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철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철환은 1968년 평양에서 태어난 탈북자이자 북한 인권 운동가이다. 재일 한국인 출신 조부모를 둔 그는 9세에 할아버지의 '민족반역죄' 연루로 가족과 함께 요덕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10년간의 수용소 생활 후 탈북하여 1992년 대한민국에 입국, 한양대학교 졸업 후 한국전력공사에서 근무했다. 현재는 조선일보사 통한문제연구소 기자와 정치범 수용소 해체운동본부 공동대표로 활동하며,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저서로는 『평양의 어항』 등이 있으며,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과의 면담을 갖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운동가 - 박연미
    박연미는 북한이탈주민 출신으로 미국에서 북한 인권 운동가로 활동하며,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국제 사회의 관심을 촉구하는 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그녀의 증언과 주장에 과장 및 허위 의혹이 제기되며 논란이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권 운동가 - 박상학
    박상학은 북송 교포 출신 부모에게서 태어난 탈북민 출신 대한민국의 시민운동가로, 대북전단 살포 활동을 주도하며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관심을 촉구해왔으나, 접경지역 주민 안전 위협, 남북 관계 악화, 자금 출처 논란 등 여러 논란에 휩싸인 인물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적 억압 - 신숙자
    간호사 출신 신숙자는 독일에서 결혼 후 가족과 함께 북한으로 이주했으나, 강제 노역과 남편의 탈북 후 수용소에 수감되었고, '통영의 딸' 송환 운동에도 불구하고 사망하여 북한 인권 유린의 상징이 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적 억압 - 국가의 적
    국가의 적은 국가나 정권에 의해 존립이나 안전을 위협하는 존재로 규정된 개인이나 집단을 지칭하며, 정치적 숙청, 사회적 배제, 합법적 폭력의 근거로 악용되거나 문학 및 영상 작품의 소재로 등장하기도 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감자 - 문선명
    문선명은 통일교를 창설하고 원리강론을 통해 사상을 체계화했으며 국제 합동 축복 결혼식을 주재했으나, 메시아 주장과 교리로 비판받았고 다양한 논란에 휩싸인 인물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감자 - 오토 웜비어
    오토 웜비어는 2016년 1월 북한 여행 중 선전물 절도 혐의로 체포되어 15년 노동교화형을 선고받고, 17개월 만에 혼수상태로 석방되어 미국으로 돌아왔으나 6일 만에 사망한 미국의 대학생으로, 그의 사망은 국제적 논란을 일으켜 미국이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하고 대북 제재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강철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강철환
한글강철환
한자姜哲煥
로마자 표기Gang Cheolhwan
출생일1968년 9월 18일
출생지평양직할시
2014년의 강철환
2014년
학력 및 경력
학력한양대학교
직업언론인, 인권운동가, 작가
활동 기간1992년 ~
수상
수상민주주의상 (미국 정부 - 미국 민주주의 기금)

2. 생애

1968년 9월 18일 평양에서 태어났다. 재일 한국인 출신인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1961년 재일조선인 북송사업으로 북한에 들어갔다. 가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도 엘리트 계층만 살 수 있는 평양에서 유복하게 생활했다. 그러나 1977년 할아버지가 '민족반역죄'로 국가안전보위부에 끌려간 후 온 가족이 정치범 수용소에 수감되었다.[1]

10년간의 수감 생활 후 1987년 2월 출소했지만, 남한 방송 청취와 김정일 비난 발언으로 재수감 위기에 처하자 친구 안혁[13]과 탈북을 결심, 압록강을 건너 중국으로 탈출했다. 1992년 8월 대한민국에 입국[4], 한양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전력공사에서 근무했다. 이후 조선일보 기자, 정치범 수용소 해체운동본부 공동대표로 활동하며 북한 인권 운동을 펼치고 있다.

2005년 6월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과 강철환


2008년 강철환


저서 ''평양의 어항'' 출간 후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 잭 스트로 영국 외무장관과 면담[6]하는 등 국제적인 활동도 전개했다. 2003년에는 안혁, 이순옥과 함께 전미 민주주의 기금으로부터 민주주의상을 받았다.[10]

2. 1. 유년 시절과 수감

1968년 9월 18일 평양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재일 한국인으로 교토시 출신이며, 할아버지는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교토지부 상공회 회장직을 지냈었다. 그의 가족은 1961년 재일조선인 북송사업으로 귀국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엘리트 계층만 생활할 수 있는 평양에서 할아버지, 할머니, 여동생과 함께 유복하게 생활하였다. 그러나 1977년 8월, 9세 때 할아버지가 '민족반역죄'로 국가안전보위부에 끌려간 후 온 가족이 함경남도 요덕군에 위치한 정치범 수용소에 수감됐다.[1]

수용소에서의 삶은 매우 가혹했다. 굶주림과 혹독한 환경으로 인해 사망하는 일이 흔했으며, 정기적인 구타와 기타 처벌이 있었다. 교육은 거의 김일성의 어록과 연설을 암기하는 것으로 이루어졌고, 15세에 교육이 중단된 후에는 고되고 위험한 노동에 투입되었으며, 공개 처형을 지켜보도록 강요받았다.[1] 그는 수용소에 대해 "그것은 고된 노동의 삶이었고, 새로 수감된 사람들의 30%가 죽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영양실조에 시달려 살아남기 위해 쥐와 지렁이를 먹었습니다."라고 말했다.

김정일의 지시에 따라 일본에 친척이 있는 수감자는 10년 후에 석방되어야 했다. 1980년대 중반 북한은 외화 송금에 크게 의존했는데, 많은 재일 한국인들이 북한으로 송금을 보냈다. 이러한 사람들은 북한에 친척들이 수감되는 것에 반대했고, 대량 수감 사태로 인해 일본에서 북한으로 보내는 송금액이 줄어들었다. 이러한 이유로 강철환은 10년 형을 마치고 1987년 2월 출소할 수 있었다. 수용소를 나온 후 요덕 마을에서 살다가 평양 근처 평성으로 이사하여 국가과학연구원에서 일하는 삼촌과 함께 살았다.

2. 2. 석방과 탈북

1977년 할아버지가 '민족반역죄'로 국가안전보위부에 끌려간 후 온 가족이 함경남도 요덕군에 위치한 정치범 수용소에 수감되었다.[13] 그곳에서 10년 간의 수감생활 끝에 1987년 2월 출소하였다. 요덕군에 거주하던 중, 남한방송을 청취하고 김정일을 비난하는 발언으로 국가안전보위부에 재수감될 위기에 처하자 친구 안혁과 함께 탈북을 결심, 압록강을 건너 중국으로 탈출했다.[4] 1992년 8월 대한민국에 입국했다.[4]

2. 3. 대한민국에서의 활동

1992년 대한민국에 입국하여 한양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전력공사에 근무했다. 이후 조선일보사 통한문제연구소 기자와 정치범 수용소 해체운동본부 공동대표로 북한 인권운동가로 활동하고 있다.[4] 평양의 어항을 출간한 후, 미국 대통령 조지 W. 부시[5]와 영국 외무장관 잭 스트로를 만났다.[6] 북한 인권에 대해 여러 단체와 대화를 나누었으며[7][8], 일본을 방문하여 납북자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9] 2003년 7월, 안혁, 이순옥과 함께 미국 전미 민주주의 기금으로부터 민주주의상을 받았다.[10]

탈북 이후 가족들과 연락하지 못하고 있으며, 2011년에는 여동생 미호와 11살 된 아들이 탈북에 대한 보복으로 요덕 수용소에 다시 수감된 것으로 추정되었다.[11]

2. 4. 국제 활동

강철환은 저서 ''평양의 어항''을 출간한 후, 미국 대통령 조지 W. 부시[5]와 영국 외무장관 잭 스트로를 만났다.[6] 그는 북한 인권에 대해 여러 단체와 대화를 나누었으며[7][8], 일본을 방문하여 납북자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9] 2003년 7월, 안혁, 개천 수용소에 수감되었던 이순옥과 함께 미국 전미 민주주의 기금으로부터 민주주의상을 받았다.[10]

3. 비판 및 논란

(강철환의 비판 및 논란에 대한 내용은 현재 제공된 소스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해당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1. 요덕 수용소 경험의 진위 여부

강철환의 자서전에는 북한 감옥에서의 잔혹한 삶이 묘사되어 있다. 굶주림이나 혹독한 환경에 노출되어 사망하는 일이 흔했으며, 정기적인 구타와 기타 처벌이 있었다. 그의 교육은 거의 전적으로 김일성의 어록과 연설을 암기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15세에 교육이 중단되었고, 그는 고되고 위험한 노동에 투입되었으며, 공개 처형을 지켜보도록 강요받았다. 그는 수용소에 대해 "그것은 고된 노동의 삶이었고, 새로 수감된 사람들의 30%가 죽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영양실조에 시달려 살아남기 위해 쥐와 지렁이를 먹었습니다."라고 말했다.[1]

김정일의 지시에 따라 일본에 친척이 있는 수감자는 10년 후에 석방되어야 했다. 1980년대 중반 북한은 외화 송금에 크게 의존했는데, 많은 재일 한국인 또는 일본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이 북한으로 송금을 보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람들은 북한에 친척들이 수감되는 것에 반대했고, 대량 수감 사태로 인해 일본에서 북한으로 보내는 송금액이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강철환은 10년 형을 마치고 석방될 수 있었다.[1] 수용소를 나온 후 그는 요덕 마을에서 살도록 보내졌다. 그는 평양으로 완전히 돌아갈 수는 없었지만, 평양 근처 평성으로 이사하여 그 도시의 국가과학연구원에서 일하고 있는 삼촌과 함께 살게 되었다.[1]

4. 저서


  • 대왕의 제전한국어
  • Aquariums of Pyongyang영어 (평양의 어항)[1]
  • 평양 수족관한국어[2]
  • 수용소의 노래한국어[3]
  • 평양의 수족관프랑스어 (피에르 리굴로(Pierre Rigoulot)와 공동 출판)[4]
  • 평양의 수조 북한 지옥의 강제 수용소일본어 (蓮池薫|연홍일본어 번역, 포플러사) [5]
  • 북한 탈출일본어 (안혁과 공동 출판) 상・하 (池田菊敏|이케다 키쿠토시일본어 번역, 문예춘추 이후 문춘문고)[6]
  • 안녕, 수용소 국가 북한일본어 (더 마사다)[7]

참조

[1] 서적 The Aquariums of Pyongyang Basic Books
[2] 뉴스 'Life of hard labour' in North Korean camp https://www.bbc.co.u[...] BBC News 2011-05-03
[3] 웹사이트 Freedom Collection » Interviews » Kang Chol-hwan https://web.archive.[...] 2017-11-21
[4] 간행물 부시와 면담, 강철환은 누구인가? 함남 요덕 수용소 출신, 現 <북한민주화운동본부> 공동 대표 http://www.dailynk.c[...] 2005-06-15
[5] 웹사이트 The Chosun Ilbo (English Edition): Daily News from Korea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Foreign Secretary of the UK Jack Straw Meets North Korean Gulag Survivor http://www.dailynk.c[...] 2005-09-07
[7] 웹사이트 Blogger http://freekorea.blo[...]
[8] 웹사이트 Republicans Abroad Korea: Kang Chol-hwan reception a success http://gopkorea.blog[...] 2005-12-10
[9] 웹사이트 North Korea defectors say don't trust regime's claims on abductees http://www.japantime[...] The Japan Times 2015-04-15
[10] 간행물 Three N. Koreans Named Winner of NED's Democracy Award http://www.accessmyl[...] 2003-07-16
[11] 문서 Petition To: United Nations Working Group on Arbitrary Detention http://www.fidh.org/[...]
[12] 뉴스 Bush Meets Privately With Noted N. Korean Defector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005-06-14
[1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