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병세는 1976년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외교관으로 활동했으며,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외교부 장관을 역임했다. 외교관으로 시드니, 뉴욕, 유엔 등에서 근무했으며, 노무현 정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 정책조정실장과 외교통상부 차관보를 지냈다. 박근혜 정부에서는 외교부 장관으로 4년 3개월간 재임하며 최장수 장관 기록을 세웠다. 퇴임 후 서울국제법연구원 이사장 등을 맡고 있으며, 시카고 세계 문제 협의회 등 국제 포럼에 참여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법학과 졸업 후 존스홉킨스 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서강대학교 국제대학원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대일 외교 정책에서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으며, 다양한 외교 활동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외교부 장관 - 강경화
강경화는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KBS 영어방송 PD, 세종대학교 영문학과 조교수를 거쳐 외교통상부 장관 보좌관, UN 고위직을 역임하고 문재인 정부의 초대 외교부 장관을 지낸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외교부 장관이자 UN 최고위직에 오른 한국인 여성이다. - 대한민국의 외교부 장관 - 정의용
정의용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정치인으로, 외교부에서 다양한 직책을 역임하고 국회의원과 문재인 정부의 국가안보실장 및 외교부 장관을 지냈으며,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 개최에 기여했으나 북한 선원 강제 북송 사건으로 기소되었다. - 박근혜 정부의 국무위원 - 조윤선
조윤선은 대한민국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박근혜 정부에서 여성가족부 장관,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역임하고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건에 연루되었으며, 김앤장 변호사, 한나라당 대변인, 제18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박근혜 정부의 국무위원 - 황교안
황교안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변호사로, 검사 시절 공안 사건 담당, 법무부 장관 및 국무총리 역임, 대통령 권한대행 수행, 자유한국당 대표를 지냈으며, 보수 진영의 대표적 인물이자 여러 논란의 중심에 있다. - 존스 홉킨스 대학교 동문 - 에드윈 홀
에드윈 허버트 홀은 홀 효과를 발견하고 하버드 대학교 물리학 교수로 재직하며 물리학 교과서를 저술한 미국의 물리학자이다. - 존스 홉킨스 대학교 동문 - 주진형
주진형은 1959년생으로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경제 전문가, 정치인으로 활동하며, 세계은행 컨설턴트, 한화투자증권 대표이사 등을 역임하고 더불어민주당, 열린민주당에서 활동했다.
윤병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윤병세 |
로마자 표기 | Yun Byeongse |
한자 표기 | 尹炳世 |
출생일 | 1953년 8월 3일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국적 | 대한민국 |
배우자 | 정은영 |
자녀 | 1녀 |
정당 | 자유한국당 |
학력 | 경기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법학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존스 홉킨스 대학교 대학원 석사 |
직책 | |
직책 | 제35대 외교부 장관 |
임기 시작 | 2013년 3월 11일 |
임기 종료 | 2017년 6월 18일 |
전임 | 김성환 |
후임 | 강경화 |
대통령 | 박근혜 황교안(권한대행) 문재인 |
국무총리 | 정홍원 이완구 최경환(권한대행) 황교안 유일호(권한대행) 이낙연 |
2. 생애
Byung-se Yun영어은 1976년 제10회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1977년 외교부에 입부, 37년간 외교관으로 활동하였다. 참여정부 시절 외교통상부 차관보, 대통령비서실 통일외교안보정책수석비서관,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처 정책조정실장 등을 역임하면서 외교 안보 분야 핵심 보직에서 활동했다.[3] 2013년 박근혜 정부 출범과 함께 외교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2017년까지 재임하였으며, 이는 1981년 이후 최장수 외교부 장관 기록이다.[3]
장관 재임 기간 동안 북한, 한미동맹, 주변 4국 외교 뿐 아니라 한국 외교를 한반도와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외교로 지평을 확대하고 경제 통상 외교 강화와 재외국민 보호를 위해서도 많은 역할을 하였다. 퇴임 후에는 서울국제법연구원 이사장, 한반도 평화만들기 재단 이사, NEAR 글로벌 프로젝트 의장, 아스타나 전직 세계 지도자 회의 이사를 맡으며 한반도 평화와 국제 문제에 대한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법과 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교 국제문제 대학원(SAIS)에서 국제관계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2009년부터 2013년 초까지 서강대학교 국제대학원 초빙교수를 역임하였다.
다음은 윤병세의 주요 경력이다.
연도 | 내용 |
---|---|
1976년 | 외교관 시험 합격 |
1977년 | 대한민국 외교부 근무 |
1984년 | 시드니 총영사관 영사 |
1994년 | 대한민국 외교부 북미 1과장 |
1995년 | 싱가포르 대사관 공사참사관 |
1999년 | 대한민국 외교부 북미국 심의관 |
2000년 | 제네바 대표부 공사 |
2002년 | 주미 대사관 공사 |
2004년 | 대한민국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국 정책조정실장 (노무현 정부) |
2006년 | 외교통상부 차관보 (노무현 정부) |
2006년 | 대통령비서실 통일외교안보정책 특보 (노무현 정부) |
2009년 | 서강대학교 국제대학원 객원교수 |
2013년 | 외교부 장관 (2017년까지) (박근혜 정부) |
3. 학력
4. 경력
윤병세는 1976년 외무고시에 합격한 이래 37년간 외교부 차관보, 대한민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정책조정실장, 대통령 외교 통일 안보 수석비서관, 외교부 장관 등 외교 안보 분야의 핵심 보직을 두루 거쳤다. 냉전기와 탈냉전기의 한국 외교 안보 전략 수립과 다양한 주요 현안에 깊이 관여하였다.
1981년 이후 최장수 외교부 장관으로, 재임 기간 중 북한 및 한미동맹, 주변 4국 외교 뿐 아니라 한국 외교를 한반도와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외교로 지평을 확대하고 경제통상 외교 강화와 재외국민 보호를 위해서도 많은 역할을 하였다. 수많은 양자 및 다자 외교 협상에 한국측 수석대표로 참여하였으며, 유엔을 포함한 다자외교 분야에서도 폭넓은 활동을 하였다.
퇴임 이후 서울국제법연구원 이사장, 한반도 평화만들기 재단 이사, NEAR 글로벌 프로젝트 의장, 아스타나 전직 세계 지도자 회의 이사를 맡고 있다. 시카고 세계 문제 협의회 비확산 프로젝트를 포함하여 국제 평화 안보, 비확산, 지정학 리스크, 한미 동맹, 한일 관계, 한국 유럽 관계와 관련된 다양한 전직 외국 지도자 포럼과 프로젝트에 관여하고 있다.
중앙일보와 Korea Times의 고정 칼럼에 정례 기고하고 있으며 연례 CSIS-중앙 포럼 등 다양한 국제 포럼에 모더레이터와 연사로서 참여하고 있다.
다음은 윤병세의 주요 경력이다.
직책 | 기간 |
---|---|
제10회 외무고시 합격 | 1976년 11월 |
외무부 근무 | 1977년 |
주시드니 총영사관 영사 | 1984년 |
외무부 북미1과장 | 1994년 |
주싱가포르 대사관 공사참사관 | 1995년 |
외무부 북미국 심의관 | 1999년 7월 |
주제네바 대표부 공사 | 2000년 2월 |
주미국 대사관 공사 | 2002년 7월 |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정책조정실장 | 2004년 9월 |
외교통상부 차관보 | 2006년 1월 |
대통령비서실 통일외교안보정책수석비서관 | 2006년 12월 |
김앤장 법률사무소 고문 | 2009년 2월 ~ 2013년 3월 |
서강대학교 국제대학원 초빙교수 | 2009년 3월 ~ 2013년 초 |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외교국방통일분과 위원 | 2013년 1월 |
외교부 장관 | 2013년 3월 ~ 2017년 6월 |
서울대학교 총동창회 부회장 및 자문위원 | (현) |
한반도 평화만들기 재단 이사 | (현) |
Astana 전직 세계지도자회의 이사 | (현) |
NEAR 글로벌 프로젝트 의장 | 2023년 ~ (현) |
서울국제법연구원 이사장 | 2023년 10월 ~ (현) |
청와대재단 이사장 | 2024년 6월 ~ (현) |
4. 1. 외교관 경력 (1977-2006)
윤병세는 1976년 11월 제10회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1977년 외무부에서 근무를 시작했다.[3] 1984년 주시드니 총영사관 영사를 거쳐, 1994년 외무부 북미1과장을 역임했다.[3] 1995년에는 주싱가포르 대사관 공사참사관으로 근무했다.[3] 1999년 7월 외무부 북미국 심의관을 거쳐, 2000년 2월 주제네바 대표부 공사, 2002년 7월 주미국 대사관 공사로 근무했다.[3]4. 2. 참여정부 시절 (2004-2008)
2004년 대한민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 정책조정실장을 지냈다. 2006년에는 외교통상부 차관보와 대통령비서실 통일외교안보정책수석비서관을 역임하였다.4. 3. 학계 및 법조계 활동 (2009-2013)
2009년 2월부터 2013년 3월까지 김앤장 법률사무소 고문을, 2009년 3월부터 2013년 초까지 서강대학교 국제대학원 초빙교수를 역임했다.[1]4. 4. 외교부 장관 (2013-2017)
2013년 1월,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외교국방통일분과 위원을 맡았다.[3] 2013년 3월부터 2017년 6월까지 대한민국 외교부 장관을 역임하였으며, 1981년 이후 최장수 외교부 장관이다. 외교부 장관 재임 기간 중 북한 및 한미동맹, 주변 4국 외교 뿐 아니라 한국 외교를 한반도와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외교로 지평을 확대하고 경제통상 외교 강화와 재외국민 보호를 위해서도 많은 역할을 하였다.2015년에는 이란을 방문하여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외무장관 및 대통령과 회담을 가졌다.[4]
4. 5. 퇴임 이후 (2017-현재)
윤병세는 2017년 6월 외교부 장관 퇴임 이후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총동창회 부회장 및 자문위원을 맡고 있으며, 한반도 평화만들기 재단 이사, Astana 전직 세계지도자회의 이사로도 활동 중이다.[1] 2023년부터는 NEAR 글로벌 프로젝트 의장을 맡고 있으며,[1] 같은 해 10월부터 서울국제법연구원 이사장을 역임하고 있다.[1] 2024년 6월에는 청와대재단 이사장에 취임하였다.[1]직책 | 기간 |
---|---|
서울대학교 총동창회 부회장 및 자문위원 | - |
한반도 평화만들기 재단 이사 | - |
Astana 전직 세계지도자회의 이사 | - |
NEAR 글로벌 프로젝트 의장 | 2023년 ~ 현재 |
서울국제법연구원 이사장 | 2023년 10월 ~ 현재 |
청와대재단 이사장 | 2024년 6월 ~ 현재 |
5. 외교 정책
2013년 3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총 4년 3개월간 대한민국 외교부 장관을 역임하였으며, 1981년 이후 최장수 외교부 장관이다. 1976년 외무고시에 합격한 이래 37년간 외교부 차관보, 청와대 국가안보회의(NSC) 정책조정실장과 대통령 외교 통일 안보 수석비서관, 외교부 장관 등 외교 안보 분야 핵심 보직을 두루 거쳤다. 냉전기와 탈냉전기의 우리 외교 안보 전략 수립과 다양한 주요 현안에 깊이 관여하였다.
외교부 장관 재임 기간 중 북한 및 한미동맹, 주변 4국 외교 뿐 아니라 우리 외교를 한반도와 아시아를 넘어 글로벌 외교로 지평을 확대하고, 경제통상 외교 강화와 재외국민 보호를 위해서도 많은 역할을 하였다.
수많은 양자 및 다자 외교 협상에 한국측 수석대표로 참여했으며, 유엔을 포함한 다자외교 분야에서도 폭넓은 활동을 하였다.
5. 1. 대일 정책
2013년 4월 22일, 아베 신조 총리가 야스쿠니 신사에 공물을 봉납하는 등의 행위를 하자 일본 방문을 취소했다. 윤병세는 대일 강경파로 평가받는다.[5]2014년 1월, 한국 외교부 장관으로서는 처음으로 위안부 피해자 쉼터인 나눔의 집을 방문했다.[6] 그는 "정확한 역사 인식이 구체적인 행동으로 나타나야 한다", "일본 국민들이 더 노력해야 한다"고 언급하며, 한일 역사 문제에서 일본 정부의 행동을 촉구했다.[7]
중앙일보는 윤병세의 대일 강경 일변도 외교 태도를 "편식 외교"라고 비판했다. 외무장관 취임 후 주한 일본 대사를 한 번도 만나지 않았고, 방한한 외무심의관인 사이키 아키타카에게 무례한 행동을 한 점을 들어 "강경 자세에서는 대통령보다 더 나간다"고 지적했다.[8]
2015년 12월 28일,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과 위안부 문제에 대해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으로 해결"하는 위안부 문제 한일 합의를 맺었다.[10]
5. 2. 기타 외교 활동
AP통신(미국)이 2017년 2월 16일(현지시간) G20 외교장관 회의 참석 당시, 윤병세 장관의 사진을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으로 잘못 게재하는 사건이 발생했다.[11]6. 수상
연도 | 내용 |
---|---|
1992년 | 근정포장 |
2007년 | 황조근정훈장 |
참조
[1]
뉴스
Japan considering 'comfort women' fund after decades-long dispute with South Korea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5-12-26
[2]
웹사이트
fji.mofat.go.kr/webm[...]
[3]
웹사이트
Yun Byung-Se
https://www.weforum.[...]
[4]
뉴스
(LEAD) FM Yun meets Rouhani, Zarif in Iran
https://en.yna.co.kr[...]
2015-11-08
[5]
뉴스
韓国外相、安倍首相の靖国奉納受け訪日中止=聯合ニュース
https://jp.reuters.c[...]
2022-03-29
[6]
뉴스
日常溶け込む反日 「ナヌムの家」憎悪あおる日韓左派の展示=産経新聞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14-06-22
[7]
웹사이트
歴史問題「正しい認識、具体的行動で示して」 日本政府に韓国外相
http://sankei.jp.msn[...]
2022-03-30
[8]
뉴스
【コラム】尹炳世の対日外交、このままではダメだ=韓国
https://japanese.joi[...]
2014-06-20
[9]
뉴스
韓国大統領の「レームダック化」が止まらない
https://toyokeizai.n[...]
2015-05-24
[10]
뉴스
日韓慰安婦問題合意:外相会談「最終かつ不可逆的に」解決
https://mainichi.jp/[...]
2015-12-29
[11]
웹사이트
岸田文雄外相、ドイツで韓国外相に間違えられる APが写真誤配信 外務省関係者「髪形違うのに…」と絶句
https://www.iza.ne.j[...]
2017-0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