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죽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죽국은 상나라가 중원을 남하했을 때 독립된 세력으로, 옌산산맥 기슭에서 농업과 유목에 종사하며 랴오닝성 차오양 시에 정주했던 고대 국가이다. 주나라 말기에 연나라와 제나라의 공격을 받아 멸망했다. 고죽국의 역대 군주는 7대부터 9대까지 알려져 있으며, 고구려와의 관계에 대한 기록이 존재한다. 일부 학자들은 고구려가 고죽국을 영유했다거나 고구려가 고조선 계열의 국가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춘추 시대 - 와신상담
    와신상담은 오나라와 월나라의 대립에서 유래하여 복수를 위해 고난을 감내하며 노력하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 춘추 시대 - 소 (기성)
    소(蘇)씨는 중국 성씨로, 주나라 시대 소분생을 시조로 하며 춘추시대 자퇴의 난과 온나라 멸망과 관련된 사건이 있었다.
  • 허베이성의 역사 - 하북도
    하북도는 당나라가 설치한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허베이성, 산둥성 전역, 허난성 북부를 관할했으며, 안사의 난 이후 절도사 체제로 전환되어 당나라 쇠퇴의 원인이 되었다.
  • 허베이성의 역사 - 제나라
    제나라는 중국 고대 국가로, 강태공에게 봉해진 땅에서 시작하여 강제와 전제 시대를 거쳐 진나라에 멸망했으며, 어업, 제염, 철 생산으로 경제적 부를 쌓고 직하학궁을 통해 학문과 사상의 중심지로 명성을 떨쳤다.
  • 랴오닝성의 역사 - 쓰핑 육군전차학교
    쓰핑 육군전차학교는 1940년 일본 제국 육군이 중국 만주 쓰핑에 설립하여 기갑사단 장병의 교육 훈련을 담당하다 1945년 종전 직전 폐쇄된 전차 교육 기관이다.
  • 랴오닝성의 역사 - 육군 궁주링 학교
    육군 공주령 학교는 1939년 창설되어 관동군 소속 지휘관급 장교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다가 1944년에 폐쇄된 일본 육군의 군사 학교이다.
고죽국
개요
국명 (한자)孤竹國
일반명고죽
유형국가
정부 형태군주제
수도알려지지 않음
공용어알려지지 않음
종교알려지지 않음
화폐알려지지 않음
주나라 시대의 국가 지도, 고죽은 북동쪽에 위치함
주나라 시대 국가 지도, 고죽은 북동쪽에 위치함
역사
시작 시기기원전 1600년경
종료 시기기원전 660년
주요 사건연나라에 의해 정복됨
이전 국가상나라
이후 국가연나라
언어 정보
언어중국어
정치
지도자알려지지 않음
기타 정보
멸망 원인제나라의 환공에 의해 멸망
국성자성 묵태씨
작위후작
분봉자천을
건국 시기기원전 17세기
사서 기록사기 권61 백이열전

2. 역사

고죽국은 상나라가 중원을 남하했을 때 부족 연합을 이탈한 후 독립된 세력을 형성해 갔다. 이후 옌산산맥 기슭에서 농업이나 유목에 종사했고 현재의 랴오닝성 차오양 시에 정주했으며 에 의해 고죽에 봉해졌다.[1] 고죽인은 은나라의 지족인 묵태씨였다.[2]

상대 중기에 고죽국은 난하, 청룡하 일대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이 시기의 고죽국은 남쪽으로 이동해 서쪽은 롼허, 북쪽은 칭룽 현 북부, 동쪽은 후루다오 시, 남쪽은 보하이 만에 이르고 있었다.[1]

주나라 말기 고죽 서부에서는 영지(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 탕산시 첸안 시)와 동북부에서는 산융의 세력이 대두하여 고죽국의 국경을 위협하게 되었다. 말기 고죽국의 영역은 서쪽은 난하, 청룡하, 북쪽은 현재의 만리장성, 동쪽은 산해관, 남쪽은 발해만으로 그 세력 범위가 축소되었다.[1] 기원전 664년 산융이 연으로 출병하면서 연은 에 구원을 요청했고, 이에 제 환공과 연 장공은 고죽국과 영지국을 정벌하기 위해 군사를 출병하였으며 산융 정벌과 동시에 고죽국도 멸망시켰다.[1]

2. 1. 초기

고죽국은 상나라가 중원을 남하했을 때 부족 연합을 이탈한 후 독립된 세력을 형성해 갔다. 이후 옌산산맥 기슭에서 농업이나 유목에 종사했고 현재의 랴오닝성 차오양 시에 정주했으며 에 의해 고죽에 봉해졌다.[1] 고죽인은 은나라의 지족인 묵태씨로, 연산 산록에서 농업과 유목에 종사하며, 현재의 랴오닝성 차오양시 카라친 좌익 몽골족 자치현에 정착, 천을에 의해 고죽에 봉해졌다.[2]

2. 2. 중기

상대 중기에 고죽국은 발전해 난하, 청룡하 일대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이 시기의 고죽국은 남쪽으로 이동해 서쪽은 롼허, 북쪽은 칭룽 현 북부, 동쪽은 후루다오 시, 남쪽은 보하이 만에 이르고 있었다.[1] 은(殷)대 중기에도 고죽국의 국세 발전이 계속 이어졌으며, 난하(灤河)·청룡하(青竜河) 유역(畔)에서 활동했다.[2]

2. 3. 후기

주나라 말기 고죽 서부에서는 영지(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 허베이성 탕산시 첸안 시)와 동북부에서는 산융의 세력이 대두하여 고죽국의 국경을 위협하게 되었다. 말기 고죽국의 영역은 서쪽은 난하, 청룡하, 북쪽은 현재의 만리장성, 동쪽은 산해관, 남쪽은 발해만으로 그 세력 범위가 축소되었다.[1] 기원전 664년(주 혜왕 13년), 산융이 연으로 출병하면서 연은 에 구원을 요청했고, 이에 제 환공과 연 장공은 고죽국과 영지국을 정벌하기 위해 군사를 산융에 출병하였으며 산융 정벌과 동시에 고죽국도 멸망시켰다.[1] 기원전 660년, 제 환공과 관중은 연나라와 동맹을 맺고 다시 고죽국을 토벌하여 멸망시켰다.[2]

3. 역대 군주

고죽국의 계보는 거의 대부분 분명치 않으며, 7대 ~ 9대 군주만 전해지고 있다.

고죽국의 군주
대수시호이름
7부정죽유
8아미
9아빙


3. 1. 역대 군주 목록

고죽국의 계보는 거의 대부분 분명치 않으며, 7대 ~ 9대만 전하고 있다.

고죽국의 군주
대수시호이름재위비고출전
7부정묵태죽유불명『아미뢰고석』
8아미묵태초불명부정의 아들『아미뢰고석』, 『사기색은』
9아빙묵태풍불명아미의 차남『사기・백이열전』, 『노사・국명기』
이후 불명


4. 지리

옌산산맥 기슭에서 농업이나 유목에 종사했고 현재의 랴오닝성 차오양 시에 정주했다.[1] 에 의해 고죽에 봉해졌다.[1]

상대 중기에 고죽국은 발전해 난하, 청룡하 일대에서 활동하고 있었다.[1] 이 시기의 고죽국은 남쪽으로 이동해 서쪽은 롼허, 북쪽은 칭룽 현 북부, 동쪽은 후루다오 시, 남쪽은 보하이 만에 이르고 있었다.[1]

주나라 말기에 고죽 서부에서는 영지(令支), 동북부에서는 산융의 세력이 대두해 고죽국의 국경을 위협하게 되었다.[1] 말기의 고죽국의 영역은 서쪽은 난하, 청룡하, 북쪽은 현재의 만리장성, 동쪽은 산해관, 남쪽은 발해만으로 그 세력 범위가 축소되었다.[1]

초창기 고죽국은 서쪽이 현재의 탕산시 첸시현 싱청진, 북쪽은 차오양시 링위안시·시랴오허, 동쪽은 후루다오시, 서남쪽은 탕산시 러팅현·롼난현·차오페이뎬구 등의 지역을 영토로 삼았다.[1] 동쪽은 발해에 접하고, 서쪽은 연나라, 남쪽은 제나라와 국경을 접했다.[1]

5. 고구려와의 관계

주나라 말기, 고죽국은 서쪽의 영지(令支)와 동북쪽의 산융 세력에 의해 국경을 위협받았다. 기원전 664년, 산융이 연을 공격하자 연은 에 도움을 요청했고, 제 환공과 연 장공은 산융을 정벌하는 동시에 고죽국도 멸망시켰다.[4]

수나라 수 문제 시절, 국제 정세에 밝았던 정치가 배구는 수 문제에게 고구려가 과거 고죽국의 땅을 차지하고 있음을 들어, 한반도를 영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4]

대한민국에서는 "고려지지, 본고죽국야"를 "고구려가 고죽국을 영유했다"고 해석하는 연구자가 있으며, 연세대학교 이승종 교수는 고죽국이 고구려계의 고조선 국가라고 주장한다.[5] 그러나, 서울대학교 노태돈 교수와 한국교원대학교 송호정 교수는 이를 부정하며, 이 때문에 동북공정과 일본의 식민사관에 동조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5]

참조

[1] 웹사이트 皇明九邊考 : 皇明九邊考卷第二 - 中國哲學書電子化計劃 https://ctext.org/wi[...] 2022-08-27
[2] 웹사이트 Sixteen Chapters on Weighing and Balancing Economic Factors (《管子·轻重十六篇》): Chaps. 72 - 73 http://www.xinfajia.[...]
[3] 문서 『管子』軽重甲
[4] 서적 帝国としての中国 東洋経済新報社 2013-07-26
[5] 뉴스 연세대 이승종 교수, 식민사학 노태돈, 송호정 타작 http://www.koreahiti[...] 2019-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