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친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친왕은 청나라 황족에게 부여된 작위로, 건륭제의 아들 영린을 시작으로 여러 대에 걸쳐 계승되었다. 영린은 건륭제의 17남으로 1789년에 배륵 작위를 받았고, 경군왕을 거쳐 1820년에 경친왕에 봉해졌다. 이후 면민, 이채, 면제, 이쾅, 재진으로 이어졌으며, 이쾅 대에 이르러 경친왕 작위는 철모자왕이 되었다. 경친왕 작위를 받은 인물들은 각기 다른 시호로 추존되었으며, 가계도는 영린을 시작으로 면민, 혁채, 면제, 이쾅, 재진으로 이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친왕 - 이쾅
이쾅은 청나라 말기 황족이자 관료로서 경친왕 작위를 받았으며, 총리아문 대신, 군기대신, 외무부 총리부사 등을 역임하며 외교와 정치의 중심인물로 활동했고, 베이징 의정서 체결에 관여하고 내각총리대신을 지냈으나, 관직 매매와 부정부패로 비판받았다. - 청나라의 종실 친왕 - 영황
영황은 건륭제의 아들로, 친왕 작위를 받았지만 병약하여 22세에 사망했으며, 효현황후의 장례를 감독했으나 슬퍼하는 기색을 보이지 않아 건륭제의 노여움을 샀다. - 청나라의 종실 친왕 - 면흔
가경제의 아들인 면흔은 1등 숭선친왕에 봉해졌으나 황위 계승에는 실패했고, 관료 생활 중 홍수 피해 구호 활동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자금성 인쇄소 관리 부실로 징계를 받았으며, 사망 후 숭선휘친왕으로 추봉되어 그의 아들이 작위를 계승했고, 대중문화 작품에도 등장한다.
경친왕 | |
---|---|
기본 정보 | |
![]() | |
작위 | 화석경친왕 (和碩慶親王) |
봉호 | 경 (慶) |
시호 | 밀 (密) |
국적 | 청나라 |
민족 | 만주족 |
씨족 | 아이신 교로 (愛新覺羅) |
생애 | |
출생 | 1838년 3월 24일 |
사망 | 1917년 1월 29일 (78세) |
아버지 | 현친왕 아이신 교로 민촹 (愛新覺羅 綿 продолжил) |
어머니 | 측복진 허셔리씨 (側福晉 赫舍里氏) |
배우자 | 적복진 나랍특씨 (嫡福晉 那拉特氏), 계복진 가오자씨 (繼福晉 高佳氏) |
자녀 | 아들: 아이신 교로 재진 (愛新覺羅 載振) 딸: 4녀 (이름 미상) |
관직 및 경력 | |
주요 관직 | 총리내각대신 (總理內閣大臣) 군기대신 (軍機大臣) 총세무사 (總稅務司) |
주요 경력 | 1872년: 이등진국공 (二等鎮國公) 습작 1884년: 경친왕 (慶親王) 진봉 1903년: 군기대신 겸 총리각국사무아문대신 (總理各國事務衙門大臣) 임명 1911년: 총리내각대신 임명 |
기타 | |
존호 | 혁친왕 (奕劻) |
2. 역대 경친왕
경친왕(慶親王)은 청나라 황족 작위 중 하나이다.
- 초대 경친왕 영린은 건륭제의 17번째 아들로, 1789년 패륵(貝勒)에 봉해졌다가 1799년 경군왕(慶郡王)으로, 1820년 경친왕으로 승진했다. 사후 경희친왕(慶僖親王)으로 추존되었다.
- 2대 경친왕 면민은 영린의 셋째 아들로, 1820년 경친왕 작위를 계승했으며, 사후 경량군왕(慶良郡王)으로 추존되었다.
- 3대 경친왕 혁채는 면민의 양자로, 1837년 경친왕 작위를 받았으나 1842년 박탈당했다.
- 4대 면제는 영린의 다섯째 아들로, 1842년 진국장군(鎭國將軍)으로 강등되었다가 1852년 사후 패자(貝子)로 추봉되었다.
- 5대 경친왕 이쾅은 면제의 양자로, 여러 작위를 거쳐 1884년 경군왕, 1894년 경친왕에 봉해졌고, 1908년에는 철모자왕이 되었다. 사후 경밀친왕(慶密親王)으로 추존되었다.
- 6대 경친왕 재진은 이쾅의 장남으로, 1917년 경친왕 작위를 계승했다.
2. 1. 경친왕 가계도
대수 | 봉호 | 시호 | 이름 | 가계 | 재위년도 | 비고 |
---|---|---|---|---|---|---|
1 | 경친왕(慶親王) | 희(僖) | 영린 | 건륭제의 17남 | 1789년 ~ 1820년 | 1789년 ~ 1799년: 패륵(貝勒) 1799년 ~ 1820년: 경군왕(慶郡王) 1820년부터 경친왕 |
2 | 경친왕(慶親王) | 양(良) | 면민 | 영린의 3남 | 1820년 ~ 1836년 | |
3 | 경친왕(慶親王) | 이채 | 면민의 사자(嗣子) | 1837년 ~ 1842년 | 1842년 작위 박탈 | |
4 | 진국장군(鎭國將軍) | 면제 | 영린의 5남 | 1842년 ~ 1849년 | 1852년 패자(貝子)로 추봉 | |
5 | 경친왕(慶親王) | 밀(密) | 이쾅 | 면제의 사자(嗣子) | 1850년 ~ 1917년 | 1852년까지 보국장군(輔國將軍) 1852년 ~ 1860년 패자(貝子) 1860년 ~ 1872년 패륵(貝勒) 1872년 ~ 1884년 군왕함패륵(郡王銜貝勒) 1884년 ~ 1894년 경군왕(慶郡王) 1894년부터 경친왕 1908년부터 철모자왕 |
6 | 경친왕(慶親王) | 재진 | 이쾅의 장남 | 1917년 ~ 1945년 |
2. 2. 경친왕 목록
대수 | 봉호 | 시호 | 이름 | 가계 | 재위년도 | 비고 |
---|---|---|---|---|---|---|
1 | 경친왕(慶親王) | 희(僖) | 영린 | 건륭제의 17남 | 1789년 ~ 1820년 | 1789년 ~ 1799년: 패륵(貝勒) 1799년 ~ 1820년: 경군왕(慶郡王) 1820년부터 경친왕 |
2 | 경친왕(慶親王) | 량(良) | 면민 | 영린의 3남 | 1820년 ~ 1836년 | |
3 | 경친왕(慶親王) | 혁채 | 면민의 사자(嗣子) | 1837년 ~ 1842년 | 1842년 작위 박탈 | |
4 | 진국장군(鎭國將軍) | 면제 | 영린의 5남 | 1842년 ~ 1849년 | 1852년 패자(貝子)로 추봉 | |
5 | 경친왕(慶親王) | 밀(密) | 이쾅 | 면제의 사자(嗣子) | 1850년 ~ 1917년 | 1852년까지 보국장군(輔國將軍) 1852년 ~ 1860년 패자(貝子) 1860년 ~ 1872년 패륵(貝勒) 1872년 ~ 1884년 군왕함패륵(郡王銜貝勒) 1884년 ~ 1894년 경군왕(慶郡王) 1894년부터 경친왕 1908년부터 철모자왕 |
6 | 경친왕(慶親王) | 재진 | 이쾅의 장남 | 1917년 ~ 1945년 |
3. 경친왕가 인물
봉호 시호 이름 가계 재위년도 기록 1 경친왕(慶親王) 희(僖) 영린 건륭제의 17남 1789년 ~ 1820년 1789년 ~ 1799년: 패륵(貝勒)
1799년 ~ 1820년: 경군왕(慶郡王)
1820년부터 경친왕2 경친왕(慶親王) 량(良) 면민 영린의 3남 1820년 ~ 1836년 3 경친왕(慶親王) 이채 면민의 사자(嗣子) 1837년 ~ 1842년 1842년 작위 박탈 4 진국장군(鎭國將軍) 면제 영린의 5남 1842년 ~ 1849년 1852년 패자(貝子)로 추봉됨 5 경친왕(慶親王) 밀(密) 이쾅 면제의 사자(嗣子) 1850년 ~ 1917년 1852년까지 보국장군(輔國將軍)
1852년 ~ 1860년 패자(貝子)
1860년 ~ 1872년 패륵(貝勒)
1872년 ~ 1884년 군왕함패륵(郡王銜貝勒)
1884년 ~ 1894년 경군왕(慶郡王)
1894년부터 경친왕
1908년부터 철모자왕6 경친왕(慶親王) 재진 이쾅의 장남 1917년 ~ 1945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