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곤봉정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곤봉 외교는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이 "부드럽게 말하고 큰 몽둥이를 가지고 다녀라. 그러면 멀리 갈 것이다"라는 격언을 인용하여, 군사력을 외교 정책의 수단으로 활용한 것을 의미한다. 루스벨트는 베네수엘라 위기, 파나마 운하 건설, 쿠바 문제 등에서 곤봉 외교를 적용하여 라틴 아메리카 지역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을 확대했다. 곤봉 외교는 먼로 독트린을 보완하고 미국의 국익을 증진하는 데 기여했지만, 무력 사용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2. 배경

루스벨트가 처음으로 그의 유명한 문구를 사용한 편지(1900년 1월 26일)


이 용어는 시어도어 루스벨트가 서아프리카 속담이라고 주장한 "부드럽게 말하고 큰 몽둥이를 가지고 다녀라. 그러면 멀리 갈 것이다."(Speak softly and carry a big stick; you will go far.eng)라는 문구에서 유래했다. 다만 이 속담이 실제로 서아프리카에 존재하는지에 대한 증거는 거의 없다.[5]

루스벨트는 뉴욕 주지사 시절이던 1900년 1월 26일, 헨리 L. 스프라그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 속담을 처음 언급했다. 당시 그는 부패한 재정 고문 문제로 뉴욕 공화당 위원회로부터 지지 철회 압박을 받은 상황에서 자신의 입장을 표현하며 다음과 같이 썼다.[6][29][30]

나는 항상 서아프리카 속담을 좋아했다: "부드럽게 말하고 큰 몽둥이를 가지고 다녀라. 그러면 멀리 갈 것이다."


그는 같은 해 3월, 주 상원 의원에게 책임을 묻는 자신의 태도와 관련하여 이 문구를 처음으로 대중에게 언급하며 그 의미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7]

만약 당신이 부드럽게만 말한다면 상대방이 당신을 괴롭힐 것이다. 만약 당신이 몽둥이를 집에 두고 간다면 상대방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만약 당신이 몽둥이만 가지고 다니고 부드럽게 말하는 것을 잊는다면, 열에 아홉 번은 상대방이 더 큰 몽둥이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


루스벨트는 그해 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윌리엄 매킨리 대통령 서거 후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그는 1901년 9월 2일 미네소타 주 박람회에서 열린 "국가의 의무"라는 제목의 연설에서 다시 한번 이 경구를 인용했다.[8][9][31][32]

많은 분들이 아마도 이 옛 속담을 알고 계실 것입니다: "부드럽게 말하고 큰 몽둥이를 가지고 다녀라. 그러면 멀리 갈 것이다."

3. 빅 스틱 외교의 적용 사례

시어도어 루스벨트는 대통령 재임 기간(1901년~1909년) 동안 외교 정책을 뒷받침하고 먼로 독트린을 시행하기 위해 여러 차례 군사력을 동원했다. 이는 루스벨트 정권 이전부터 미국이 군사력을 배경으로 외교를 펼쳐온 것의 연장선이었으나, 그는 재임 기간 중 더욱 적극적으로 군사력을 행사하여 외교 정책을 보완했다. 특히 라틴 아메리카 지역에 대한 여러 차례의 개입을 통해 먼로 독트린 실행에 힘썼다. 이러한 정책에는 미국의 부상하는 중립적 위상을 보여주기 위해 평화롭게 전 세계를 항해한 16척의 전함인 백색 대함대의 파견도 포함된다.[10]

3. 1. 베네수엘라 위기 (1902-1903)와 루스벨트 수정안



20세기 초, 베네수엘라영국독일 제국으로부터 오랜 채무 상환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와 더불어, 영국 국민의 자유에 대한 폭력 행위 및 영국 선박의 대량 나포 문제로 불만을 사고 있었다.[12][13][36][37] 결국 영국 해군과 독일 제국 해군은 1902년부터 1903년까지 베네수엘라에 대한 해상 봉쇄를 단행했다. 당시 미국 대통령 루스벨트는 이 봉쇄를 비난했으며, 이 사건은 먼로 독트린에 대한 루스벨트 수정안(Roosevelt Corollary)을 마련하는 초기 근거가 되었다.[14][15][38][39]

루스벨트는 1904년 공식적으로 수정안을 발표하면서, 미국은 "이 대륙의 다른 공화국"이 "행복하고 번영"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이 "국경 내에서 질서를 유지하고 외부인에게 공정한 의무를 다해야" 하며, 그렇지 못할 경우 미국의 개입 가능성을 시사했다.[15][39]

루스벨트의 전기 작가 하워드 K. 빌을 포함한 다수의 역사학자들은 이 수정안이 루스벨트의 개인적인 신념뿐만 아니라, 외국 채권자들과의 관계에도 영향을 받았다고 분석한다.[15][16][17][39][40][41] 두 달간의 해상 봉쇄 기간 동안 미국 대중은 상당한 긴장감을 느꼈고, 루스벨트는 영국과 독일에 해당 지역에서의 군대 철수를 요청했다. 또한 "먼로 독트린 존중"과 관련 당사국들의 준수를 보장한다는 명분으로 쿠바에 해군을 주둔시켰다.[13][37]

루스벨트 수정안은 미국 상원에서 비준되거나 국민 투표에 부쳐진 적이 없는 선언이었다. 이는 20세기에 등장한 여러 비준되지 않은 대통령령 중 첫 번째 사례로 기록된다.[18][42]

3. 2. 파나마 운하 외교

미국은 중앙아메리카를 횡단하는 운하 건설을 추진하면서, 특히 니카라과와 당시 콜롬비아의 일부였던 파나마 지역의 이권을 확보하기 위해 곤봉 외교를 활용했다.[19][43] 이는 미국의 소위 "운하 외교" 기간 동안 나타난 대표적인 사례로, 두 지역 모두 곤봉 외교와 관련된 운하 건설 사건을 겪게 된다.[19]

3. 2. 1. 니카라과 운하 계획

1901년, 미국존 헤이 국무장관은 니카라과 정부에 운하 건설 승인을 요청했다. 초기 계획에 따르면, 니카라과는 합의 시 150만달러, 이후 매년 10만달러를 받고, 미국으로부터 주권, 독립, 영토 보전을 보장받기로 되어 있었다[44]

이에 대해 니카라과는 매년 받는 금액 대신 합의 시 600만달러를 받기를 희망하며 계약안 수정을 요청했다. 미국은 이 수정안을 받아들여 의회의 승인까지 얻었으나, 운하 예정지의 재판 관할권 문제가 제기되었다. 미국이 해당 지역의 법적 관할권을 소유하지 않는다는 점이 문제였는데, 이 문제가 친파나마파에 의해 제기되면서 계획은 실행 직전에 중단되었다. 당시 니카라과 지도자였던 호세 산토스 셀라야 장군은 국익을 고려하여 미국과 갈등을 일으킬 의사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44]

3. 2. 2. 파나마 운하 건설

미국은 중앙아메리카를 횡단하는 운하 건설 이권을 확보하기 위해 니카라과와 당시 콜롬비아의 일부였던 파나마 지역에 대해 곤봉 외교를 펼쳤다.[43]

1899년, 미국은 운하 건설지를 결정하고 건설 과정을 감독할 지협 운하 위원회(Isthmian Canal Commission)를 설립했다.[45] 여러 후보지 중 니카라과가 제외되면서 콜롬비아파나마 지협이 유력한 건설지로 떠올랐다. 그러나 운하 건설에 필요한 자재를 공급하기로 한 콜롬비아와 프랑스 기업들이 자재 가격을 부당하게 높게 책정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미국은 이 가격 지불을 거부하고, 대신 파나마 지역의 분리 독립 움직임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했다.[46][47][48]

1903년 11월 3일, 미국의 지원을 등에 업은 파나마 독립 세력은 콜롬비아 정부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고, 파나마 공화국의 수립을 선포했다. 미국은 새로 수립된 파나마 정부에 매년 25만달러를 지불하고 국가 주권을 인정하겠다고 약속했다.[47] 이러한 과정을 통해 미국은 파나마 운하 건설 예정지에 대한 영구적인 관할권을 확보하게 되었다. 당시 미국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는 훗날 이 상황에 대해 "나는 운하를 (먼저) 차지했고, 의회가 운하에 대해 토론하도록 했다"고 말하며 미국의 적극적인 개입을 시사했다.[47] 콜롬비아는 파나마 시를 자국의 수도로 선언하며 미국의 이러한 조치에 저항하려 했으나, 결국 파나마의 독립을 막지는 못했다.[49]

3. 3. 쿠바 문제

미국은 1898년 미서 전쟁에서 승리한 후 쿠바에 군대를 파견하여 주둔시키며 쿠바의 독립 과정에 관여했다. 당시 미국 내에서는 팽창주의적 시각을 가진 이들을 중심으로 쿠바를 합병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었다. 이들은 다른 열강이 쿠바 일부를 지배하게 되면 미국이 쿠바에서 자국의 이익을 추구하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우려했다.[11][35]

그러나 이러한 합병 주장은 같은 해 통과된 텔러 수정안에 의해 제지되었다. 텔러 수정안은 "본 수정안은 쿠바의 평정을 제외하고, 해당 섬에 대한 주권, 관할권 또는 통제권을 행사하려는 어떠한 의도도 부인하며, 그 목적이 달성되면 섬의 정부와 통치를 그 국민에게 맡길 것을 단언한다"고 명시하며, 미국의 쿠바 불간섭 원칙을 약속했다.[11][35] 하지만 합병을 지지하는 이들은 텔러 수정안이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만들어졌으며, 미국이 이에 얽매일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11][35]

이러한 논쟁 속에서 1901년, 플랫 수정안이 제기되었다. 플랫 수정안은 공식적으로는 1901년 육군 예산 법안에 추가된 조항으로, 쿠바에 대한 미국의 개입 권한을 명시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쿠바는 미국 정부의 "강력한 압력"을 받아 1901년 말 이 수정안을 수용했다.[11][35]

역사가 토머스 A. 베일리는 그의 저서 "미국 국민의 외교사"에서 플랫 수정안의 주요 내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11][35]

조항내용
1쿠바는 자국의 독립을 저해하거나 다른 열강(예: 독일)이 섬을 통제하도록 허용하는 결정을 내릴 수 없다.
2쿠바는 자국의 상환 능력을 넘어서는 부채를 지지 않는다 (외국의 개입 빌미를 주지 않기 위함).
3미국은 질서 유지와 쿠바의 독립 보존을 위해 쿠바에 자유롭게 개입할 권리를 가진다.
4쿠바는 미국이 지원하는 위생 프로그램(주로 황열병 퇴치 목적)에 동의한다.
5쿠바는 미국에 해군 기지나 석탄 보급 기지 부지를 판매하거나 임대하는 데 동의한다 (관타나모만 해군 기지가 주요 기지가 됨).



플랫 수정안이 발효되자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은 쿠바에서 미군을 철수시켰다. 그러나 그는 1년 후 쿠바에 대한 불만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기도 했다.

> 지금 이 순간, 나는 그 지긋지긋한 작은 쿠바 공화국에 너무 화가 나서 그 국민들을 지구상에서 쓸어버리고 싶다. 우리가 그들에게서 원하는 것은 그들이 스스로 행동하고 번영하며 행복하게 지내서 우리가 간섭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것뿐이었다.[26][50]

> — 시어도어 루스벨트

참조

[1] 서적 Respectfully Quoted: A Dictionary of Quotations https://archive.org/[...] Barnes & Noble
[2] 서적 The Path Between the Seas: The Creation of the Panama Canal, 1870–1914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3] 서적 Ethics and Statecraft: The Moral Dimension of International Affairs https://books.google[...] Greenwood
[4] 웹사이트 Big Stick and Dollar Diplomacy http://www.encyclope[...] Encyclopedia.com 2008-07-16
[5] 웹사이트 Speak softly and carry a big stick http://www.phrases.o[...] 2014-03-30
[6] 웹사이트 Speak Softly … http://www.loc.gov/e[...] 2020-03-15
[7] 뉴스 Gambling and Vice in the State Capital 1900-04-01
[8] 서적 The Strenuous Life: Essays and Addresses Century
[9] 웹사이트 National Duties http://www.theodore-[...] 2014-07-29
[10] 간행물 "'A Striking Thing' Leadership, Strategic Communications, and Roosevelt’s Great White Fleet." https://web.archive.[...] 2022-01-17
[11] 인용
[12] 인용
[13] 인용
[14] 백과사전 Theodore Roosevelt: Foreign Policy http://encarta.msn.c[...] MSN 2008-07-24
[15] 인용
[16] 웹사이트 On Historians' Changing Perceptions of Theodore Roosevelt Pre-1950s and Post-1940s http://workingpapers[...] WorkingPapers.org 2005-05-18
[17] 인용
[18] 서적 The Three Roosevelts https://archive.org/[...] Atlantic Monthly Press 2001
[19] 인용
[20] 인용
[21] 웹사이트 The Panama Canal: History http://www.eclipse.c[...] 1999-12-30
[22] 인용
[23] 인용
[24] 인용
[25] 웹사이트 Capitulo XIV: Memorial de Agravios http://www.banrepcul[...] Biblioteca Luis Ángel Arango 2007-01-12
[26] 뉴스 is castro an obsession with us a senator says emphatically yesand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1963-05-19
[27] 서적 Ethics and Statecraft: The Moral Dimension of International Affairs https://books.google[...] Greenwood
[28] 웹사이트 Big Stick and Dollar Diplomacy http://www.encyclope[...] Encyclopedia.com 2008-07-16
[29] 서적 Respectfully Quoted: A Dictionary of Quotations https://archive.org/[...] Barnes & Noble
[30] 웹사이트 Speak Softly … http://www.loc.gov/e[...] 2020-03-15
[31] 서적 The Strenuous Life: Essays and Addresses Century
[32] 웹사이트 National Duties http://www.theodore-[...] 2014-07-29
[33] 서적 The Path Between the Seas: The Creation of the Panama Canal, 1870–1914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34] 간행물 "'A Striking Thing' Leadership, Strategic Communications, and Roosevelt’s Great White Fleet." https://apps.dtic.mi[...]
[35] 인용
[36] 서적
[37] 서적
[38] 간행물 Theodore Roosevelt: Foreign Policy https://web.archive.[...] MSN 2008-07-24
[39] 서적
[40] 웹사이트 On Historians' Changing Perceptions of Theodore Roosevelt Pre-1950s and Post-1940s http://workingpapers[...] WorkingPapers.org 2005-05-18
[41] 서적
[42] 서적 The Three Roosevelts https://archive.org/[...] Atlantic Monthly Press 2001
[43] 서적
[44] 서적
[45] 웹사이트 The Panama Canal: History https://web.archive.[...] 1999-12-30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웹사이트 Capitulo XIV: Memorial de Agravios http://www.banrepcul[...] Biblioteca Luis Ángel Arango 2007-01-12
[50] 뉴스 is castro an obsession with us-a senator says emphatically yesand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1963-05-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