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일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일사우루스는 약 2억 5천만 년 전 트라이아스기에 살았던 멸종된 키노돈트의 일종이다. 남아프리카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다른 키노돈트와 달리 뻗은 자세를 가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게일사우루스는 가냘픈 형태와 튼튼한 형태의 두 가지 변형이 존재하며, 두개골은 넓고 낮으며, 12cm까지 자랐다. 최초의 화석은 1859년 리처드 오웬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한때 공룡으로 오인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키노돈트로 분류된다. 게일사우루스는 에피키노돈티아에 속하며, 트리낙소돈과 비교 연구가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9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콤프소그나투스
콤프소그나투스는 후기 쥐라기에 살았던 작은 육식 공룡으로, 독일과 프랑스에서 발견된 완전한 골격 화석을 통해 알려져 있으며, 깃털 유무, 식성, 조류와의 관계로 논쟁이 있었고 쥬라기 공원에 등장하며 인기를 얻었다. - 1859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메갈라니아
메갈라니아는 플라이스토세 시대 오스트레일리아에 서식했던 몸길이 5.5m, 몸무게 575kg 이상으로 추정되는 거대한 왕도마뱀으로, 거대 유대류를 사냥했으며 독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고, 멸종 원인은 불분명하지만 환경 변화와 인류 활동의 영향으로 추정되며 원주민 전승에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 - 상키노돈트류 - 트리낙소돈
트리낙소돈은 약 50cm 크기의 털로 덮인 작은 수수류로, 육식에 적합한 이빨을 가지고 곤충, 작은 초식동물 등을 먹었으며, 포유류 진화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화석이다. - 상키노돈트류 - 게일사우루스과
게일사우루스과는 상키노돈트 중 가장 원시적인 키노돈트 무리이며, 2차 구개, 넓은 치아, 큰 측두창과 넓은 주둥이를 가진 것이 특징이고 다른 키노돈트처럼 직립보행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 - 리처드 오언이 명명한 분류군 - 극어류
극어류는 멸종된 어류의 한 무리로, 가시 상어라고도 불리며 실루리아기부터 페름기까지 번성했고, 비늘 장식으로 퇴적암 연대 추정에 사용되었으며, 연골어류에 속한다. - 리처드 오언이 명명한 분류군 - 악어
악어는 넓고 납작한 몸, 긴 주둥이, 짧은 목, 납작한 꼬리를 가진 파충류로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서식하며 강력한 턱과 이빨로 다양한 먹이를 포식하고 인간과 연관이 깊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게일사우루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학명 | Galesaurus |
명명자 | Owen, 1859 |
모식종 | Galesaurus planiceps |
모식종 명명자 | Owen, 1859 |
생물학적 분류 | |
역 | 진핵생물역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아문 | 척추동물아문 |
상강 | 사지상강 |
강 | 단궁강 |
목 | 수궁목 |
아목 | 키노돈아목 |
과 | †게일사우루스과 |
속 | †게일사우루스속 |
시대 | |
화석 범위 | 인두안절-올레네크절 ~ |
이미지 | |
![]() | |
추가 정보 | |
참고 자료 | Galesaurus Triassic Dinosauria |
2. 특징
게일사우루스는 중간 크기의 키노돈트로, 다 자란 개체의 몸길이는 약 75cm에서 80cm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1] 다른 키노돈트와 달리 게일사우루스과의 전형적인 특징인 뻗은 자세를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11] 연구 결과, 골격 구조 등에서 차이를 보이는 두 가지 뚜렷한 형태적 변형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성적 이형성, 개체 발생 과정 또는 아종의 존재 가능성 등 여러 요인에 의한 것일 수 있다.[12]
2. 1. 형태
발견된 가장 큰 ''게일사우루스'' 두개골의 길이는 약 12cm이다.[11] 더 큰 유해들은 다 자란 ''게일사우루스''의 길이가 약 75cm 에서 80cm였음을 나타낸다.[3] 다른 키노돈트와 달리 뻗은 자세를 가졌던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게일사우루스과의 전형적인 특징이기도 하다.[11]
''게일사우루스'' 연구 결과, 가냘픈 형태와 튼튼한 형태라는 두 가지 뚜렷한 변형이 확인되었다. 두 형태 사이의 주요 차이점은 가슴 및 골반대, 그리고 앞다리와 뒷다리의 미세한 차이에 있다. 이러한 형태학적 차이는 성적 이형성, 개체 발생, 또는 두 아종의 존재 가능성 때문에 나타날 수 있다.[12][6]
2. 2. 두개골
발견된 가장 큰 ''게일사우루스'' 두개골의 길이는 대략 12cm이다.[11] ''게일사우루스''의 두개골은 일반적으로 넓고 낮으며, 가장 넓은 부분은 관골궁 부위이다. 주둥이는 무디다.[4]''게일사우루스''의 비골은 드물게 크며, 가운데가 좁아지고 콧구멍의 앞쪽까지 뻗어 있다. 뼈 조각은 비공의 바닥을 따라 비골과 상악골 사이의 뒤쪽까지 뻗어 있는 비상악골을 형성한다. 두개골에는 비상악골공이 있다.[5] 상악골은 주둥이의 측벽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뒤쪽으로 눈물뼈와 협골과 접촉한다.[5] 앞니 송곳니 부위에는 특히 구멍이 뚫려 있다.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 송곳니 뒤쪽 위에는 두 개의 큰 구멍이 있다. 전상악골의 상행 돌기는 등쪽으로 비골을 덮는다. 상행 돌기의 앞쪽에는 전상악공이라고 하는 작은 구멍이 있다.[6]
''게일사우루스''는 넓고 오각형 모양의 눈물뼈를 가지고 있으며, 바깥쪽 표면은 평평하다. 눈물능선 안쪽에는 와(fossa)가 있다. 이 와는 하나는 다른 하나 위에 있는 두 개의 관을 통해 비강으로 열리는 눈물비골관과 연결된다. 전두골은 궤도의 위쪽 가장자리의 중간에서 후안와골과 만나기 전까지 눈물뼈의 경계를 따라 중간까지 뻗어 상부 안와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다른 키노돈트류와 마찬가지로 전두골은 전두엽과 후안와골에 의해 안와 가장자리에서 제외된다.[6]
2. 3. 치아
''게일사우루스''의 위턱 이는 앞위턱뼈와 위턱뼈의 이틀(치아가 박혀 있는 부분)에 위치하며, 입천장에는 이가 없다.[4] ''게일사우루스''의 첫 번째 송곳니 뒤 이는 하나의 뾰족한 봉우리만 가지고 있다. 반면, 다른 송곳니 뒤 이는 비교적 평평하며 두 개의 굽은 봉우리(긴 앞쪽 봉우리와 짧은 뒤쪽 봉우리)를 가진다. 앞니는 뿌리 부분이 넓지만 끝으로 갈수록 뾰족하게 좁아지는 형태이다. 송곳니와 송곳니 뒤 이는 위턱뼈의 바깥쪽 가장자리로 밀려나 있어, 턱을 닫았을 때 아래턱의 이빨이 위턱 이빨의 안쪽에 놓일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송곳니 뒤 이는 평생에 걸쳐 교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6]위턱뼈는 주둥이의 옆면을 이루는 주요 부분으로, 몸통, 이마돌기, 광대뼈돌기, 입천장돌기, 그리고 이틀돌기로 구성된다. 위턱뼈 몸통 부분에는 위턱굴이라는 공동이 있으며, 이는 이차 입천장 위와 구개골 앞쪽의 코 안쪽으로 열린다. 이 공간은 앞쪽으로 뻗어 나가다가 송곳니 뿌리 뒤쪽 아래에서 끝난다. 위턱굴은 포유류의 치조관과 유사한 기능을 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위턱뼈에는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 송곳니 뒤 이빨 위에 두 개의 큰 구멍이 존재한다.[4]
3. 발견 및 명명
최초의 게일사우루스 화석은 남아공의 카루 분지에서 발견되었으며, 1859년 박물학자 리처드 오웬 경에 의해 기술되었다. 오웬은 이 표본에 ''Galesaurus planiceps''라는 이름을 붙였으나, ''게일사우루스''를 새로운 공룡 종으로 잘못 분류했다. 오웬은 ''게일사우루스''의 두개골이 당시 공룡으로 잘못 분류되었던 시냅스류인 ''로팔로돈''(Rhopalodon)과 닮았다고 보아 ''게일사우루스''를 용궁류(파충류의 일종)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게일사우루스''를 공룡으로 분류했음에도 불구하고, 오웬은 이 동물이 놀라울 정도로 포유류와 유사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당시 오웬이 연구했던 ''게일사우루스''의 모식 표본은 심하게 훼손되었고 치아의 보존 상태도 좋지 않았다. 최근에 들어서야 ''게일사우루스''의 연결된 골격이 발견되었고, 잘 보존된 두개골과 사지 뼈를 통해 그 형태를 더 자세히 알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현재 ''게일사우루스''는 키노돈트로 재분류되었다.[6][7]
과거에 다른 이름으로 명명되었던 화석들도 ''Galesaurus planiceps''와 같은 종으로 밝혀졌다. 1916년에 ''Glochinodon detinens''로, 1924년에는 ''Glochinodontoides gracilis''로 처음 식별되었던 화석들은 1972년에 ''Galesaurus planiceps''와 동일한 종으로 통합되었다.[7][8]
4. 분류
최초의 게일사우루스 화석은 남아공의 카루 분지에서 발견되었으며, 1859년 고생물학자 리처드 오웬에 의해 명명되었다. 오웬은 이 표본에 게일사우루스 플라니셉스(''Galesaurus planiceps'')라는 학명을 부여했다. 그러나 오웬은 게일사우루스를 키노돈트가 아닌 새로운 공룡으로 잘못 분류하였다. 그는 게일사우루스의 두개골이 당시 공룡으로 오인되었던 단궁류인 로팔로돈(''Rhopalodon'')과 닮았다고 보아 게일사우루스를 용궁류로 생각했다. 오웬은 게일사우루스를 공룡으로 분류했음에도 불구하고, 포유류와 유사한 특징이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당시 발견된 게일사우루스 표본은 상태가 좋지 않았고 치아도 제대로 보존되지 않았다. 이후 잘 보존된 게일사우루스 화석이 추가로 발견되면서 더 많은 정보가 밝혀졌고, 그 결과 게일사우루스는 키노돈트로 올바르게 재분류되었다.
''게일사우루스''(''Galesaurus'')는 모든 포유류의 조상을 포함하는 키노돈티아(Cynodontia) 하목 내의 에피키노돈티아(Epicynodontia) 분기군에 속한다. 또한 ''게일사우루스''는 자신과 가장 가까운 친척인 ''키노사우루스''(''Cynosaurus'')와 ''프로게일사우루스''(''Progalesaurus'')를 포함하는 게일사우루스과(Galesauridae)의 일원이다.[9] 계통 분류상, 게일사우루스과는 에피키노돈티아 내에서 볼로트리돈, 트리낙소돈, 유키노돈티아 등과 함께 위치하는 것으로 분류된다.
5. 고생물학
최초의 게일사우루스 화석은 남아공의 카루 분지에서 발견되었으며, 1859년 고생물학자 리처드 오웬에 의해 명명되었다. 오웬은 이 표본에 '''게일사우루스 플라니셉스'''(Galesaurus planicepsla)라는 학명을 부여했다.
그러나 오웬은 게일사우루스를 키노돈트가 아닌 새로운 공룡으로 잘못 분류하였다. 그는 게일사우루스의 두개골이 당시 공룡으로 잘못 알려졌던 단궁류인 '''로팔로돈'''(Rhopalodonla)과 유사하다고 보아 게일사우루스를 용궁류로 생각했다. 오웬은 게일사우루스를 공룡으로 분류했음에도 불구하고, 포유류와 유사한 특징이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당시 발견된 게일사우루스 표본은 상당히 손상되었고 치아 역시 제대로 보존되지 않은 상태였다.
이후 게일사우루스 화석이 추가로 발견되었고, 잘 보존된 두개골 연구를 통해 게일사우루스에 대한 더 많은 정보가 밝혀졌다. 그 결과, 게일사우루스는 키노돈트로 올바르게 재분류되었다.
5. 1. 걸음걸이
게일사우루스는 다른 키노돈트와 달리 몸을 옆으로 넓게 벌린 뻗은 자세를 가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게일사우루스과의 전형적인 특징이기도 하다.[11]키노돈트의 이동 방식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이들의 축 골격(척추)은 포유류처럼 위아래로 움직이는 방식(시상면 굴곡과 신전)보다는 파충류에서 흔히 보이는 측면 파동 방식으로 움직였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키노돈트의 겹쳐진 늑골 구조는 특정 무치목 동물과 유사할 수 있는데, 이는 몸통을 땅에서 들어 올려 좀 더 포유류와 비슷한 자세를 취하기 위한 근골격계 적응일 수 있다. 앞다리 뼈(상완골)의 움직임 역시 포유류의 이동 방식에서 나타나는 추진력을 내는 방식이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처럼 키노돈트의 이동 방식은 파충류와 포유류의 특징을 모두 보여주며, 이는 두 분류군 사이의 진화적 과도기를 나타낸다.
5. 2. 트리낙소돈과의 비교
''게일사우루스''(Galesaurus)는 좀 더 파생된 기저 키노돈트인 ''트리낙소돈''(Thrinaxodon)과 자주 비교된다. 이는 ''트리낙소돈''이 모든 ''에피시노돈트'' 중에서 가장 잘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6] ''게일사우루스''와 ''트리낙소돈''은 형태학적으로 매우 유사하며, 둘 다 초기 트라이아스기에 살았고, 남아프리카의 카루 분지에서 발견된다.''게일사우루스''와 ''트리낙소돈''은 외형이 비슷하지만, 두개골에는 여러 차이점이 있다.
발생 과정 동안, ''게일사우루스''와 ''트리낙소돈'' 모두 안와후, 후두정 능선, 외부 후두 능선의 후방 돌출에 변화를 겪는다. 그러나 각 종에 고유한 발생학적 변화도 존재한다.[10]
- '''게일사우루스''' 고유 변화:
- * 측두창 내 턱뼈의 상대적 위치 변화가 큼.
- * 코-코 봉합의 외두개 형태 변화.
- * 외후두골과 세 개의 주변 후두골 융합.
- * 성체의 성적 이형성 발달.
- '''트리낙소돈''' 고유 변화:
- * 어린 유년기 개체에서 간익상와공 존재.
- * 전두-두정 봉합의 외두개 흔적 변화.
- * 두정공 모양 변화.
- * 후두정-두정 봉합 소실.
참조
[1]
웹사이트
Galesaurus
http://www.paleofile[...]
2017-03-06
[2]
웹사이트
Triassic Dinosauria
http://www.nature.co[...]
2017-03-06
[3]
서적
The Postcranial Skeleton of African Cynodonts
Peabody Museum of Natural History
[4]
논문
The morphology of the skull of a young Galesaurus planiceps and related forms.
[5]
논문
On the cynodont genus Galesaurus, with a note on the functional significance of the changes in the evolution of the theriodont skull
[6]
논문
The postcranial skeleton of the Early Triassic non-mammalian cynodont ''Galesaurus planiceps'': implications for biology and lifestyle
http://scholar.ufs.a[...]
2017-03-07
[7]
논문
A revised classification of cynodonts (Reptilia; Therapsida)
https://www.research[...]
[8]
웹사이트
PBDB
https://paleobiodb.o[...]
2017-03-06
[9]
논문
A new galesaurid (Therapsida: Cynodontia) from the Lower Triassic of South Africa
[10]
논문
Cranial Ontogeny of the Early Triassic Basal Cynodont Galesaurus planiceps
http://ri.conicet.go[...]
2017-02-01
[11]
간행물
"The Postcranial Skeleton of African Cynodonts.Farish A. Jenkins, Jr."
http://dx.doi.org/10[...]
1972-06
[12]
웹인용
"The postcranial skeleton of the Early Triassic non-mammalian cynodont Galesaurus planiceps: implications for biology and lifestyle"
http://scholar.ufs.a[...]
2023-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