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오르크 에른스트 슈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오르크 에른스트 슈탈(Georg Ernst Stahl, 1659–1734)은 독일의 화학자이자 의사로, 플로지스톤 설을 제창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예나 대학교에서 의학 학위를 받았으며, 할레 대학교에서 의학 학장과 프로이센 왕의 주치의를 역임했다. 슈탈은 연소 현상을 설명하는 플로지스톤 설을 통해 화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생기론을 주장하며 의학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했다. 그는 또한 발효에 대한 독창적인 견해를 제시했으며, 저서로는 《Zymotechnia fundamentalis》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기론자 -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
옌스 야코브 베르셀리우스는 스웨덴의 화학자로, 세륨과 셀레늄을 발견하고 규소 등을 분리했으며, 화학 용어 도입 및 근대적 원소 표기법 확립, 원자량 개념 발전에 기여하여 '근대 화학의 아버지' 중 한 명으로 불린다. - 생기론자 - 앙리 베르그손
앙리 베르그손은 20세기 과정철학의 선구자로서 '지속' 개념으로 형이상학을 비판하고 '생기' 개념으로 기계론적 세계관에 도전했으며, 의식, 기억, 진화, 도덕, 종교 등을 탐구한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1927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서 후대 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1659년 출생 - 희빈 장씨
희빈 장씨는 조선 숙종의 총애를 받은 후궁이자 경종의 생모로, 뛰어난 미모와 숙종 시대의 당쟁 속에서 왕비까지 올랐으나, 결국 사약을 받고 죽음을 맞이한 비극적인 인물이다. - 1659년 출생 - 민진후
민진후는 조선 후기 문신으로, 인현왕후의 오빠이자 문과 급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충청도관찰사로 민생 안정에 힘썼으며, 소론의 탄핵으로 귀양을 갔다가 동지사로 청나라에 다녀온 후 경종 묘정에 배향되고 충문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683년 사망 - 마리테레즈 도트리슈
스페인 공주 마리 테레즈 도트리슈는 루이 14세와 결혼하여 프랑스 왕비가 되었으나 궁정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종교적인 삶을 살았으며, 그녀의 지참금 미지급 문제는 후일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 1683년 사망 - 심익현
심익현은 조선 효종의 부마이자 청평도위로, 현종과 숙종 시대에 사신으로 활약하며 외교에 기여했고, 오행설에 밝았으며 문장과 글씨에도 능했던 인물이다.
게오르크 에른스트 슈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게오르크 에른스트 슈탈 |
출생일 | 1659년 10월 22일 |
출생지 | 신성 로마 제국 안스바흐 |
사망일 | 1734년 5월 24일 |
사망지 | 신성 로마 제국 베를린 |
국적 | 독일 |
학문 분야 | |
분야 | 화학 |
연구 기관 | 할레 대학교 |
출신 대학 | 예나 대학교 |
지도 학생 | 나타나엘 젠델 |
주요 업적 | 플로지스톤설 |
영향 | 요한 베히어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Gottlieb, B.J. (1942). "Vitalistisches Denken in Deutschland im Anschluss an Georg Ernst Stahl". Klinische Wochenschrift. 21 (20): 445–448. |
2. 생애
1659년 안스바흐에서 태어난 슈탈은 예나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하고 1683년 졸업했다. 1687년 작센-바이마르 공작 요한 에른스트 3세의 주치의가 되었으며, 1694년부터 1716년까지 할레 대학교에서 의학 학장 자리를 맡았다. 이후 베를린에서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의 주치의가 되었다.
그는 두 번 결혼했으나 두 아내 모두 산욕열로 사망했고, 자녀 중 일부도 어린 나이에 사망하는 아픔을 겪었다. 이러한 개인적인 비극에도 불구하고 연구와 저술 활동을 계속했지만, 말년에는 우울증에 시달렸다고 알려져 있다. 1734년 베를린에서 사망하였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게오르크 에른스트 슈탈은 1659년 10월 21일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 안스바흐의 성 요한 교구에서 태어났다.[4] 그의 아버지는 요한 로렌츠 슈탈(1620–1698)이었다.[4] 그는 루터교 목사의 아들로 태어나 매우 경건하고 종교적인 경건주의 가정에서 성장했다.[3]어린 시절부터 그는 화학에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15세가 되기도 전에 화학에 관한 대학교 강의 노트를 섭렵했고, 결국 요한 쿤켈의 어려운 논문을 마스터했다.[3] 그의 화학에 대한 관심은 의학 교수 야코프 바르너와 화학자 요한 쿤켈 폰 뢰벤슈테른의 영향 때문이었다.
1670년대 후반, 슈탈은 예나로 이주하여 예나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했다. 1683년경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이후 같은 대학교에서 가르치게 되었다. 대학교에서 가르친 그의 명성이 높아 1687년에는 작센-바이마르의 요한 에른스트 공작의 개인 주치의로 고용되었다.[5]
2. 2. 경력
슈탈은 1683년 예나 대학교에서 의학 학위를 받았다.[4] 1687년 작센-바이마르 공작 요한 에른스트 3세의 주치의가 되었다.[4] 1694년부터 1716년까지 할레 대학교에서 의학 학장 자리를 맡았다.[4] 그 후 베를린에서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의 주치의가 되었다.[2]슈탈은 예나 대학교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받은 후 같은 대학교에서 가르쳤는데, 그의 명성이 높아 1687년에는 작센-바이마르의 요한 에른스트 공작의 개인 주치의로 고용되었다.[5] 1693년에는 옛 대학 친구인 프리드리히 호프만과 함께 할레 대학교에 합류했다.[5] 1715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그는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국왕의 주치의이자 고문이었으며, 베를린 의학 위원회를 담당했다.[2]
2. 3. 개인사
슈탈은 1660년 안스바흐에서 태어났다.[3] 루터교 목사의 아들로 자란 그는 매우 경건하고 종교적인 가정에서 성장했다.[3] 어린 시절부터 그는 화학에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15세가 되기도 전에 화학에 관한 대학교 강의 노트를 섭렵했고, 결국 요한 쿤켈의 어려운 논문을 마스터했다.[3] 그는 예나 대학교에서 의학을 공부했고 1683년에 졸업했다. 1687년에는 작센-바이마르 공작 요한 에른스트 3세의 주치의가 되었다.[4] 1694년부터 1716년까지 그는 할레 대학교에서 의학 학장 자리를 맡았고, 그 후 베를린에서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의 주치의가 되었다.[2]그는 세 번 결혼했다. 그의 첫 번째 부인은 카타리나 마가레타 미쿨친(1668–1696)이었다. 첫 번째 부인이 사망한 후, 그는 1705년 2월 12일 할레(잘레) 선제후 브란덴부르크 세무 위원회 위원인 요한 크리스티안 텐첼의 딸 바르바라 엘레오노라 텐첼(1686–1706)과 결혼했다. 두 번째 부인이 사망한 후, 그는 1711년 2월 26일 할레 시 의사 볼프강 크리스토프 베제너의 딸 레기나 엘리자베스 베제너(1683–1730)와 결혼했다. 그는 두 명의 아내를 두었는데, 두 사람 모두 1696년과 1706년에 산욕열로 사망했다.
그는 여덟 명의 자녀를 두었다.[3]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요한 아우구스트 슈탈 | 1694년 | ||
크리스티나 카타리나 소피아 슈탈 | 1696년 | ||
엘레오노라 슈탈 | 1706년 | 1708년 | |
레기나 에르네스티나 | 1712년 | 요한 아우구스트 아렌즈 (1702–1747)와 결혼 | |
게오르크 에른스트 슈탈 데어 융거|게오르크 에른스트 슈탈 주니어de | 1713년 | 1772년 | 1741년 요한나 엘리자베스 슈라더(1725–1763)와 결혼하여 아홉 명의 자녀를 두었다. |
요한 크리스토프 슈탈 | 1714년 | ||
카타리나 샬로타 루이사 슈탈 | 1717년 | 1784년 | 1735년 요한 사무엘 프리드리히 폰 뵈머|요한 사무엘 프리드리히 폰 뵈머de(1704–1772)와 결혼하여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폰 뵈머|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폰 뵈머de(1739–1797)를 포함한 열 명의 자녀를 두었다. |
소피아 로시나 슈탈 | 1740년 베를린의 호프크리미날라트와 포스트라트인 요한 게오르크 부흐홀츠 (1714–1771)와 결혼. |
슈탈은 요한 요아힘 베커와 함께 플로지스톤설의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유명하다. 또한 150년 후 유스투스 폰 리비히가 주장한 발효 이론과 유사한 견해를 주장하기도 하였다. 의학에서는 물질주의를 주장한 헤르만 부르하버나 프리드리히 호프만과는 달리 물활론적 체계를 주장하였다.[6]
그는 두 아내와 아이들의 죽음 이후에도 계속 연구하고 출판했지만, 종종 제자들에게 매우 냉담했고, 1734년 74세의 나이로 사망할 때까지 깊은 우울증에 빠졌다.[3]
3. 의학 이론
슈탈은 생명체와 무생물 사이의 구분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는 의학 기계론자들의 견해를 지지하지 않았지만, 모든 무생물은 기계적이며, 생명체도 어느 정도는 기계적이라고 믿었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무생물은 시간이 지나도 안정적이며 빠르게 변하지 않는다. 반면에, 생명체는 변화하기 쉽고 분해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는 슈탈이 발효 연구를 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그의 견해는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와 주고받은 편지에서 비판을 받았으며, 이 내용은 나중에 ''Negotium otiosum seu σκιαμαχία'' (1720)라는 책으로 출판되었다.[7][8] 18세기 초, 슈탈의 신체 비물질적 부분에 대한 생각은 무시되었지만, 신체에 대한 그의 기계론적 아이디어는 보어하브와 호프만의 저술에서 받아들여졌다.[9]
3. 1. 아니마와 강장 운동
슈탈은 물활론적 체계를 주장하였는데, 이는 생명체의 분해를 지연시키는 작용제가 있으며, 그 작용제는 살아있는 유기체의 ''anima'' 또는 영혼이라고 주장했다. ''anima''는 신체에서 일어나는 모든 물리적 과정을 제어하는데, 이는 단순히 기계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그 과정의 방향과 목표까지도 제어한다. 'anima'가 이러한 과정을 제어하는 방법은 운동을 통해서이며, 신체의 세 가지 중요한 운동으로 혈액 순환, 배설 및 분비를 꼽았다.
이러한 믿음은 그의 의학관에 반영되었다. 그는 의학이 신체의 특정 부분보다는 신체 전체와 그 ''anima''를 다루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신체의 구체적인 기계적 부분에 대한 지식은 그다지 유용하지 않다고 보았다.
의사로서 슈탈은 환자들과 함께 일하며 혼, 즉 ''아니마''와 혈액 순환, 그리고 강장 운동에 집중했다. ''아니마''는 제대로 작동할 때 피험자를 건강하게 해주는 생명력과 같은 것이었다. 하지만 ''아니마''의 오작동이 발생하면 질병도 발생했다. 슈탈에게 강장 운동은 신체 조직의 수축과 이완 운동을 포함하며, 이는 세 가지 주요 목적을 수행했다. 강장 운동은 동물이 어떻게 열을 발생시키고 열병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슈탈은 1692년 논문 ''De motu tonico vitali''(생명 강장 운동에 관하여)에서 윌리엄 하비의 혈류 및 순환 이론을 인용하지 않고, 강장 운동에 대한 자신의 이론과 그것이 피험자 내 혈류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설명했다. 또한 이 논문에는 '실무자'들이 그의 강장 운동 이론의 사용자로 언급되어 있다.
슈탈의 ''강장 운동'' 이론은 순환계의 근육 긴장도에 관한 것이었다. 할레에서 일하는 동안 슈탈은 두통과 코피를 경험하는 환자들을 관찰했다. 강장 운동은 신체의 일부가 막히거나, 부상을 입거나, 부어오를 때 혈액이 흐를 자연적이거나 인위적인 경로가 필요하다는 점을 통해 이러한 현상을 설명했다. 슈탈은 또한 월경에 대한 실험을 진행했으며, 신체의 상부에서 사혈을 하면 월경 기간 동안의 출혈을 완화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다음 월경 기간 동안 상처 부위에서 통증과 부기가 나타났는데, 이는 발에 상처를 내는 것으로만 완화되었다. 그는 또한 무월경 치료법으로 이 절차를 따랐다.[10]
3. 2. 의학관
슈탈은 요한 요아힘 베커와 함께 플로지스톤설의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유명하다. 또한 그는 150년 후 유스투스 폰 리비히가 주장한 발효 이론과 유사한 견해를 주장하기도 하였다. 의학에서는 물질주의를 주장한 헤르만 부르하버나 프리드리히 호프만과는 달리 물활론적 체계를 주장하였다.[6]
슈탈은 생명체와 무생물 사이의 구분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는 의학 기계론자들의 견해를 지지하지 않았지만, 모든 무생물은 기계적이며, 생명체도 어느 정도는 기계적이라고 믿었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무생물은 시간이 지나도 안정적이며 빠르게 변하지 않는다. 반면에, 생명체는 변화하기 쉽고 분해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는 슈탈이 발효 연구를 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슈탈은 생기론적 시스템을 옹호했는데, 이는 헤르만 보어하브와 프리드리히 호프만의 유물론에 반대되는 입장이었다. 그는 생명체에 대한 주요 주장에서, 생명체의 분해를 지연시키는 작용제가 있으며, 그 작용제는 살아있는 유기체의 ''anima'' 또는 영혼이라고 주장했다. ''anima''는 신체에서 일어나는 모든 물리적 과정을 제어한다. 이는 단순히 기계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그 과정의 방향과 목표까지도 제어한다. 'anima'가 이러한 과정을 제어하는 방법은 운동을 통해서이다. 그는 신체의 세 가지 중요한 운동으로 혈액 순환, 배설 및 분비를 꼽았다.
이러한 믿음은 그의 의학관에 반영되었다. 그는 의학이 신체의 특정 부분보다는 신체 전체와 그 ''anima''를 다루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신체의 구체적인 기계적 부분에 대한 지식은 그다지 유용하지 않다고 보았다. 그의 견해는 편지를 주고받았던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에 의해 비판을 받았으며, 이는 나중에 ''Negotium otiosum seu σκιαμαχία'' (1720)라는 책으로 출판되었다.[7][8] 18세기 초, 슈탈의 신체 비물질적 부분에 대한 생각은 무시되었지만, 신체에 대한 그의 기계론적 아이디어는 보어하브와 호프만의 저술에서 받아들여졌다.[9]
의사로서 슈탈은 환자들과 함께 일하며 혼, 즉 ''아니마''와 혈액 순환, 그리고 강장 운동에 집중했다. ''아니마''는 제대로 작동할 때 피험자를 건강하게 해주는 생명력과 같은 것이었다. 하지만 ''아니마''의 오작동이 발생하면 질병도 발생했다. 슈탈에게 강장 운동은 신체 조직의 수축과 이완 운동을 포함하며, 이는 세 가지 주요 목적을 수행했다. 강장 운동은 동물이 어떻게 열을 발생시키고 열병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슈탈은 1692년 논문 ''De motu tonico vitali''(생명 강장 운동에 관하여)에서 불규칙한 혈류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지 않았던 윌리엄 하비의 혈류 및 순환 이론을 인용하지 않고, 강장 운동에 대한 자신의 이론과 그것이 피험자 내 혈류와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설명했다. 또한 이 논문에는 '실무자'들이 그의 강장 운동 이론의 사용자로 언급되어 있다.
슈탈의 ''강장 운동'' 이론은 순환계의 근육 긴장도에 관한 것이었다. 할레에서 일하는 동안 슈탈은 두통과 코피를 경험하는 환자들을 관찰했다. 강장 운동은 신체의 일부가 막히거나, 부상을 입거나, 부어오를 때 혈액이 흐를 자연적이거나 인위적인 경로가 필요하다는 점을 통해 이러한 현상을 설명했다. 슈탈은 또한 월경에 대한 실험을 진행했으며, 신체의 상부에서 사혈을 하면 월경 기간 동안의 출혈을 완화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다음 월경 기간 동안 상처 부위에서 통증과 부기가 나타났는데, 이는 발에 상처를 내는 것으로만 완화되었다. 그는 또한 무월경 치료법으로 이 절차를 따랐다.[10]
4. 화학 이론
슈탈은 할레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화학 분야에서 큰 업적을 남겼다. 그는 의학과 마찬가지로 화학을 기계론적 관점으로만 설명할 수 없다고 보았다. 비록 원자의 존재는 믿었지만, 원자 이론만으로는 화학 반응을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는 원자들이 개별적으로 존재하기보다는 결합하여 원소를 이룬다고 보았으며, 화학을 설명할 때 경험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Zymotechnia fundamentalis sive fermentalionis theoria generalis''(1697), ''Specimen Becherianum''(1702), ''Experimenta, observationes, aniniadversiones ... chymicae et physicae''(1731) 등이 있다.
4. 1. 플로지스톤설
슈탈은 요한 요아힘 베커와 함께 플로지스톤설의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요한 요아힘 베커의 연구를 활용하여 화학 현상에 대한 설명을 제시했는데, 그중 주요 이론이 바로 플로지스톤 이론이었다.[11] 베허에 따르면, ''테라 핑기스''는 연소 반응 중에 빠져나가는 물질이었다.[11] 슈탈은 베허의 연구에 영향을 받아 플로지스톤 이론을 발전시켰다.슈탈은 금속이 석회(재)와 플로지스톤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금속을 가열하면 플로지스톤이 빠져나가고 물질 내에 석회만 남는다고 주장했다. 플로지스톤 이론은 당시 학문 분야에서 최초의 통일 이론 중 하나로, 다양한 화학 현상에 대한 설명을 제공했으며, 당시 화학자들이 이 이론을 바탕으로 더 많은 주제를 합리적으로 탐구하도록 장려했다. 이 이론은 나중에 앙투안 라부아지에의 산화 및 열량 이론으로 대체되었다.
슈탈의 플로지스톤 이론은 연금술과 화학 사이의 과도기로 여겨진다. 또한, 슈탈은 1697년 출판된 ''Zymotechnia fundamentalis''에서 유해한 ''carbonarii halitus'' (탄소 증기)로서 일산화 탄소를 처음으로 기술한 사람 중 한 명으로 인정받고 있다.[12]
모든 가연성 물질에는 "연소하는 흙"이라는 원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연소는 이것이 다른 물질과 분리되는 현상이라고 주장했는데, 이것은 요한 베허의 주장을 발전시킨 것이다. 플로지스톤 설은 후에 앙투안 라부아지에가 틀렸다는 것을 증명했다.
4. 2. 발효 이론
슈탈은 요한 요아힘 베커와 함께 플로지스톤설의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유명하며, 150년 후 유스투스 폰 리비히가 주장한 발효 이론과 유사한 견해를 주장하기도 하였다.[11] 그는 발효에 대한 견해를 제시했는데, 이는 1세기 반 후에 유스투스 폰 리비히가 지지한 견해와 유사한 부분이 있었다.슈탈은 1697년 출판된 ''Zymotechnia fundamentalis''에서 유해한 ''carbonarii halitus'' (탄소 증기)로서 일산화 탄소를 처음으로 기술한 사람 중 한 명으로 인정받고 있다.[12] 또한, 발효에 관해서는 약 1세기 반 후 유스투스 폰 리비히가 전개한 것과 유사한 설을 주장했다. 그의 저작 중 중요한 것으로 플로지스톤 설을 전개한 ''Zymotechnia fundamentalis sive fermentalionis theoria generalis'' (1697)가 있다.
4. 3. 일산화 탄소 연구
게오르크 에른스트 슈탈은 1697년에 출판된 ''Zymotechnia fundamentalis''에서 유해한 ''carbonarii halitus''(탄소 증기)로 일산화 탄소를 처음으로 기술한 사람 중 한 명으로 인정받고 있다.[12]5. 가족
게오르크 에른스트 슈탈은 세 번 결혼했다. 첫 번째 부인은 카타리나 마가레타 미쿨친(1668–1696)이었다. 첫 번째 부인이 사망한 후, 1705년 2월 12일 할레(잘레) 선제후 브란덴부르크 세무 위원회 위원인 요한 크리스티안 텐첼의 딸 바르바라 엘레오노라 텐첼(1686–1706)과 결혼했다. 두 번째 부인이 사망한 후, 1711년 2월 26일 할레 시 의사 볼프강 크리스토프 베제너의 딸 레기나 엘리자베스 베제너(1683–1730)와 결혼했다.[3] 그는 두 명의 아내를 두었는데, 두 사람 모두 1696년과 1706년에 산욕열로 사망했다.
그는 여덟 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름 | 출생/사망 | 기타 |
---|---|---|
요한 아우구스트 슈탈 | 1694년 출생 | |
크리스티나 카타리나 소피아 슈탈 | 1696년 출생 | |
엘레오노라 슈탈 | 1706년–1708년 | |
레기나 에르네스티나 | 1712년 출생 | 요한 아우구스트 아렌즈 (1702–1747)와 결혼 |
게오르크 에른스트 슈탈 데어 융거|게오르크 에른스트 슈탈 주니어de | 1713년–1772년 | 1741년 약사 요한 크리스토프 슈라더|dede(1683–1744)의 딸 요한나 엘리자베스 슈라더(1725–1763)와 결혼하여 아홉 명의 자녀를 둠 |
요한 크리스토프 슈탈 | 1714년 출생 | |
카타리나 샬로타 루이사 슈탈 | 1717년–1784년 | 1735년 프로이센 왕립 궁정 고문관이자 대학교수인 요한 사무엘 프리드리히 폰 뵈머|dede(1704–1772)와 결혼하여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폰 뵈머|dede(1739–1797)를 포함한 열 명의 자녀를 둠 |
소피아 로시나 슈탈 | 1740년 베를린의 호프크리미날라트와 포스트라트인 요한 게오르크 부흐홀츠 (1714–1771)와 결혼 |
6. 저서
- ''Zymotechnia fundamentalis'' (1697)
- ''De lumbricis terrestribus eorumque usu medico'' (1698)
- ''Disquisitio de mechanismi et organismi diversitate'' (1706)
- ''Paraenesis, ad aliena a medica doctrine arcendum'' (1706)
- ''De vera diversitate corporis mixti et vivi'' (1706)
- ''Theoria medica vera'' (1708)
- ''De lapide manati'' (1710)
- ''Georgii Ernesti Stahlii opusculum chymico-physico-medicum : seu schediasmatum, a pluribus annis variis occasionibus in publicum emissorum nunc quadantenus etiam auctorum et deficientibus passim exemplaribus in unum volumen iam collectorum, fasciculus publicae luci redditus / Praemißa praefationis loco authoris epistola ad Michaelem Alberti'' (1715) 뒤셀도르프 대학교 및 주립 도서관 [http://nbn-resolving.de/urn:nbn:de:hbz:061:2-9876 디지털 버전]
- ''Specimen Beccherianum'' (1718)[2]
- ''[https://archive.org/details/philosophicalpr00shawgoog 보편 화학의 철학적 원리]'' (1730), 번역: Peter Shaw, 출처: Open Library.
- ''Experimenta, observationes, animadversiones, 300. numero, chymicae et physicae'' (1731)
- ''Materia medica : das ist: Zubereitung, Krafft und Würckung, derer sonderlich durch chymische Kunst erfundenen Artzneyen'' (1744), 1 & 2권 [http://nbn-resolving.de/urn:nbn:de:hbz:061:2-26319 디지털 버전] 뒤셀도르프 대학교 및 주립 도서관
- ''Fundamenta chymiae'' (1746)
- ''Fundamenta chymiae'' (1747)
- ''The Leibniz-Stahl Controversy'' (2016), 번역 및 편집: F. Duchesneau 및 J. H. Smith, 예일 대학교 출판부 (536쪽)

참조
[1]
논문
Vitalistisches Denken in Deutschland im Anschluss an Georg Ernst Stahl
[2]
서적
Stahl, Georg Ernst
Cengage Learning
2008
[3]
논문
Adreßbuch Deutscher Chemiker 1953/54. Gemeinsam herausgegeben von Gesellschaft Deutscher Chemiker und Verlag Chemie, Weinheim/Bergstraße. Verlag Chemie GmbH. (1953). 450 S.
1954
[4]
웹사이트
Georg Ernst Stahl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3
[5]
서적
Georg Ernst Stahl
1999
[6]
문서
Hoffmann and Stahl. Documents and Reflections on the Dispute.
2007
[7]
웹인용
The Controversy Between Leibniz and Stahl on the Theory of Chemistry
https://web.archive.[...]
2012-04-25
[8]
서적
The Leibniz-Stahl Controversy
Yale UP
2016
[9]
서적
Stahl, Georg Ernst (1660–1734)
Macmillan Reference USA
2006
[10]
논문
Motus Tonicus: Georg Ernst Stahl's Formulation of Tonic Motion and Early Modern Medical Thought
https://muse.jhu.edu[...]
2016-04-20
[11]
서적
The History of Chemistry
The Macmillan Press
1992
[12]
논문
A brief history of carbon monoxide and its therapeutic origins
https://linkinghub.e[...]
202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