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거제 구영등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제 구영등성은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에 위치한 조선시대 석성이다.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성종 21년(1490)에 축조되었으며, 세종 때 나무 울타리에서 석성으로 강화되었다. 중종과 선조 때 훼손되었으며, 인조 1년(1623)에 영등포진이 견내량으로 이동하면서 '구영등성'으로 불리게 되었다. 구영마을 남쪽 야산 기슭의 평지에 오각형으로 축조되었으며, 북쪽이 바다, 남쪽이 산으로 북문이 정문 역할을 했다. 현재 성벽은 대부분 훼손되었으나, 조선 전기 읍성 축조 방식과 유사한 성의 축조 기법은 중요한 연구 자료로 평가받는다. 문헌에는 성 둘레가 1,068척으로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90년 완공된 건축물 - 곤디 궁전
    곤디 궁전은 [도시 이름]에 위치한 역사적인 궁전으로, 고대부터 르네상스 시대를 거쳐 근현대까지 다양한 변화를 겪으며 르네상스 예술과 현대 미술 작품을 소장하고 문화 공간으로 활용된다.
  • 거제시의 문화유산 - 거제 해금강
    거제 해금강은 빼어난 경관으로 '바다의 금강산'이라 불리며 세 개의 바위섬이 맞닿아 이루어진 곳으로,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퇴적암 지층과 십자동굴이 유명하여 명승 제2호로 지정되었다.
  • 거제시의 문화유산 - 거제 장문포 왜성
    거제 장문포 왜성은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만 입구에 축조한 왜성으로, 맞은편 송진포 왜성과 함께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조선 조정이 왜구 침략에 대비해 장목진을 설치했던 곳이다.
  • 경상남도의 기념물 - 통도사
    통도사는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창건한 불보사찰로, 석가모니불의 사리를 봉안한 금강계단과 불상 없는 대웅전, 그리고 다수의 국보와 보물을 보유한 한국 3대 사찰 중 하나이다.
  • 경상남도의 기념물 - 창원 고현리 공룡발자국 화석
    창원 고현리 공룡발자국 화석은 약 1억 년 전 백악기 시대에 두 발로 걷는 초식 공룡 20여 마리가 남긴 400여 개의 발자국 화석으로, 공룡의 종류, 크기, 행동 양식, 사회적 행동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지만 해수 침식과 훼손으로 보존 대책이 시급하다.
거제 구영등성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거제 구영등성
이름거제 구영등성
로마자 표기Geoje Guyeongdeungseong
한자 표기巨濟 舊永登城
개요
국가대한민국
위치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구영리 1249번지 외
유형기념물
지정 번호205
지정일1998년 11월 13일
시대알 수 없음
소유국가 외
관리거제시
참고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면적24,497m2
꼬리표거제 구영리

2. 위치 및 주변 환경

거제 구영등성은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구영마을 남쪽 야산 기슭에 있는 성이다. 성벽 안팎에는 경작지와 민가가 자리잡고 있다. 거제도의 최북단으로 진해, 웅천 등 육지와 가장 가까우며, 주변에 영등왜성, 구율포성 등 성곽 유적이 많이 분포한다.[2] 대한해협을 건너 진해만으로 들어오는 길목에 있어 왜적의 침입이 잦았던 곳이다.[2]

3. 역사

조선 성종 21년(1490)에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축성되었다.[2] 세종 때 나무 울타리를 세워 방비하던 것을 성종 때 석성으로 강화하였다.[2] 중종, 선조 때에는 잦은 왜구의 침입으로 크게 훼손되기도 하였다.[2] 인조 1년(1623)에 영등포진이 견내량(거제시 사등면 덕호리와 통영시 용남면 장평리 사이의 해협)으로 이동하면서 '구영등성'으로 불리게 되었다.[2]

4. 구조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해안의 구영마을 남쪽 야산 기슭에 평면 원추형으로 쌓은 성이며, 성벽 안팎에는 경작지와 민가가 자리 잡고 있다. 거제도 최북단으로 진해, 웅천 등 육지와 가장 가깝고 주변에 영등왜성, 구율포성 등 성곽 유적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2]

현재 성벽은 대부분 훼손되어 기단부만 남아있지만, 구조와 쌓은 방법은 어느 정도 확인 가능하다. 남북 양쪽에 반원형 옹성(성문을 보호하기 위해 성문 밖에 쌓은 작은 성)을 쌓았는데, 출입문은 한쪽 옆에 있다. 성 바깥벽은 큰 돌로 쌓고, 안쪽 벽은 돌을 지면에 겹쳐 쌓은 뒤 크고 작은 돌을 차곡차곡 쌓았다.[2]

성 외벽은 자연석으로 쌓고, 내벽은 돌로 막 쌓은 후 내벽과 외벽 사이를 크고 작은 돌로 채웠다. 이러한 축성 방식은 조선 전기 읍성을 만들 때와 같은 방식으로, 당시 축조 기법에 대한 중요한 연구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2]

5. 축성 방식

성의 바깥벽은 큰 돌로 쌓고 안쪽 벽은 돌을 지면에 겹쳐 쌓은 뒤 크고 작은 돌을 차곡차곡 쌓았다.[2] 내벽과 외벽 사이는 크고 작은 돌로 채웠다.[2] 이러한 축성 방식은 조선 전기 읍성을 만들 때와 같은 방식으로, 당시 축조 기법에 대한 중요한 연구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2]

6. 문헌 기록

문헌에는 성 둘레가 1,068척이라고 기록되어 있다.[2]

7. 현황

성벽은 대부분 훼손되고 기단부만 남아 있는 상태지만 구조와 쌓은 수법은 어느 정도 확인이 가능하다. 남북 양쪽에 반원형으로 된 옹성(성문을 보호하기 위하여 성문 밖으로 쌓은 작은 성)을 쌓았는데 그 출입문이 한쪽 옆에 있다. 성의 바깥벽은 큰 돌로 쌓고 안쪽 벽은 돌을 지면에 겹쳐 쌓은 뒤 크고 작은 돌을 차곡차곡 쌓았다.[2]

참조

[1] 간행물 경상남도 고시 제2018-485호,《경상남도 지정문화재(문화재자료) 명칭변경 고시》 http://210.104.249.3[...] 경상남도지사 2018-12-20
[2] 문서 현지 안내문 인용
[3] 보고서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가산리 1185번지 일원 내 梁山 架山里遺蹟 Ⅴ. 고찰 https://www.cha.go.k[...] 대한주택공사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2015-09-01
[3] 보고서 대한주택공사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양산석산지구 文化遺蹟 地表調査 報告書 http://www.feaci.or.[...] 대한주택공사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2006-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