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객체 관리 그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객체 관리 그룹(OMG)은 1989년 설립된 컨소시엄으로, 분산 객체 기술 표준 제정을 목표로 한다. 주요 활동으로는 CORBA, UML, BPMN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 표준 개발이 있으며, 모델 기반 아키텍처(MDA)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BPM) 분야로 활동 영역을 확장했다. OMG는 기술 회의를 통해 표준을 논의하고 채택하며, ISO 표준으로 등재된 표준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9년 설립된 단체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1989년 한국 사회의 경제 부정 문제 해결과 경제 정의 실현을 목표로 설립된 시민단체로, 합법적이고 비폭력적인 시민운동을 통해 경제 민주주의를 추구하며 의정감시, 공공사업 감시, 재벌 감시, 조세 개혁 운동 등의 활동을 한다.
  • 1989년 설립된 단체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항공우주과학기술 연구개발 및 기술 보급을 통해 국민 경제 발전과 국민 생활 향상에 기여하는 대한민국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항공기, 인공위성, 우주발사체 개발, 국가 항공우주 개발 정책 지원, 시험평가 시설 공동 활용, 중소·중견기업 지원, 전문 인력 양성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나로호, 누리호, 천리안위성, 다누리 등의 주요 성과를 거두었다.
  • 표준화 기구 - 국제 표준화 기구
    국제 표준화 기구(ISO)는 167개국 국가 표준 기구를 회원으로 둔 비정부 기구로서, 상품 및 서비스 관련 국제 표준을 제정하며,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와 협력하고 대한민국은 기술표준원을 통해 정회원으로 활동한다.
  • 표준화 기구 - 국제전기기술위원회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는 1906년 설립된 국제 표준화 기구로서 전기 및 전자 기술 분야의 표준 개발과 보급을 담당하며 국제 무역 원활화와 소비자 보호에 기여하고 사이버 보안 및 인공지능 등 새로운 기술 분야의 표준화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 비영리 단체 - 랜드 연구소
    랜드 연구소는 1948년 미 육군 항공대와 더글러스 항공사의 프로젝트에서 시작된 미국의 비영리 싱크탱크로, 다양한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며 국방, 안보, 보건, 교육 등 광범위한 분야를 연구하고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비영리 단체 - 국민총력조선연맹
    국민총력조선연맹은 1940년 일제가 중일 전쟁 수행을 위해 조선인을 통제하고 동원할 목적으로 설립한 단체로, 조선총독부를 중심으로 조선인과 조선 거주 일본인을 가입시켜 황민화 사상을 주입하고 징병, 징용, 공출 등 전쟁 수행에 필요한 자원을 동원하는 활동을 펼쳤으나, 1945년 해체되었으며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친일 단체로서 비판받는다.
객체 관리 그룹
기본 정보
약칭OMG
결성1989년
본사 위치미국 매사추세츠주 밀퍼드
웹사이트OMG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OMG는 1989년 휴렛 팩커드, IBM,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애플, 아메리칸 항공, 데이터 제너럴 등 11개 회사가 주축이 되어 설립되었다.[8] 초기에는 이기종 분산 객체 표준 제정에 초점을 맞추었다. 창립 임원진에는 크리스토퍼 스톤과 존 슬리츠가 포함되었고, 현재 리더십에는 회장 겸 CEO 리처드 소레이, 사장 겸 COO 빌 호프만, 부사장 겸 기술 이사 제이슨 맥스미스가 있다.

1997년, 통합 모델링 언어(UML)가 OMG 채택 기술 목록에 추가되었다. UML은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의 표준화된 범용 모델링 언어이다.

2005년 6월,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이니셔티브(BPMI.org)와 OMG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BPM) 활동을 병합하여 비즈니스 모델링 및 통합 도메인 태스크 포스(BMI DTF)를 결성한다고 발표했다.[8] 2006년에는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 및 표기법(BPMN)이, 2007년에는 비즈니스 동기 모델(BMM)이 OMG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BMM은 기업 지배 구조 및 전략적 계획을 위한 어휘를 제공하는 메타모델이며, 지배 구조, 규제 준수, 비즈니스 변환 및 전략 계획 활동을 수행하는 기업과 관련이 있다.

2009년 OMG는 카네기 멜론 대학교 소프트웨어 공학 연구소와 함께 IT 소프트웨어 품질 컨소시엄(CISQ)을 출범시켰다.[8]

OMG는 사양만을 제공하며 구현은 제공하지 않는다. 단, 사양이 OMG 표준으로 채택되기 전에 제안 팀은 대응 제품을 1년 이내에 판매해야 한다. 이는 구현 불가능한 표준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OMG는 회원 및 비회원을 위해 기술 회의를 주최한다.

2. 1. 초기 (1989년 ~ 1997년)

1989년 휴렛 팩커드, IBM,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애플, 아메리칸 항공, 데이터 제너럴 등 11개 회사가 모여 객체 관리 그룹(OMG)을 결성했다. 이들의 초기 목표는 이기종 분산 환경에서 객체 표준을 만들어, 모든 플랫폼과 개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메소드와 데이터의 객체 모델을 통해 높은 이식성과 상호 운용성을 실현하는 것이었다.

1991년, OMG는 서로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되고 서로 다른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간의 협력을 위한 표준인 공통 객체 요청 브로커 아키텍처(CORBA) 표준을 발표했다.[9] CORBA는 크로스 플랫폼 상호 운용성을 제공하며, 유럽의 5개 가속기에서 사용되는 TANGO 제어 소프트웨어 등에서 채택되었다.[9]

1997년에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널리 사용되는 모델링 언어통합 모델링 언어(UML)가 OMG의 채택 기술 목록에 추가되었다.

2. 2. 발전 (1997년 ~ 현재)

1989년 휴렛 팩커드, IBM,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애플, 아메리칸 항공, 데이터 제너럴 등 11개 기업이 모여 결성된 객체 관리 그룹은 1997년 통합 모델링 언어(UML)를 표준으로 채택하였다.[8] UML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널리 사용되는 모델링 언어이다.

2000년대 이후, OMG는 모델 기반 아키텍처(MDA) 개념을 도입하고, 메타 객체 시설(MOF), XML 메타데이터 교환(XMI), MOF QVT(Query/Views/Transformation) 등 관련 표준을 제정하여 소프트웨어 개발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8]

2005년 6월, OMG는 Business Process Management Initiative (BPMI.org)와 협력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BPM) 분야로 활동 영역을 확장했다.[8] 양측의 BPM 부문을 합병하여 Business Modeling and Integration Domain Task Force (BMI DTF)를 결성한다고 발표했고, 2006년 BPMN 언어 사양이 OMG의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2011년에는 클라우드 컴퓨팅 표준화를 위해 클라우드 표준 고객 위원회(CSCC, Cloud Standards Customer Council)를 설립했다.[8] CSCC는 OMG의 최종 사용자 활동 그룹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채용 촉진, 보안 및 상호 운용성 문제 추구 등을 진행한다. CSCC는 표준화 단체는 아니지만, 기존의 클라우드에 관한 표준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클라우드로 이전해도 기존과 같은 수준의 선택의 자유, 유연성, 개방성을 얻을 수 있도록 고객 주도형 기본 요구 사양을 정리하려고 하고 있다.

3. 주요 활동 및 표준

OMG는 구현이 아닌 규격만을 제공한다. 그러나 규격이 OMG에 의해 표준으로 채택되기 전에, 제출자 팀은 1년 이내에 해당 규격을 준수하는 제품을 출시해야 한다. 이는 구현되지 않거나 구현 불가능한 표준을 방지하기 위함이다.[1] OMG는 다른 기업이나 오픈 소스 그룹이 규격을 준수하는 제품을 생산하도록 장려하며, 진정한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개발하고자 노력한다.[1]

OMG는 회원 및 비회원을 위해 연 4회 기술 회의를 개최한다. 이 회의는 소프트웨어 상호 운용성을 위한 표준을 논의, 개발 및 채택하는 중립적인 포럼을 제공한다. 다양한 분야(비즈니스, 금융, 제조, 헬스케어, 로보틱스, 소프트웨어 무선, 보안, 정부, 우주 등)에서 소프트웨어 상호 운용성을 높이는 표준이 논의된다. 2012년 12월에는 캘리포니아주 버링게임, 2013년 3월에는 버지니아주 레스턴, 2013년 6월에는 독일 베를린에서 회의가 개최되었다.

3. 1. 분산 객체 기술

1991년, OMG는 CORBA 표준을 만들었다. CORBA는 서로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되고 서로 다른 컴퓨터에서 작동하여 전체적으로 협력 동작하는 (즉 크로스 플랫폼) 소프트웨어 컴포넌트군의 표준이다.[9] OMG는 CORBA의 주요 부분을 추출한 임베디드 시스템 및 실시간 시스템용 표준도 작성했다. CORBA는 유럽의 5개 가속기에서 사용되는 TANGO 제어 소프트웨어 등에서 채택되었다.[9] 실시간 CORBA 구현은 선박이나 항공기의 제어 시스템에 널리 채택되고 있다.

DDS는 실시간 시스템을 위한 출판-구독형 분산 시스템 미들웨어 표준으로, CORBA의 출판-구독형 명세 추진 필요성에서 비롯되었다.[10]

3. 2. 모델 기반 아키텍처 (MDA)

객체 관리 그룹(OMG)은 통합 모델링 언어(UML)를 위한 모델링 표준화에 주력했으며, 관련 표준으로 메타 객체 시설(MOF), XML 메타데이터 교환(XMI), MOF QVT(Query/Views/Transformation) 등을 제정했다.[8] 이들은 모델 기반 아키텍처(MDA)의 기반을 제공한다.[8]

시스템 모델링 언어(SysML)는 UML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 공학용 모델링 언어이며,[8] INCOSE영어(INCOSE)와 공동으로 표준화를 제정했다.[8]

또한, RDFOWL 모델을 통해 UML 모델을 표준적인 방법으로 관련시키는 "온톨로지 정의 메타 모델"을 채택하여 UML을 이용한 모델링과 시맨틱 웹의 세계를 넓히는 데에도 주력해왔다.[8]

3. 3.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 (BPM)

2006년,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 및 표기법(BPMN)이 OMG의 표준으로 채택되었다.[8] 2007년에는 비즈니스 동기 모델(BMM)이 OMG 표준으로 채택되었다.[8] BMM은 기업 지배 구조 및 전략 계획을 위한 어휘를 제공하는 메타모델이며, 특히 지배 구조, 규제 준수, 비즈니스 변환 활동을 수행하는 기업과 관련이 있다.[8]

3. 4. 기타 표준

멘토 그래픽스 등이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여 제정한 VSIPL(Vector Signal and Image Processing Library)은 신호 처리 및 영상 처리 장비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벤더,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정부 연구 기관 등이 참여하여 만든 개방형 API 규격이다.[8] VSIPL과 VSIPL++에는 기본적인 산술, 삼각 함수, 초월 함수, 신호 처리 및 선형 대수 함수, 영상 처리 함수 등 신호 처리와 관련된 수백 개의 함수가 정의되어있다. 여러 벤더들이 x86, PowerPC, Cell, NVIDIA GPU 등 다양한 프로세서 아키텍처에 맞게 VSIPL을 구현하고 있다.

지식 발견 메타모델(KDM)은 기존 소프트웨어 시스템과 그 운영 환경을 나타내는 공통 중간 표현으로, OMG에서 소프트웨어 현대화 및 품질 보증의 기반이 된다. KDM은 메타-객체 기능(Meta-Object Facility)을 사용하여 기존 소프트웨어와 협업하는 도구 간의 XMI 교환 형식을 정의하고, 차세대 품질 보증 및 현대화 도구의 추상 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

4. 조직 및 운영

OMG는 회원사들의 참여와 협력을 통해 운영된다. 회원사는 기술 회의에 참여하여 표준 제정 및 개정 과정에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1] OMG는 연 4회의 기술 회의를 개최하여 소프트웨어 상호 운용성을 가능하게 하는 표준을 논의, 개발 및 채택한다.[1]

1989년, 휴렛 팩커드, IBM,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애플, 아메리칸 항공, 데이터 제너럴 등 11개 회사가 OMG를 설립했다.[1] 초기에는 이종 분산 객체 표준을 만드는 데 초점을 맞췄다.[1] 창립 임원진에는 크리스토퍼 스톤과 존 슬리츠가 포함되었으며, 현재 리더십은 회장 겸 CEO 리처드 소레이, 사장 겸 COO 빌 호프만, 부사장 겸 기술 이사 제이슨 맥 Smith로 구성되어 있다.[1]

2000년 이후, OMG의 국제 본부는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 있다.[1]

OMG는 국제 표준화 기구(ISO)와 협력하여 일부 표준을 ISO 표준으로 등재하고 있다.[6]

OMG 표준 중 ISO 표준으로 등재된 표준 목록[6]
표준 이름
BPMN
비즈니스 프로세스 성숙도 모델(BPMM)
CORBA
MOF
KDM
AFP
OCL
SysML
UML
UPDM
XMI


5. 한국과의 관계

대한민국의 여러 기업과 기관이 OMG 회원으로 활동하며, OMG 표준을 활용하여 시스템을 구축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금융, 통신,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OMG 표준이 활용되고 있다.

참조

[1] Foldoc Object Management Group
[2] 웹사이트 Cloud Standards Customer Council http://www.cloud-cou[...]
[3] 웹사이트 OMG Adopts Automated Function Point Specification https://www.omg.org/[...] 2016-08-13
[4] 웹사이트 OMG to Manage the Industrial Internet Consortium http://www.omg.org/n[...] 2016-08-13
[5] 웹사이트 OMG to Manage the Industrial Internet Consortium https://www.business[...] 2019-11-07
[6] 웹사이트 OMG Specifications are ISO Standards {{!}} Object Management Group https://www.omg.org/[...] 2018-10-11
[7] 웹사이트 Future OMG Events Listing http://www.omg.org/n[...] OMG 2013-02-01
[8] URL http://www.vsipl.org[...]
[9] Tango website Tango website http://www.tango-con[...]
[10] DDS DDS 1.2 http://www.omg.org/s[...]
[11] OCRES OMG認定組込み技術者資格試験プログラム OCRES(オークレス)とは http://www.umlcert.o[...]
[12] OCUP OMG認定UML技術者資格試験プログラム OCUP(オーカップ)とは http://www.umlcert.o[...]
[13] OCEB OMG認定BPMエキスパート資格試験プログラム OCEB(オーセブ)とは http://www.umlcert.o[...]
[14] OCSMP OMG認定システムモデリング技術者資格試験プログラム OCSMP(オーシーエスエムピー)とは http://www.umlcert.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