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다마 히데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다마 히데오는 일본 제국의 관료로, 야마구치현 출신이며 도쿄 제국대학 법과대학을 졸업했다. 그는 러일 전쟁에 참전한 후 조선총독부에서 요직을 역임했으며, 내각서기관장, 척무대신, 체신대신, 내무대신, 국무대신, 문부대신 등을 거치며 일본 정계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태평양 전쟁 지도 각료로 공직 추방된 후 1947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정고문 - 오히라 마사요시
    오히라 마사요시는 일본의 정치인이자 제68대 내각총리대신으로, 외무대신 시절 한일 및 중일 국교 정상화에 기여했으며, 총리 재임 중 환태평양 연대 구상을 제시하는 등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쳤으나 총선 직전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 재정고문 - 메가타 다네타로
    메가타 다네타로는 일본 제국의 관료이자 법률가, 교육자로, 귀족원 의원과 남작 작위를 받았으며, 하버드 대학교 졸업 후 일본 법률 및 재정 제도 정비에 기여했고, 대한제국 재정 고문으로 화폐정리사업을 실시하여 한국에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지만 일본 근대 교육 발전에도 공헌했으며 국제연맹 총회에 일본 대표로 참석했다.
  • 고다마 백작가 - 고다마 겐타로
    고다마 겐타로는 일본 제국의 육군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만주군 총참모장으로 러일 전쟁 승리에 기여하고 대만 총독으로서 식민 통치를 펼치며 한일 병합 조약 체결에 관여하는 등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모두 남겼다.
  • 고다마 백작가 - 기도 고이치
    기도 고이치는 쇼와 시대 궁중 정치의 핵심 인물로, 내대신으로서 태평양 전쟁 개전과 종전 과정에 깊이 관여한 후 A급 전범으로 종신형을 선고받았으며, 그의 일기는 당시 일본 정부의 내부 사정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 일본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이다.
  • 동양척식주식회사 관련자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 동양척식주식회사 관련자 - 가쓰라 다로
    가쓰라 다로는 메이지 시대와 다이쇼 시대에 세 차례 총리대신을 역임하며 2,886일간 집권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영일 동맹 체결 및 러일 전쟁 승리에 기여했으나 한일 병합 조약 체결 등으로 한국에서는 비판받기도 했다.
고다마 히데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고다마 히데오
이름고다마 히데오
본명兒玉 秀雄 (정자체)
로마자 표기Kodama Hideo
출생일1876년 7월 19일
출생지일본 야마구치현
사망일1947년 4월 7일
사망지일본 도쿄
안장 장소도쿄도 후추시 다마 묘원
국적일본
학력도쿄 제국대학 법과대학 정치학과
직업정치인, 각료
정치 경력
소속 정당연구회
작위 및 훈장종2위
훈1등 욱일대수장
훈1등 서보장
가족 관계아버지: 고다마 겐타로 (내무대신)
장인: 데라우치 마사타케 (내각총리대신)
동생: 고다마 규이치 (히로시마현 지사)
처남: 호즈미 시게토오 (귀족원 의원)
처남: 기ido 고이치 (내대신)
처남: 데라우치 주이치 (육군대신)
배우자고다마 사와코
주요 직책
제56대 문부대신내각: 고이소 구니아키 내각
임기 시작: 1945년 2월 10일
임기 종료: 1945년 4월 7일
제53대 내무대신내각: 요나이 미쓰마사 내각
임기 시작: 1940년 1월 16일
임기 종료: 1940년 7월 22일
제41대 체신대신내각: 하야시 센주로 내각
임기 시작: 1937년 2월 10일
임기 종료: 1937년 6월 4일
제8대 척무대신내각: 오카다 게이스케 내각
임기 시작: 1934년 10월 25일
임기 종료: 1936년 3월 9일
제7대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임기 시작: 1927년 12월 23일
임기 종료: 1929년 4월 4일
제4대 관동청 장관임기 시작: 1923년 9월 26일
임기 종료: 1927년 12월 17일
제20대 내각서기관장임기 시작: 1916년 10월 9일
임기 종료: 1918년 9월 29일
귀족원 의원임기 시작: 1911년 7월 10일
임기 종료: 1918년 7월 10일
재선: 1919년 2월 15일
최종 임기 종료: 1946년 2월 12일

2. 생애와 경력

1935년 7월의 고다마 히데오


야마구치현 출신으로 고다마 겐타로의 장남이다. 도쿄 제국대학 법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대장성 관료로 활동을 시작했다. 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며, 부친의 사망 후 1907년 백작 작위를 승계받았다.[1]

이후 일제강점기 조선으로 건너가 조선총독부에서 총무국장,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등 고위직을 역임하며 식민 통치에 관여했다.[1] 일본 본토에서는 내각서기관장, 관동주 총독을 지냈으며, 오카다 내각의 척무대신, 하야시 내각의 체신대신, 요나이 내각내무대신, 고이소 내각의 국무대신 및 문부대신 등 여러 내각에서 주요 각료를 역임하며 정계에서 영향력을 행사했다.[1]

태평양 전쟁 시기에는 자와섬 군정 최고 고문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전후 연합군 최고사령부에 의해 공직 추방되었고, 추방 중이던 1947년 사망했다. 묘소는 도쿄도 후추시의 다마 묘지에 있다.[1]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야마구치현 출신으로, 육군 대장 고다마 겐타로의 장남이다. 지바현의 사쿠라 에이학교(현재의 지바현립 사쿠라 고등학교)를 거쳐 도쿄부 심상 중학교(후에 부립 제1중학교를 거쳐 현재의 도쿄도립 히비야 고등학교)에 입학했다. 이곳에서의 동기로는 시부사와 모토하루 등이 있다. 이후 구제 제2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00년 7월 도쿄 제국대학 법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같은 해 대장성에 들어갔으며, 11월에는 문관 고등 시험에 합격했다.

2. 2. 초기 경력

야마구치현 출신으로, 육군 대장 고다마 겐타로의 장남이다.[1] 지바현의 사쿠라 에이학교(현재의 지바현립 사쿠라 고등학교), 도쿄부 심상 중학교(현재의 도쿄도립 히비야 고등학교), 구제 제2고등학교를 거쳐 1900년(메이지 33년) 7월, 도쿄 제국대학 법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같은 해 대장성에 들어갔으며, 11월에는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했다.

대장성에서는 주로 이재국이나 임시 담배 제조 준비국 등에서 근무했다. 러일 전쟁이 발발하자 1905년(메이지 38년) 2월 대본영 용무계에 배속되어 전쟁에 참전했다. 일본군 랴오둥 수비군 사령부 부속, 만주군 총사령부 부속으로 근무하며 도쿄의 문관 정부와 만주 주둔 일본 육군 사이의 연락 담당관 역할을 수행했다. 당시 랴오둥반도는 일본이 점령하고 있었다.

전쟁이 끝난 후 같은 해 9월, 담배 전매국 사무관 겸 대장 서기관으로 복귀했다. 1906년 7월 23일 부친 겐타로가 사망하자 자작 작위를 물려받아 귀족원 의원 자격을 얻었다. 이듬해인 1907년 10월 2일에는 부친의 공훈을 인정받아 메이지 천황에 의해 백작으로 승작되었다.

2. 3. 조선총독부 관료 경력



대장성 관료와 러일 전쟁 참전 등의 경력을 거친 후, 고다마 히데오는 일제강점기 조선으로 건너가 조선총독부에서 근무했다.[1] 그는 총독부 총무부 회계과장과 비서관을 역임했으며, 1910년 10월에는 조선총독부 총독관방 회계국장 겸 비서관으로 임명되었다. 또한 부친 고다마 겐타로의 공적을 인정받아 1907년 백작 작위를 승작, 이를 기반으로 귀족원 의원(백작 의원)으로도 활동했다.[1] 이후 총무국장을 거쳐, 1929년에는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에 임명되어 식민 통치에 깊이 관여하였다.[1]

2. 4. 일본 내각 관료 경력



1916년부터 1918년까지 내각관방장관을 지냈다. 이후 상훈국 총재를 역임했으며, 1923년 9월부터 1927년 12월까지 관동주 총독으로 재직했다.

이후 귀족원 의원으로 활동했으며, 1934년 10월 오카다 내각의 척무대신으로 임명되었다. 1937년 2월에는 하야시 내각의 체신대신을 맡았고, 1940년 1월부터 7월까지는 요나이 내각에서 내무대신으로 활동했다.

태평양 전쟁 말기인 1944년 고이소 내각의 국무대신(무임소 대신)으로 입각했으며, 1945년 2월부터 4월까지는 같은 내각에서 문부대신을 지냈다. 이처럼 여러 내각에서 주요 직책을 거치며 일본 정계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전후 태평양 전쟁 지도 각료로 분류되어 공직 추방되었다.[1]

2. 5. 태평양 전쟁 시기 활동

1942년, 일본 육군 제16군(사령관 이마무라 히토시)의 요청으로 군정 최고 고문이 되어 일본 점령 하의 네덜란드령 동인도 자바에 부임하였다. 이후 1944년에는 고이소 내각에서 무임소 국무대신을 맡았으며, 1945년 2월부터 4월까지는 같은 내각에서 문부대신을 지냈다. 이처럼 태평양 전쟁 시기에도 여러 요직을 거쳤으나, 전후, 전쟁 지도 정부의 각료로서 연합군 최고사령부(GHQ)에 의해 공직 추방 처분을 받았다. 그는 공직 추방 중에 병사했다.[1]

2. 6. 전후 활동 및 사망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이 패망한 후, 고다마 히데오는 전쟁 지도 정부의 각료로서 책임을 물어 연합군 최고사령부에 의해 공직 추방되었다. 그는 공직에서 추방된 상태에서 1947년 사망했다. 묘소는 도쿄도 후추시의 다마 묘지에 있다.[1]

3. 서훈 및 영전

(내용 없음)

3. 1. 위계

3. 2. 훈장 등 일본

3. 3. 외국 훈장

4. 가족 관계

아내는 테라우치 마사타케의 딸 사와코이다. 동생으로 고다마 토모오가 있으며, 의붓동생으로는 호즈미 시게토오, 후지타 츠구오, 키도 코이치 등이 있다. 외동딸 사다코의 남편으로 히로하타 타다토모의 삼남인 고다마 타다야스를 데릴사위로 맞았다. 두 사람 사이에서 태어난 영화감독 고다마 스스무는 그의 손자이다.[23]

참조

[1] 웹사이트 Tama Reien official home page http://www6.plala.or[...]
[2] 서적 貴族院要覧(丙) 1946-12
[3] 서적 貴族院要覧(丙) 1946-12
[4] 서적 貴族院要覧(丙) 1946-12
[5] 문서 학술지, 연구서, 사전류에서의 역사 인물 표기
[6] 간행물 官報 1906-08-31
[7] 간행물 官報 1911-09-12
[8] 간행물 官報 1916-10-21
[9] 간행물 官報 1921-10-21
[10] 간행물 官報 1922-01-21
[11] 간행물 官報 1931-02-10
[12] 간행물 官報 1907-10-03
[13] 간행물 官報 1913-04-09
[14] 간행물 官報 1915-01-26
[15] 간행물 官報 1918-10-02
[16] 간행물 官報 1922-02-14
[17] 간행물 官報 1927-12-19
[18] 간행물 官報 1931-12-28
[19] 간행물 官報 1941-10-23
[20] 간행물 官報 1945-01-16
[21] 간행물 官報 1915-08-04
[22] 간행물 官報 1942-06-20
[23] 서적 平成新修旧華族家系大成 吉川弘文館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