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게릴라 가드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게릴라 가드닝은 허가 없이 공공장소나 사유지에 식물을 심는 행위를 의미한다. 1973년 뉴욕에서 리즈 크리스티와 그녀의 그린 게릴라 그룹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으며, 버려진 땅을 정원으로 만드는 활동으로 시작되었다. 게릴라 가드닝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으며, 국제 해바라기 게릴라 가드닝의 날과 같은 행사도 진행된다. 하지만, 외래종 확산, 사유 재산 침해, 환경 오염 등의 비판도 존재하며, 법적 문제와 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태주의 - 녹색아나키즘
    녹색 아나키즘은 산업화와 중앙집권화로 인한 환경 문제에 대한 급진적인 아나키즘의 한 갈래로, 분권화, 직접민주주의, 탈성장을 지향하며 다양한 실천 활동을 통해 지속 가능한 사회를 모색한다.
  • 생태주의 - 에코테러리즘
    에코테러리즘은 환경 파괴 시도나 환경에 해를 끼치는 대상에 대한 범죄 행위를 통해 정부를 위협하는 행위를 지칭하며, 환경 보호를 명분으로 폭력적인 직접 행동을 감행하는 단체들에 의해 자행되어 환경 보호 활동과 폭력 행위 사이의 논쟁을 야기한다.
  • 도시 농업 - 옥상정원
    옥상정원은 건축물 옥상에 조성된 정원을 의미하며, 도시 녹지 공간 부족 해결, 환경적·사회적·경제적 이점 제공, 도시 열섬 현상 완화 등의 기능을 한다.
  • 도시 농업 - 옥상녹화
    옥상녹화는 건축물 옥상에 식물을 심어 녹지를 조성하는 것으로, 도시 열섬 현상 완화, 단열 효과 증진, 대기 오염 물질 흡수 등 환경적 이점을 제공하며 건물 내구성 향상과 에너지 절약에도 기여하여 전 세계적으로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 취미 - 우취
    우취는 우표와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하는 취미로, 우표 발행 과정, 우편 제도, 우편 역사 등을 연구하는 분야이며, 국제우취연맹을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우취 단체와 활동이 이어지고 있다.
  • 취미 - 산책
    산책은 걷는 행위를 의미하며 건강 증진, 사회문화적 활동, 취미 활동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교통사고, 범죄, 건강 문제에 유의해야 한다.
게릴라 가드닝

2. 역사

17세기의 영국 디거 운동가였던 제라드 윈스탠리(Gerrard Winstanley)[44][1]와 18세기의 미국 개척자 존 "애플시드" 채프먼(John "Appleseed" Chapman)[45][1]는 게릴라 가드닝의 초기 선구자로 여겨진다.

2. 1. 현대의 게릴라 가드닝

캐나다 캘거리 시내의 이전부터 비어있던 공간에 채소를 심는 게릴라 가드너들


"게릴라 가드닝"(Guerrilla gardening)이라는 용어는 1973년 미국 뉴욕의 보워리 휴스턴 지구에서 리즈 크리스티(Liz Christy)와 그녀의 '그린 게릴라'(Green Guerrilla) 그룹이 처음 사용했다. 이들은 버려진 사유지를 정원으로 가꾸었으며,[43] 이 공간은 현재도 자원봉사자들에 의해 관리되고 있고, 시 공원 부서의 보호도 받고 있다. 역사적으로 게릴라 가드닝과 유사한 활동을 한 인물로는 1649년 영국 서레이 지역의 제라드 윈스탠리(Gerrard Winstanley)[44]와 1801년 미국 오하이오주의 존 "애플시드" 채프먼(John "Appleseed" Chapman)[45] 등이 있지만, 이들은 '게릴라 가드닝'이라는 용어가 생기기 전에 활동했다.

게릴라 가드닝은 오늘날 전 세계 많은 곳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게릴라 가드닝 운동가인 리처드 레이놀즈(Richard Reynolds)에 따르면, 최소 30개국 이상에서 활동이 확인된다.[46] 이는 수많은 게릴라 가드닝 관련 사회관계망 서비스(SNS) 그룹과 'GuerrillaGardening.org' 웹사이트의 동호인 페이지 등을 통해 알 수 있다.[47] 호주의 정원사 밥 크롬비(Bob Crombie)는 'bewildering'이라는 용어를 게릴라 가드닝의 동의어로 사용하기도 했다.[48]

일반적으로 게릴라 가드닝은 "빈 땅", "강변", "공원", "관리가 되지 않는 화단이나 화분" 등 흙이 있는 장소에 씨앗을 뿌리거나 묘목 등을 심는 행위, 또는 그 행위를 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2006년 영국의 게릴라 가드닝 활동이 NHK를 통해 일본에 소개되었고, 2008년에는 동명의 영화가 제작되면서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게릴라 가드닝에는 주로 튼튼하고 관리가 쉬운 관상용 식물이나 허브 등이 사용된다. 씨앗을 뿌린 후에는 식물의 성장을 자연에 맡기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간편함 덕분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3. 유형 및 목적



게릴라 가드닝은 주로 "빈 땅", "강변", "공원", "관리가 되지 않는 화단이나 화분" 등 흙이 있는 장소를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장소에 씨앗을 뿌리거나 묘목 등을 심는 행위, 또는 그 행위를 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활동 방식은 비교적 간단하여, 씨앗을 뿌리거나 묘목을 심은 후 식물의 성장은 자연에 맡기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기본적으로 튼튼하고 관리에 손이 많이 가지 않는 식물이 주로 사용된다. 꽃이 피는 관상용 식물이나 허브 등이 대표적이다. 씨앗을 뿌리는 것만으로도 가능하기 때문에 실행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게릴라 가드닝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1973년 뉴욕에서 리즈 크리스티와 그녀의 동료들이 활동하면서부터이다. 그들은 버려진 사유지를 정원으로 만들었는데[43], 이는 게릴라 가드닝 활동의 대표적인 목적으로 볼 수 있다. 즉, 방치되거나 버려진 땅을 식물을 심어 가꾸고 활용하는 것이다. 해당 공간은 이후 시 공원 부서의 관리하에 놓였지만, 여전히 자원봉사자들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4. 주요 사례

'''호주'''에서는 멜버른을 중심으로 게릴라 가드닝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북부 내륙 교외 지역에는 공동체 채소밭이 다수 조성되었으며, 철도변 부지에는 자생 식물을 복원하여 자연 지대를 만들기도 한다. 멜버른의 게릴라 가드너들은 주로 자생 식물 식재에 관심 있는 그룹과 공동 식량 재배에 관심 있는 그룹으로 나뉘지만, 서로 협력하며 활동하고 있다.[7] 브리즈번에서는 'Growing Forward Kurilpa'라는 모임이 사용되지 않는 공간을 게릴라 가드닝을 통해 되찾는 활동을 하고 있다. 2023년 멜버른에서 설립된 'Guerilla Gardening Narrm'은 코버그에 Radicle Roots Commoneng이라는 대규모 공동 정원을 조성했으며, 식량 현지화 아이디어를 전파하고 다른 지역 사회의 "공유지 재확보"를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들은 Growing Forward Kurilpa로부터 많은 영감을 받았다. 또한 호주 전역에는 'Permablitz'라는 소규모 지역 사회 그룹들이 활동하는데, 이들은 주민들에게 식량 재배 방법을 교육하고 식량 가격 상승에 대비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모여 교외 지역에 무료로 채소밭을 설계하고 건설한다. 호주의 네트워크 10 방송사에서는 시 소유 부지를 허가 없이 개조하는 가드너 팀의 이야기를 다룬 ''게릴라 가드너''라는 쇼를 방영하기도 했다.

'''캐나다'''에서는 밴쿠버의 Arbutus Corridor|아버터스 회랑eng 사례가 대표적이다. 이 회랑은 1902년 캐나다 태평양 철도(CPR)가 밴쿠버 항과 스티븐스턴 어촌을 연결하기 위해 개발한 철도 노선이었다.[8] 1952년 여객 서비스가 중단되고 2001년 화물 운송마저 중단되자, CPR은 17ha에 달하는 이 부지를 주거 및 상업 용도로 재개발하려 했다. 하지만 밴쿠버 시는 녹지 공간 확보와 미래의 경전철 노선 가능성을 이유로 이를 저지했다. 캐나다 대법원은 2006년 시의 구역 설정 권한을 인정했으나,[9] 최종적인 부지 처리는 2016년에야 이루어졌다. 밴쿠버 시는 CPR로부터 5500만캐나다 달러에 이 땅을 매입했다. 철도 운행이 중단된 기간 동안, 사용되지 않는 철도 노선 주변의 주택 소유자들과 지역 공동체 단체들은 9km에 달하는 노선을 따라 수많은 정원과 텃밭을 만들고 가꾸어왔다. 2014년, 시와의 협상이 길어지자 CPR은 철도 노선을 수리하고 정원을 철거하며 열차 운행을 재개하려 했으나, 시가 제기한 가처분 신청은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대법원에서 기각되었다.[10] 2016년 시가 토지를 매입하면서 갈등은 일단락되었지만, 구매 계약 조건에는 회랑 일부를 경전철 운송용으로 할애해야 한다는 조항이 포함되었다. 시는 Arbutus Greenway|아버터스 그린웨이eng 계획을 통해 자전거 및 보행자 도로, 공공 공간, 커뮤니티 정원 등을 조성하려 하지만, 일부 인접 주택 소유자들은 이 지역을 이전처럼 배타적인 녹지 공간으로 유지하려 하면서 여전히 갈등의 소지가 남아있다.[11]

2015년 온타리오주 웰랜드의 게릴라 파크에서 열린 "공원에서의 예술"


온타리오주 웰랜드에는 Guerrilla Park|게릴라 파크eng가 있다. 이곳은 원래 공원으로 설계되었으나 수년간 방치되어 잡초가 무성했던 곳이다. 2013년, 시각 예술가와 게릴라 가드너를 포함한 소수의 지역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나서 무성하게 자란 화단을 복원하고 야외 그림을 설치하는 등 공간을 되살렸다. 공식적으로는 시 소유 재산이지만, 자원봉사자들은 시 당국과의 비공식적 합의를 통해 공원의 유지 관리와 정원 가꾸기를 계속하고 있다. 현재 이곳은 지역 예술가, 음악가, 청소년들이 모이는 장소가 되었으며, 소규모 예술 전시회나 즉흥적인 행사가 열리기도 한다.[12][13][14]

'''일본'''에서는 2006년 영국의 게릴라 가드닝 활동이 NHK를 통해 소개되고, 2008년 동명의 영화가 제작되면서 대중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일본의 게릴라 가드닝은 주로 "빈 땅", "강변", "공원", "관리가 되지 않는 화단이나 화분" 등 흙이 있는 곳에 씨앗을 뿌리거나 묘목을 심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특별한 관리가 필요 없고 튼튼하게 자라는 관상용 식물이나 허브가 주로 사용되며, 씨앗을 뿌린 후에는 자연에 맡기는 경우가 많다. 씨앗만 뿌리면 되는 간편함 덕분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4. 1. 국제 해바라기 게릴라 가드닝의 날

국제 해바라기 게릴라 가드닝의 날(The International Sunflower Guerrilla Gardening Dayeng)은 매년 5월 1일에 열리는 국제적인 게릴라 가드닝 행사이다. 이날 게릴라 가드너들은 이웃의 방치된 공공장소, 예를 들어 가로수 보호 경계, 화단, 길가의 버려진 땅 등에 해바라기를 심는다.[49]

이 행사는 2007년 벨기에의 수도 브뤼셀의 게릴라 가드너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브뤼셀 농부'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던 이들이 제안했으며, 행사 명칭은 Journée Internationale de la Guérilla Tournesolfra이라고 불렀다. 이 행사는 특히 관련 웹사이트(GuerrillaGardening.org)를 중심으로 전 세계 게릴라 가드너들의 호응을 얻었다.[50] 이후 매년 참가자가 늘어나 2010년에는 북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등지에서 5,000명 이상이 참여하기도 했다.[51]

비록 5월 1일은 북반구 일부 지역에서만 해바라기를 심기에 적합한 시기이지만, 다른 지역의 참가자들은 각자의 계절에 맞는 식물을 심으며 이날을 기념한다.

4. 2. 아담 퍼플의 에덴동산 (Adam Purple's Garden of Eden)

1984년 뉴욕 맨하탄 로어 이스트 사이드에 만들어진 아담 퍼플의 도시 정원


1970년대 중반부터 아담 퍼플은 맨해튼 로어 이스트 사이드의 버려진 땅에 음양을 닮은 모양의 원형 정원을 만들고 가꾸었다. 1986년, 이 정원은 여러 부지에 걸쳐 약 1393.55m2 규모[52]로 확장되었으나, 뉴욕 시 당국에 의해 불시에 불도저로 파괴되었다.[53][54][55] 단편 영화 "아담 퍼플과 에덴정원(Adam Purple and the Garden of Edeneng)"은 이 정원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56]

4. 3. 피플스 파크 (People's Park)

1960년대 후반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캘리포니아 대학 소유의 땅에 게릴라 가드닝 커뮤니티에 의해 만들어진 공원이다. 당시 대학 측은 해당 부지를 매입한 후 별다른 조치 없이 방치하여 황폐해진 상태였고, 이에 사람들이 직접 나서서 이곳을 공원으로 만들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공원 조성을 둘러싸고 지역 커뮤니티 구성원, 대학 당국, 대학 경비대, 당시 캘리포니아 주지사였던 레이건 행정부, 경찰 모두가 연관된 심각한 갈등이 발생했다. 격렬한 시위와 보복이 이어졌고, 이 과정에서 1명이 사망하고 수백 명이 중상을 입었다.

갈등 속에서 공원의 일부가 훼손되기도 했으나, 이후 재건되어 오늘날까지 공원으로 유지되며 도시의 일부로서 기능하고 있다.

4. 4. GuerrillaGardening.org (영국)

GuerrillaGardening.org[24]는 2004년 10월, 런던 엘리펀트 앤드 캐슬 지역의 시의회 건물인 페로넷 하우스 외부에서 리처드 레이놀즈가 혼자 게릴라 가드닝을 하면서 만든 블로그에서 시작되었다. 당시 그의 동기는 단순히 이웃을 아름답게 만들고 싶어 하는 좌절된 정원사의 마음이었지만, 그의 웹사이트는 런던 안팎의 다른 게릴라 가드너뿐만 아니라 전 세계 미디어의 관심을 끌었다.

레이놀즈의 게릴라 가드닝은 현재 런던 남부 곳곳으로 퍼져나갔고, 그의 활동 소식은 전 세계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어 참여를 유도했다. 그는 또한 지역과 여행을 다니는 다른 팀들과 함께 활동하기도 했으며, 리비아, 베를린, 몬트리올에서도 게릴라 가드닝을 진행했다.

GuerrillaGardening.org는 블로그에서 시작하여 팁과 포럼을 제공하는 더 광범위한 웹사이트로 발전했다[25] (하지만 이 기능은 사용이 중단되어 현재는 거의 비활성화된 상태이다). 그의 저서 『게릴라 가드닝에 관하여』(On Guerrilla Gardeningeng) [26]는 30개국에서 진행된 활동을 설명하고 논하며, 2008년 5월 영국과 미국에서 블룸스버리 출판사를 통해 출판되었고, 이후 2009년 독일, 2010년 프랑스, 2012년 대한민국에서도 출판되었다. 레이놀즈 본인은 현재 활동을 덜 하지만, 여전히 토트네스에서 아이들과 함께 게릴라 가드닝을 하고 있다.

4. 5. 대한민국

남자 어린이들의 게릴라 가드닝(인천광역시 송도-2014.9.2)


한국의 게릴라 가드닝 활동은 주로 개인[57], 봉사동아리[58] 및 인터넷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일부 활동의 경우 관공서의 지원을 받기도 하지만, 이는 게릴라 가드닝 본래의 자발적이고 저항적인 취지와 어울리지 않는다는 점에서 논란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 게릴라 가드닝은 그 특성상 외부에 잘 드러나지 않는 비조직적인 활동이 많아 실제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

서울시 등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 도시녹화를 주요 정책으로 다루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게릴라 가드닝의 사회적 역할은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적인 게릴라 가드닝 운동가 리처드 레이놀즈는 2012년 8월 11일 한국을 방문하여 TEDxItaewon 행사에 참석,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게릴라 가드닝에 대해 강연했다.[50][23] 그는 방한 당시 한국의 게릴라 가드닝 현황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이며 관련 정보를 수집해 가기도 했다.

5. 비판적 시각

게릴라 가드닝 활동은 긍정적인 취지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자신의 소유가 아닌 토지에 무단으로 식물을 심는 행위는 법에 저촉될 수 있으며[59], 실제로 과거에 이로 인해 체포된 사례도 존재한다.[59] 또한, 외래종 식물을 야외 환경에 심는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귀화 식물을 확산시켜 기존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59] 외래 생물로 인한 문제는 해당 생물이 광범위하게 정착하여 돌이키기 어려운 상태가 된 후에야 명확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59]

5. 1. 법적 문제

자신의 소유가 아닌 땅에 주인의 허락 없이 식물을 심는 행위는 현행법상 불법이며, 형사 및 민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이는 게릴라 가드닝 활동 시 가장 주의해야 할 점이다. 게릴라 가드너는 좋은 의도에서 시작했더라도, 자신의 행동이 다른 사람의 사유재산권을 침해하지 않도록 신중해야 한다.

의도적으로 외래종을 야생에 퍼뜨리는 행위는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외래 생물로 인한 문제는 해당 생물이 널리 퍼져 돌이키기 어려운 상태가 된 후에야 드러나는 경우가 많으며, 과거에는 대부분 의도치 않게 발생했다. 그러나 게릴라 가드닝은 의도적으로 다양한 씨앗을 여러 장소에 뿌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귀화 식물이 늘어날 가능성을 크게 높인다.

자신의 땅이 아닌 곳에 허가 없이 식물을 심는 것은 법에 어긋나는 행위이며, 이로 인해 과거 체포된 사례도 있다.

5. 2. 환경 문제

자신의 정원을 넘어 들이나 야생에 심어진 외래종 식물은 기존 생태계에 혼란을 줄 수 있다. 원래 의도적으로 외래종을 야외에 퍼뜨리는 행위 자체가 바람직하다고 보기 어렵다. 외래 생물이 일으키는 문제는 외래 생물이 광범위하게 정착하여 돌이킬 수 없는 상태가 된 후에야 명확해지는 경우가 많다. 게릴라 가드닝은 적극적이고 인위적으로 이를 행하며, 모든 장소에 다양한 종자를 뿌림으로써 귀화 식물을 늘릴 가능성을 현저히 높인다. 예방을 위해 번식력이 약하고 생태적 관점에서 무리가 없다고 판단된 흔한 식물이나 지역 고유의 식물을 심는 것이 바람직하다.

독성 폐기물 매립지나 차량 통행이 많은 도로가 근처에 식용 식물을 심거나 채집하는 것 역시 문제가 될 수 있다. 식물의 뿌리가 토양의 화학 유출물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독 식물은 독소가 있는 땅에서 자라는 경향이 있으며, 과학자들은 특정 식물이 토양으로부터 독소를 흡수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화학적 토양 오염을 줄이기도 한다. 그러나 게릴라 가드닝을 통해 공동체를 청결하게 만들려는 시도라 할지라도, 독소를 흡수한 식물을 먹으면 신체에 독소가 축적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도시에서 산나물을 캐는 채집자 또한 화학 오염이나 수질 오염 지역에서 자라는 식물을 채집하여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특히 교통량이 많은 도로가에서 자라는 식물은 자동차 배기가스에 포함된 중금속에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식용 목적으로 이용해서는 안 된다.[59]

또한, 자신의 소유가 아닌 토지에 무단으로 식물을 심는 행위는 법에 저촉될 수 있으며, 과거에 이로 인해 체포된 사례도 있다.

5. 3. 기타 문제

독성 폐기물 매립지나 차량 통행이 많은 도로 근처에서 식용 식물을 기르거나 채집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식물의 뿌리가 토양에 스며든 화학 물질이나 유출물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독성 물질이 있는 땅에서 잘 자라는 식물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과학자들은 특정 식물이 토양의 독소를 흡수하면서도 죽지 않는 성질을 이용하여 화학적 토양 오염을 줄이는 연구를 하기도 한다. 게릴라 가드닝이 공동체 환경 개선에 기여할 수 있지만, 이러한 활동 과정에서 독소에 오염된 식물을 섭취하면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축적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59] 도시에서 산나물을 채취하는 경우에도 비슷한 건강상의 위험이 따르는데, 화학 물질이나 수질 오염이 우려되는 지역에서 자란 식물은 섭취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특히 교통량이 많은 도로변에서 자라는 식물은 자동차 배기가스에 포함된 중금속에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식용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59]

또한, 의도적으로 외래종 식물을 야외에 퍼뜨리는 행위는 생태계 교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외래 생물로 인한 문제는 해당 생물이 광범위하게 정착하여 되돌리기 어려운 상태가 된 후에야 명확하게 드러나는 경우가 많다. 과거에는 이러한 일들이 대부분 우발적으로 발생했지만, 게릴라 가드닝은 적극적이고 인위적으로 다양한 종자를 여러 장소에 뿌림으로써 귀화 식물의 확산 가능성을 현저히 높인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자신의 소유가 아닌 토지에 무단으로 식물을 심는 행위는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실제로 이로 인해 과거에 체포된 사례도 존재한다.

참조

[1] 서적 The SAGE Encyclopedia of Food Issues SAGE Publications 2015
[2] 서적 Avant Gardening: Ecological Struggle in The City and The World Autonomedia 1999
[3] 서적 On Guerrilla Gardening: A Handbook For Gardening Without Boundaries Bloomsbury 2008
[4] 웹사이트 Index http://www.guerrilla[...] guerrillagardening.org 2013-06-12
[5] 웹사이트 "On the verge of a revolution'', Sydney Morning Herald, 20 February 2008" http://www.smh.com.a[...] Smh.com.au 2008-02-20
[6] 서적 On Guerrilla Gardening: A Handbook for Gardening without Boundari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14-07-31
[7] 뉴스 Gardening guerrilla's in our midst The Age 2008-12-10
[8] 웹사이트 Arbutus Corridor https://www.vancouve[...] 2019-09-08
[9] 웹사이트 Canadian Pacific Railway Co. v. Vancouver (City) - SCC Cases (Lexum) https://scc-csc.lexu[...] 2001-01
[10] 웹사이트 Vancouver buys Arbutus corridor for urban greenway, ending dispute with CP Rail http://www.vancouver[...]
[11] 웹사이트 Arbutus Greenway: Exclusion, the Crème de la Crème, and Getting Things Done https://pricetags.ca[...] 2016-09-08
[12] 뉴스 Guerrilla Gardeners Transform Park https://www.niagarat[...] 2014-06-12
[13] 뉴스 Canal Side Park Gets Spring Makeover http://www.wellandtr[...] 2017-04-09
[14] 뉴스 Art to Take Over Guerrilla Garden http://www.wellandtr[...] 2015-05-21
[15] 웹사이트 Nørrebro oase ofres http://www.informati[...] 2000-06-15
[16] 웹사이트 Villi Vyöhyke ry http://villivyohyke.[...]
[17] 웹사이트 Sissiniittyjä kylvävät miehet rakastavat luonnonkukkia: "Tämä on halpa harrastus, kerää vähän siemeniä ja viskoo sinne" https://yle.fi/uutis[...] Yle 2019-06-25
[18] 웹사이트 "10 ExhibitionsWLGNR {{!}} Art New Zealand" https://art-newzeala[...] 2022-12-20
[19] 웹사이트 The Artists' Co-op: Barry Thomas; Eva Yuen; Ian Hunter; Ross Boyd; Terry Handscombe; Robin White http://www.art-newze[...] Art New Zealand (Winter, 1978)
[20] 서적 Wellington: A City For Sculpture https://books.google[...] Victoria University Press, 2007. 2007
[21] 웹사이트 "'Vacant lot of cabbages' documentation enters Te Papa's archives" http://blog.tepapa.g[...] Te Papa, Museum of New Zealand 2012-11-02
[22] 웹사이트 Grab a Spade and Get Digging! An Interview with Witold Szwedkowski https://przekroj.pl/[...] 2021-03-23
[23] Youtube Guerrilla gardening -- why people garden without boundaries: Richard Reynolds at TEDxItaewon https://www.youtube.[...] YouTube
[24] 웹사이트 The Guerrilla Gardening Home Page http://www.Guerrilla[...] Guerrillagardening.org
[25] 웹사이트 Community http://guerrillagard[...] Guerrillagardening.org
[26] 웹사이트 On Guerrilla Gardening http://www.onguerril[...] On Guerrilla Gardening
[27] 웹사이트 Leaf Street Community Garden http://www.foodfutur[...]
[28] 간행물 The Farm by the Freewa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2
[29] 뉴스 Bonnie Sherk, Landscape Artist Full of Surprises, Dies at 76 https://www.nytimes.[...] 2021-11-19
[30] 웹사이트 In SF, art still thrives -- and celebrates its history -- at The Farm http://missionlocal.[...] 2017-11-09
[31] 뉴스 Guerrilla gardener movement takes root in L.A. area http://www.latimes.c[...] 2008-05-29
[32] 웹사이트 Guerrilla Gardeners https://www.kcet.org[...] 2009
[33] 웹사이트 Greenaid http://www.thecommon[...]
[34] 뉴스 The veggie king of South Central http://www.losangele[...] 2014-05-13
[35] 간행물 Food is MAD http://www.bbc.co.uk[...] BBC 2014-09-21
[36] 뉴스 'Guerrilla gardens' take root across Twin Cities https://www.startrib[...] 2021-07-07
[37] 웹사이트 A/N Blog . Video> Exhibition Recalls NY′s Lost Garden of Eden https://web.archive.[...] Blog.archpaper.com 2013-06-12
[38] 웹사이트 The Garden of Eden: An Environmental "Radical Transformation" http://www.zentences[...] Zentences.com 2013-06-12
[39] 뉴스 Adam Purple's Last Stand https://www.nytimes.[...] 2017-02-16
[40] 뉴스 Adam Purple, Eccentric Environmentalist and Gardener in New York, Dies at 84 https://www.nytimes.[...] 2015-09-16
[41] 웹사이트 Downtown Cleveland Guerilla Gardeners Exposed! https://www.clevesce[...] 2022-05-29
[42] Tweet And the #VictoryGarden is no more 🥲🥲. I never thought I’d miss a hole in the sidewalk so much @jackbranca
[43] 서적 Avant Gardening: Ecological Struggle in The City and The World Autonomedia 1999
[44] 웹인용 종교학대사전 https://terms.naver.[...] 한국사전연구사 2014-09-06
[45] 서적 욕망하는 식물 황소자리 2007-06-25
[46] 서적 On Guerilla Gardening: A Handbook For Gardening Without Boundaries Bloomsbury 2008
[47] 웹인용 Index http://www.guerrilla[...] guerrillagardening.org 2013-06-12
[48] 웹인용 ''On the verge of a revolution'', Sydney Morning Herald, 20 February 2008 http://www.smh.com.a[...] Smh.com.au 2013-06-12
[49] 웹인용 Brussels Farmer: avril 2007 https://web.archive.[...] 2014-09-06
[50] 웹인용 Guerrilla gardening-why people garden without boundaries: Richard Reynolds at TEDxItaewon https://www.youtube.[...] YouTube 2014-09-06
[51] 웹인용 GGTV International Sunflower Guerilla Gardening Day Video Tutorial https://www.youtube.[...] Youtube 2014-09-06
[52] 문서 1feet = 0.3048m // 1sf = 0.3048m * 0.3048m = 0.0929m² // 15,000sf * 0.0929m² = 1393.5m²
[53] 웹인용 A/N Blog . Video> Exhibition Recalls NY′s Lost Garden of Eden https://web.archive.[...] Blog.archpaper.com 2013-06-12
[54] 웹인용 The Garden of Eden: An Environmental "Radical Transformation" http://www.zentences[...] Zentences.com 2013-06-12
[55] 뉴스 Adam Purple's Last Stand http://www.nytimes.c[...] 1998-02-22
[56] 웹인용 Adam Purple and The Garden of Eden https://www.youtube.[...] YouTube 2014-09-06
[57] 웹인용 Index http://blog.naver.co[...] 네이버블로그 깊은평화 2014-09-06
[58] 웹인용 Index http://imnews.imbc.c[...] MBC 2014-09-06
[59] 뉴스 식약처, 도심 도로변·하천 봄나물 중금속 오염 ‘주의’" http://ytnscience.co[...] YTN 2014-09-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