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드프리 해럴드 하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드프리 해럴드 하디(G. H. Hardy, 1877–1947)는 영국의 수학자로, 해석학 및 정수론 분야에 기여했으며, 특히 존 이든저 리틀우드와의 공동 연구와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의 재능을 발굴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영국 수학의 엄밀성을 강조하며 순수 수학 발전에 힘썼고, 하디-바인베르크 평형의 발견에도 기여했다. 주요 저서로는 《어떤 수학자의 변명》, 《수론 입문》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집단유전학자 - 스반테 페보
    스반테 페보는 고대 DNA 분석을 통해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 게놈 해독으로 인류 진화 연구에 기여한 공로로 202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한 고인류 유전체 연구의 선구자이다.
  • 집단유전학자 - 윌리엄 도널드 해밀턴
    윌리엄 도널드 해밀턴은 혈연 선택 이론을 발전시켜 사회성 진화 연구에 큰 영향을 미친 영국의 진화생물학자이며, 해밀턴의 법칙과 다양한 진화생물학적 주제 연구를 통해 이론 생물학 발전에 기여했다.
  • 옥스퍼드 대학교 뉴 칼리지 교수 - 해럴드 윌슨
    해럴드 윌슨은 1964년부터 1970년, 1974년부터 1976년까지 두 차례 영국 총리를 역임하며 사회 개혁, 경제 정책, 외교 정책을 추진했고, 노동당 대표로서 사형 폐지 등 사회적 개혁을 이끌었다.
  • 옥스퍼드 대학교 뉴 칼리지 교수 - 리처드 도킨스
    영국의 진화생물학자이자 저술가인 리처드 도킨스는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로서 '밈' 개념을 제시하고 유전자 중심 진화론을 대중화했으며, 창조과학과 종교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적극적으로 표명해왔다.
고드프리 해럴드 하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하디, 1927년경
하디, 1927년경
본명고드프리 해럴드 하디
출생1877년 2월 7일
출생지영국 잉글랜드 서리 크랜리
사망1947년 12월 1일
사망지영국 잉글랜드 케임브리지셔 케임브리지
국적영국
학문 분야
분야수학
근무 기관케임브리지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모교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
학문 지도 학생오거스터스 에드워드 하우 러브
에드먼드 테일러 휘태커
박사 지도 학생메리 카트라이트
I. J. 굿
에드워드 린풋
시릴 오포드
해리 피트
리하르트 라도
로버트 랭킨
도널드 스펜서
티루칸나푸람 비자야라가반
에드워드 메이틀랜드 라이트
주목할 만한 학생시드니 채프먼
에드워드 티치마시
에델 뉴볼드
주요 업적하디-바인베르크 원리
하디-라마누잔 점근 공식
임계선 정리
하디-리틀우드 토베르 정리
하디 공간
하디 표기법
하디-리틀우드 부등식
하디의 부등식
하디의 정리
하디-리틀우드 원 방법
하디 체
하디-리틀우드 제타 함수 추측
수상
수상 내역왕립 학회 회원
스미스 상 (1901년)
로열 메달 (1920년)
드 모르간 메달 (1929년)
쇼브네 상 (1932년)
실베스터 메달 (1940년)
코플리 메달 (1947년)

2. 생애

G. H. 하디는 1877년 영국 크랜레이의 교직 집안에서 태어났다.[9] 어릴 때부터 수학에 재능을 보였으며, 윈체스터 칼리지를 거쳐 케임브리지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수학했다.[11] 어거스터스 에드워드 호프 러브의 권유로 카미유 조르당의 ''해석학 강의(Cours d'analyse)''를 읽고 큰 영향을 받아, 2년 만에 수학 트리포스 시험에서 4등을 차지했다.[12]

1900년, 트리니티 칼리지의 상급 특별 연구원으로 선출되었고,[1] 1903년에는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 1906년부터 트리니티 강사로 일했다.[1] 1913년,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의 편지를 받고 그를 케임브리지로 초청하여, "인생의 유일한 낭만적인 사건"을 시작했다.[17]

제1차 세계 대전버트런드 러셀과의 사건으로 인해 1919년 케임브리지를 떠나 옥스퍼드 대학교 새빌 기하학 교수직을 맡았다.[18] 1928-1929년에는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오스왈드 베블렌과 교환 교수로 지냈다.[3] 1931년 케임브리지로 돌아와 새들레리언 교수를 역임했다.[1]

2. 1. 성장기

고드프리 해럴드 하디는 1877년 2월 7일 잉글랜드 서리주 크랜리에서 교사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44] 그의 아버지 아이작 하디는 크랜리 학교의 회계 감사원이자 미술 관장이었고, 어머니 소피아는 링컨 트레이닝 칼리지에서 고위 교원이었다. 부모는 둘 다 수학적 재능이 있었으나, 가난한 가정 형편 때문에 대학 교육을 받지 못했다.[44]

하디는 어릴 때부터 수학에 남다른 재능과 관심을 보였다. 2살 때 이미 백만 자리까지의 수를 쓸 수 있었고, 교회에 갈 때는 찬송가 번호를 소인수 분해하기를 즐겼다.[10] 그는 개인 교습을 받으며 남들보다 대략 5년 이른 13살의 나이로 크랜래이 학교를 전체 2등의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였다. 그 후, 하디는 수학적 재능을 인정받아 윈체스터 칼리지에 장학금을 받으며 입학하였고, 1896년에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 수학과에 입학하였다.[45] 1903년 영국에서 석사 학위를 수료하였고, 1906년부터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 수학과에서 조교수로 일하게 되었다.[45]

그는 로버트 럼지 웹의 지도를 받았지만 만족스럽지 못하여 잠시 역사를 전공할까 생각했다. 그러다 어거스터스 에드워드 호프 러브의 지도를 받게 되었고, 어거스터스 에드워드 호프 러브는 카미유 조르당의 ''해석학 강의(Cours d'analyse)''를 읽어볼 것을 권했다. 하디는 이 책을 통해 처음으로 "수학이 실제로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배우게 되었다. 로버트 알프레드 허먼의 지도를 겨우 2년만 받은 후, 하디는 수학 트리포스 시험에서 4등을 했다.[12] 수년 후, 그는 트리포스 시스템이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이 아닌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가고 있다고 느껴 이를 폐지하려 했다. 대학 재학 중 하디는 엘리트 지식인 비밀 단체인 케임브리지 사도회에 가입했다.[13]

2. 2. 교수 경력

1900년 트리니티 칼리지의 상급 특별 연구원(Prize Fellowship)으로 선출되었다.[1] 1903년 당시 영국 대학에서 최고 학위였던 문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06년 상급 특별 연구원 임기가 만료되자 주당 6시간 강의로 연구할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트리니티 강사로 임명되었다.[1]

버트런드 러셀 사건의 여파로 1919년 제1차 세계 대전 중 케임브리지를 떠나 옥스퍼드 대학교 새빌 기하학 교수직을 맡았고, 뉴 칼리지의 특별 연구원이 되었다.[18] 1928–1929 학년도에는 오스왈드 베블렌과 학술 교류를 하며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베블렌은 옥스퍼드에서 보냈다.[3] 1928년 조시아 윌러드 깁스 강연을 했다.[19][20] 1931년 케임브리지로 돌아와 트리니티 칼리지의 특별 연구원이 되었고, 1942년까지 새들레리언 교수를 역임했다.[1] 65세에 정년퇴직을 피하기 위해 옥스퍼드에서 케임브리지로 간 것으로 여겨진다.[17]

1922년부터 1935년까지 애빙던 스쿨의 이사진으로 있었다.[21]

2. 3. 말년

1939년, 관상 동맥 혈전증을 앓아 테니스, 스쿼시 등을 할 수 없게 되었다. 수학적 창의력 또한 잃게 되자, 그는 끊임없이 지루해했으며 버트런드 러셀 사건에 대한 회고록을 쓰는 것으로 주의를 돌렸다. 1947년 초여름, 바르비투르산염 과다 복용으로 자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그 후 그는 죽음을 기다렸고, 어느 이른 아침 여동생이 케임브리지 대학교 크리켓 역사책을 읽어주는 것을 듣던 중 갑자기 사망했다.[17]

3. 업적

하디는 영국 수학에 엄밀성을 도입하여 영국 수학을 개혁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35] 이전의 영국 수학자들은 아이작 뉴턴의 명성에 얽매여 응용 수학의 전통에 주로 머물렀으나, 하디는 프랑스에서 지배적인 '분석 강의' 방식에 더 익숙했고, 유체역학에 반하여 순수 수학에 대한 자신의 개념을 적극적으로 홍보했다.

1911년부터 존 이덴서 리틀우드와 협력하여 수학적 분석과 해석적 정수론에서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했다. 이는 하디-리틀우드 원법으로 알려지게 된 방법의 일부로서 와링의 문제에 대한 정량적 발전을 이끌었다. 소수 이론에서 그들은 결과를 증명했고,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조건부 결과를 얻었다. 이는 추측 체계로서의 수론 발달에 중요한 요소가 되었으며, 예로는 첫 번째 하디-리틀우드 추측과 두 번째 하디-리틀우드 추측이 있다. 하디와 리틀우드의 협력은 수학 역사상 가장 성공적이고 유명한 협력 중 하나로, 1947년 강연에서 덴마크 수학자 하랄드 보어는 한 동료가 "요즘에는 정말 위대한 영국 수학자가 세 명뿐입니다. 하디, 리틀우드, 그리고 하디-리틀우드죠."라고 말했다고 전했다.[22]

하디는 1908년 빌헬름 바인베르크와는 별도로 하디-바인베르크의 법칙을 공식화했는데, 이는 개체군 유전학의 기본적인 원리이다. 그는 유전학자 레지널드 퍼넷과 크리켓을 쳤는데, 퍼넷은 그에게 순수하게 수학적인 용어로 이 문제를 소개했다.[23] 유전학에 전혀 관심이 없었고, 수학적 논증을 "매우 간단하다"고 묘사한 하디는 그 결과가 얼마나 중요해졌는지 깨닫지 못했을 수도 있다.[24]

하디는 자신의 연구가 ''순수 수학''으로 여겨지기를 바랐는데, 이는 아마도 그의 평화주의와 수학이 응용 수학에 사용된 군사적 용도에 대한 혐오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는 자신의 저서 ''어떤 수학자의 변명''에서 "나는 '유용한' 일을 한 적이 없다. 나의 어떤 발견도 세상의 쾌적함에 직간접적으로 좋든 싫든 조금이라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없다"고 하였다.[29] 그러나 개체군 유전학에서 하디-바인베르크 평형을 공식화한 것 외에도, 라마누잔과 함께한 정수 분할에 관한 연구는 물리학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었다.[30]

하디의 논문집은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에서 7권으로 출판되었다.[28]

3. 1. 해석학 및 정수론

1911년부터 존 이든저 리틀우드해석학과 해석적 정수론에 관한 공동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곧 하디-리틀우드 원형법을 웨어링의 문제 해결에 응용하는 성과로 이어졌다. 그들은 소수 이론에서 다양한 명제들과 조건적 명제들을 증명하여 추측으로서의 정수론 발전에 기여하였고, 첫 번째 하디-리틀우드 추측과 두 번째 하디-리틀우드 추측이 대표적인 예이다.[22] 하디와 리틀우드의 공동연구는 수학사에서 가장 성공적이고 유명한 협력 사례 중 하나로 손꼽힌다. 1947년 덴마크 수학자 하랄드 보어는 강연에서 "요즘에는 정말 위대한 영국 수학자가 세 명뿐입니다. 하디, 리틀우드, 그리고 하디-리틀우드죠."라고 말한 동료의 말을 전하기도 했다.[22]

하디는 1914년 리만 가설과 관련하여 제타 함수 근의 특이선 위에 무수히 많은 근이 존재함을 보였다. 그는 해석학 전반, 특히 해석적 정수론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제타 함수의 영점 분포, 근사 함수 등식, 가법적 정수론에서의 원주법, 디오판토스 근사 등에서 괄목할 만한 업적을 남겼다. ( 하디-리틀우드 추측 등 대부분 리틀우드와의 공저)

3. 2. 스리니바사 라마누잔과의 협력

1913년 하디는 인도의 수학자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이 보내온 연구 노트를 보고 그의 천재성을 즉시 알아보았다.[46] 하디는 라마누잔을 케임브리지 대학교로 초청하여 공동 연구를 진행했고, 이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수학적 성과를 낳았다.

3. 3. 하디-바인베르크 평형

1908년 집단유전학의 기초 원리인 하디-바인베르크 평형을 빌헬름 바인베르크와 독립적으로 공식화했다.[23] 레지널드 퍼넷이 크리켓을 치던 하디에게 이 문제를 순수하게 수학적인 용어로 소개해 주었는데,[23] 하디는 유전학에 전혀 관심이 없었고, 자신의 수학적 논증을 "매우 간단하다"고 묘사했지만, 이 결과는 집단유전학에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다.[24]

3. 4. 기타

하디는 영국 수학에 엄밀성을 도입하여 영국 수학을 개혁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35] 이전의 영국 수학자들은 응용 수학 전통에 머물며 아이작 뉴턴의 명성에 얽매여 있었다. 반면 하디는 프랑스에서 지배적인 '분석 강의' 방식에 더 익숙했고, 케임브리지 수학의 중요한 부분이었던 유체역학에 반하여 순수 수학에 대한 자신의 개념을 적극적으로 홍보했다.

하디는 평화주의와 수학이 응용 수학에 사용되는 군사적 용도에 대한 혐오 때문에 자신의 연구가 ''순수 수학''으로 여겨지기를 바랐다. 그러나 개체군 유전학에서 하디-바인베르크 평형을 공식화한 것 외에도, 라마누잔과의 정수 분할에 관한 공동 연구 등 그의 많은 연구가 과학의 다른 분야에서 응용되었다.[30]

생물학에 대한 기여로는, 독일의 빌헬름 바인베르크와는 독립적으로 집단 유전학에서의 하디-바인베르크의 법칙(1907년)을 발견했다.

앨런 튜링은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하디의 고급 강좌나 수업을 들으며 많은 조언을 구했다.

4. 성격 및 인격

하디는 매우 소극적인 성격이었다. 학창 시절 거의 모든 과목에서 상위권 성적을 거두고 여러 상을 받았지만, 전교생 앞에서 상을 받는 것을 극도로 싫어했다.[47] 새로운 사람을 만나 소개받는 것을 꺼렸으며,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는 것조차 참을 수 없어 호텔 방에 들어가면 모든 거울을 수건으로 가렸다.[47][32][33] 사진 찍히는 것 또한 몹시 싫어하여 현재 남아있는 그의 사진은 단 5장에 불과하다.[47]

그는 무신론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신을 이용한 장난을 즐겼다. 덴마크 여행 중에는 자신이 리만 가설을 증명했다는 거짓 엽서를 친구에게 보내기도 했다. 페르마가 그의 “마지막 정리”로 큰 명성을 얻은 것처럼, 신이 자신에게 그런 행운을 주지 않아 무사히 배를 타고 돌아갈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었다.[47] 또한, 크리켓 경기장에 두꺼운 스웨터, 우산, 수학 자료 등을 챙겨 나타나 신이 자신이 비를 바란다고 착각하여 맑은 날씨를 만들어 줄 것을 기대하기도 했다.[47] 한번은 크리켓 경기 관람 도중 반대편 목사의 십자가에 빛이 반사되어 경기가 중단되자, 크리켓이 신을 이겼다며 친구에게 기쁨의 엽서를 보내기도 했다.[47]

하디는 블룸스버리 단체와 케임브리지 사도들 같은 지식인 단체와 교류했으며, 조지 에드워드 무어, 버트런드 러셀, 존 메이너드 케인스 등과 친구였다. 특히 버트런드 러셀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절친한 친구였다. 젊은 남성들과 플라토닉 관계를 가지기도 했는데,[34] 찰스 스노와는 크리켓에 대한 관심으로 친구가 되었다.[32][17]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하디가 주식 시장에 크리켓 점수를 보는 만큼의 관심을 쏟았다면 부자가 되었을 것이라고 말했다.[34] 하디는 평생 독신으로 지냈으며, 말년에는 누나의 보살핌을 받았다.[34]

비공식적으로, 그가 동성애자였다는 설이 있다.[34]

5. 평가

하디는 영국 수학에 활기를 불어넣어 당시 앞서 있던 프랑스, 스위스, 독일 수학을 따라잡는 발판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는다.[46] 당시 영국 수학은 아이작 뉴턴의 명성에 갇혀 고전적인 응용 수학에 머물러 있었다. 하디는 프랑스 수학에서 우세했던 논법에 관심을 가졌으며, 적극적으로 자신의 순수 수학적 개념을 발전시켰다.

1911년부터 존 이든저 리틀우드해석학과 해석적 정수론에 관한 공동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는 곧 하디-리틀우드 원형법의 웨어링의 문제 해결로 이어졌다. 그들은 소수 이론에서 다양한 명제들과 조건적 명제들을 증명하여 추측으로서의 정수론을 발전시켰고, 그 대표적인 예가 제1, 제2 하디-리틀우드 추측이다. 하디와 리틀우드의 공동 연구는 수학사에서 가장 성공적이고 유명한 공동 연구 사례 중 하나로 꼽힌다. 1947년 덴마크의 수학자 하랄드 보어(Harald Bohrda, 닐스 보어의 동생)는 강의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기도 했다.[46]

하디와 라마누잔의 공동 연구 또한 역사적인 사례이다. 1913년 하디는 라마누잔이 인도에서 보내온 연구 노트를 보고 단번에 그의 천재성을 알아보았다. 하디는 라마누잔을 케임브리지 대학으로 초청하여 공동 연구를 진행했고, 다섯 편의 탁월한 논문을 발표했다.

앨런 튜링 또한 하디가 케임브리지 대학에 있을 때 그의 고급 강좌나 수업을 들으며 많은 조언을 구했다.

하디는 1908년에 집단유전학의 기본 원리인 하디-바인베르크 평형을 바인베르크와는 별개로 공식화하여, 의도치 않게 응용 수학 분야의 창시자 중 한 명이 되었다.

하디의 논문들은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사에서 7권으로 출판되었다.

하디의 가장 유명하고 뛰어난 업적은 리만 가설의 역을 증명한 것이다. 그는 1914년 제타 함수 근의 특이선 위에 무수히 많은 근이 존재함을 보였다.

하디는 자신의 연구가 순수 수학으로 여겨지기를 바랐는데, 이는 평화주의와 수학이 응용 수학에 사용되어 군사적 목적으로 이용되는 것에 대한 혐오감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는 자신의 저서 《어떤 수학자의 변명》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29]

그러나 개체군 유전학에서 하디-바인베르크 평형을 공식화한 것 외에도, 라마누잔과 함께한 정수 분할에 관한 연구인 하디-라마누잔 점근 공식은 원자핵의 양자 분할 함수(처음에는 닐스 보어가 사용)를 찾고 비상호작용 보스-아인슈타인 통계 시스템의 열역학적 함수를 도출하는 데 물리학에서 널리 응용되었다.[30]

하디는 자신의 수학이 어떤 응용도 없이 "순수"하게 되기를 바랐지만, 그의 연구는 여러 과학 분야에서 응용되었다.[30]

6. 주요 저서


  • A Mathematician's Apology영어 (1940년 초판, 2004년 재출간).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C. P. 스노우의 서문을 포함하여 《어느 수학자의 변명》으로 번역 출간되었다.[40]
  • Ramanujan영어 (1940년 초판, 1999년 재출간).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Ams Chelsea Pub. 《라마누잔: 그의 삶과 연구에서 제안된 주제에 관한 12개의 강의》로 번역 출간되었다.
  •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Numbers영어 (1938년 초판, 2008년 6판). E. M. 라이트와 공저.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로저 히스-브라운과 조셉 H. 실버만이 개정하고, 앤드루 와일스가 서문을 썼다. 《수론 입문》으로 번역 출간되었다.
  • A Course of Pure Mathematics영어 (1908년 초판, 2008년 10판).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토머스 윌리엄 코너의 서문을 포함한다. 《순수 수학 강좌》로 번역 출간되었다.
  • Divergent Series영어 (1949년). 옥스퍼드 클래런던 프레스. 《발산 급수》로 번역 출간되었다.
  • Collected papers of G.H. Hardy; including joint papers with J.E. Littlewood and others영어 (1966년). 옥스퍼드 클래런던 프레스. 런던 수학회에서 편집했다.
  • Inequalities영어 (1934년). 존 에덴서 리틀우드, 조지 폴리야와 공저.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부등식》으로 번역 출간되었다.
  • Bertrand Russell and Trinity영어 (1942년 초판, 1970년 재출간). C. D. 브로드의 서문 포함.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참조

[1] 논문 Godfrey Harold Hardy. 1877–1947
[2] 문서 GRO Register of Deaths: DEC 1947 4a 204 Cambridge – Godfrey H. Hardy, aged 70
[3] 웹사이트 MacTutor Biography
[4] 웹사이트 MathGenealogy
[5] 웹사이트 THE MAN WHO KNEW INFINITY: A Life of the Genius Ramanujan http://robertkanigel[...] 2010-12-02
[6] 서적 Littlewood's Miscella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7] 논문 Ramanujan—An Estimation 1987-12-19
[8] 서적 Ramanujan: Twelve Lectures on Subjects Suggested by his Life and Work https://archive.org/[...] AMS Chelsea
[9] 문서 GRO Register of Births: MAR 1877 2a 147 Hambledon – Godfrey Harold Hardy
[10] 서적 The Man Who Knew Infinity Charles Scribner's Sons
[11] 웹사이트 acad
[12] 웹사이트 What became of the Senior Wranglers? http://www.clerkmaxw[...]
[13] 논문 The interest of G. H. Hardy, F.R.S., in the philosophy and the history of mathematics The Royal Society 2001-09-01
[14] 웹사이트 Orders of Infinity: The 'Infinitärcalcül' of Paul Du Bois-Reymond https://www.gutenber[...] 2011-11-21
[15] 논문 The Books Studied by Ramanujan in India https://www.tandfonl[...] 2000-08-01
[16] 논문 The Indian Mathematician Ramanujan https://www.tandfonl[...] 1937-03-01
[17] 서적 Variety of Men Penguin books
[18] 웹사이트 G H Hardy's Oxford Years https://www.maths.ox[...] Oxford University Mathematical Institute 2016-04-16
[19] 웹사이트 Josiah Willard Gibbs Lectures https://www.ams.org/[...]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20] 논문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numbers
[21] 웹사이트 School Notes http://www.abingdon.[...] The Abingdonian
[22] 서적 Collected Mathematical Works Dansk Matematisk Forening
[23] 논문 Early Days of Genetics 1950
[24] 서적 An Annotated Mathematician's Apology https://archive.org/[...]
[25] 웹사이트 Godfrey Harold Hardy https://www.amacad.o[...] 2023-02-09
[26] 웹사이트 Godfrey Hardy http://www.nasonline[...] 2023-05-08
[27]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5-08
[28] 서적 Collected Papers of G. H. Hardy – Volume 7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79
[29] 논문 Godfrey Harold Hardy http://www.numberthe[...]
[30] 논문 The Hardy-Weinberg principle and its applications in modern population genetics 2010-08-01
[31] 서적 A Mathematician's Apology
[32] 서적 A Mathematician's Ap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논문 G.H. Hardy: Mathematical Biologist http://scholarship.c[...] 2024-07-31
[34] 웹사이트 GH Hardy, the mathematician who loved cricket http://www.espncrici[...] ESPNcricinfo 2014-09-18
[35] 웹사이트 G.H. Hardy https://famous-mathe[...] 2022-03-29
[36] 서적 The Man Who Loved Only Numbers
[37] 웹사이트 Film Review: 'The Man Who Knew Infinity' https://www.ams.org/[...] 2016-02-01
[38] 뉴스 Adding up to a life. Review of The Indian Clerk by David Leavitt https://www.theguard[...] 2008-01-26
[39] 웹사이트 Review: Uncle Petros and Goldbach's Conjecture by Apostolos Doxiadis https://old.maa.org/[...]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2000-04-01
[40] 웹사이트 A Good Read - Marcus du Sautoy and David Dabydeen - BBC Sounds https://www.bbc.co.u[...]
[41] 서적 The Man Who Knew Infinity Charles Scribner's Sons
[42] 서적 無限の天才――夭逝の数学者・ラマヌジャン http://www.kousakush[...] 工作舎
[43] 문서 GRO Register of Deaths: DEC 1947 4a 204 Cambridge–Godfrey H. Hardy, aged 70
[44] 문서 GRO Register of Births: MAR 1877 2a 147 Hambledon–Godfrey Harold Hardy
[45] 서적 G. H. Hardy in Venn, J. & J. A., Alumni Cantabrigiens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6] 저널 Mathematical Anecdotes
[47] 서적 Foreword, in: G. H. Hardy, A Mathematician's Ap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