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황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치(呂雉)는 중국 진나라 말기 인물로, 한 고조 유방의 황후이자 한 혜제의 어머니이다. 그녀는 아후라는 자를 가졌으며, 유방과의 결혼을 통해 혜제와 노원공주를 낳았다. 유방 사후 혜제가 즉위하자 황태후로서 섭정을 시작했으며, 조왕 유여의를 독살하고 척부인을 잔혹하게 살해하는 등 권력을 휘둘렀다. 여씨 일족을 중용하며 유방의 서자들을 핍박하고 암살하여 세력을 키웠지만, 그녀의 시대는 백성들의 생활 안정과 평화를 가져왔다는 평가도 받는다. 여치는 기원전 180년에 사망하여 유방의 능묘에 합장되었으나, 사후 여씨 일족이 몰락하며 고황후의 지위가 박탈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세기 여자 통치자 - 베레니케 3세 필로파토르
베레니케 3세 필로파토르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파라오로, 프톨레마이오스 10세와 결혼하여 공동 통치하다가 단독 파라오가 되었지만, 이복 동생과의 결혼 후 암살당하여 시민 반란을 일으켰다. - 기원전 2세기 여자 통치자 - 클레오파트라 3세 필로메토르 소테이라
클레오파트라 3세는 기원전 2세기 이집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인물로, 프톨레마이오스 8세와 결혼하여 공동 통치하고 어머니 클레오파트라 2세와 함께 정치적 입지를 강화했으며, 아들 프톨레마이오스 9세와 10세와 공동 통치하며 권력 투쟁을 벌이다 프톨레마이오스 10세에게 암살당했다. - 전한의 황태후 - 효문황후
효문황후 두씨는 전한 문제의 후궁으로 경제와 양 효왕을 낳고 경제 즉위 후 황후가 되었으며, 손자인 무제 즉위 후에는 태황태후로서 도가 사상을 숭상하며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 전한의 황태후 - 효평황후
효평황후는 전한 평제의 황후이자 왕망의 딸로, 정략결혼 후 왕망의 찬탈로 인해 격하되었으나 신나라 멸망 후 전한에 대한 충절을 지키고자 자결하여 후대에 열녀로 평가받았다.
고황후 | |
---|---|
기본 정보 | |
이름 | 여치 |
다른 이름 | 여아후 (呂娥姁) |
별칭 | 고후 (高后) |
로마자 표기 | Lǚ Zhì (병음) Lü Chih (웨이드-자일스) |
신상 정보 | |
출생 | 기원전 241년 |
출생지 | 산부 |
사망 | 기원전 180년 8월 18일 (60–61세) |
사망지 | 전한 |
매장지 | 장릉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여선왕 여문 |
배우자 | 한 고조 |
자녀 | 노원공주 한 혜제 |
경력 | |
직함 | 전한의 황후 전한의 황태후 전한의 태황태후 |
재위 기간 (황후) | 기원전 202년 2월 3일 ~ 기원전 195년 5월 20일 (7년) |
재위 기간 (황태후) | 기원전 195년 6월 1일 ~ 기원전 188년 |
재위 기간 (태황태후) | 기원전 188년 ~ 기원전 180년 8월 18일 |
섭정 | 기원전 195년 ~ 기원전 180년 (15년) |
섭정 대상 | 한 혜제 전한 전소제 전한 후소제 |
기타 | |
계승자 (황후) | 장황후 |
계승자 (황태후) | 효문태후 박씨 |
계승자 (태황태후) | 효문태후 박씨 |
2. 생애
여치는 진나라 말기 산부현(單父; 현재의 산현, 산둥성)에서 태어났다. 자는 '''아후'''(娥姁)이다. 아버지 여문(呂文)은 적들을 피해 가족을 패현으로 데려가 정착했으며, 현의 현령과 가까운 친구가 되었다. 당시 현령의 보좌관이었던 소하는 여문의 집에서 열린 연회에서 손님들의 좌석 배치와 선물 수집을 담당했고, "1,000전 이상의 선물을 내지 않는 자는 홀 밖으로 나가 앉으시오."라고 발표했다. 당시 정장이었던 유방(훗날 한 고조)은 단돈 1전을 가져와 "1만 전을 바치겠습니다."라고 말했다. 여문은 유방을 처음 보고 깊은 인상을 받아 즉시 일어나 유방을 홀 안으로 맞아들여 자기 옆에 앉혔다. 소하는 유방이 진심이 아니라고 여문에게 말했지만, 유방은 그를 무시하고 여문과 이야기를 나눴다. 여문은 "나는 많은 사람들의 운세를 예측해 왔지만, 당신처럼 뛰어난 사람은 처음 봅니다."라고 말했다. 여문은 유방에게 딸 여치를 시집보냈고, 그들은 결혼했다. 여치는 유방에게 딸(훗날 노원공주)과 아들 유영(훗날 한 혜제)을 낳았다.[1]
여치는 단보의 유력자 여공(여문숙평)의 딸로, 패현의 정장(숙소 관리)이었던 유방이 여공의 술자리에서 소하에게 "진물 1만 전"이라고 허풍을 떤 유방에게 감탄하여 유방과 혼인했다. 여치는 1남 1녀(혜제·노원공주)를 낳고, 유태공의 농업을 도우며 아이들을 키웠다. 여동생 [https://zh.m.wikipedia.org/wiki/%E5%90%95%E5%AA%AD 여수]는 번쾌에게 시집갔다. 관상을 보는 노인이 여치에게 "천하를 얻을 귀부인의 상이 있다"라고 말했고, 진 시황제가 "동남쪽에 천자의 기운이 있다"라고 말하며 시황제가 순행했을 때 신변의 위험을 느낀 유방이 산속으로 도망쳤지만, 여치는 곧 찾아냈다. 유방이 이상하게 여기자 여치는 "당신이 있는 곳에는 구름 기운이 뭉게뭉게 피어오르기 때문에 알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이러한 소문은 유방을 섬기는 자들이 많아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1]
유방이 초나라 반란군에 참여하여 진나라에 대항하여 싸울 때, 여치와 그녀의 두 자녀는 이 기간 동안 대부분 아버지와 가족과 함께 머물렀다.[1]
2. 1. 황후가 되기까지
진(秦) 말 혼란기와 초한전 발발 직후, 여치는 패현에서 유태공과 아이들을 돌보며 남편을 기다렸다. 팽성 전투에서 유방이 항우에게 패하자, 여치는 유태공과 함께 초나라의 인질로 잡혔다.[1]기원전 203년, 한신의 활약으로 전세가 역전되어 궁지에 몰린 항우는 유방과 강화하였고, 여치는 유태공과 함께 유방에게 돌아갔다.[1]
기원전 202년, 유방이 항우를 멸망시키고 한나라를 건국하면서 여치는 황후가 되었다.[1]
2. 2. 여치의 전횡
혜제가 즉위하면서 여치는 황태후로서 혜제를 보좌했다. 혜제 즉위 직후, 여치는 유력한 경쟁자였던 조왕 유여의를 독살하고 유여의의 생모인 척부인의 손과 다리를 자르고 눈을 도려내는 등 잔혹하게 살해하여 '인간 돼지'라고 불렀다.[5] 이 일로 혜제가 충격을 받아 정무를 방치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죽자, 여치는 혜제의 아들인 소제를 황제로 옹립하고 태황태후가 되었다.여치는 친정인 여씨 일족과 진평, 주발 등의 한나라 건국공신에게 협력을 받아 정치적 안정을 꾀했지만, 각지에 제후로 봉해져 있던 유방의 서자들을 핍박하고 암살하여 여씨 일족의 세력을 키웠다. 우선 고조의 서장자인 제도혜왕 유비를 독살하려 했으나 혜제가 이를 눈치채고 막아 실패했다. 하지만 제도혜왕은 목숨의 위협을 느껴 성양군을 노원공주에게 바쳤고, 태후는 제나라 영토에서 제남군과 낭야군을 빼앗아 여나라를 만들고 조카 여태를 왕으로 삼았다. 이것이 여씨를 제후왕으로 세운 첫 사례이다.
고황후 7년(기원전 181년), 여치는 자신에게 반항하는 뜻을 품은 고조의 7남 조유왕 유우를 장안으로 소환하여 굶겨 죽였다.[7] 또한 고조의 6남 조공왕 유회를 양나라에서 조나라로 옮기고, 양나라를 조카 여산에게 주었다. 조나라로 옮겨간 조공왕도 핍박으로 자살하게 만들고, 조나라를 또 다른 조카 여록에게 주었다. 고조의 8남 연영왕 유건이 죽자, 유건의 서자를 죽이고 조카 여통을 연나라 왕으로 삼았다.
소제가 자신에게 반항하자 그를 살해하고 소제를 옹립하여 공신들의 반발을 샀고, 공신들은 자신들도 살해될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열심히 일하지 않았다. 여치 자신도 이 일을 깨달았으므로, 조카 여산에게 공신들의 동향을 보고하도록 하고 여씨 일족을 중앙의 병권을 잡는 중직에 기용했다.
2. 3. 사망
高皇后중국어는 기원전 180년에 사망하였고, 사후 진평, 주발 등 공신들과 황족들이 여씨의 난을 일으켜 여씨 일족을 몰아내고 대왕 유항을 황제로 추대했다.[13] 왕망의 신나라 말기에 적미 반란군이 고조의 능묘를 약탈했을 때 여태후의 시신이 훼손되었다. 서기 25년에 한 광무제가 한나라를 부활시킨 후, 고조의 사당에서 여태후 대신 고조의 다른 후궁인 박씨 부인을 "고황후"로 추존했고, 여태후는 별도의 사당에 봉안되었다.
3. 평가
여치 시대에는 황족과 공신들이 살해되는 등 정계에 피바람이 불었지만, 대외 원정을 줄이고 국민 생활 안정에 힘써 시정은 평화롭고 안정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17] 한신에게 반란을 획책했다는 누명을 씌워 허리를 끊어 살해한 일은, 고조의 충복이자 건국공신을 제거한 잔혹한 사건이었다.
문제와 경제의 문경지치와 무제 시대의 대원정 등 정치·경제적 기반은 이 시대에 만들어졌다.
사마천은 《사기》에서 여태후 본기를 세워 여치를 당시의 지배자로 인정하면서도, "천하는 안정되고 형벌을 사용하는 일은 드물고 죄인도 적어 백성은 농사에 힘쓰고 의식은 풍족해졌다"라고 평가했다.[17] 한편으로는 "성격은 잔인하고 시기심이 강하며... (중략) ...그 악행은 세상에 숨김이 없다"라고 비난하며 그녀의 잔인함과 권력 남용을 비판했다. 한서에서도 고후기를 세웠다.
신나라와 후한의 교체기의 동란 당시, 적미군은 전한 제왕들의 능묘를 도굴하고 안치되어 있던 여후의 유해를 훼손했다고 한다.[18] 광무제는 여치에게서 황후의 지위와 고황후의 시호를 박탈하고, 문제의 생모인 박씨를 유방의 정실 부인으로 하여 고황후의 호를 내렸다.
궈모뤄, 사타케 야스히코 등 중국과 일본의 역사가들은 여치가 진나라에서 번성했던 여불위의 일족일 가능성이 있다는 견해를 제시했지만, 《사기》나 《한서》에는 관련 기록이 없어 진위는 불분명하다.
4. 가계
고황후의 아버지는 여문(呂文)으로, 여공(呂公)이라고도 불렸으며 기원전 187년에 여선왕(呂宣王)으로 추존되었다.[1] 남편은 유방이며, 슬하에 유영과 노원공주를 두었다.[1]
4. 1.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여문(呂文) | 여공(呂公)이라고도 불리며, 사후 여선왕(呂宣王)으로 추존됨. |
남편 | 유방 | 한나라 초대 황제 |
아들 | 유영 | 한나라 제2대 황제 |
딸 | 노원공주 | 이름은 알려지지 않음. |
언니 | 여장서(呂長姁) | |
여평(呂平) | 여장서의 아들, 부류후(扶柳侯) | |
오빠 | 여택 | 사후 여도무왕(呂悼武王)으로 추존됨. |
여태 | 여택의 아들, 기원전 186년 여숙왕(呂肅王) | |
| 여가(呂嘉) | 여태의 아들, 여왕(呂王) | |
| 여통 | 여태의 아들, 기원전 181년 연왕(燕王) | |
| 여비(呂庀) | 여태의 아들, 동평후(東平侯) | |
여산 | 여택의 아들, 기원전 181년 양왕(梁王) | |
오빠 | 여석지(呂釋之) | 사후 조소왕(趙昭王)으로 추존됨. |
여칙(呂則) | 여석지의 아들, 건성후(建成侯) | |
여종(呂種) | 여석지의 아들, 불기후(不其侯) | |
여록 | 여석지의 아들, 기원전 181년 조왕(趙王) | |
여동생 | 여수 | 번쾌의 아내, 기원전 184년 린광후(臨光侯) |
5. 대중문화
'''소설'''
- 『항우와 유방』(시바 료타로)
- 『중국 영걸전』(카이온지 조고로)
- 『유방의 환관』(쿠로사와 하유마)
- 『여후』(츠카모토 세이시)
- 『유방』(미야자키 야스미츠)
'''영화'''
'''텔레비전 드라마'''
- 『항우와 유방 - 배수진』(1991년, 중국, 배역: 류거거)
- 『유방과 항우』(1997년, 중국, 배역: 于小慧|위샤오후이중국어)
- 『대 한풍 - 항우와 유방』(2004년, 중국, 배역: 오천련)
- 『楚漢驕雄|항우와 유방중국어』(2004년, 홍콩, 배역: 張可頤|장커이중국어)
- 『유방의 대풍가 - 한 건국기』(2009년, 중국, 배역: 王姬 (演员)|왕지중국어)
- 『신화』(2009년, 중국, 배역: 陈紫函|천쯔한중국어)
- 『초한지 King's War』(2012년, 중국, 배역: 친란)
- 『미인심계』(2012년, 중국, 배역: 戴春榮|다이춘룽중국어)
'''만화'''
- 『사기』(요코야마 미츠테루)
- 『항우와 유방』(요코야마 미츠테루)
- 『레드 드래곤』(이케노 마사히로)
- 『중국 3대 악녀 여치』(모토하시 케이코)
- 『적룡왕』(모토미야 히로시)
참조
[1]
서적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of China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
문서
[3]
서적
Women Shall Not Rule: Imperial Wives and Concubines in China from Han to Liao
https://books.google[...]
[4]
Shiji
[5]
간행물
Praise and Slander: The evocation of Empress Lü in the ''Shiji'' and ''Hanshu''
Brill
2006
[6]
Shiji
[7]
서적
Zizhi Tongjian
[8]
서적
Book of Han, Volume 94, Traditions of the Xiongnu
[9]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10]
서적
Book of Han, Volume 94, Traditions of the Xiongnu
[11]
서적
Book of Han, Volume 94, Traditions of the Xiongnu
[12]
Book of Wei
Biographies of Empresses
[13]
Book of the Later Han
Biography of Liu Xuanzi
[14]
간행물
呂公についての一考察
http://www.i-reposit[...]
追手門学院大学文学部東洋文化学科
[15]
서적
中國歴史人物生卒年表
黒竜江人民出版社
[16]
문서
[17]
문서
[18]
후한서
劉盆子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