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황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황경은 일제강점기 친일 행적과 광복 후 교육 및 사회 활동을 한 인물이다.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교수 고명우의 딸로 태어나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일본 도시샤 여자 전문학교를 졸업하고 미국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의 친일 단체에 가담하여 활동했으며, 광복 후에는 경기여고 교장, 미군정 부녀국장을 역임했다. 한국 전쟁 이후 서울여자대학교를 설립하여 초대 학장과 명예총장을 지냈으며, 대한어머니회 초대 회장, 걸스카우트 연맹 단장 등을 역임했다. 2002년 친일파 708인 명단에 포함되었으며, 2000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근우회의 인물 - 김활란
    김활란은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여성운동가이며 친일반민족행위자로서, 이화여자대학교 총장을 역임하며 여성 교육에 기여했으나 일제강점기 친일 행위로 비판받았다.
  • 근우회의 인물 - 박순천
    박순천은 1898년에 태어나 1983년에 사망한 대한민국 여성 정치인으로, 3·1 운동 참여, 국회의원 등을 역임했으며, 민주당 대표최고위원과 신민당 고문을 지내며 여성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고황경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관안동 고(高)씨
바롬
인물 정보
출생1909년
출생지한성부 (현재의 서울특별시)
사망2000년
직업서울여자대학교 설립자 및 초대 총장
학력
모교서울여자대학교
한국어 이름
한글고황경
한자高凰京
로마자 표기Go Hwanggyeong
아호
한글바롬
로마자 표기Barom

2. 생애

고황경은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교수 고명우의 딸로 한성부에서 태어났으며, 독립운동가 김마리아는 외가쪽으로 먼 친척이다.[10] 고황경은 4대째 개신교를 믿어온 집안[11]에서 자랐으며,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일본 도시샤 여자 전문학교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유학을 갔다. 미시간 주립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고 귀국하여 이화여자전문학교 교수로 근무하면서 소녀 범죄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조선총독부의 조선부인문제연구회에 가담하면서 친일 단체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조선부인문제연구회는 총독부의 정책을 홍보하고 계몽하는 여성 단체였으며, 고황경은 홍승원과 함께 호남 지역 강연을 담당했다. 총독부에서 발족시킨 방송선전협의회의 방송 강좌에도 참가했고, 윤덕영의 부인 김복수가 회장을 맡은 애국금차회 간사와 조선임전보국단 임원으로서 태평양 전쟁 기간 중 연설과 좌담회로 전쟁을 적극 지원했다.

광복 후 1945년 경기여고 교장, 1946년 미군정의 보건후생부 부녀국장에 임명되었다. 언니인 고봉경은 이때 미군정 경무국의 초대 여경과장을 지냈다.[12] 한국 전쟁 때 아버지 고명우와 언니 고봉경은 납북되었다.

고황경은 한국 전쟁 이후 몇 년간 영국에 머물면서 활동하다가, 귀국하여 1961년 장로교 교단의 오랜 숙원이던 서울여자대학교를 설립해 초대 학장과 명예총장을 맡았다. 대한어머니회 초대 회장, 한국 걸스카우트 연맹 단장, 대한민국학술원 종신회원을 역임했다.

2. 1. 초기 생애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교수 고명우의 딸로 한성부에서 태어났다. 외가쪽으로 먼 친척은 독립 운동가 김마리아이다.[10]

고황경의 가정은 4대째 개신교를 믿어온 집안[11] 이었으며, 비교적 여유 있는 환경이었다.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일본의 도시샤 여자 전문학교를 졸업하고 미국에 유학했다. 석사 학위를 받고 귀국하여 이화여자전문학교 교수로 근무하면서 소녀 범죄에 대한 논문으로 미시간 주립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09년 3월 6일, 서울에서 1남 3녀 중 둘째 딸로 태어났다. 황해도 은진의숙을 거쳐, 1924년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현 경기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28년 동지사여자전문학교(현 동지사여자대학교) 영문학과, 1931년 동지사대학교 법학부를 졸업하였다. 1933년 미시간 주립 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1935년 미시간 주립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귀국하여, 1944년까지 이화여자전문학교(현 이화여자대학교)의 교수를 역임하며, 법학, 경제학, 사회학, 영어를 가르쳤다. 1937년 5월 미시간 주립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전공으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여, 한국인 여성으로는 세 번째 박사 학위 취득자가 되었다.

2. 2. 일제강점기 활동

고황경은 이화여자전문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조선총독부의 조선부인문제연구회에 가담하며 친일 단체 활동을 시작했다. 이 단체는 총독부 정책을 홍보하고 계몽하는 여성 단체였으며, 고황경은 홍승원과 함께 호남 지역 강연을 담당했다.[10] 총독부에서 발족시킨 방송선전협의회의 방송 강좌에도 참가했고, 윤덕영의 부인 김복수가 회장을 맡은 애국금차회 간사와 조선임전보국단 임원으로서 태평양 전쟁 기간 중 연설과 좌담회로 전쟁을 적극 지원했다.

1937년 1월 경성방송국 라디오 방송 부인 강좌 담당 강사로 위촉되었고, 같은 해 조선총독부 학무국 주도의 조선 부인 문제 연구회의 발기인을 맡았다. 같은 해 8월에는 애국금차회의 발기인이 되어 간사를 맡았다. 1938년 6월경, 조선여자그리스도교청년회연합회(YWCA)가 세계 YWCA 협의회를 탈퇴하고, 일본여자그리스도교청년회동맹에 가입을 결의할 때, 김활란, 유각경, 박마리아와 함께 실행위원으로 선임되었다. 1941년 8월에는 임전대책협의회의 설립에 참여하였고, 10월에는 조선임전보국단의 발기인을 맡았으며, 12월에는 부인대지도위원에 임명되었다. 1942년 1월에는 국민총력조선연맹 부인지도위원으로 선임되었고, 6월에는 참사로 임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기에는 침략 전쟁을 미화하고, 조선인의 전쟁 협력과 여성들을 대상으로 징병 참가를 장려하는 글을 『반도의 빛』에 다수 기고했다.[8]

2. 3. 해방 이후 활동

광복 후 1945년 경기여고 교장, 1946년 미군정의 보건후생부 부녀국장에 임명되었다. 언니인 고봉경은 이때 미군정 경무국의 초대 여경과장을 지냈다.[12] 한국 전쟁 때 아버지인 고명우와 언니 고봉경은 납북되었다.

고황경은 한국 전쟁 이후 몇 년간 영국에 머물면서 활동하다가, 귀국하여 1961년 장로교 교단의 오랜 숙원이던 서울여자대학교를 설립해 초대 학장과 명예총장을 맡았다. 대한어머니회 초대 회장, 한국 걸스카우트 연맹 단장, 대한민국학술원 종신회원을 역임했다.

연도별 세부 활동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945년 8월조선재외전재동포구제회의 평의원
1945년 10월경기공립고등여학교 교장
1945년 11월조선교육심사위원회 제5분과위원회(중등교육 담당) 위원, 미군정청의 초대 부녀국장
1947년 3월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범아시아 회의"에 한국 대표로 참가
1949년미국으로 건너가 프린스턴 대학교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약 1년간 체류하며 "인구 문제"를 연구
1957년한국으로 귀국,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창설 주도
1958년 3월대한어머니회를 설립하여 수석최고위원으로 선임
1958년 4월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장
1958년재단법인 정의학원 이사
1960년 3월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1961년 4월서울여자대학교 초대 총장
1961년 11월재건국민운동 본부 중앙위원회 위원
1963년걸스카우트의 대한소녀단연합회장, 국제 연합 한국협회 이사 겸 부회장
1968년국민교육헌장 제정 위원
1971년 11월국어 순화 운동 전국연합 회장
1981년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상임위원
1983년순국열사 김마리아 기념사업 회장
1984년 4월서울여자대학교 명예학장
1989년 3월서울여자대학교 명예총장



2000년 11월 2일 지병으로 사망했으며, 향년 91세였다.[9] 평생 미혼으로 지냈으며, 사후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인정되었다.[8]

2. 4. 교육 및 사회 활동

고황경은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교수 고명우의 딸로 한성부에서 태어났다. 독립 운동가 김마리아는 외가쪽으로 먼 친척이다.[10] 4대째 개신교를 믿어온 집안[11]에서 자랐으며,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와 일본 도시샤 여자 전문학교를 졸업하고 미국으로 유학을 갔다.

미시간 주립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고 귀국하여 이화여자전문학교 교수로 근무하면서 소녀 범죄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광복 후 1945년 경기여고 교장, 1946년 미군정의 보건후생부 부녀국장에 임명되었다. 언니인 고봉경은 이때 미군정 경무국의 초대 여경과장을 지냈다.[12] 한국 전쟁 때 아버지인 고명우와 언니 고봉경은 납북되었다.

한국 전쟁 이후 몇 년간 영국에서 머물면서 활동하다가, 귀국하여 1961년 장로교 교단의 오랜 숙원이던 서울여자대학교를 설립해 초대 학장과 명예총장을 맡았다. 대한어머니회 초대 회장, 한국 걸스카우트 연맹 단장, 대한민국학술원 종신회원을 역임했다.

고황경의 교육 및 사회 활동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924년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현 경기여자고등학교) 졸업
1928년동지사여자전문학교 (현 동지사여자대학교) 영문학과 졸업
1931년동지사대학교 법학부 졸업
1933년미시간 주립 대학교 대학원 졸업 (경제학 석사)
1935년미시간 주립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과정 수료 후 귀국, 이화여자전문학교 (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역임 (~1944년)
1937년경성방송국 라디오 방송 부인 강좌 담당 강사 위촉, 조선총독부 학무국 주도 조선 부인 문제 연구회 발기인, 경성자매원 원장, 미시간 주립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전공 철학 박사 학위 취득, 애국금차회 발기인 및 간사
1938년조선여자그리스도교청년회연합회(YWCA) 실행위원
1942년여성감화원 가사료, 영아원 운영 시작
1945년조선재외전재동포구제회 평의원, 경기공립고등여학교 교장, 조선교육심사위원회 제5분과위원회(중등교육 담당) 위원, 미군정청 초대 부녀국장
1947년인도 뉴델리 "범아시아 회의" 한국 대표 참가
1949년프린스턴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인구 문제" 연구
1957년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 창설 주도
1958년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장, 대한어머니회 설립 및 수석최고위원, 재단법인 정의학원 이사
1961년서울여자대학교 초대 총장, 재건국민운동 본부 중앙위원회 위원
1963년걸스카우트 대한소녀단연합회장, 국제 연합 한국협회 이사 겸 부회장
1968년국민교육헌장 제정 위원
1971년국어 순화 운동 전국연합 회장
1981년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상임위원
1983년순국열사 김마리아 기념사업 회장
1984년서울여자대학교 명예학장
1989년서울여자대학교 명예총장


3. 비판 및 논란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교육/학술, 친일단체 부문에 선정되었다.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13]

4. 평가

고황경은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교육/학술, 친일단체 부문,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13]

독신으로 살면서 제자들에게 많은 애정을 쏟아 존경을 받았으며, 서울여대는 고황경의 호를 딴 공동체식 교육 '바롬교육'을 필수 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다.[13]

참조

[1] 서적 Korean Women in Leadership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11-27
[2] 웹사이트 Exchange Programs for Seoul Women's University Students|Inbound Programs for International Students|International Exchange|Doshisha Women's College of Liberal Arts https://web.archive.[...] 2018-04-19
[3] 웹사이트 Korea's Martha Berry http://www.berry.edu[...] 2018-04-19
[4] 웹사이트 Seoul Women's University - How SWU was conceived https://www.swu.ac.k[...] 2018-04-19
[5] 서적 근대한국성인교육사상 https://books.google[...] 원미사 2000
[6] 웹사이트 Seoul Women's University - Bahrom Character Education https://www.swu.ac.k[...] 2018-04-19
[7] 웹사이트 Seoul Women's University - BIP:Bahrom International Program https://www.swu.ac.k[...] 2018-04-19
[8] 웹사이트 고황경(高凰京) https://encykorea.ak[...] 2024-03-03
[9] 웹사이트 [부음]서울여대 설립자 고황경박사 별세 https://n.news.naver[...] 2024-03-04
[10] 뉴스 [나의 이력서/서영훈] <32> 김마리아 열사 https://web.archive.[...] 한국일보 2008-02-29
[11] 뉴스 [삶과 추억] 고 고황경 전 서울여대 명예총장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08-07-24
[12] 뉴스 여경, 내달 1일 창설 60주년…특공여경 4인을 만나다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8-06-11
[13] 뉴스 [대학순례/서울여대]캠퍼스 공동체 강조 "인성-실력 겸비"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8-0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