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양이 복막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양이 복막염은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FCoV)의 변이로 발생하는 치명적인 질병이다. FCoV는 고양이 장 코로나바이러스(FECV)와 고양이 복막염 바이러스(FIPV)로 나뉘며, FECV는 흔하게 감염되지만 FIP로 진행되는 경우는 드물다. FIP는 습식과 건식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나며, 초기에는 비특이적인 증상을 보이다가 복수, 흉수 축적, 신경 증상 등으로 진행될 수 있다. 진단은 임상 증상, 혈액 검사, 복수 분석 등을 종합하여 이루어지며, 최근에는 RT-PCR 검사도 활용된다. 현재까지 완치 치료법은 없으며, 증상 완화와 연명을 위한 대증 치료가 주로 이루어진다. 최근 항바이러스제와 면역 조절제가 개발되어 치료에 희망을 주고 있으며, FIPV에 대한 백신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파코로나바이러스속 - 개 코로나바이러스
    개 코로나바이러스는 개의 소장 융털에 침투하여 가벼운 위장 질환을 일으키거나 무증상으로 나타나지만, 개 파보바이러스와 동시 감염 시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개 호흡기 코로나바이러스 변종은 개의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고, 드물게 인간에게도 감염될 수 있다.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는 SARS-CoV-2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2019년 중국 우한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유행했고, 발열, 기침,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사회적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 백신 접종 등으로 예방하고, 덱사메타손 등 약물로 치료한다.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 감기
    감기는 다양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도 감염으로, 기침, 콧물, 재채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특별한 치료법은 없고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요법을 사용한다.
  • 고양이 질병 - 골육종
    골육종은 뼈, 특히 장골의 골간단 부위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밤에 심해지는 통증, 부종, 병적 골절 등의 증상을 보이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수술 및 항암화학요법을 통해 치료하며, 예후는 병기 및 치료 반응에 따라 달라진다.
  • 고양이 질병 - 크립토스포리디움증
    크립토스포리디움증은 크립토스포리디움 속 원생동물에 의해 발생하며,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을 보이고 오염된 물, 음식 등을 통해 감염되며, 위생 관리와 대증요법을 통해 관리한다.
고양이 복막염
질병 정보
FIP 감염된 신장의 염증 반응
원인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의 돌연변이
지속 기간진단 후 평균 1개월 이하의 기대 수명, 특히 새끼 고양이의 경우
증상초기 단계: 감기와 유사한 증상. 후기: 운동실조, 근육 쇠약, 연하 곤란. 말기: 호흡 곤란, 요실금, 마비
발병바이러스 노출 후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최대 1년 소요될 수 있음
예방알 수 없음
치료영국, 호주, 네덜란드: GS-441524(정제 형태로 경구 투여) 및 모체 약물인 렘데시비르(정맥 또는 피하 주사)
예후치료하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치명적이지만, GS-441524 치료 시 치료받은 고양이의 80% 이상이 완전히 회복됨
빈도흔함

2. 원인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FIP)의 직접적인 원인은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 바이러스(FIPV)이다. 이 바이러스는 자연계에 원래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고양이에게 흔하게 발견되는 고양이 장 코로나바이러스(FECV)가 고양이의 몸 안에서 돌연변이를 일으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ECV는 매우 흔하며 특히 여러 마리가 함께 생활하는 환경에서 쉽게 전파된다. 주로 감염된 고양이의 분변을 통해 전파되며, 바이러스를 호흡하거나 섭취하여 감염된다. FECV에 감염된 대부분의 고양이는 임상 증상이 없거나 가벼운 설사 정도만 보이며, 이들 중 일부만이 FIP로 발전한다.

FECV가 FIPV로 변이하는 정확한 기전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면역 체계가 미숙한 아주 어린 고양이나 면역력이 약화된 늙은 고양이에게서 변이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특정 유전적 요인이 바이러스 변이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FIP가 발병한 고양이로부터 다른 고양이에게 FIPV가 직접 전염되는 경우는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1. 고양이 장 코로나바이러스 (FECV)

고양이 장 코로나바이러스(Feline Enteric Coronavirus|FECVeng)는 고양이에게 매우 흔하게 발견되는 바이러스이다. 특히 유기동물 보호센터, 사육장, 고양이 공장처럼 여러 마리가 함께 생활하는 환경에서는 더욱 쉽게 퍼진다. 감염은 주로 바이러스를 호흡하거나 섭취했을 때 일어나며, 바이러스에 오염된 밥그릇이나 옷 등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다. 하지만 가장 흔한 감염 경로는 감염된 고양이의 분변이다.

FECV는 전염성이 매우 높지만, 감염된 모든 고양이가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FIP)으로 발전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FECV에 감염된 고양이는 별다른 증상이 없거나 가벼운 설사 증상만 보인다. 증상이 없는 고양이는 FECV 보균자로 남아 다른 고양이에게 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다.

FECV에 감염된 고양이는 언제든 FIP를 유발하는 바이러스로 변이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변이는 면역 체계가 아직 미숙한 아주 어린 고양이나 면역력이 약해진 늙은 고양이에게서 발생할 확률이 더 높다. 또한, 특정 유전적 특성이 바이러스 변이에 더 민감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FCoV)는 위장관에 영향을 미치는 바이러스로, FECV가 변이된 형태이다. 대부분의 FCoV 감염은 증상이 없거나 설사를 유발하며, 특히 어미로부터 받은 항체가 줄어드는 생후 5~7주 사이의 새끼 고양이에게 흔하게 나타난다. 이 바이러스는 고양이의 에서 시작하여 잠시 동안 전신 질환 단계를 거친 후[6], 다시 장으로 돌아가 대변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된다.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 바이러스(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Virus|FIPVeng)는 코로나바이러스과에 속하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FCoV)의 한 종류이다. FIPV는 자연 상태에서는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병원성이 낮은 FECV가 고양이 몸 안에서 갑자기 변이하여 만들어진다. FIPV는 개 코로나바이러스나 돼지 유행성 위장염 바이러스와 혈청학적으로 유사한 특성을 보인다. FIP가 발병한 고양이로부터 다른 고양이에게 FIPV가 직접 전염되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IP의 발병기전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FIPV가 단핵구(백혈구의 일종)에 침투하거나, 단핵구 안에서 더 효과적으로 증식할 수 있도록 변이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하지만 질병의 형태(습식 또는 건식), 결과(사망 또는 회복), 그리고 어떤 고양이가 더 취약한지에 영향을 미치는 바이러스와 숙주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아직 불확실한 부분이 많다.[7]

2. 2. 고양이 복막염 바이러스 (FIPV)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 바이러스(FIPV)는 코로나바이러스과 코로나바이러스속에 속하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FCoV)의 한 종류이다. 이 바이러스는 본래 자연계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병원성이 낮은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FECV)가 고양이 몸 안에서 돌연변이를 일으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CoV 자체는 위장관 바이러스로, 대부분의 감염은 증상이 없거나 설사를 유발하는 정도에 그친다. 특히 어미로부터 받은 항체가 줄어드는 생후 5~7주 사이의 새끼 고양이에게서 감염이 흔하게 나타난다. 바이러스는 에서 나와 잠시 동안 전신 질환 단계를 거친 후[6], 다시 장으로 돌아가 대변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된다.

FIP의 발병기전은 복잡하다. 일반적으로 FIPV는 단핵구(백혈구의 일종)에 침투하거나, 단핵구 안에서 더 효과적으로 복제할 수 있도록 변이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질병의 형태(습식 또는 건식), 결과(사망 또는 저항성 획득), 숙주의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바이러스와 숙주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7]

FIPV는 개 코로나바이러스나 돼지 유행성 위장염 바이러스와 혈청학적으로 교차 반응을 보인다. 한편, FIP가 발병한 고양이로부터 다른 고양이에게 FIPV가 직접 전염되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전염 및 발병 기전

고양이 복막염(FIP)의 원인이 되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FCoV)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뉜다. 하나는 대부분의 고양이에게 감염되지만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고양이 장 코로나바이러스(FECV)이고, 다른 하나는 이 FECV가 변이하여 치명적인 FIP를 유발하는 고양이 복막염 바이러스(FIPV)다.

FECV는 매우 흔하며, 특히 여러 마리가 함께 생활하는 유기동물 보호센터, 사육장, 고양이 공장 등에서 감염률이 높다. 바이러스는 주로 감염된 고양이의 분변을 통해 배출되며, 다른 고양이가 오염된 환경이나 고양이 화장실 등을 통해 바이러스를 입(경구)이나 코(경비)로 섭취하거나 흡입하면 감염된다.[10] 이것이 가장 흔한 감염 경로다. 또한 바이러스에 오염된 밥그릇, 옷 등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으며,[11] 감염된 고양이와의 직접적인 접촉, 특히 타액을 통한 전파(함께 식기를 사용하거나 그루밍, 싸움 등)도 주요 경로다.[11][12] 어미 고양이로부터 새끼 고양이에게 전파되는 수직 감염도 일어날 수 있다. FECV는 전 세계 대부분 지역에 존재한다.

FECV에 감염된 고양이 대부분은 증상이 없거나 가벼운 설사 정도만 보인다.[6] 특히 어미로부터 받은 항체가 감소하는 생후 5~7주 사이의 새끼 고양이에게서 감염이 흔하게 나타난다. 증상이 없는 고양이는 FECV 보균자 상태로 다른 고양이에게 바이러스를 계속 전파시킬 수 있다. FECV 감염이 반드시 FIP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며, FIP 발병률은 FECV 감염률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FIP는 FECV에 감염된 고양이 몸 안에서 바이러스가 FIPV로 변이하면서 발병한다. 이 변이는 바이러스가 을 벗어나 단핵구(백혈구의 일종)에 침투하여 그 안에서 더 효과적으로 복제할 수 있게 만들 때 일어나는 것으로 본다.[7] 바이러스는 단핵구 내에서 증식하며 전신 질환 단계를 거친다.[6] 변이가 일어나는 정확한 발병기전은 아직 복잡하고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7], 면역 체계가 미숙하거나 약화된 아주 어린 고양이나 노령묘에서 변이 가능성이 더 크다. 또한 특정 유전적 소인이 바이러스 변이에 대한 민감성을 높일 수 있다고 추정된다. FIP 발병 사례의 약 70%는 생후 1년 6개월 미만, 절반가량은 생후 7개월 미만의 어린 고양이에서 나타난다.[40]

FIP 질병 자체가 고양이 간에 직접 전염된다는 명확한 증거는 부족하다.[8] 한 연구에서는 FIP에 걸린 고양이의 분변을 건강한 고양이에게 경구 또는 경비 경로로 투여했을 때 FIP가 전염되지 않았다.[9] 하지만 FIP의 원인이 되는 FCoV 자체는 고양이 간에 쉽게 전염될 수 있다.

4. 증상

고양이 복막염(FIP)으로 인한 흉수


고양이 복막염(FIP)은 크게 삼출성(습식)비삼출성(건식)의 두 가지 주요 형태로 나타난다. 두 유형 모두 치명적이지만, 삼출성 형태가 전체 사례의 60–70%를 차지하여 더 흔하며, 비삼출성 형태보다 병의 진행 속도가 더 빠르다.

감염 초기에는 발열, 식욕 부진, 구토, 설사, 체중 감소 등 다른 질병과 구분하기 어려운 비특이적인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병이 진행되면 각 형태에 따른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삼출형(습식형)은 복강이나 흉강에 액체가 쌓여 복부 팽만이나 호흡 곤란을 유발하는 것이 주된 특징이다. 비삼출형(건식형)은 액체 축적은 없으나 의 이상이나 신경 증상이 특징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황달, 신장 비대, 림프절염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두 형태 모두 식욕 부진, 발열, 체중 감소, 설사 등의 증상이 공통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4. 1. 습식 (유출형)

습식(유출형) 고양이 복막염(FIP)의 가장 두드러진 임상 증상은 복강이나 흉강 내에 액체가 쌓이는 것이다. 이를 각각 복수, 흉수라고 부르며, 이로 인해 고양이가 호흡 곤란을 겪을 수 있다. 다른 증상으로는 식욕 부진, 발열, 체중 감소, 황달, 설사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감염 초기에는 발열, 식욕 부진, 구토, 설사, 체중 감소와 같이 다른 질병과 구분하기 어려운 비특이적인 증상을 보인다. 병이 진행되면서 복부가 점차 불러오르는 진행성 복부 팽만이나 흉수로 인한 호흡 곤란 같은 습식형 FIP의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습식형 FIP는 예후가 좋지 않은 편이다.

4. 2. 건식 (비유출형)

건식 복막염은 삼출물(액체)이 쌓이지 않는 형태의 고양이 복막염이다. 일반적으로 식욕 감퇴, 발열, 황달, 설사, 체중 감소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1][2][3]

건식 복막염의 특징적인 증상은 안과 질환이나 신경계 문제이다.[1][2] 눈에 병변(안구 포도막염)이 생기거나 심하면 실명에 이를 수도 있다.[1][2][3] 신경계 증상으로는 고양이가 일어서거나 걷는 것을 힘들어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기능적으로 마비되는 모습을 보일 수 있다.[1][2] 또한 발작이나 사지 마비와 같은 신경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3]

이 외에도 화농성 육아종 형성으로 인해 신장이 커지거나(신장 비대) 장간막 림프절염과 같은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3]

5. 진단

고양이 복막염(FIP)으로 유발된 체액의 세포학적 검사로 호중구, 대식세포림프구가 보임


고양이 복막염(FIP)에 의한 증상은 일반적으로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진단하기 매우 어렵다. FIP에 대한 확진 검사는 아직 없으며, 진단은 강한 임상 증상적 가능성, 신체 검사 시 나타나는 특이점, 복수 등 체액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생화학적 검사 변화, FIP 바이러스에 감염된 조직 검사 등을 종합하여 이루어진다. 조직 검사는 일반적으로 부검 시 이루어지나, 조직 생검을 통해 생존 시에도 가능하다.[13][14][15]

조직 검체의 조직학적 검사는 가장 저렴하게 확진할 수 있는 진단 기법이지만, FIP에 대한 민감도나 정확도 측면에서는 의문이 제기된다.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검사 역시 복수나 조직 검체를 통해 이용할 수 있지만, 그 효율성에 대해서는 현재 평가 중이다.

가장 일반적으로는 임상 증상이나 복수, 흉수를 통해 잠정적인 진단(가진단)을 한다. FIP에 의한 액체는 노란색을 띠며 단백질 함량이 높은 경향을 보인다. 혈액 검사 역시 코로나바이러스 항체 유무를 확인하고 단백질 증가를 확인함으로써 가진단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FeCoV)는 널리 퍼져 있기 때문에 코로나바이러스 항체 역가 자체만으로는 진단에 사용하지 않지만, 임상 증상과 함께 고려하면 FIP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중요한 점은 FeCoV에 대한 항체 역가가 높다고 해서 낮은 역가를 보이는 고양이보다 FIP에 더 잘 걸리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흉수나 복수가 존재할 경우, Rivalta test라는 간단한 검사를 통해 FIP로 인한 액체와 다른 질환으로 인한 액체를 구분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Rivalta test는 민감도가 91%, 정확도가 66% 정도이며, 측정자에 따른 주관적인 평가가 단점으로 지적된다.[47]

최근에는 진단이 더욱 간편해졌다.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RT-PCR)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체강 삼출액(복수, 흉수 등) 샘플에서 바이러스 RNA를 검출하는 것은 삼출성 FIP 진단에 도움이 된다.[13][14][15]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외부 수의학 실험실에 샘플을 보내야 한다. 수의 병원 내에서는 몇 분 안에 삼출성 FIP 진단을 배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여러 검사가 있다.

  • 삼출액의 총 단백질 측정: 35 g/L 미만이면 FIP일 가능성은 매우 낮다.
  • 삼출액의 알부민글로불린 비율 측정: 0.8 이상이면 FIP는 배제된다. 0.4 미만이면 FIP가 가능하지만 확진은 아니다.[16]
  • 삼출액의 세포 검사: 주로 림프구(백혈구의 일종)이면 FIP는 진단에서 제외된다.


비삼출성 FIP는 임상 증상이 더 모호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삼출성 FIP보다 진단하기가 더 어렵다. 따라서 감별 진단 목록이 훨씬 더 길다. 비삼출성 FIP 진단은 다음 기준을 충족할 때 고려해야 한다.[16]

  • 병력:
  • 고양이가 어리고 (2세 미만) 순종인 경우. (FIP의 70% 이상이 혈통 있는 새끼 고양이에게서 발생한다는 주장이 있으나, 연구 근거는 부족하다.)
  • 고양이가 최근 중성화 수술 또는 예방 접종과 같은 스트레스를 경험한 경우.[17]
  • 고양이가 브리딩 또는 구조 환경에 있었거나, 최근 순종 새끼 고양이 또는 고양이를 새로 들인 경우 등 FCoV에 감염될 기회가 있었던 경우.
  • 임상 증상:
  • 식욕 부진 또는 식사량 감소.
  • 체중 감소 또는 성장 부진.
  • 원인 불명의 발열.
  • 눈 내부 이상 징후, 황달.[18]
  • 생화학적 검사:
  • 고감마글로불린혈증.
  • 간 효소 증가 없이 빌리루빈 수치 증가.
  • 혈액학:
  • 림프구 감소증.
  • 비재생성 빈혈 (일반적으로 경미함).
  • 혈청학:
  • 고양이의 FCoV 항체 역가가 높음. (단, 브리딩 및 구조 환경에서 FCoV 유병률이 높아 주의 필요).


항체 검사의 민감도가 우수하다면, 고양이가 혈청 음성일 경우 비삼출성 FIP 진단을 배제할 수 있다. 다양한 시판용 자가 FCoV 항체 검사를 비교한 연구에서[19] FCoV Immunocomb(바이오갈)는 100% 민감도를 보였고, Speed F-Corona 신속 면역크로마토그래피(RIM) 검사(비르박)는 92.4%, FASTest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MegaCor Diagnostik) RIM 검사는 84.6%의 민감도를 보였다.

이 외에도 고양이 태아 섬유아세포(fcwf-4 세포)를 이용한 바이러스 분리, RT-PCR, 형광 항체법, ELISA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혈청 진단만으로는 병원성이 낮은 고양이 장 코로나 바이러스와의 감별은 불가능하다.

6. 치료

빈혈, 무기력, 체중 감소 징후를 보인 말기 "건성" 고양이 복막염에 걸린 생후 8개월 된 새끼 고양이. 발작 중 눈 변화(동공 확대 및 마비)를 보였다.


현재까지 고양이 복막염(FIP)에 대한 명확한 치료법은 확립되지 않았으며, 치료는 주로 증상을 완화하고 삶의 질을 유지하는 대증 요법에 중점을 둔다. FIP는 면역 매개 질환의 성격을 가지므로, 치료 접근법은 크게 바이러스 자체를 억제하는 항바이러스제 치료, 과도한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면역 조절제 치료, 그리고 증상 완화를 위한 대증 치료로 나눌 수 있다.

과거에는 프레드니솔론과 같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나 다른 면역억제제를 사용하여 염증을 조절하고 생존 기간을 연장하는 것이 주된 치료 방향이었다.[48] 하지만 이는 근본적인 치료가 아니며, 특히 삼출물이 차는 습식 FIP는 진행이 매우 빨라 치료가 더욱 어렵고 예후가 좋지 않았다.

최근 몇 년간 새로운 항바이러스제와 면역 조절제가 개발되면서 치료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일부 약물은 특정 유형의 FIP에서 증상 완화나 생존 기간 연장, 심지어 완치 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했다.[41][42][43]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고)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치료법들도 아직 개발 중이거나 접근성이 제한적인 경우가 많아, 전반적인 예후는 여전히 매우 심각한 편이다.

FIP는 증상이 비특이적일 수 있으므로, 복부 팽만, 눈의 변화, 만성 설사, 원인 불명의 무기력, 호흡기 감염 증상 등 의심 증상이 보이면 즉시 수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비록 완치가 어렵더라도, 적절한 치료와 관리는 고양이의 고통을 줄이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6. 1. 항바이러스제

항바이러스제FIP 바이러스의 효소나 다른 생물학적 과정을 방해하여 작용한다.

=== GS-441524와 렘데시비르 ===

GS-441524는 실험적인 약물로, 31마리의 고양이를 대상으로 한 현장 실험에서 사용되었다. 치료 25일 후 5마리가 사망했고, 8마리는 완치 후 재발했으며, 18마리는 재발 없이 완치되었다. 재발한 8마리 중 일부는 더 높은 용량으로 다시 치료받았고, 그중 1마리가 사망하고 7마리가 완치되었다. 결과적으로 31마리 중 25마리가 FIP에서 완치되는 성과를 보였다. 이 약물은 2024년 기준으로 아직 미국에서 정식 상업 판매 승인을 받지는 못했지만, FDA는 특정 조건 하에 사용을 허용하고 있다.[20] 이 연구는 FIP 치료를 위한 상업적 약물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21] 2024년 가을부터는 적어도 한 곳의 조제 약국을 통해 상업적으로 판매되기 시작했다.

호주,[22] 네덜란드,[23][24]영국(2021년 8월부터)[22] 등 여러 국가에서는 경구용 GS-441524 정제와 그 주사 가능한 전구 약물인 렘데시비르가 고양이 FIP 치료를 위해 수의사에게 합법적으로 제공되고 있다. 자연 감염된 고양이를 대상으로 한 여러 연구와 합법화된 국가의 치료 프로그램에서 GS-441524 치료를 통해 80% 이상의 회복률이 보고되었다.[22][25][26][27]

=== GC376 ===

GC376 역시 실험적인 항바이러스 약물로, 20마리의 고양이를 대상으로 한 현장 시험이 진행되었다. 이 중 7마리는 증상이 완화되는 관해 상태에 들어갔으나, 13마리는 초기 반응 후 재발하여 결국 안락사되었다. 이 약물은 2017년 기준으로 상업적으로 판매되지 않고 있다.[28]

2017년 말 미국에서 개발된 GC376[42]은 특히 습성형(Wet type) FIP의 완치 가능성을 열었다. 미국과 한국의 임상 시험에서는 2018년 기준으로 GC376을 포함한 병용 요법으로 완치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43] 하지만 건성형(Dry type) FIP에는 습성형만큼 효과가 뚜렷하지 않거나 효과가 없다는 의견도 있다. GC376은 아직 임상 시험 단계의 약물이므로, 취급하는 동물병원이 매우 제한적이다. 임상 시험에서 완치까지 평균 6주의 치료 기간이 필요하며, 임상 시험 약이라는 특성상 비용이 매우 높아 한국의 경우 주당 최소 30만 이상의 치료비가 소요될 수 있다.

=== 몰누피라비르 ===

2023년 8월, 키프로스에서는 치사율 높은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FCoV-23) 변종이 유행하자, 정부는 국가 COVID-19 비축분에서 항바이러스제인 몰누피라비르 알약 80,000정을 고양이 치료를 위해 방출했다. 이는 고양이 코로나바이러스 위기에 보다 비용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조치였다.[29]

=== 기타 ===

과거에는 FIP에 대한 유효한 치료법이 없어 대증 요법으로 증상을 완화하고 생존 기간을 연장하는 것이 전부였다. 특히 어린 고양이에게 치명적이었으나, 노령묘의 경우 인터페론이나 스테로이드 제제 투여로 2년 이상 생존하는 경우도 있었다.[39]

건성형 FIP의 경우, 2018년 6월 기준으로 폴리프레닐(PI)[41] 투여가 인터페론이나 스테로이드보다 증상 완화와 생존 기간 연장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폴리프레닐은 완치제가 아니며 습성형에는 효과가 없고, 평생 투여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

6. 2. 면역 조절제

면역 자극제는 바이러스에 대항하여 면역 체계를 더 활성화시키는 약물이다. FIP 치료에 사용되는 이 계열의 가장 흔한 약물은 재조합 고양이 인터페론 오메가( Virbagen Omegaeng, Virbaceng) 또는 인간 인터페론 알파-2b이다. 인간 버전은 외래 항원으로 인식되어 면역 체계의 표적이 될 수 있으므로, 고양이 버전인 고양이 인터페론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30]

실험적인 폴리프레닐 면역 자극제(PI)는 Sass and Sass에서 제조되었으며, Al Legendre 박사가 FIP로 진단받고 이 약물로 치료받은 세 마리의 고양이에서 1년 이상 생존을 보고하며 연구되었다.[31] PI로 치료받은 비삼출성(건성형) FIP 고양이 60마리에 대한 후속 현장 연구에서는 52마리(87%)가 200일 이내에 사망했지만, 8마리(13%)는 PI 치료 시작 후 200일 이상 생존했으며 그 중 4마리는 300일 이상 생존했다.[32] 2018년 6월 기준으로 건성형 FIP의 경우, 폴리프레닐(PI) 투여가 인터페론이나 스테로이드보다 증상 완화와 생존 기간 연장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41] 다만 PI는 완치제가 아니며, 습성형 FIP에는 효과가 없고 평생 투여해야 한다. 즉, 건성형 FIP에 대한 완치제는 아직 없지만, PI가 증상 완화와 생존 연장에 가장 효과적인 약물 중 하나로 여겨진다.

고양이 복막염(FIP) 치료에는 항염증제 사용이 권장된다. 면역억제제는 면역 체계를 약화시켜 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FIP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면역억제제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계열의 프레드니솔론이다. 그러나 프레드니솔론이 다른 항염증제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명확히 보여주는 위약 대조 임상 시험은 아직 없다.[33]

과거에는 FIP에 대한 유효한 치료법이 없어 증상을 완화하고 생존 기간을 늘리는 대증 요법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특히 어린 고양이에게 치사율이 높지만, 노령묘의 경우 인터페론이나 스테로이드제를 투여하여 2년 이상 생존하는 경우도 보고되었다.[39]

최근 습성형 FIP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이 열렸다. 2017년 말 미국에서 gc376[42]이라는 약물이 개발되어 습성형 FIP의 완치 가능성을 보였다. 미국과 한국의 임상 시험에서는 2018년 기준으로 gc376을 포함한 병용 요법을 통해 완치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43] 그러나 gc376은 건성형 FIP에는 습성형만큼의 극적인 효과를 보이지 않거나 효과가 없다는 의견도 있다. 또한, gc376은 아직 임상 시험 단계의 약물이며, 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는 취급하는 동물병원이 매우 드물거나 없을 수 있다. gc376 임상 시험에서 완치까지 평균 6주의 치료 기간이 소요되며, 임상 시험 약물이기 때문에 비용이 상당히 높다. 한국의 경우 임상 시험 참여 조건으로 치료를 받더라도 주당 최소 30만 이상의 치료비가 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6. 3. 대증 치료



현재까지 고양이 복막염(FIP)에 대한 명확한 치료법은 없으며, 치료는 증상을 완화하고 고양이가 가능한 한 편안하게 지낼 수 있도록 돕는 대증 치료와 증상 경감 치료에 초점을 맞춘다.[48] 수의사가 처방하는 프레드니솔론(Prednisone)과 같은 면역억제제염증을 줄여 고양이의 생존 기간을 몇 주에서 몇 달까지 연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다른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 사용이 제한될 수 있으며, 면역 억제로 인한 위험은 항생제 등으로 관리해야 할 수 있다.[33] 프레드니솔론이 다른 항염증제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명확한 임상 시험 결과는 아직 없다.[33] FIP 치료에는 전반적으로 항염증제 사용이 권장된다.

FIP 환자에게는 메틸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솔론과 같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메토트렉세이트, 시톡산 같은 세포독성 약물이 식욕 부진, 체중 감소, 무기력증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세포독성 약물로 단기간 증상을 완화한 뒤 코르티코스테로이드만 사용하여 3~5개월 정도 더 나은 삶의 질을 유지했다는 일부 보고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FIP의 예후는 매우 좋지 않다.

습식 FIP는 진행 속도가 매우 빨라 치료를 시도하는 것이 의미 없을 수도 있다.

최근까지 유효한 치료법이 없어 대증 요법으로 증상 완화와 생명 연장을 도모하는 것이 전부였다. 특히 어린 고양이에게 치사율이 높지만, 노령묘의 경우 발병 후 인터페론이나 스테로이드제를 투여하여 2년 이상 생존하는 경우도 보고되었다.[39]

몇 가지 새로운 치료법이 시도되고 있다.

  • 폴리프레닐 면역증강제(Polyprenyl Immunostimulant, PI): 2018년 6월 기준으로 건성형 FIP의 경우, 폴리프레닐(PI)[41] 투여가 인터페론이나 스테로이드보다 증상 완화와 생명 연장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48] Legendre와 Bartges(2009)의 연구에서는 PI를 투여받은 3마리의 고양이가 수 주에서 수개월 생존 기간이 연장되었으며, 이 중 한 마리는 8년 이상 생존했다는 보고도 있다 (단, 해당 보고는 학술 자료가 아닌 일반 매체 기사 인용).[48] 하지만 PI는 완치제가 아니며 습성형에는 효과가 없고, 평생 투여해야 한다.
  • GC376: 습성형 FIP의 경우, 2017년 말 미국에서 개발된 GC376[42]이라는 약물이 효과적인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GC376 투여를 통해 습성형 FIP의 완치 가능성이 제시되었으며, 미국과 한국의 임상 시험에서는 GC376을 포함한 병용 요법으로 완치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2018년 기준).[43] 그러나 건성형에는 습성형만큼의 효과를 보이지 않거나 효과가 없다는 의견도 있다. GC376은 아직 임상 시험 단계의 약물이며, 치료 기간은 평균 6주 정도로 알려져 있다. 임상 시험 약이기 때문에 비용이 매우 높아, 한국 기준으로 주당 최소 30만 이상의 치료비가 발생할 수 있다.[43]


FIP의 증상은 간과하기 쉽기 때문에 복부 팽만, 눈의 변화, 만성 설사, 비정상적인 무기력, 호흡기 감염 증상 등이 나타나면 반드시 수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비록 완치는 어렵더라도 대증 치료는 고양이의 고통을 줄이고 생존 기간을 연장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과거에는 FIP 고양이의 격리가 추천되었으나, 질병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면서 격리가 반드시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다른 의견도 있다. FIP를 일으키는 고양이 장관 코로나바이러스 자체는 분변을 통해 다른 고양이에게 전파될 수 있지만, FIP로 발병하기 위해서는 바이러스가 고양이 몸 안에서 특정 변이 과정을 거쳐야 한다.[49] 이 변이는 유전적 소인, 바이러스 종류, 스트레스나 나이에 따른 면역력 저하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모든 고양이에게서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FIP로 변이된 바이러스는 대식세포 내에서만 발견되므로 분변 등으로 배출되지 않아 다른 고양이에게 직접 전염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9]

7. 예방

FIPV에 대한 효과적인 백신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FIPV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플라스미드를 이용한 DNA 백신은 면역력을 형성하는 데 실패했다.[34] 오히려 FIPV 스파이크 단백질에 대한 항체가 질병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미국에서 생백신이 개발되었지만, 그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다.

고양이 복막염은 면역력이 약해진 고양이가 걸리기 쉬우므로, 여러 마리를 함께 키우는 환경이나 고양이 면역 결핍 바이러스(FIV), 고양이 백혈병 바이러스(FeLV) 등에 감염된 경우 특히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고양이가 스트레스 없이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하며 스스로의 면역력을 높일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겨진다.[39]

8. 관련 영화

2018년 폴 카스트로 주니어와 앨리 밀러가 제작하고 프랭크 딜, 아라벨라 오즈, 그리고 베치 에이뎀이 출연한 영화 ''에어리스''는 고양이 복막염(FIP)을 앓고 태어난 새끼 고양이를 애완동물 가게에서 구입하여 함께하는 12일간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35][36] 이 영화는 2018년 가든 스테이트 영화제에서 단편 영화 부문 상을 수상했으며[37], 2018년 호놀룰루 영화제에서 골드 카후나 상을 수상했다.[38]

참조

[1] 간행물 Coronavirus Infections (Canine and Feline), Including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Ettinger 2017
[2] 간행물 Infectious diseases Little 2012
[3] 논문 Efficacy and safety of the nucleoside analog GS-441524 for treatment of cats with naturally occurring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2019
[4] 논문 Antiviral treatment using the adenosine nucleoside analogue GS‐441524 in cats with clinically diagnosed neurological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2020-07
[5] 논문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ABCD guidelines on prevention and management 2009-07-11
[6] 논문 Amino acid changes in the spike protein of feline coronavirus correlate with systemic spread of virus from the intestine and not with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BiomedCentral 2014-04-25
[7] 논문 An update on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Virology and immunopathogenesis 2014-08
[8] 논문 An update on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Virology and immunopathogenesis 2014
[9] 논문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Role of the feline coronavirus 3c gene in intestinal tropism and pathogenicity based upon isolates from resident and adopted shelter cats 2012
[10] 웹사이트 How cats become infected with feline coronavirus: animation https://www.youtube.[...] 2011-08-18
[11] 웹사이트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FIP) Transmission -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FIP) http://www.healthcom[...] 2018-11-02
[12] 뉴스 FIP https://catfriendly.[...] 2018-11-02
[13] 논문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a real-time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detecting feline coronavirus mutations in effusion and serum/plasma of cats to diagnose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BiomedCentral 2017-08-02
[14] 논문 Comparison of real-time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of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serum and cell-free body cavity effusion for the diagnosis of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https://epub.ub.uni-[...] 2017-04-01
[15] 논문 Feline coronavirus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on effusion samples in cats with and without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2015-10-16
[16] 웹사이트 Dr. Addie - What is FIP? http://www.catvirus.[...]
[17] 논문 Clinical and laboratory features of cats with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A retrospective study of 231 confirmed cases (2000–2010) https://epub.ub.uni-[...] 2015-07-16
[18] 서적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and Coronavirus: Everything a cat lover needs to know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2013-04-19
[19] 논문 Utility of feline coronavirus antibody tests 2015-02-01
[20] 웹사이트 FDA Announces Position on Use of Compounded GS-441524 to Treat FIP https://www.fda.gov/[...] 2024-05-10
[21] 논문 Efficacy and safety of the nucleoside analog GS-441524 for treatment of cats with naturally occurring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2019-02-13
[22] 웹사이트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FIP) https://icatcare.org[...] International Cat Care 2023-10-15
[23] 웹사이트 Nu ook in Nederland behandeling voor katten met FIP https://www.licg.nl/[...] Landelijk InformatieCentrum Gezelschapsdieren 2023-10-15
[24] 웹사이트 Cascade https://english.cbg-[...] Medicines Evaluation Board 2018-10-06
[25] 웹사이트 Successful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Treatment with Remdesivir at the RVC https://www.rvc.ac.u[...] 2023-10-15
[26] 웹사이트 FIP Antivirals – Fight FIP https://blogs.cornel[...] Whittaker Lab - [[Cornell University]] 2023-10-15
[27] 논문 Unlicensed GS-441524-Like Antiviral Therapy Can Be Effective for at-Home Treatment of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2021-07-30
[28] 논문 Efficacy of a 3C-like protease inhibitor in treating various forms of acquired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2017-09-13
[29] 뉴스 Cyprus to begin treating island's sick cats with anti-Covid pills https://www.theguard[...] 2023-08-10
[30] 웹사이트 Interferon Alpha-2B for Veterinary Use https://www.wedgewoo[...]
[31] 논문 Effect of Polyprenyl Immunostimulant on the survival times of three cats with the dry form of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2009-08-01
[32] 논문 Polyprenyl Immunostimulant Treatment of Cats with Presumptive Non-Effusive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In a Field Study 2017-02-14
[33] 논문 Prolonged survival of a cat diagnosed with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by immunohistochemistry 2015-01
[34] 논문 Adverse effects of feline IL-12 during DNA vaccination against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virus 2002
[35] 웹사이트 Aeris (2018) https://www.rottento[...]
[36] 웹사이트 The Story of Aeris: A Legacy Inspired by Love https://www.thepurri[...] The Purrington Post 2016-11-30
[37] 웹사이트 Garden State Film Festival 2018 Winners https://www.newjerse[...] New Jersey Stage 2018-04-10
[38] 웹사이트 2018 Winners, 2018 Gold Kahuna Winners http://honolulufilma[...] Honolulu Film Awards
[39] 웹사이트 猫伝染性腹膜炎(FIP) http://www.p-well.co[...] 石田 卓夫(赤坂動物病院医療ディレクター 日本臨床獣医学フォーラム代表)監修
[40] 웹사이트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https://www.vet.corn[...] Cornell Feline Health Center, Cornell University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2024-02-09
[41] 웹사이트 FIP(猫伝染性腹膜炎)の最新治療・情報 ~ポリプレニル免疫賦活剤の効果~ http://wannyanlife.c[...] 2018-06-27
[42] 웹사이트 猫伝染性腹膜炎(FIP)に対するGC376のウイルス増殖抑制効果~3CLproを阻害することにより延命効果は得られる https://www.konekono[...] 2017-12-17
[43] 웹사이트 가온이 습식 복막염 완치판정받았어요 ガオンちゃん完治報告 https://www.facebook[...] 2018-04-15
[44] 웹사이트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http://www.vet.corne[...] Cornell University 2012-08-21
[45] 웹사이트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FIP) http://www.vetinfo.c[...]
[46] 논문 Effect of Polyprenyl Immunostimulant on the survival times of three cats with the dry form of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2009
[47] 논문 An update on feline infectious peritonitis: Diagnostics and therapeutics
[48] 웹사이트 Hope for Nearly Fatal Cat Disease http://www.catchanne[...] Cat Channell
[4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askthecat[...] 2015-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