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미네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미네성은 1340년 유키 지카토모가 축성한 일본의 성이다. 남북조 시대부터 센고쿠 시대를 거쳐,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영지가 몰수될 때까지 고미네 가문의 거성이었다. 에도 시대에는 여러 가문의 지배를 받았으며, 1868년 보신 전쟁으로 인해 대부분 소실되었다. 현재는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1991년에는 천수대용의 망루가 복원되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석축이 붕괴되는 피해를 입었으나, 복구 공사를 통해 2019년에 완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쿠시마현의 국가지정사적 - 와카마쓰성
와카마쓰성은 1384년 축성되어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까지 아이즈 지방을 대표하는 성곽으로, 가모 우지사토에 의해 근세 성곽으로 개축되어 쓰루가성으로 개명되었고, 보신 전쟁 후 복원되어 현재는 박물관으로 활용되며 일본 100명성에 선정되었으나, 역사 왜곡 시도와 역사적 의미에 대한 논란이 있다. - 후쿠시마현의 국가지정사적 - 니혼마쓰성
니혼마쓰성은 후쿠시마현 니혼마쓰시에 있는 사다리꼴식 평산성으로, 무로마치 시대에 요새로 건설되어 센고쿠 시대에는 다테 마사무네와 니혼마쓰 가문의 갈등지였으며, 에도 시대 성주가 여러 번 바뀌었고 보신 전쟁 때 파괴되었으나 복원되어 국가 사적으로 지정, 현재는 공원으로 활용된다. - 후쿠시마현의 성 - 와카마쓰성
와카마쓰성은 1384년 축성되어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까지 아이즈 지방을 대표하는 성곽으로, 가모 우지사토에 의해 근세 성곽으로 개축되어 쓰루가성으로 개명되었고, 보신 전쟁 후 복원되어 현재는 박물관으로 활용되며 일본 100명성에 선정되었으나, 역사 왜곡 시도와 역사적 의미에 대한 논란이 있다. - 후쿠시마현의 성 - 후쿠시마성 (후쿠시마현)
후쿠시마성은 1413년 다테 모치무네가 축성한 다이부쓰성을 기원으로, 스기노메성으로 불리다 후쿠시마성으로 개칭되었으며, 에도 시대에는 번주가 교체되고 메이지 유신 이후 폐성되어 현재는 현청사와 공원이 조성된 터에서 다테씨 관련 유물이 발굴된다.
고미네성 | |
---|---|
개요 | |
![]() | |
본명 | 고미네 성(小峰城) |
다른 이름 | 시라카와 성(白河城) 가라메 성(搦目城) 유키-시라카와 성(結城白川城) |
종류 | 언덕 위 스타일의 일본의 성 |
위치 | 후쿠시마현시라카와시 |
좌표 | 37°07′58″N 140°12′49″E |
문화재 지정 | 국가 사적 |
역사 | |
건설 | 1340년 |
재건 | 1632년 |
건설 주체 | 유키 치카토모 니와 나가시게 |
사용 기간 | 무로마치 시대 - 1893년 |
철거 | 해당 없음 |
현재 상태 | 1991년 부분적으로 재건 |
소유 및 관리 | |
공개 여부 | 공개 |
통제 | 해당 없음 |
주둔군 | 해당 없음 |
현재 사령관 | 해당 없음 |
사령관 | 해당 없음 |
점유자 | 해당 없음 |
전투 및 사건 | |
전투 | 해당 없음 |
사건 | 아이즈 전투 |
![]() | |
구조 | |
유형 | 계곽식 평산성 |
천수 구조 | 3중 망루 (복합식 층탑형 3중 3층, 1632년 축조, 1991년 목조 복원) |
건축 자재 | 해당 없음 |
높이 | 해당 없음 |
잔존물 | 석벽, 토루, 해자 |
재건된 것 | 3중 망루, 북 망루, 문 |
2. 역사
1340년 유키 지카토모가 고미네가오카에 성을 축성한 것을 시작으로, 1590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영지가 몰수되기까지 고미네 가문의 거성이었다. 1590년 오다와라 정벌 이후 가모 우지사토, 가모 히데유키를 거쳐 우에스기 가게카쓰가 아이즈 120만 석에 영지가 가증되어 와카마쓰성으로 입성했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요네자와번 30만 석에 감봉되어 전봉되었다. 대신 동군에 속해 전공을 세운 전 영주 가모 히데유키에게 아이즈 번 60만 석을 주었다.
1627년 2대 번주 가모 다다사토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니와 나가시게가 시라카와번 10만 석에 배령받아 고미네 성에 입성하였다. 1629년 막부의 명을 받은 나가시게는 고미네 성을 대규모로 개축하여 1632년에 성의 확장 및 수리를 마쳤다. 이후, 성주는 니와 가문, 사카키바라 가문, 혼다 가문, 오쿠다이라 마쓰다이라 가문, 에치젠 마쓰다이라 가문, 히사마쓰 마쓰다이라 가문, 아베 가문 도합 7가문 21명의 성주가 역임했다. 1867년 아베 가문의 마지막 번주 아베 마사키요가 무쓰국 다나구라번으로 이봉된 후, 번은 막부 직할령으로 편입되어 고미네 성은 니혼마쓰번의 니와 가문이 관리하였다.
1868년 보신 전쟁의 무대가 되어 오우에쓰 열번동맹 군과 신정부군 간의 격전이 벌어졌으며, 신정부군이 성을 함락하면서 성의 대부분은 소실되었다. 1991년 혼마루 터에 천수 대용의 3층 망루가 재건되었으며, 1994년 성문 일부가 당시 사료를 근거로 복원되었다. 2006년 4월 6일 일본 100대 명성에 선정되었다.
2011년 (헤이세이 23년) 3월 11일에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석축 등이 붕괴되었지만, 2015년 (헤이세이 27년) 복구를 마치고 다시 개방되었다. 2020년에는 시미즈문의 목조 복원을 위한 프로젝트가 시작되어 2025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2. 1. 초기 역사 (남북조 시대 ~ 센고쿠 시대)
1340년 유키 지카토모가 고미네가오카에 성을 축성한 것이 고미네 성의 시작이다. 그 이전에 유키 가문은 시라카와 성을 거점으로 삼았으며, 고미네 성 남동쪽에 자리잡고 있었다. 유키 지카토모는 처음에는 남조에 속해 북조에 대항했으나, 전세가 불리해지자 북조에 가담하여 시라카와 지역을 기반으로 세력을 구축해 나갔다. 지카토모는 가문의 권한을 적장자 유키 아키토모에게 주었으며, 고미네 성에서 생활하였고, 시라카와 유키 가문의 분가인 고미네 가문의 시조가 되었다. 이후 1590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영지가 몰수되기까지 고미네 가문의 거성이었다.1590년(덴쇼 18년), 성주인 시라카와 유우키 씨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오슈 시오키에 의해 개역되면서 이 지역은 아이즈 영지가 되었고, 가모 씨, 이어서 우에스기 씨, 다시 가모 씨가 지배했다.
2. 2.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1590년 오다와라 정벌에 참전하지 않은 시라카와 유키 가문 및 도호쿠 지방의 여러 다이묘들의 영지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몰수되거나 재편되었다. 시라카와 유키 가문의 영지는 아이즈 령에 편입되어 오다와라 정벌에서 공을 세운 가모 우지사토에게 주어졌다.[18] 1592년 임진왜란 출정 준비 중 우지사토가 병사하자, 가모 히데유키가 영주로 부임했다.[18] 그러나 1598년 가문 내 분쟁을 우려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히데유키를 아이즈 92만 석에서 시모쓰케 국 우쓰노미야 12만 석으로 이봉하였다.[18]
우에스기 가게카쓰가 에치고, 사도에서 아이즈 120만 석으로 와카마쓰성에 입성했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에 가담한 우에스기 가게카쓰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요네자와번 30만 석으로 감봉되었다. 이후, 동군에서 전공을 세운 이전 영주 가모 히데유키가 아이즈 번 60만 석을 받았다.
2. 3. 에도 시대
1627년 2대 번주 가모 다다사토가 대를 이을 아들 없이 사망하자, 동생 가모 다다토모가 뒤를 이어 이요국 마쓰야마 번으로 전봉되었다. 대신 마쓰야마 번에서 가토 요시아키가 아이즈번 40만 석을 배령받아 와카마쓰성에 입성했고, 시라카와 지역은 아이즈 번에서 분리되어 니와 나가시게가 시라카와번 10만 석에 배령받아 고미네 성에 입성하였다. 1629년 막부의 명을 받은 나가시게는 고미네 성을 대규모로 개축하여 4년 후인 1632년에 성의 확장 및 수리를 마쳤다.[18]이후, 성주는 니와 가문(1627년 ~ 1643년), 사카키바라 가문(1643년 ~ 1649년), 혼다 가문(1649년 ~ 1681년), 오쿠다이라 마쓰다이라 가문(1681년 ~ 1692년), 에치젠 마쓰다이라 가문(1692년 ~ 1741년), 히사마쓰 마쓰다이라 가문(1741년 ~ 1823년), 아베 가문(1823년 ~ 1866년, 1868년) 도합 7 가문 21명의 성주가 역임했다. 1867년 아베 가문의 마지막 번주 아베 마사키요가 무쓰국 다나구라번으로 이봉된 후, 번은 막부 직할령으로 편입되어 고미네 성은 니혼마쓰번의 니와 가문이 관리하였다.
1868년 고미네 성은 보신 전쟁의 무대가 되어 오우에쓰 열번동맹 군과 신정부군 간의 격전이 벌어졌으며, 신정부군이 성을 함락했다. 이 전쟁으로 성의 대부분은 소실되었다.
2. 4. 보신 전쟁과 메이지 시대
보신 전쟁 당시 시라카와는 친 도쿠가와 세력인 오우에츠 열번 동맹의 거점이었으며, 아이즈 전투에서 삿초 동맹의 친 천황 군대에 공격을 받았다. 침략군은 수적으로 열세였지만, 우수한 포병을 보유했고, 고미네 성은 주로 북쪽으로부터의 공격에 대비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남쪽 접근로는 비교적 가볍게 요새화되어 있었다. 1868년 5월 1일, 이 성은 메이지 정부에 함락되었다.[3]성의 많은 구조물들이 전투 중에 파괴되었고, 석벽의 큰 부분을 포함한 나머지 대부분은 폐번치현 이후 철거되었다. 이후 부지는 공원으로 바뀌었다.
1991년에는 원래의 덴슈 기초 위에 3층짜리 덴슈가 재건되었고, 1994년에는 문 하나가 복원되었다. 이 구조물들은 (일부 석조 구조물과 해자 포함)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3][4]
1873년(메이지 6년) 1월 14일 폐성령에 따라 존성 처분되었다. 성터에는 구루와・토루이・이시가키・수구만을 남겨두었고, 니노마루 광장은 시라카와 정(白河町)의 공원 광장으로 사용된 후 1952년(쇼와 27년)에는 "시라카와 시립 성산 야구장"으로 야구장이 정비되어 높이 10m, 폭 50m 정도의 석축이 백스크린으로 사용되었다. 1956년(쇼와 31년)에는 센트럴 리그 공식전이 1경기, 기타 2군전 4경기가 열렸고, 야구 외에 말 경매 및 경륜도 개최되었다.[5]
이후 사적 공원으로서의 정비 방침에 따라 1987년(쇼와 62년)에 야구장 시설을 철거하고,[5] 1991년(헤이세이 3년)에 혼마루 터에 삼중 망루(천수에 해당)가, 1994년(헤이세이 6년)에 앞쪽 어문이 당시의 사료[6]에 근거하여 복원되었다.
2006년(헤이세이 18년) 4월 6일, 일본 100명성 (13번)으로 선정되었다.
'''동일본 대지진 피해'''
2011년(헤이세이 23년) 3월 11일에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삼중 망루는 붕괴되지 않았지만, 여러 곳의 석축, 구루와가 붕괴되거나 쌓아올린 것이 헐거워지는 피해가 있었다.[7][8][9] 구루와 위에 있던 시라카와 장미원과 공원・석비 등도 붕괴되어 지진 이후에는 혼마루 출입이 금지되었다.[10][11] 특히 삼중 망루 하단 구루와의 붕괴 피해가 커서, 고미네 성 입구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외에도, 공원 내 매점은 일부 손상되었지만, 성벽 앞 잔디밭과 성 안에 심어져 있던 벚나무는 대체로 피해가 없었다.
2011년 가을부터 복구 공사가 진행되었고, 복구 과정에서는 무너진 돌을 하나하나 도면에 옮기고, 모양을 붕괴 전 석축 사진과 비교하여 어느 돌인지 특정하고, 원래대로 다시 쌓는 작업이 이어졌다. 이러한 작업의 결과, 떨어뜨려 쌓기라고 불리는, 특징적인 동심 반원 형상의 석축도 옛 모습으로 복구되었다. 고미네 성 석축 복구 노하우는 구마모토 성 석축 복구에도 활용될 것이라고 한다.
2015년 4월부터 입성이 가능해졌고, 2019년 4월, 스즈키 가즈오 시장이 성산 공원에서 석축 복구 완료를 선언했다.[12][13] 시라카와 장미원은 폐원되었다.
2. 5. 현대
1991년(헤세 3년) 혼마루 터에 천수대용의 3층 망루가 재건되었으며, 1994년(헤세 6년) 성문 일부가 당시 사료를 근거로 복원되었다.[3][4] 2006년(헤세 18년) 4월 6일 일본 100대 명성에 선정되었다.보신 전쟁에서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되었지만, 1991년에 혼마루 고산계루가 목조로 복원되었다. 이는 현재 각지의 성터에서 진행되고 있는, 발굴 조사나, 도면, 옛 사진 등의 자료에 근거한 목조에 의한 복원의 효시가 되었다.
2011년 (헤이세이 23년) 3월 11일에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석축 등이 붕괴되었기 때문에, 삼중 망루를 포함하여 혼마루는 출입 금지되었지만, 2015년 (헤이세이 27년) 4월 19일에 고미네성 복흥식이 개최되어 복흥식 종료 후 입성이 가능하게 되었다.
2020년, 시라카와시는 혼마루 정면에 있던 시미즈문의 목조 복원을 목표로, "고미네성 1석 성주"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당초 2024년도의 완성을 목표로 했지만, 2023년 10월 20일자로 국가의 복원 허가가 내려져, 2024년 1월 착공하여 2025년도 말 완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3. 구조
고미네성은 아부쿠마강과 얀타 강 사이의 고미네가오카(小峰ヶ岡)로 불리는 구릉지에 축조된 평산성이다. 도호쿠 지방에서는 드물게 돌로 성벽을 쌓은 성으로, 모리오카 성, 와카마쓰성과 함께 도호쿠 3대 명성 중 하나로 꼽힌다.
고미네성은 동서로 500미터에 걸쳐 뻗어 있는 길고 좁은 언덕에 위치해 있으며, 아부쿠마강의 굽이진 부분에 자리 잡고 있어 자연적인 방어 시설을 형성한다. 간토 지방과 일본 북부를 잇는 주요 도로인 오슈 가이도에 위치해 있어, 이 지역에 대한 지배는 매우 중요한 전략적 의미를 지녔다. 고대 시라카와 관문이 한때 근처에 위치해 있었다.
성의 배치는 사다리꼴 형태로, 아부쿠마강을 등진 북단에 혼마루가 위치하고, 혼마루의 남쪽에 니노마루, 산노마루가 펼쳐져 있다. 혼마루는 주변을 오비구루와와 다케노마루로 둘러쌌다. 니노마루까지는 총 석축으로 튼튼하게 쌓았지만, 산노마루부터는 일부 흙으로 쌓은 토루가 되었다.
혼마루는 높은 석벽으로 보호되는 2개의 층으로 나뉘어져 있다. 북동쪽 모퉁이에는 천수를 대신하는 3층 망루가 있었다. 북쪽과 서쪽으로는 원래 지형을 이용하여 거대한 성벽을 쌓았다. 혼마루 남쪽에는 폭이 넓은 해자로 보호받는 200 x 100미터 크기의 구획이 있었으며, 이곳에는 성주의 저택이 있었다. 이 핵심 지역 외곽에는 여러 개의 구획이 있어 2차 방어 시설을 형성했다. 성의 동쪽은 외부 방어벽으로 더욱 보호되었다.
보신 전쟁에서 대부분의 건물이 소실되어 성터에는 석축만 남아 있었지만, 1991년 혼마루의 3층 망루(고산계루)가 목조로 복원되었다. 이는 발굴 조사, 도면, 옛 사진 등의 자료에 근거한 목조 복원의 효시가 되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석축 등이 붕괴되어 2015년까지 혼마루 출입이 금지되기도 했지만, 복구 공사가 완료되어 다시 입성이 가능하게 되었다.[3][4]
2020년, 시라카와시는 혼마루 정면에 있던 시미즈문의 목조 복원을 목표로 "고미네성 1석 성주"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2023년 10월 국가의 복원 허가를 받아 2024년 1월 착공하여 2025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성 주변은 공원으로 정비되어 있으며, 공원 안에는 성주를 역임했던 유키 가문과 아베 가문 관련 자료를 전시하고 있다. 혼마루 오비구루의 북쪽에 있었던 시라카와 장미원은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혼마루 석축 붕괴 복구 공사에 따라 폐지되었다.
3. 1. 3층 망루 (어삼계루)
1632년 건립된 복합식 승탑형 3층 3계의 망루는 3층 망루로 불렸지만, 사실상 천수였다.[19] 망루대에는 쓰키 망루를 두었으며, 2층에 출창을 단 모습은 와카마쓰성의 천수를 연상케 한다.[19] 검게 옻칠한 판자를 달았고, 바람과 비를 고려해 창을 작게 만들었다. 현재의 3층 망루는 1868년 보신 전쟁에서 소실되어 1991년 복원한 것이다.복원된 3층 망루는 철근콘크리트 구조가 아닌 목조로 복원되었다. 이는 천수에 해당되는 성곽 건조물로는 처음 있는 일이었다. 그러나 대규모 목조건축물은 일본 건축기준법에서 원칙적으로 금하고 있어, 일반인 출입을 금하는 건물로 건축허가를 얻었다. 이후 내부 견학자를 받아들인 일로 인해 말썽을 빚었으나, 현재는 별문제 없이 출입이 가능하다. 복원된 망루의 부재는 보신 전쟁의 격전지였던 마쓰나미이나리 산의 삼나무를 사용해 복원한 것으로, 기둥의 상흔을 확인할 수 있다.
3. 2. 건축적 특징
1632년에 건립된 복합식 승탑형 3층 3계의 망루는 3층 망루로 불렸지만, 사실상 천수였다.[19] 망루대에는 쓰키 망루를 두었으며, 2층에는 출창을 단 모습은 와카마쓰성의 천수를 연상케 한다.[19] 검게 옻칠한 판자를 달았으며, 바람과 비를 고려해 창을 작게 만들었다. 1868년 보신 전쟁에서 소실되어 1991년 복원되었다.복원된 3층 망루는 철근콘크리트 구조가 아닌 목조로, 외관만 복원된 여타 성들과는 달리 천수에 해당되는 성곽 건조물로는 처음 있는 일이었다. 그러나 대규모 목조건축물은 일본 건축기준법에서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있어, 일반인의 출입을 금하는 건물로 건축허가를 받았다. 이후 내부 견학자를 받아들인 일로 인해 문제가 되었으나, 현재는 별문제 없이 출입이 가능하다. 복원된 망루의 부재는 보신 전쟁의 격전지였던 마쓰나미이나리 산의 삼나무를 사용했으며, 기둥의 상흔을 확인할 수 있다.
빗물 누수와 부패를 방지하기 위해 흙을 사용하지 않는 당김 걸이 기와 지붕 공법을 사용하고 있다. 기와 문양은 마쓰다이라 사다노부의 가문 문장인 매화이다. 다양한 크기의 돌을 쌓아 올린 섞어 쌓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석벽은 현지산 시라카와 석으로 불에 약하여 화재로 인한 열화가 보인다.
4. 현재 남아있는 건조물
1873년 니노마루 입구 부근에 있던 다이코 망루(북고루)는 민가에 불하되어 산노마루의 고요도테(紅葉土手)로 옮겨졌고, 1930년 시라카와시 마루노우치에 다시 옮겨져 현재 다실로 사용되고 있다. 두 번의 이축으로 원형은 잃었지만, 당시 성의 모습을 알 수 있는 유일한 건조물이다.[3][4]
5. 전설
고미네 성이 대규모로 개축되었을 때, 산 제물이 된 여자아이의 원령을 위로하기 위해 벚나무를 심었다. 이 벚나무는 천수대용 3층 망루에 인접해 있다. 현재의 나무는 보신 전쟁 때 소실되어 다시 심은 것이다.[21]
- 오토메 벚꽃의 전설:
간에이 연간에 성을 크게 고쳐 지을 때, 본성의 돌담이 여러 번 무너져 인신공희를 하기로 결정되었다. 인신공희로 선택될 사람은 그날 처음으로 성에 온 사람으로 정해졌다. 그런데, 처음으로 성에 온 사람은 사사 봉행 와치 한자부로의 딸 "오토메"였다. 아버지는 필사적으로 "오지 마라"라고 손짓했지만, 오토메는 반대로 "오라"는 신호로 오해하여 붙잡혀 인신공희가 되었다.[16] 그 후, 돌담은 무사히 완성되었고, 오토메가 묻힌 곳에는 벚꽃 나무가 심어져 "오토메 벚꽃"이라 불리게 되었다. 현재 삼중 망루 바로 옆에 심어져 있는 오토메 벚꽃은 2대째이며, 초대 벚꽃은 보신 전쟁 때 소실되었다.[17]
6. 활용
- 무사의 체면 촬영이 이곳에서 진행되었다.
- 타임 스쿠프 헌터 2010년 5월 17일 방송(제7회) 「우리들은 시간의 파수꾼」 촬영이 이곳에서 진행되었다.
7. 교통
참조
[1]
웹사이트
小峰城跡
https://bunka.nii.ac[...]
Agency for Cultural Affairs
2016-12-25
[2]
뉴스
Crumbling castle walls cause concern
https://www3.nhk.or.[...]
NHK World Japan
2019-06-20
[3]
웹사이트
小峰城復興式と桜まつり
http://fukuori.com/k[...]
[4]
웹사이트
小峰城復興式と桜まつり
http://www.fukulabo.[...]
[5]
뉴스
NPBニュース 【球跡巡り・第18回】「城壁のバックスクリーン」で行われた唯一のプロ野球 白河市営城山球場
http://npb.jp/news/d[...]
日本野球機構
2019-05-31
[6]
문서
白河城櫓建絵図
[7]
뉴스
小峰城石垣崩落、鶴ケ城にひび
http://www.minpo.jp/[...]
福島民報
2011-03-12
[8]
블로그
白河市小峰城の石垣崩壊
http://pub.ne.jp/han[...]
2011-04-29
[9]
논문
史跡小峰城の災害復旧
2013
[10]
웹사이트
白河小峰城のご入場について
http://shirakawa315.[...]
行って!みっぺ!!白河(白河観光物産協会)
[11]
웹사이트
お城について
http://www.ntt-fukus[...]
福島の空(NTT東日本)
[12]
뉴스
福島の文化財復旧着々 沿岸部は先行き見えず
http://sp.kahoku.co.[...]
河北新報
[13]
뉴스
白河の「小峰城跡」完全復活 石垣修復完了、全国の支援に感謝
http://www.minyu-net[...]
福島民友
2019-04-22
[14]
서적
【決定版】図解・天守のすべて
学習研究社
2007
[15]
간행물
2016
[16]
서적
名城 (日本発見第13号)
暁教育図書
[17]
웹사이트
白河市公式ホームページ『しらかわ桜情報』
https://www.city.shi[...]
[18]
문서
이봉(移封)은 영지를 다른 곳으로 변경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19]
서적
【決定版】図説・天守のすべて(결정판 도설·천수의 모든 것)
가쿠슈켄큐샤
2007
[20]
문서
오토메(乙女)는 일본어로 소녀, 처녀를 가리키는 말이다.
[21]
웹인용
시라카와 관광협회, 시라카와 전설
https://web.archive.[...]
2009-0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