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견훤산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견훤산성은 경상북도 상주시 장암리에 있는 장바위산 정상부에 위치한 테뫼식 산성으로, 견훤이 쌓았다고 전해진다. 《삼국사기》에 견훤과 그의 아버지 아자개가 상주 출신이라는 기록이 있으며, 견훤은 이곳에서 군사를 양성하여 신라에 반기를 들고 후백제를 건국했다. 산성은 사각형 형태이며, 천연 절벽과 성벽이 조화를 이루고, 4개의 모서리에는 곡성이 설치되어 있다. 성벽 둘레는 650m, 높이는 7~15m, 너비는 4~7m이며, 보은의 삼년산성과 유사한 방식으로 축조된 삼국시대 산성이다. 전설에 따르면 견훤이 이곳에서 공납물을 거두었다고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견훤 - 공산 동수 전투
    공산 동수 전투는 927년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 견훤에게 대패한 전투로, 신라 구원 과정에서 왕건은 견훤의 기습을 받아 신숭겸을 비롯한 많은 장수를 잃었으나, 왕건은 목숨을 건지고 후삼국 통일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견훤 - 문공왕후
    문공왕후는 고려 정종의 정비로, 순천 박씨이며, 아버지 박영규와 어머니 국대부인 견훤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고, 정종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으며, 안릉에 합장되어 숙절효신경신선목순성정혜안숙문공왕후의 시호를 받았다.
  • 상주시의 문화유산 - 상주 청간정
    상주 청간정은 17세기 중반 조예가 건축하여 풍양 조씨 문중의 학문 장소이자 영남 유림의 모임 장소로 사용된 정자로, 조선 중기 정자 건축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상주시의 문화유산 - 금돌성
    금돌성은 삼국 시대부터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신라 김유신 장군과 고려 시대 몽골 침략에 맞선 백성들의 저항이 있었던 산성으로, 내성과 외성으로 구성되었고 복원된 성벽은 석축과 토축을 혼합하여 축조되었으며 내성에는 회곽도가 설치되어 있다.
  • 경상북도의 성 - 관문성
    관문성은 신라 성덕왕 때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지어진 산성으로, 모벌군성 또는 모벌관문으로 불리다가 조선시대에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우박천을 기준으로 산과 산을 연결하여 축조되었고, 긴 길이로 인해 '신라의 만리장성'이라고도 불린다.
  • 경상북도의 성 - 칠곡 가산산성
    칠곡 가산산성은 조선 시대에 축조되어 내성, 중성, 외성의 삼중 구조를 갖춘 국방 요충지이며, 가산바위가 위치한 경관이 뛰어난 곳이다.
견훤산성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견훤산성
국가대한민국
위치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장암리 산42번지
일반 정보
유형기념물
지정 번호53
지정일1984년 12월 19일
면적35,702m²

2. 역사

이 산성은 산세와 지형을 따라 암벽은 암벽대로 이용하고, 성벽을 쌓을 필요가 있는 곳에만 성을 쌓아 천연절벽과 성벽이 조화를 이루는 사각형 형태이다. 성의 4모서리에는 굽이지게 곡성을 쌓았는데, 동북쪽과 동남쪽으로 난 2곳이 거의 완전하게 남아있어 상주쪽을 시원하게 내려다 볼 수 있다. 성벽 둘레는 650m이고, 높이는 7m~15m이며, 너비는 4m~7m이다.[1]

이 산성은 보은의 삼년산성(사적 제235호)과 쌓은 방법이 비슷한데, 정교하게 쌓은 우리나라에서 보기 드문 삼국시대 산성 중 하나이다.[1]

2. 1. 건립 배경

견훤산성은 경상북도 상주시 장암리의 북쪽에 있는 장바위산 정상부를 에워 싼 테뫼식 산성으로, 견훤이 쌓았다 하여 견훤산성이라 불린다. 상주지역의 옛 성들이 견훤과 관계지어지는 것은 《삼국사기》에 견훤과 그의 아버지 아자개가 상주 출신이라는 기록 때문이다.[1]

견훤은 농민의 아들로 태어나 신라의 장군으로 있다가 이곳에서 군사를 양성하여, 진성여왕 6년(892)에 반기를 들고 신라의 여러 성을 침공하다가 효공왕 4년(900)에 완산주에 도읍을 정하고 후백제를 세웠다.[1]

2. 2. 구조 및 특징

견훤산성은 경상북도 상주시 장암리의 북쪽에 있는 장바위산 정상부를 에워 싼 테뫼식 산성으로, 견훤이 쌓았다고 해서 견훤산성이라 불린다. 삼국사기에 견훤과 그의 아버지 아자개가 상주 출신이라는 기록이 있기 때문에, 상주지역의 옛 성들은 견훤과 관계지어지는 경우가 많다.[1]

이 산성은 대체로 사각형을 이루고 있는데, 산세와 지형을 따라 암벽은 암벽대로 이용하고 성벽을 쌓을 필요가 있는 곳에만 성을 쌓았기 때문에 천연절벽과 성벽이 조화를 이룬다. 성의 4모서리에는 굽이지게 곡성을 쌓았는데, 동북쪽과 동남쪽으로 난 2곳이 거의 완전하게 남아있어 상주쪽을 시원하게 내려다 볼 수 있다. 성벽 둘레는 650m이고, 높이는 7m~15m이며, 너비는 4m~7m이다.[1]

이 산성은 보은의 삼년산성(사적 제235호)과 쌓은 방법이 비슷한데, 정교하게 쌓은 우리나라에서 보기 드문 삼국시대 산성 중 하나이다.[1]

2. 3. 역사적 의의

견훤산성은 경상북도 상주시 장암리의 북쪽에 있는 장바위산 정상부를 에워 싼 테뫼식 산성으로, 견훤이 쌓았다고 해서 견훤산성이라고 불린다. 삼국사기에 견훤과 그의 아버지 아자개가 상주 출신이라는 기록이 있기 때문에, 이 산성뿐만 아니라 상주지역의 옛 성들이 견훤과 관계지어진다.[1]

견훤은 농민의 아들로 태어나 신라의 장군으로 있다가 이곳에서 군사를 양성하여, 신라 진성여왕 6년(892)에 반기를 들고 신라의 여러 성을 침공하다가 효공왕 4년(900)에 완산주에 도읍을 정하고 후백제를 세웠다.[1]

이 산성은 삼년산성(사적 제235호)과 쌓은 방법이 비슷한데, 정교하게 쌓은 우리나라에서 보기 드문 삼국시대 산성 중 하나이다.[1]

3. 전설

전설에 따르면 견훤이 이 산성에 있으면서 북쪽에서 서울(경주)로 바칠 공납물(세금)을 거두어 들였다고 한다.[3]

4. 사진

참조

[1] 웹인용 관광정보 > 주요관광지 > 견훤산성 https://web.archive.[...] 상주시 화북면사무소 2014-04-11
[2] 문화재
[3] 웹인용 관광상주-견훤산성 https://web.archive.[...] 상주시청 2014-04-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