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라오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라오족은 중국 소수 민족으로, 상나라 시대부터 다양한 명칭으로 불려왔으며, 고대 예랑국의 라우족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는 구이저우성을 중심으로 광시 좡족 자치구, 윈난성 등지에 분포하며, 다오전 거라오족 먀오족 자치현, 우촨 거라오족 먀오족 자치현, 룽린 각족 자치현 등 자치 지역을 두고 있다. 거라오어는 크라다이어족에 속하지만, 현재 사용 인구가 감소하여 중국어가 널리 사용된다. 문화적으로는 한족과 융합되어 고유한 특성이 퇴색되었으며, 전통 의상과 악기, 구전 문학 등이 전해진다. 거라오족은 춘절과 위수 축제를 지내며, 하위 집단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거라오족 - 거라오어
거라오어는 중국과 베트남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어휘를 공유하는 고립어로서 4개의 성조를 가지며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을 따르고, 다양한 방언과 분류 기준이 존재하며, 고유 문자 필사본이 발견되었으나 위작 논란이 있다. - 베트남의 민족 - 흐레족
흐레족은 베트남 중부 고원 지대에 거주하며 과거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고 논농사를 주로 하며 물소, 돼지 등을 사육하고 '치엥 바'라는 꽹과리 축제를 가진 소수민족이다. - 베트남의 민족 - 몽족
몽족은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에 거주하며 '자유로운 사람'을 뜻하는 고유 명칭 '몽'을 사용하지만 중국에서는 '묘족'으로 불리며, 17세기 이후 동남아시아로 이주하여 전 세계에 디아스포라를 형성, 복잡한 역사와 문화를 지닌 민족이다.
거라오족 | |
---|---|
개요 | |
![]() | |
민족 정보 | |
민족명 | 거라오족 (仡佬族) |
다른 이름 | 꺼라오족, 코라오족, 겔라오족, 겔로, 클라우 |
인구 | 약 570,000명 |
거주 지역 | 중국: 구이저우성, 광시성, 윈난성, 쓰촨성 베트남: 하장성 |
언어 | 꺼라오어, 중국어, 미야오어, 이족어, 부이어 |
종교 | 도교, 불교, 애니미즘 |
관련 민족 | 미야오족 |
중국 내 정보 (2000년) | |
총 인구 | 579,000명 |
베트남 내 정보 (1999년) | |
총 인구 | 1,845명 |
추가 정보 | |
구 표기 | 개정 서남 소수민족 명명표 |
2. 역사
상나라, 주나라 시대부터 전한 시대까지는 백복(百濮)으로, 후한에서 남북조 시대까지는 복(濮), 요(僚)로 알려졌다. 수나라, 당나라 시대 이후부터는 갈료(葛僚) 등으로 민족 이름이 변천하였다. 거라오족의 조상은 고대 예랑국의 인구를 구성했던 라우족으로 추정된다.[1]
거라오족은 주로 구이저우성(貴州省) 서북, 서남, 북부에 위치한 쭌이시(遵義), 안순시(安順), 구이양시(貴陽), 비제 지구(畢節) 등지에 분포한다. 광시 좡족 자치구(廣西壯族自治區)와 윈난성(雲南省) 웬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文山壯族苗族自治州)에도 넓게 분포한다.[1] 거라오족 인구의 97% 이상이 구이저우성에 거주한다.[1]
2008년 9월, 구이저우성에서 『구천대령사』(Record of the Nine Heavens영어)가 발견되었다. 이 책은 첸베이의 리 씨 성을 가진 거라오족 사람이 소장하고 있었으며, 그의 조상은 송나라 출신으로 구라오의 리원통 왕의 후손이다. 그는 이 책이 어떤 종류의 책인지 알지 못했지만, 조상들의 가르침을 이어받아 소중히 여겨왔다고 한다. 『구천대령사』의 발견은 거라오족과 그들의 문화가 고대부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자료로 평가받는다. 거라오족은 문자를 가지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화합과 조화"의 개념을 옹호한 최초의 민족이기도 했다. 또한 차, 불꽃놀이, 구리, 철 등에 대한 자체 단어를 발명했다.[2]
그러나 『구천대령사』는 거라오족의 기원이 우촨에 있다고 언급하고, 판장, 츠수이, 허베이에 있는 예랑의 핵심 부분을 무시하는 등 1980년대 중반에 현지에서 유통된 정보와는 일치하지만,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부터 내려온 현지 역사 기록과는 다르다. 또한, 『구천대령사』에 기록된 고전 중국어와 거라오어는 많은 문법적 오류를 포함하고 있어, 현대에 위조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3]
안순과 같이 구이저우 서부에 거주하는 거라오족은 중국 문자에서 파생된 거라오 문자를 사용하여 일부 민요를 기록하기도 했다.[4]
3. 분포
3. 1. 자치 지역
구이저우성 서북부, 서남부, 북부에 위치한 쭌이시의 런화이, 다오전, 우촨, 안순시의 관링, 핑바, 첸시난의 푸안, 정펑, 칭룽, 구이양시의 칭전, 비제 지구의 첸시, 다팡, 즈진, 진사, 류판수이시의 류즈, 수이청 등의 시, 현과 더불어 광시 룽린 각족 자치현과 윈난성원산 좡족 먀오족 자치주의 광난, 마관, 원산, 푸닝 등의 현에도 거주한다.
3. 2. 민족향
지역 | 민족향 |
---|---|
충칭시우룽구 | 하오커 먀오족 거라오족 향 |
쭌이시보저우구 | 핑정 거라오족 향 |
정안현 | 스핑 먀오족 거라오족 향, 셰바 거라오족 먀오족 향 |
푸딩현 | 허우창 먀오족 거라오족 향, 마오둥 먀오족 거라오족 향 |
다팡현 | 샹수이 바이족 이족 거라오족 향, 안러 이족 거라오족 향, 싱수 먀오족 이족 거라오족 향 |
스첸현 | 룽징 둥족 거라오족 향, 쥐펑 거라오족 둥족 향, 다시아바 거라오족 둥족 향, 펑샹 둥족 거라오족 향, 칭양 먀오족 거라오족 둥족 향, 스구 거라오족 둥족 향, 핑디창 거라오족 둥족 향, 핑산 거라오족 둥족 향, 간시 거라오족 둥족 향 |
4. 언어
거라오족은 고유한 언어인 거라오어를 가지고 있었으나, 현재는 사용하는 사람이 매우 적다.[3] 거라오어는 크라다이어족에 속하며, 지역별 방언 차이가 크다. 현대 거라오족은 대부분 중국어(표준어 및 방언), 먀오어(苗語), 부이족어(布依語) 등을 사용한다.[4] 유네스코는 대부분의 거라오어 방언을 소멸 위기 언어로 평가하고 있다. 안순 등 구이저우 서부 지역에서는 한자에서 파생된 거라오 문자를 사용하여 민요를 기록하기도 했다.
5. 문화
거라오족은 오랫동안 한족 등과 같이 섞여 살았으므로, 그들만의 독특한 습관이나 색깔은 점차 퇴보되어 없어졌다.[4] 남성의 전통 의상은 옆으로 여미는 재킷과 긴 바지이다. 여성은 짧은 재킷과 좁은 치마를 입으며, 치마는 세 부분으로 나뉜다. 윗부분은 붉은 양모로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으며, 나머지 두 부분은 검은색과 흰색 테두리가 있는 천으로 만들어졌다. 남녀 모두 긴 스카프를 착용한다.
거라오족은 소뿔로 만든 몸체에 두 줄의 현을 가진 바이올린인 ''쟈오후(角胡, 병음: jiǎohú)''를 전통 음악에 사용한다.
거라오족 민간에는 시와 격언과 같은 구전 문학이 전해진다. 고대 민요는 단어 수가 다양한 장단 구절로 구성되어 있다. 지난 2~3백 년 동안 한시의 장르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 많은 중국어 단어와 구절을 차용했다.
5. 1. 하위 집단
거라오족은 다양한 하위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화민국 시대의 지방 민족지에는 다음과 같은 명칭들이 기록되어 있다.[1]명칭 | 거주 지역 |
---|---|
화거라오 花仡佬 | 첸웨이(前卫), 핑파(平伐司), 용닝(永宁州), 스빙(施秉), 롱취안(龙泉), 황핑(黄平) |
홍거라오 红仡佬 | 칭산(青山司), 안핑(安平현), 런화이(仁怀현), 리핑푸(黎平府) |
젠터우/단두거라오 剪头仡佬 | 구이딩(贵定), 스빙(施秉), 황핑(黄平), 용닝(永宁) |
다야거라오 打牙仡佬 | 핑위에(平越), 첸시(黔西), 안핑(安平), 용핑(永宁), 핑위안(平远), 황핑(黄平), 칭전(清镇) |
궈취안/냄비원거라오 锅圈仡佬 | 핑위안(平远), 안핑(安平), 다딩(大定) |
다티에/철타거라오 打铁仡佬 | 핑위안(平远州) |
피파오/로브거라오 披袍仡佬 | 핑위안(平远), 안핑(安平), 다딩(大定) |
수이/수거라오 水仡佬 | 위칭(余庆), 전위안(镇远), 스빙(施秉), 용닝(永宁) |
투/토착거라오 土仡佬 | 웨이닝(威宁) |
야이/우아거라오 雅意仡佬 | 용닝(永宁) |
구이저우성과 접경한 쓰촨성 쉬융현의 츠수이시 지역에는 3,000명 이하의 의(Yi, 羿)족이 거주하는데, 이들은 거라오족의 하위 집단이지만 독특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2] 의족은 스스로를 "gau13"이라고 부르며, 당나라 시대부터 언급되었고 북쪽에서 왔다고 전해진다. 또한 지통(子童) 보살 신앙으로도 알려져 있다.[2]
의족은 다음과 같은 지역에 거주한다.[2]
대부분의 거라오 방언과 달리, 의 방언은 롤로어군에서 파생된 숫자 체계를 사용한다.[2]
베트남에서 거라오족은 공식적인 민족 집단으로 인정받고 있다. 2009년 기준 2,636명의 거라오족이 하장성의 카르스트 고원 황쑤피현과 동반현에 주로 거주하며, 황쑤피현 퉁산 사(Túng Sán)에서 다수를 차지한다.
6. 명절
거라오족은 1년에 두 번 정월을 맞이한다. 하나는 거라오족 최대의 축일인 춘절로 보통 구정이며, 다른 하나는 거라오족 고유의 명절로 음력 3월 3일에 웨이슈(喂樹)라고 하는 행사를 한다. 이 행사는 거라오족의 오래된 나무 숭배가 바탕에 깔려 있다.[4]
7. 저명한 인물
- 펑푸위안(1726-?) - 청나라 시대 교육가.[1]
- 궁라이파(1862-1995) - 중국 최장수자 중 한 명으로, 133세까지 살았다.[2]
참조
[1]
서적
Guizhou County Gazetteer: Ethnic Gazetteer
Guizhou Ethnic Publishing House
2002
[2]
서적
A Study of Gelao
贵州民族出版社/Guizhou min zu chu ban she
1993
[3]
웹사이트
Aqaw Gelao, Green Gelao, Mulao, Red Gelao, White Gelao
2016-08-14
[4]
문서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