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성층은 경상남도 고성군 일대에 분포하는 지층으로, 암상에 따라 하부, 중부, 상부로 구분된다. 하부는 녹회색 응회질사암 등으로, 중부는 붉은색 사암으로, 상부는 녹회색 세립질사암 등으로 구성된다. 고성층의 퇴적은 약 9200만 년 전 시작되어 8500만 년 전 이전에 종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영시와 거제시, 고성군 등 지역별로 분포하며, 공룡 알 화석, 공룡 발자국 화석, 거북알 화석, 뿔공룡 아래턱뼈 화석 등 다양한 고생물 화석이 발견되었다. 2017년 고성읍 서외리에서 제4기 단층이 발견되었으며, 진동층과는 평행 부정합 관계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성군 (경상남도)의 지리 - 고성군 (경상남도)의 지질
고성군의 지질은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 불국사 화강암 등으로 구성되며, 공룡 발자국 화석과 제4기 단층이 발견된다. - 고성군 (경상남도)의 지리 - 소치섬
소치섬은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에 위치한 특정도서로, 검은머리갈매기 번식지로서 생물 다양성 보전 가치가 높아 여러 행위가 제한된다. - 이암 지층 - 다대포층
다대포층은 부산 다대포 일대의 백악기 후기 퇴적층으로, 양산-동래단층의 주향이동으로 형성된 분지를 채우며, 적색층과 응회질 사암으로 구성되어 공룡알 화석, 지질 및 퇴적 구조를 보존하고, 부산국가지질공원 지질유산으로 지정되었으나 일부 지역의 접근성 제한과 층서 대비 논쟁이 있다. - 이암 지층 - 대구층
대구층은 경상 누층군에 속하는 백악기 지층으로, 이암 및 셰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경상 분지 내 여러 지역에 분포하고, 특히 울주군에서는 다양한 지질 및 고고학적 유적을 포함한다. - 사암 지층 - 퇴적암
퇴적암은 바람, 빙하, 중력, 유수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층상으로 쌓여 압축 및 교결 작용을 거쳐 형성되며, 층리와 화석을 특징으로 하고, 쇄설성, 생화학적, 화학적 퇴적암 등으로 분류된다. - 사암 지층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고성층 | |
---|---|
개요 | |
![]() | |
유형 | 퇴적암 |
주 암질 | 사암, 이암 |
나머지 암질 | 역암, 응회암 |
이름 유래 | 경상남도 고성군 |
지질 | |
시대 | 중생대 |
시기 | 백악기 (~) |
상위 단위 | 경상 누층군 |
하층 | 하양층군 진동층 |
상층 | 유천층군 안산암류 |
두께 | 650 m 이상 |
분포 지역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삼산면, 거류면 거류산(571.7 m), 면화산(413.7 m) 통영시 도산면 서부 |
2. 지층의 구성 및 특징
고성층은 암상에 따라 하부, 중부, 상부로 구분된다. 고성층 상부에 협재되는 데사이트질 화산회 응회암(N 34°57'51.28", E 128°15'59.11")과 고성층을 피복하는 안산암질 화산회 응회암(N 34°58'01.88", E 128°16'09.73")에 대해 실시한 저어콘 U-Pb 절대연령측정 결과는 각각 약 89.1±0.4 Ma와 약 85.0±0.3 Ma를 보여 고성층의 퇴적이 8500만 년 이전에 종결된 것을 지시한다.[1][2]
2. 1. 하부
고성층은 암상에 따라 녹회색의 응회질사암, 역암, 이암, 붉은색의 응회질 사질이암 등으로 구성된다.[1][2] 고성층 하부의 데사이트질 응회암에서 추출한 쇄설성 저어콘의 U-Pb SHRIMP 연대측정 결과는 92.1±3.2 Ma를 보여 고성층의 퇴적이 약 9200만 년 전 시작되었음을 나타낸다.2. 2. 중부
붉은색이 우세한 사암과 사질 이암으로 구성된다.[1][2]2. 3. 상부
고성층 상부는 녹회색 내지 암회색의 세립질사암, 역암, 적색 사질이암이 주로 나타난다. 고성층의 상한은 주 분포지 중앙부의 최상부 응회암층으로 나타난다.[1][2]3. 지역별 분포 및 특징
고성층은 경상남도 고성군, 통영시, 거제시 일대에 걸쳐 분포하며, 지역별로 암상 및 퇴적 구조의 특징이 조금씩 다르게 나타난다.
고성층은 진동층과 점이적이어서 하한을 설정하기 어려우나, 대체로 녹색, 자색 응회질 셰일, 녹색 응회질 사암 혹은 응회질 역암의 산출로부터 그 기저로 삼았으며 상한은 응회암을 경계로 삼았다.
장태우 외(1983)는 부산 지역의 다대포층이 고성층에 대비될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한 바 있으나, 강희철 등(2000)은 고지자기 연구를 통해 고성층과 그 상위의 안산암에서는 여러 차례의 역자화가 관찰되는 반면 다대포층에서는 하부 2개 층준에서만 짧은 역자화가 나타나고 상위의 안산암은 정자화된 것에 근거하여 고성층과 다대포층이 시층서적으로 대비될 가능성은 없다고 하였다.[5]
하일면 용태리 해안 노두(N34°56'28.99", E128°13'40.36")에서는 두 매의 단층이 북서 방향의 쇄설성 암맥을 절단하고, 삼산면 장치리 해안 노두(N34°56'28.09", E 128°14'13.69")에서는 고성층을 절단하는 남-북 방향의 단층이 발달하였다.[1]
고성군 고성읍 신월리 산 10-7 에는 서북서 방향이 우세하고 약 10 cm 내외의 수직 변위를 보이는 점완형 성장 단층과 (서)북서 방향이 우세한 쇄설성 암맥들이 다수 발달한다. 단층과 미고결 퇴적물이 액상화되어 인장단열을 따라 주입된 쇄설성 암맥들은 본 지역 일원에서 발생한 단층 혹은 화산 활동에 의해 유발한 지진동의 기원으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1]
3. 1. 통영시와 거제시
충무 지질도폭(1983)에 의하면 고성층은 주로 응회질 퇴적암과 응회암으로 구성되며 응회질 퇴적암 속에 담갈색 혹은 회색의 이암을 협재하기도 한다. 응회암층은 고성층 상부에 두께 20 m로 2매 협재된다. 본 층 내에서 사층리와 연흔이 관찰된다.[3]미조-미륵도도폭(2016)에 의하면 고성층은 통영시 한산도 염호리 북동부와 거제시 둔덕면 술역리 화도 남동부에 소규모로 드러나 있으며 문어포 안산암 아래 놓이고 녹회색 응회질 이암 및 사암, 저색 응회질 이암과 담녹회색 응회질 역암으로 구성된다. 지층의 주향과 경사는 일반적으로 북서 10~70°및 남서 10~19°를 나타내나 화도에서 한산도 단층 인접부에서는 대개 북동 10~20°및 남동 20° 로서 반대 방향으로 경사한다.[4]
2011년 통영시 도산면 도선리의 연도(N 34°55'29.69", E 128°19'50.38")에 분포하는 고성층 상부에서 공룡 알 화석이 산출되었고, ''Macroelongatoolithus goseongensis'' oosp. nov.와 ''Dictyoolithus neixiangensis''로 기재되었다. 이 일대에 분포하는 고성층은 주로 붉은색 이암, 사암, 역질 사암, 응회암 등으로 구성되고 중성 암맥이 이를 관입한다. 하천 기원의 역질 조립사암 내지 사암층은 사층리가 발달하고 상향 세립화의 경향을 보인다. 사암에서는 규화목편화석도 산출되었다.[6][7]
통영시 도산면 오륜리의 작은 섬 읍도의 선착장 옆에 위치한 해안가 노두의 성층면(N 34°55'26.69", E 128°19'17.61")에서 공룡 발자국 화석이 산출되었다. 해안가의 고성층은 주로 응회질 사암층으로 구성되고 중성 암맥이 이를 관입한다. 응회질 사암에 보존된 공룡 발자국 화석은 조각류와 용각류의 발자국으로 추정되며 다수의 보행렬들이 여러 방향으로 발달한다. 문화재자료 제203호로 지정되어 있으나 현지에는 안내판이 없으며 읍도에는 정기 배편이 없어 접근성이 낮다.[1]
3. 2. 고성군
고성읍 서외리 도로공사현장 절개사면(N 34°58'38.75", E 128°19'08.02")에서 제4기 지층과 고성층을 절단하고 있는 단층이 2017년에 보고되었다. 이 단층은 경남 남해권에서 최초로 보고된 제4기 단층이며, 백악기 고성층과 그 상위의 제4기층을 절단하는 역이동성 단층이다.[8][1] OSL 연대측정을 통해 얻어진 제4기층 하부의 연대는 단층의 최후기 단층 활동이 적어도 61~60 ka, 약 6만년 이후임을 지시한다.[8][1]삼산면 삼봉리 산 102 (N 34°56'24.40", E 128°15'10.05", N 34°56'20.72", E 128°15'12.80")에 드러난 고성층은 주로 붉은색 이암, 사암, 역질사암, 응회암 등으로 구성되고 붉은색 사암층에는 응회암이 약 10 cm 두께로 여러 매 협재한다. 지층 내에 측방 연속성이 좋은 산성의 유문암질 응회암이 2~5 m 두께로 수 매 협재하여 고성층의 건층(key bed) 역할을 한다.[1]
고성읍 신월리 산 10-7 (N 34°57'20.25", E 128°19'32.17")에 드러난 고성층은 주로 회색 이암, 사암, 역질사암 등으로 구성되고 석회질이암이 협재된다. 사암층에는 응회질사암이 10 cm 두께로 여러 매 협재된다.[1]
고성읍 월평리 일대(N 34°56'17.16", E 128°20'22.20")의 해안가를 따라 약 3 km 에 걸쳐 고성층이 분포한다. 간조 시에 관찰이 가능한 이곳의 고성층은 주로 붉은색 이암, 사암, 역질사암, 응회암 등으로 구성되고 중성 암맥의 관입을 받았다. 이곳의 붉은색 이암층에서 공룡 알 화석과 거북알 화석이 산출되었고, 녹회색의 사질이암에서는 뿔공룡의 아래턱뼈 화석이 산출되었다.[1]
이윤성 외(2018)는 거류면의 거류산 일대에서 기저 역암으로 판단되는 역암층이 흔히 관찰되었고, 두 지층 사이의 자세 변화가 인지되지 않는 점을 근거로 진동층과 고성층의 경계를 평행 부정합으로 해석하였다.[1]
4. 생성 시기
고성층 하부의 데사이트질 응회암에서 추출한 쇄설성(碎屑性; 조각 성질) 저어콘의 U-Pb SHRIMP 연대 측정 결과는 92.1±3.2 Ma로, 고성층의 퇴적이 약 9200만 년 전에 시작되었음을 보여준다. 고성층 상부에 협재되는 데사이트질 화산회 응회암(N 34°57'51.28", E 128°15'59.11")과 고성층을 피복하는 안산암질 화산회 응회암(N 34°58'01.88", E 128°16'09.73")에 대해 실시한 저어콘 U-Pb 절대연령 측정 결과는 각각 약 89.1±0.4 Ma와 약 85.0±0.3 Ma로, 고성층의 퇴적이 8500만 년 전 이전에 종결되었음을 나타낸다.[1][2]
5. 다대포층과의 관계
장태우 외(1983)는 부산 지역의 다대포층이 고성층에 대비될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한 바 있다.[5] 그러나 강희철 등은 2000년 고지자기 연구를 통해 고성층과 그 상위의 안산암에서는 여러 차례의 역자화가 관찰되는 반면 다대포층에서는 하부 2개 층준에서만 짧은 역자화가 나타나고 상위의 안산암은 정자화된 것에 근거하여 고성층과 다대포층이 시층서적으로 대비될 가능성은 없다고 하였다.[5]
6. 고생물학적 중요성
고성층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공룡 화석(발자국, 알, 뼈)이 발견되어 백악기 시대 한반도 남부 지역의 공룡 서식 환경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공룡 화석 외에도 거북알 화석, 규화목편화석 등이 발견되어 당시의 다양한 생물상을 짐작하게 한다.[1][6][7]
- 통영시 도산면 도선리 연도(N 34°55'29.69", E 128°19'50.38")에서는 고성층 상부에서 공룡 알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Macroelongatoolithus goseongensis'' oosp. nov.와 ''Dictyoolithus neixiangensis''로 기재되었다. 이 지역의 고성층은 주로 붉은색 이암, 사암, 역질 사암, 응회암 등으로 구성되며, 사암에서는 규화목편화석도 발견되었다.[6][7]
- 통영시 도산면 오륜리 읍도 선착장 옆 해안가 노두(N 34°55'26.69", E 128°19'17.61")에서는 조각류와 용각류의 것으로 추정되는 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었다. 이 곳의 고성층은 주로 응회질 사암층으로 구성된다.[1]
- 고성군 고성읍 월평리 일대(N 34°56'17.16", E 128°20'22.20") 해안가의 고성층에서는 붉은색 이암층에서 공룡 알 화석과 거북알 화석이, 녹회색 사질이암에서는 뿔공룡 아래턱뼈 화석이 발견되었다. 현재 화석은 발굴되어 현장에 없다.[1]
7. 제4기 단층 활동
2017년 고성군 고성읍 서외리 도로공사 현장 절개사면(N 34°58'38.75", E 128°19'08.02")에서 제4기 지층과 고성층을 절단하고 있는 단층이 보고되었다.[8][1] 이 단층은 경남 남해권에서 최초로 보고된 제4기 단층이며, 백악기 고성층과 그 상위의 제4기층을 절단하는 역이동성 단층이다. OSL 연대측정을 통해 얻어진 제4기층 하부의 연대는 제4기층의 상부까지 절단하고 있는 단층의 최후기 단층 활동이 적어도 61~60 ka, 약 6만 년 이후임을 지시한다. 단층의 실제 최소 수직 변위와 실제 변위량은 각각 1.61m와 2.17m이며, 이 변위를 한 번의 지진 활동에 의한 것이라 가정하고 최대변위-모멘트 지진규모의 경험식에 적용하면 모멘트 지진규모(Mw)는 6.7 정도로 추정할 수 있다.[8][1]
참조
[1]
논문
Goseong Formation (Yucheon Group) in the southern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Korea (경상분지 남부에 발달된 유천층군 고성층 : 산상 및 층서)
https://www.dbpia.co[...]
[2]
논문
Distribution, age, and structural evolution of the Goseong Formation in the southern Gyeongsang basin, SE Korea (경상분지 남부 고성층의 분포, 퇴적시기와 구조진화사)
https://www.dbpia.co[...]
2018-08
[3]
웹인용
忠武 地質圖幅說明書 (충무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3-00
[4]
웹인용
미조·미륵도도폭 지질조사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6-00
[5]
논문
경상분지 남단 고성지역의 백악기 유천층군에 대한 고자기 연구 (Palaeomagnetism of the Cretaceous Yuchon Group in Kosong Area, Southern Kyongsang Basin)
https://www.dbpia.co[...]
2000-00
[6]
논문
Dinosaur Eggs from the Cretaceous Goseong Formation of Tongyeong City, Southern Coast of Korea (남해안 통영시에 분포한 백악기 고성층의 공룡 알 화석)
https://www.dbpia.co[...]
[7]
서적
경남권 지질유산 발굴 및 가치평가
대한지질학회
2018-12
[8]
논문
Geometric and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the Quaternary fault at Seooe site, in Goseong-gun, Gyeongsangnam-do (경남 고성군 서외지점에서 발견된 제4기 단층의 기하와 운동학적 특성)
https://www.dbpia.co[...]
201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