 동경농업대학 농학 학사 |
동경농업대학 농학석사 |
동경농업대학 농학박사 |
4. 경력
- 연희전문학교 촉탁직원 및 교수
- 농장 7년 직접 경영
- 황해도 황주군 춘광원예학교 교사
- 경기도 자동농업학교 교사
- 1945년 9월 미 군정청 농산국 직원
- 1946년 미 군정청 농림부 고문
- 1946년 춘천공립농업중학교 교장
-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농림부 농업경제국 통계과장
- 문교부 농업교육담당관
- 춘천 강원도립대학 교수
- 1948년 2월 1일 춘천농업대학(現 강원대학교) 학장 서리
- 1949년 8월 30일 춘천농업대학 초대 학장
- 1950년 4월 16일 중앙선거위원회 선거위원[1]
- 1952년 3월 6일 ~ 1952년 8월 28일 제6대 농림부 장관[2]
- 1956년 9월 12일 UN가입추진위원회 전원위원회 강원도지부 부위원장[4]
- 1957년 4월 20일 ~ 1960년 7월 7일 춘천농과대학 학장, 문교부 중앙교육위원회 위원 겸임
- 1962년 8월 11일 ~ 1972년 8월 31일 춘천농과대학 학장 (1967년 12월 29일부터 1972년까지 농과대학원 원장 겸직)
- 1968년 1월 1일 강원도교육위원회 교육위원[5]
- 1970년 3월 3일 강원대학 학장
- 1972년 8월 31일 정년 퇴임
- 학교법인 상임이사, 강원대학교 명예 교수, 중동학교 재단 이사장
5. 상훈
6.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일 | 사망일 | 비고 |
---|---|---|---|---|
할아버지 | 함태영 | 1873년 10월 22일 | 1964년 10월 24일 | |
친할머니 | 밀양 손씨 | 1871년 4월 7일 | 1904년 2월 1일 | |
숙부 | 함병승(咸秉昇) | 1896년 8월 23일 | ? | |
숙모 | 양천 허씨 | 1897년 2월 20일 | ? | 허정정(許鼎丁)의 딸 |
사촌 동생 | 함재원 | |||
숙부 | 함병목(咸秉睦) | |||
계조모 | 고숙원(高淑媛) | 1887년 11월 21일 | 1943년 | 고군보(高君甫)의 딸 |
이복 삼촌 | 함병춘 | 1932년 2월 26일 | 1983년 10월 9일 | 대통령 비서실장, 대통령 외교담당 특보 |
이복 숙모 | 심효식 | 1928년 | 화가, [6] | |
사촌 | 함재봉 |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 겸 원장 | ||
사촌 | 함재학 |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 ||
아버지 | 함병철(咸秉哲) | 1889년 8월 4일 | 1947년 2월 28일 | 아명 함병석(咸秉奭) |
어머니 | 강이백가(姜利百加) | 1890년 2월 10일 | ? | 강성흠(姜星欽, 아명 강종근(姜種謹))의 딸 |
동생 | 함의섭(咸義燮) | 1910년 4월 1일 | 1995년 | 아명 함재의(咸在義) |
제수 | 이차례(李次禮) | 1912년 1월 4일 | ? | |
부인 | 유순희(柳順嬉) | 1907년 12월 16일 | 1949년 1월 23일 | 문화 유씨 문중 유기환(柳基桓)의 딸 |
아들 | 함양호(咸陽鎬) | 1931년 | ||
며느리 | 홍숙희(洪淑熙) | 1934년 | ||
손자 | 함영덕 | |||
아들 | 함춘호(咸春鎬) | 1934년 | 1994년 | |
며느리 | 김정자(金貞子) | 1940년 | 김성현(金成炫)의 딸 | |
첫째 딸 | 이름 미상 | |||
첫째 사위 | 김두하(金斗夏) | |||
둘째 딸 | 이름 미상 | |||
둘째 사위 | 장작용(張作鏞) | |||
셋째 딸 | 함선호(咸仙鎬) | |||
셋째 사위 | 이광서(李光緒) | |||
다섯째 딸 | 함연호(咸蓮鎬) | |||
다섯째 사위 | 이호재(李昊宰) | |||
부인 | 유명숙(兪明淑) | 1917년 5월 8일 | ? | 기계 유씨 문중 유권(兪權)의 딸 |
7. 기타
함인섭의 다섯 딸 중 네 명은 증조부 함태영 생전에 결혼했다. 함태영의 부고 공고장에 증손녀 사위 네 명의 이름도 함께 올라갔다.[6]
함인섭의 손자 함영덕 역시 함태영 생전에 태어났는데, 함태영에게는 4대손이 된다.
함인섭의 가족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 | 이름 | 출생일 | 사망일 | 비고 |
---|---|---|---|---|
할아버지 | 함태영 | 1873년 10월 22일 | 1964년 10월 24일 | |
친할머니 | 밀양 손씨 | 1871년 4월 7일 | 1904년 2월 1일 | |
숙부 | 함병승(咸秉昇) | 1896년 8월 23일 | ? | |
숙모 | 양천 허씨 | 1897년 2월 20일 | ? | 허정정(許鼎丁)의 딸 |
사촌 동생 | 함재원(咸在元) | |||
숙부 | 함병목(咸秉睦) | |||
계조모 | 고숙원(高淑媛) | 1887년 11월 21일 | 1943년 | 고군보(高君甫)의 딸 |
이복 삼촌 | 함병춘 | 1932년 2월 26일 | 1983년 10월 9일 | 대통령 비서실장, 대통령 외교담당 특보 |
이복 숙모 | 심효식(沈孝植) | 1928년 | 화가[6] | |
사촌 | 함재봉 |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 겸 원장 | ||
사촌 | 함재학 |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 | ||
아버지 | 함병철(咸秉哲) | 1889년 8월 4일 | 1947년 2월 28일 | 아명 함병석(咸秉奭) |
어머니 | 강이백가(姜利百加) | 1890년 2월 10일 | ? | 강성흠(姜星欽, 아명 강종근(姜種謹))의 딸 |
동생 | 함의섭(咸義燮) | 1910년 4월 1일 | 1995년 | 아명 함재의(咸在義) |
제수 | 이차례(李次禮) | 1912년 1월 4일 | ? | |
부인 | 유순희(柳順嬉) | 1907년 12월 16일 | 1949년 1월 23일 | 문화 유씨, 유기환(柳基桓)의 딸 |
아들 | 함양호(咸陽鎬) | 1931년 | ||
며느리 | 홍숙희(洪淑熙) | 1934년 | ||
손자 | 함영덕 | |||
아들 | 함춘호(咸春鎬) | 1934년 | 1994년 | |
며느리 | 김정자(金貞子) | 1940년 | 김성현(金成炫)의 딸 | |
첫째 딸 | 이름 미상 | |||
첫째 사위 | 김두하(金斗夏) | |||
둘째 딸 | 이름 미상 | |||
둘째 사위 | 장작용(張作鏞) | |||
셋째 딸 | 함선호(咸仙鎬) | |||
셋째 사위 | 이광서(李光緒) | |||
다섯째 딸 | 함연호(咸蓮鎬) | |||
다섯째 사위 | 이호재(李昊宰) | |||
부인 | 유명숙(兪明淑) | 1917년 5월 8일 | ? | 기계 유씨, 유권(兪權)의 딸 |
참조
[1]
뉴스
http://newslibrary.n[...]
1950-04-16
[2]
뉴스
http://newslibrary.n[...]
1952-10-20
[3]
뉴스
http://newslibrary.n[...]
1995-03-22
[4]
뉴스
http://newslibrary.n[...]
1956-09-12
[5]
뉴스
http://newslibrary.n[...]
1968-01-06
[6]
뉴스
한국의 보배 함병춘… 강단 그리워한 진정한 공복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03-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