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골든 리트리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골든 리트리버는 19세기 스코틀랜드에서 개발된 중간 크기의 개 품종이다. 플랫코티드 리트리버와 트위드 워터 스패니얼을 교배하여 만들어졌으며, 지능이 높고 온순하며 훈련이 용이하여 훌륭한 애완견으로 널리 사랑받는다. 사냥개 본능을 유지하며, 안내견, 치료견 등 다양한 역할로 활용된다. 암에 취약하고 고관절 형성 부전 등의 유전 질환에 주의해야 하며, 적절한 운동과 관리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산 개 품종 - 케언 테리어
    케언 테리어는 스코틀랜드 고지와 스카이섬 출신으로, 과거에는 다른 이름으로 불렸으나 해충을 쫓던 돌무더기 '케언'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리며, 다양한 털색과 이중모를 가진 노리치 테리어와 비슷한 외모의 견종이다.
  • 스코틀랜드산 개 품종 - 스코티시 디어하운드
    스코티시 디어하운드는 스코틀랜드가 원산인 대형견으로, 늑대 사냥개의 후손이며 붉은 사슴 사냥에 활용되었으나, 현재는 가정견이나 쇼견으로 길러지며 유전 질환에 취약하고 아이리시 울프하운드에 가려져 큰 인기를 얻지 못한다.
  • 리트리버 - 래브라도 리트리버
    래브라도 리트리버는 캐나다 뉴펀들랜드 섬 출신으로 회수 능력이 뛰어나고 온순한 성격을 지닌 중대형 견종이며, 영국 사냥개와의 교배를 통해 품종이 형성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며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많다.
  • 리트리버 - 체서피크 베이 리트리버
    체서피크 베이 리트리버는 미국 체서피크 만 지역 출신의 수렵견으로, 독특한 눈 색깔, 물결치는 이중모, 뛰어난 수영 능력, 다양한 털 색깔, 그리고 밝고 활발하며 지능적인 기질을 가진 견종이다.
  • 인명구조 - 래브라도 리트리버
    래브라도 리트리버는 캐나다 뉴펀들랜드 섬 출신으로 회수 능력이 뛰어나고 온순한 성격을 지닌 중대형 견종이며, 영국 사냥개와의 교배를 통해 품종이 형성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며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많다.
  • 인명구조 - 구명정
    구명정은 선박 사고 시 승무원과 승객의 생명을 보호하는 긴급 탈출 장비로, 타이타닉호 침몰 사고 이후 모든 승객을 위한 확보가 의무화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종류가 사용되고 해상 인명 안전을 위한 국제 협약에 따라 규정되며, 우주 탐사 분야에서도 비상 탈출 시스템으로 활용된다.
골든 리트리버
기본 정보
골든 레트리버
골든 레트리버
다른 이름플랫 코티드 리트리버, 골든
옐로우 또는 골든 리트리버
닉네임(정보 없음)
기원 품종플랫 코티드 리트리버
트위드 워터 스패니얼
레드 세터
블러드하운드
래브라도 리트리버
원산지스코틀랜드
외형
수컷 키56–61 cm
암컷 키51–56 cm
몸무게25–34 kg
납작하거나 물결 모양의 이중모, 좋은 장식털, 빽빽한 방수 언더코트
털색모든 색조의 금색 또는 크림색
새끼 수7.2 (±2.7) 마리
수명
평균 수명13.2년
공인 및 표준
영국 켄넬 클럽 이름골든 리트리버
영국 켄넬 클럽 표준영국 켄넬 클럽 표준
국제 애견 연맹 표준국제 애견 연맹 표준
AKC 그룹스포츠견
AKC 표준AKC 표준
ANKC 그룹그룹 3 (사냥개)
ANKC 표준ANKC 표준
CKC 그룹그룹 1 – 스포츠견
CKC 표준CKC 표준
JKC 그룹제8그룹
JKC 표준JKC 표준
KCUK 그룹스포츠견
KCUK 표준KCUK 표준
UKC 그룹스포츠 및 어업
UKC 표준UKC 표준

2. 역사

1910년대 골든 리트리버 두 마리와 함께 있는 위니프레드 찰스워스


1952년 마조리뱅크스의 증손자인 길스 폭스-스트랭웨이스는 엘마 스토넥스와 팀을 이루어 마조리뱅크스의 혈통 기록을 연구했고 1960년에 발표하여, 러시아 기원설을 반박하는 증거를 제시했다. 1868년부터 1890년까지의 혈통 기록은 런던 케넬 클럽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4]

초창기 골든 리트리버는 '플랫코티드 리트리버, 골든'이라고 불렸다. 1903년 케넬 클럽은 첫 번째 골든 리트리버를 플랫코트와 같은 등록부에 기재했다. 1904년 골든 리트리버가 필드 트라이얼에서 우승했고, 1908년에는 견종 전시회에 처음으로 출품되었다. 1911년 잉글랜드에서 골든 리트리버 클럽이 결성되었고, '옐로우 또는 골든 리트리버'라는 새로운 이름이 주어졌다. 1913년 케넬 클럽은 플랫코티드 리트리버와는 별도의 품종 등록부에 기록하기 시작했고, 1920년에는 품종명에서 '옐로우 또는'이 삭제되어 공식적으로 '골든 리트리버'라고 불리게 되었다.

20세기 초, 위니프레드 찰스워스는 골든 리트리버 클럽 설립과 케넬 클럽의 별도 인정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녀는 최초의 품종 표준을 작성했고, 케넬 클럽에서 채택했다. 그녀는 최초의 골든 리트리버 쇼 챔피언을 사육하고 출품했으며, 필드 트라이얼에서 이 품종을 대중화하고 사냥 스포츠맨들에게 소개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골든 리트리버의 인기가 증가했고,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서구 세계의 많은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캐나다 케넬 클럽은 1927년에, 미국 케넬 클럽은 1932년에 이 품종을 인정했다. 첫 번째 골든 리트리버는 1934년 프랑스, 1937년 호주에서 등록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도 전 세계적으로 우수한 품질의 사육 개체가 충분히 확보되어 이 품종은 유지될 수 있었다.

1940년대 이후 골든 리트리버의 인기는 계속 증가하여 서구 세계에서 가장 널리 알려지고 가장 자주 등록되는 개 품종 중 하나가 되었다.

2. 1. 기원

1870년대 기서चन에서 사육사와 함께 앉아 있는 노우스


골든 리트리버는 19세기에 더들리 마조리뱅크스 경(후에 트위드머스 남작이 됨)이 플랫코티드 리트리버와 트위드 워터 스패니얼을 신중하게 교배하고, 다른 몇몇 영국 개 품종과 교배하여 스코틀랜드에서 개발했다. 마조리뱅크스가 꼼꼼하게 관리해 온 매우 상세한 혈통 기록이 1952년에 출판되기 전에는 이 품종의 기원에 대한 많은 낭만적인 이야기가 출판되었다.

1860년대 마조리뱅크스는 스코틀랜드의 저택 기서찬에서 그가 생각하기에 최고의 리트리버 품종을 만들기 시작했다. 그는 노우스(Nous)라는 황색 플랫코티드 리트리버 개를 얻는 것으로 시작했다. 노우스는 1864년 6월에 출산되었으며, 다른 모든 강아지들이 검은색인 새끼 중 유일한 황색 강아지였다. 드물지만, 간혹 순종 플랫코티드 리트리버 강아지들은 두 검은 부모의 교배에서 간색, 갈색, 황금색 또는 노란색으로 태어난다. 골든 리트리버의 유산에 대한 낭만적인 이야기의 출처는 바로 노우스의 혈통이었다. 한 초기의 설명에서는 노우스를 브라이튼의 러시아 서커스 훈련사에게서 구입했다고 주장했고, 또 다른 설명에서는 구두 수선공에게서, 또 다른 설명에서는 집시에게서 구입했다고 주장했다. 혈통 기록에는 노우스가 브라이튼 근처 스탠머 공원에 있는 치체스터 경이 사육한 플랫코티드 리트리버라고 기록되어 있다.

1868년 노우스는 벨(Belle)이라는 이름의 트위드 워터 스패니얼 암컷과 교배되었는데, 이 암컷은 혈통 기록에 1863년에 출산되었고 "레이디커크 혈통"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 교배에서 태어난 강아지들은 4마리의 황색 강아지로, 각각 프림로즈, 아다, 카우슬립, 크로커스였다. 이 강아지들 중 가장 뛰어난 암컷인 카우슬립은 트위드라는 이름의 트위드 워터 스패니얼과 교배되어 톱시라는 암컷 강아지를 낳았다. 카우슬립은 이후 삼손이라는 이름의 레드 세터와 교배되었고, 이 교배에서 잭이라는 수컷 강아지가 태어났다. 톱시는 삼보라는 검은색 플랫코티드 리트리버와 교배되었고, 그 강아지들 중 조이라는 암컷 강아지는 다시 잭과 교배되었으며, 그 교배에서 두 마리의 강아지가 남겨졌다. 노우스 2세라는 수컷과 길이라는 암컷이었다. 길은 트레이서라는 검은색 래브라도 리트리버와 교배되었고, 그 교배에서 태어난 퀸이라는 암컷 강아지는 다시 노우스 2세와 교배되었으며, 모든 골든 리트리버는 이 교배에서 유래되었다. 이 다양한 교배에서 태어난 강아지들의 색깔은 순수한 검은색에서 밝은 크림색까지 다양했지만, 황금색 강아지들이 보존되어 서로 교배되었고, 이것이 골든 리트리버 품종의 기초가 되었다. 마조리뱅크스는 또한 그 이후 몇 년 동안의 육종 프로그램에서 모래색 블러드하운드와 다른 래브라도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class="wikitable"

|-

! style="text-align:center;" | 더들리 마조리뱅크스의 초기 육종 프로그램[4]

|-

|

노우스 ♂
Nous|노우스영어
y|~| 벨 ♀
Belle|벨영어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border-left: 1px solid black; border-right: 1px solid black;"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border-left: 1px solid black; border-right: 1px solid black;" |
삼손 ♂
Sampson|샘슨영어
카우슬립
Cowslip|카우슬립영어
트위드 ♂
Tweed|트위드영어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border-left: 1px solid black; border-right: 1px solid black;"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border-left: 1px solid black; border-right: 1px solid black;"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border-left: 1px solid black; border-right: 1px solid black;" |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border-left: 1px solid black; border-right: 1px solid black;" |!|톱시 ♀
Topsy|톱시영어
y|~| 삼보 ♂
Sambo|샘보영어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border-left: 1px solid black; border-right: 1px solid black;"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border-left: 1px solid black; border-right: 1px solid black;"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border-left: 1px solid black; border-right: 1px solid black;" |
잭 ♂
Jack|잭영어
y|~|~| 조이 ♀
Zoe|조이영어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border-left: 1px solid black; border-right: 1px solid black;"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border-left: 1px solid black; border-right: 1px solid black;" |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border-left: 1px solid black; border-right: 1px solid black;" |!|길 ♀
Gill|길영어
y|~| 트레이서
Tracer|트레이서영어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border-left: 1px solid black; border-right: 1px solid black;"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border-left: 1px solid black; border-right: 1px solid black;" |!|style="border-top: 1px solid black; border-left: 1px solid black; border-right: 1px solid black;" |
노우스 2세 ♂
Nous II|노우스 2세영어
~|~| 퀸 ♀
Queenie|퀸영어


|}

1952년 마조리뱅크스의 증손자인 길스 폭스-스트랭웨이스는 엘마 스토넥스와 팀을 이루어 마조리뱅크스의 혈통 기록을 연구했다. 1960년에 그들의 연구가 출판되어 러시아 기원에 대한 모든 이야기에 반박하는 데 필요한 모든 증거를 제시했다. 1868년부터 1890년까지의 혈통 기록은 런던 케넬 클럽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

초창기 골든 리트리버는 '플랫코티드 리트리버, 골든'이라고 불렸다. 처음에는 골든 리트리버가 전 품종의 색상 변종으로 간주되었다. 1903년 케넬 클럽은 첫 번째 예시들을 기록하여 플랫코트와 같은 등록부에 기재했다. 1904년 골든 리트리버가 필드 트라이얼에서 우승했고, 1908년에는 첫 번째 예시들이 견종 전시회에 출품되었다. 1911년 잉글랜드에서 이 품종을 위한 클럽인 골든 리트리버 클럽이 결성되었고, 그들에게 '옐로우 또는 골든 리트리버'라는 새로운 이름이 주어졌다. 이 시점부터 그들은 플랫코티드 리트리버와는 별개의 품종으로 점점 더 인식되었다. 1913년이 되어서야 케넬 클럽은 플랫코티드 리트리버와는 별도의 품종 등록부에 기록하기 시작했고, 1920년에는 품종명에서 '옐로우 또는'이 삭제되어 공식적으로 '골든 리트리버'라고 불리게 되었다.

20세기 초 이 품종의 열렬한 팬이었던 위니프레드 찰스워스는 품종 클럽의 설립과 케넬 클럽의 별도 인정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녀가 처음으로 품종 표준을 작성했고, 케넬 클럽에서 채택했으며, 약간의 수정만 거쳐 거의 변경되지 않았다. 그녀는 최초의 골든 리트리버 쇼 챔피언을 사육하고 출품했으며, 이 품종의 작업 본능을 유지하기 위해 강력하게 옹호했으며, 필드 트라이얼에서 이 품종을 대중화하고 사냥 스포츠맨들에게 소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세기 중반, 스코틀랜드의 더들리 마조리뱅크스 백작(후의 트위드머스 남작)이 교배를 통해 만든 것이 기원이다. 1865년, 더들리 마조리뱅크스 백작은 소형의 뉴펀들랜드견과 교배한 검은색 웨이비 코티드 레트리버에서 태어난, 한 마리의 웨이브가 있는 황색 털을 가진 '누'를 구입했다.

더들리 마조리뱅크스 백작은 '누'와 '벨'을 교배하여 4마리의 암컷이 태어났다. 그 중 한 마리인 '카우슬립'을 바탕으로 더들리 마조리뱅크스 백작은 20년 이상 브리딩했다. 웨이비 코티드 레트리버, 아이리시 세터, 후의 블러드하운드와의 교잡을 몇 차례 거쳐 새로운 견종으로 골든 리트리버를 확립했다.

1903년, 영국 케넬 클럽은 골든 레트리버를 '플랫코트 = 골든'으로 처음 등록했다. 1911년에는 플랫코티드 레트리버와는 별개의 단독 견종으로 인정받아 '골든 또는 옐로 레트리버'라고 불렸으며, 몇 년 후에는 '옐로'라는 단어가 삭제되었다.

2. 2. 품종 인정 및 발전



골든 리트리버는 19세기에 플랫코티드 리트리버와 트위드 워터 스패니얼을 신중하게 교배하고, 다른 몇몇 영국 개 품종과 교배하여 더들리 마조리뱅크스 경(트위드머스 남작)에 의해 스코틀랜드에서 개발되었다. 마조리뱅크스가 꼼꼼하게 관리해 온 매우 상세한 혈통 기록이 1952년에 출판되기 전에는 이 품종의 기원에 대한 많은 낭만적인 이야기가 출판되었다.

1860년대 마조리뱅크스는 스코틀랜드의 저택 기서찬에서 그가 생각하기에 최고의 리트리버 품종을 만들기 시작했다. 그는 노우스(Nous)라는 황색 플랫코티드 리트리버 개를 얻는 것으로 시작했다. 노우스는 1864년 6월에 출산되었으며, 다른 모든 강아지들이 검은색인 새끼 중 유일한 황색 강아지였다. 드물지만, 간혹 순종 플랫코티드 리트리버 강아지들은 두 검은 부모의 교배에서 간색, 갈색, 황금색 또는 노란색으로 태어난다. 골든 리트리버의 유산에 대한 낭만적인 이야기의 출처는 바로 노우스의 혈통이었다. 혈통 기록에는 노우스가 브라이튼 근처 스탠머 공원에 있는 치체스터 경이 사육한 플랫코티드 리트리버라고 기록되어 있다.

1868년 노우스는 벨(Belle)이라는 이름의 트위드 워터 스패니얼 암컷과 교배되었는데, 이 암컷은 혈통 기록에 1863년에 출산되었고 "레이디커크 혈통"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 교배에서 태어난 강아지들은 4마리의 황색 강아지로, 각각 프림로즈, 아다, 카우슬립, 크로커스였다. 이 강아지들 중 가장 뛰어난 암컷인 카우슬립은 트위드라는 이름의 트위드 워터 스패니얼과 교배되어 톱시라는 암컷 강아지를 낳았다. 카우슬립은 이후 삼손이라는 이름의 레드 세터와 교배되었고, 이 교배에서 잭이라는 수컷 강아지가 태어났다. 톱시는 삼보라는 검은색 플랫코티드 리트리버와 교배되었고, 그 강아지들 중 조이라는 암컷 강아지는 다시 잭과 교배되었으며, 그 교배에서 두 마리의 강아지가 남겨졌다. 노우스 2세라는 수컷과 길이라는 암컷이었다. 길은 트레이서라는 검은색 래브라도 리트리버와 교배되었고, 그 교배에서 태어난 퀸이라는 암컷 강아지는 다시 노우스 2세와 교배되었으며, 모든 골든 리트리버는 이 교배에서 유래되었다. 이 다양한 교배에서 태어난 강아지들의 색깔은 순수한 검은색에서 밝은 크림색까지 다양했지만, 황금색 강아지들이 보존되어 서로 교배되었고, 이것이 골든 리트리버 품종의 기초가 되었다. 마조리뱅크스는 또한 그 이후 몇 년 동안의 육종 프로그램에서 모래색 블러드하운드와 다른 래브라도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52년 마조리뱅크스의 증손자인 길스 폭스-스트랭웨이스는 엘마 스토넥스와 팀을 이루어 마조리뱅크스의 혈통 기록을 연구했다. 1868년부터 1890년까지의 혈통 기록은 런던 케넬 클럽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

초창기 골든 리트리버는 '플랫코티드 리트리버, 골든'이라고 불렸다. 처음에는 골든 리트리버가 전 품종의 색상 변종으로 간주되었다. 1903년 케넬 클럽은 첫 번째 예시들을 기록하여 플랫코트와 같은 등록부에 기재했다. 1904년 골든 리트리버가 필드 트라이얼에서 우승했고, 1908년에는 첫 번째 예시들이 견종 전시회에 출품되었다. 1911년 잉글랜드에서 이 품종을 위한 클럽인 골든 리트리버 클럽이 결성되었고, 그들에게 '옐로우 또는 골든 리트리버'라는 새로운 이름이 주어졌다. 이 시점부터 그들은 플랫코티드 리트리버와는 별개의 품종으로 점점 더 인식되었다. 1913년이 되어서야 케넬 클럽은 플랫코티드 리트리버와는 별도의 품종 등록부에 기록하기 시작했고, 1920년에는 품종명에서 '옐로우 또는'가 삭제되어 공식적으로 '골든 리트리버'라고 불리게 되었다.

20세기 초 이 품종의 열렬한 팬이었던 위니프레드 찰스워스는 품종 클럽의 설립과 케넬 클럽의 별도 인정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녀는 최초의 품종 표준을 작성했고, 케넬 클럽에서 채택했으며, 약간의 수정만 거쳐 거의 변경되지 않았다. 그녀는 최초의 골든 리트리버 쇼 챔피언을 사육하고 출품했으며, 이 품종의 작업 본능을 유지하기 위해 강력하게 옹호했으며, 필드 트라이얼에서 이 품종을 대중화하고 사냥 스포츠맨들에게 소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몇 년 동안 그 인기가 현저하게 증가했고,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서구 세계의 많은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캐나다 케넬 클럽은 1927년에, 미국 케넬 클럽은 1932년에 이 품종을 인정했다. 첫 번째 예시는 1934년 프랑스, 1937년 호주에서 등록되었다. 이 품종의 전 세계적인 인기는 많은 영국 개 품종이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큰 개 사육에 대한 영국의 전시 통제로 인해 겪었던 불운을 겪지 않게 했고, 전 세계적으로 우수한 품질의 사육 개체가 충분히 확보되어 이 품종의 어떤 특성도 잃지 않도록 했다.

1940년대 이후 그 인기는 계속 증가하여 서구 세계에서 가장 널리 알려지고 가장 자주 등록되는 개 품종 중 하나가 되었다.

3. 외형

골든 리트리버는 균형 잡힌 체형과 이중모를 가진 견종이다.

애견 클럽(Kennel Club) 표준(미국, 캐나다 제외)은 다음과 같다.

구분수컷암컷
56cm - 61cm51cm - 56cm
체중25kg - 34kg25kg - 34kg



이상적인 체장과 키의 비율은 11:10이다.

미국 애견 클럽(American Kennel Club) 표준은 약간 더 큰 개를 요구한다.


  • 수컷: 58cm - 61cm
  • 암컷: 55cm - 57cm


머리는 비교적 크고, 코는 검은색 또는 흑갈색이며, 귀는 뺨을 따라 늘어져 있으며, 아몬드형 눈을 가지고 있다.

3. 1. 털과 색상

골든 리트리버는 개체에 따라 밝은 크림색부터 어두운 적금색까지 다채로운 털색을 가진다. 장식모는 다른 부분보다 밝은 색으로 길며, 몸 앞부분, 가슴, 배, 사지 뒷부분 및 꼬리 아랫부분을 덮는다.

골든 리트리버는 이중모(Double coat)를 가졌는데, 깃털처럼 부드럽고 짧은 언더코트(undercoat, 하모) 및 탄력 있는 긴 톱코트(topcoat, 상모)의 두 종류의 털이 있다. 언더코트는 방수성이 높아 기온이 낮은 계절에도 찬물 속에서 활동하는 데 적합하다. 또한 체온 조절 역할도 하며, 기온이 상승하면 빠지고, 저하되면 다시 난다.

3. 2. 신체적 특징

골든 리트리버는 힘이 넘치는 체격을 가진 중간 크기의 품종이다. 애견 클럽(Kennel Club)의 품종 표준에 따르면 수컷은 56cm에서 61cm이고 암컷은 51cm에서 56cm이다. 건강한 성견은 일반적으로 25kg에서 34kg 사이의 무게를 갖는다.

골든 리트리버는 넓은 머리에 뚜렷한 스톱이 있고, 잘 벌어진 어두운 눈, 넓고 강력한 주둥이, 크고 검은 코, 어둡게 착색되고 약간 처진 플루스, 적당한 크기에 높게 위치하고 약간 접힌 귀를 가지고 있다. 목은 근육질이고 상당히 길며 피부가 느슨하게 덮여 있으며, 어깨는 뒤로 잘 젖혀져 있으며 날이 길고, 몸통은 가슴을 통해 깊고 갈비뼈가 잘 굽어 있다. 등은 일반적으로 기갑에서 엉덩이까지 수평을 이루며 길고 곧은 꼬리는 일반적으로 등에 맞춰 평평하게 쳐져 있다. 앞다리는 뼈대가 좋고 곧으며 뒷다리는 힘이 넘치고 무릎 관절이 잘 구부러져 있으며 허벅지는 근육질이고 발은 고양이 발과 같다.

이중 모피는 눈에 띄고 인상적인 특징이다. 바깥 털은 길고 평평하거나 물결 모양이며 앞다리에 깃털이 잘 나 있고, 속털은 촘촘하여 날씨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한다. 털은 크림색, 노란색 또는 금색 계열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수록 더 옅어진다. 애견 클럽의 품종 표준은 빨간색 또는 마호가니색 털을 금지하지만, 가슴에 흰 털 몇 가닥은 허용된다. 원래는 노란색 또는 금색 계열만 허용되었으며, 이로 인해 많은 훌륭한 크림색 개가 제외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1936년 애견 클럽의 표준이 크림색을 포함하도록 개정되었다. 현대에 와서는 거의 흰색에 가까울 수 있는 크림색이 지배적인 색상이 되었으며, 특히 도그 쇼 출전자들이 선호한다. 도그 쇼를 위해 사육된 골든 리트리버는 사냥개로 일하기 위해 사육된 개보다 털이 더 길고 얇은 경향이 있다.

애견 클럽의 품종 표준은 캐나다와 미국의 애견 클럽을 제외한 전 세계 모든 애견 클럽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다. 북미의 품종 표준은 약간 더 큰 개를 요구하며, 크림색은 허용되지 않는다. 개체에 따라 밝은 크림색부터 어두운 적금색까지 다채로운 털색을 가진다. 장식모는 다른 부분보다 밝은 색으로 길며, 몸 앞부분, 가슴, 배, 사지 뒷부분 및 꼬리 아랫부분을 덮는다.

이중모(Double coat)라고 하며, 깃털처럼 부드럽고 짧은 언더코트(undercoat, 하모) 및 탄력 있는 긴 톱코트(topcoat, 상모)의 두 종류의 털이 있다. 언더코트는 방수성이 높으며, 기온이 낮은 계절에도 찬물 속에서 활동하는 데 적합하다. 또한 체온 조절 역할도 하며, 기온이 상승하면 빠지고, 저하되면 다시 난다.

머리는 비교적 크고, 코는 검은색 또는 흑갈색이며, 귀는 뺨을 따라 늘어져 있으며, 아몬드형 눈을 가지고 있다.

구분수컷암컷
58cm - 61cm54cm - 57cm
체중29kg - 34kg24kg - 29kg



이상적인 체장과 키의 비율은 11:10이다.

4. 성격

골든 리트리버는 지능이 높고 온순하며 다정한 성격으로 알려져 있다. 훈련이 쉽고 주인을 기쁘게 하려는 의지가 강해 훌륭한 애완견이자 가족견으로, 특히 아이들에게 관대하다. 친절한 성격 때문에 경비견으로서의 본능은 거의 없지만, 특정 계통에서는 공격적인 개체도 보고되고 있어 유전적 요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1]

4. 1. 일반적인 성격

골든 리트리버는 지능이 높고, 온순하며 매우 다정한 성격을 가진 견종으로 여겨진다.[1] 리트리버 종과 마찬가지로, 이 품종은 일반적으로 차분하고 훈련이 잘 되며, 훈련시키기 매우 쉽고 주인을 기쁘게 하려는 의지가 매우 강하다.[1] 이 품종은 훌륭한 애완견이자 가족견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아이들에게 매우 관대하고 가족 구성원과 함께 다양한 활동을 즐기는 경향이 있다.[1] 친절한 성격 때문에 경비견으로서의 본능은 거의 없다.[1] 그러나, 특정 계통의 골든 리트리버 중 매우 공격적인 개체에 대한 보고도 있었다. 이러한 공격성 차이는 부분적으로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는 제안이 있었다.[1]

이 품종은 일반적으로 훌륭한 후각과 물어오는 강한 본능을 포함하여, 사냥개 특성과 본능의 많은 부분을 유지한다. 사냥개 훈련을 받지 않은 개체조차도 골든 리트리버는 주인에게 장난감이나 다른 물건을 가져다주는 것이 일반적이다.[1] 다른 리트리버 품종에 비해 골든 리트리버는 일반적으로 성숙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편이다.[1]

지능과 충성심을 겸비하고 온화한 성격을 가진 견종이므로 애완견으로 널리 사랑받고 있다. 또한, 활발한 성격으로 탐구심이 많다. 본래 물새 사냥에서 사냥꾼이 쏘아 떨어뜨린 사냥감을 육지로 가져오는(=retrieve) 역할을 하는 개였으며[18], 신호에 충실히 따르고, 민첩하게 행동하며, 수초가 무성한 호수 속을 멀리 헤엄쳐 새를 가져오는 사냥개로서, 몇 시간이고 사냥터에서 활동하는 것이 가능한 사냥개이다.

"믿음직한 성격", "주인과 함께 일하는 것을 기뻐하는" 견종으로, "지능적이고, 온화하며, 지적이고, 친근하며, 확실하다"라고 표현된다.

4. 2. 사냥개 본능

골든 리트리버는 훌륭한 후각과 물어오는 강한 본능 등 사냥개의 특성과 본능을 많이 가지고 있다. 사냥개 훈련을 받지 않은 개체도 주인에게 장난감이나 다른 물건을 가져다주는 것이 일반적이다.[18] 다른 리트리버 품종에 비해 성숙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편이다.

사냥감을 회수하는 골든 리트리버


골든 리트리버는 여전히 사냥꾼들에게 사냥개로 사용되며, 사냥터에서 사냥 동반자 역할을 하거나 필드 트라이얼 대회에 참가한다. 물새 사냥보다는 뇌조나 자고새와 같은 육상 사냥감 회수에 더 많이 사용된다. 사냥개로 사용되는 개들은 일반적으로 필드 사용을 위해 특별히 길러진 작업 라인에서 나온다. 애완견 또는 쇼 라인에서 나온 개들은 거의 적합하지 않다. 전통적인 조밀한 이중 털을 가진 골든 리트리버는 털이 방수 및 단열 기능을 제공하므로 춥고 습한 환경에서 작업하는 데 적합하다. 다른 리트리버 품종에 비해 수영을 잘하지 못하며, 긴 털 때문에 수영할 때 물에 더 낮게 가라앉는다.

골든 리트리버는 래브라도 리트리버보다 사냥 동반자로 덜 사용된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이 품종이 일반적으로 성숙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것이다. 특히 래브라도 리트리버에 비해 골든 리트리버는 기본 훈련을 받고 있을 때 같은 나이의 래브라도 리트리버는 이미 사냥 시즌을 마쳤을 수 있다. 또 다른 이유는 긴 털인데, 진흙투성이 환경이나 덤불 속에서 작업한 후에는 래브라도 리트리버의 털보다 더 많은 관리와 손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긴 털이 먼지와 가시 덩굴을 더 쉽게 잡는다. 사냥보다는 애완견이나 쇼를 위해 더 많은 골든 리트리버가 길러지므로, 사냥꾼들이 검증된 작업 라인에서 나온 강아지를 찾기가 어려울 수 있다.

물새 사냥에서 사냥꾼이 쏘아 떨어뜨린 사냥감을 육지로 가져오는(=retrieve) 역할을 하는 개였으며, 신호에 충실히 따르고, 민첩하게 행동하며, 수초가 무성한 호수 속을 멀리 헤엄쳐 새를 가져오는 사냥개로서, 몇 시간이고 사냥터에서 활동하는 것이 가능한 사냥개이다.

4. 3. 주의점

골든 리트리버는 훈련하기 쉽고,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누구에게나 다루기 쉬운 견종으로 알려져 있다.[22] 다만, 2017년 3월에는 생후 10개월 된 여아가 실내견(4세, 수컷, 체중 37kg)에게 갑자기 머리를 물려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는 등 사고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22]

5. 사육 시 유의점

골든 리트리버는 "인간과 함께 일하는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견종이므로, 밖에 묶어두거나 혼자 있게 하는 것, 먹이와 물을 주는 것에 무관심해지는 것을 싫어한다. 동료로 인정받는 것과 산책을 나가는 것을 좋아한다.

훈련이 쉬워 누구에게나 다루기 쉬운 견종으로 알려져 있지만, 2017년 3월에는 생후 10개월 된 여아가 골든 리트리버(4세, 수컷, 체중 약 37kg)에게 머리를 물려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22]

무분별한 번식으로 고관절 형성 부전, 간질 등 유전성 질환을 앓거나 온화한 성격을 잃은 개체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운동 부족은 비만으로 이어져 생활 습관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체중 관리, 종양(암), 피부 및 관절 문제 등에 유의하고 개 사료를 통한 대책이 필요하다.[23]

5. 1. 관리

골든 리트리버는 적절한 운동을 게을리하면 발톱이 너무 길어질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발톱을 깎아 길이를 조절해야 한다. 발톱을 그대로 두면 발톱이 뿌리부터 부러지거나, 세균이 침투하여 붓고 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늑구가 있는 경우 늑구가 피부를 손상시킬 위험이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잘라줘야 한다.[1]

유아기에 실내에서 흥분하거나 뛰어다니면 고관절 발달에 영향을 미치거나 탈구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실내에서는 조용히, 실외에서는 활발하게 운동하도록 훈련해야 한다.[1]

5. 2. 질병

2024년 영국 연구에 따르면 골든 리트리버의 기대 수명은 13.2년으로 순종 평균 12.7년, 잡종의 12년보다 길었다.[2] 2005년 스웨덴 연구에서는 골든 리트리버의 22%가 10세에 사망했는데, 이는 전체 개의 35%보다 낮은 수치였다.[4] 반면 2024년 이탈리아 연구에서는 골든 리트리버의 기대 수명이 10년으로 전체 평균과 같았다.[3]

골든 리트리버는 특히 암에 취약한 품종이다. 미국 연구에서는 암이 골든 리트리버 사망 원인의 약 50%를 차지했으며, 이는 연구에서 두 번째로 높은 수치였다.[5] 그러나 유럽 연구에서는 암 발병률이 20~39%로 훨씬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미국과 유럽 골든 리트리버 개체군 간의 유전적 차이를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5][6][7] 특히 혈관육종과 림프종에 취약하며, 전자의 평생 위험은 5분의 1, 후자는 8분의 1로 추정된다.[5] 한 영국 연구에서는 골든 리트리버의 전이성 신생물 위험이 다른 개보다 4.86배 높았다.[8]

골든 리트리버는 일차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에 대한 유전적 소인이 있으며, 5개 연구를 종합한 결과 골든 리트리버가 전체 사례의 1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

훈련이 쉽고 누구에게나 다루기 쉬운 견종으로 알려져 있지만, 사고도 발생한다. 2017년 3월에는 생후 10개월 된 여아가 골든 리트리버(4세, 수컷, 체중 약 37kg)에게 머리를 물려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22]

암은 골든 리트리버의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다. 고관절 형성 부전과 마찬가지로, 미국에서 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필수 검사 항목으로 지정한 이후 해당 질환은 감소 추세에 있다.

무분별한 번식으로 인해 고관절 형성 부전, 간질 등 유전성 질환을 앓거나 온화한 성격을 잃은 개체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운동 부족으로 인한 비만이 많아, 운동을 시키지 않으면 생활 습관병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체중 관리, 종양(암), 피부 및 관절 문제 등이 발생하기 쉬우며, 개 사료를 통한 대책이 필요하다.[23]

6. 래브라도 리트리버와의 비교

래브라도 리트리버와 골든 리트리버는 비슷한 외모를 가지고 있어 혼동되기도 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6. 1. 공통점

명랑하고 온순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매우 사람을 잘 따르기 때문에 번견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다른 개에 대해서도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저먼 셰퍼드 독과 마찬가지로 영리하고 훈련 성능이 높다. 안내견, 보조견 및 경찰견과 같은 서비스견으로 활동하거나, 경기에서도 자주 볼 수 있는 견종이다. 래브라도 리트리버와 1세대 교배하여 안내견으로 훈련하는 훈련소도 있다.

물놀이를 매우 좋아한다. 원래 둘 다 수중에서 활동하는 역할을 해온 견종이기 때문이다.

6. 2. 차이점

골든 리트리버와 래브라도 리트리버는 "친척"이 아니다. 비슷한 외모를 가지고 있어, 양자의 차이점을 "단모종과 장모종의 차이"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잘못된 것이다. 골든 리트리버는 상술한 교배종인 반면, 래브라도 리트리버는 세인트 존스 리트리버 및 뉴펀들랜드 개의 교배종이므로, 종으로서는 어느 정도 거리가 있다.

7. 활용



골든 리트리버는 서구권에서 가장 흔하게 길러지는 애완견 품종 중 하나이며, 영국, 미국, 호주, 캐나다에서 등록된 개체 수 기준으로 항상 상위 10위 안에 드는 품종이다.[10][11][12][13] 애견 쇼에 단골로 출전하며, 별도로 쇼 라인이 개발되었다. 이 개들은 안내견과 치료견으로 훈련될 수 있으며, 복종 훈련 및 기타 애견 스포츠에도 참가한다.

골든 리트리버는 사냥꾼들에게 여전히 사냥개로 사용되며, 사냥터에서 사냥 동반자 역할을 하거나 필드 트라이얼 대회에 참가한다. 물새 사냥보다는 뇌조나 자고새와 같은 육상 사냥감 회수에 더 많이 사용된다. 사냥개로 사용되는 개들은 일반적으로 필드 사용을 위해 특별히 길러진 작업 라인에서 나온다. 애완견 또는 쇼 라인에서 나온 개들은 거의 적합하지 않다. 전통적인 조밀한 이중 털을 가진 골든 리트리버는 털이 방수 및 단열 기능을 제공하므로 춥고 습한 환경에서 작업하는 데 적합하다. 다른 리트리버 품종에 비해 골든 리트리버는 수영을 잘하지 못하는데, 긴 털 때문에 물에 더 낮게 가라앉기 때문이다.

골든 리트리버는 래브라도 리트리버보다 사냥 동반자로 덜 사용된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이 품종이 일반적으로 성숙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것이다. 특히 래브라도 리트리버에 비해 골든 리트리버는 기본 훈련을 받는 동안 같은 나이의 래브라도 리트리버는 이미 사냥 시즌을 마쳤을 수 있다. 또 다른 이유는 긴 털인데, 진흙투성이 환경이나 덤불 속에서 작업한 후에는 래브라도 리트리버의 털보다 더 많은 관리와 손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긴 털이 먼지와 가시 덩굴을 더 쉽게 잡는다. 사냥보다는 애완견이나 쇼를 위해 더 많은 골든 리트리버가 길러지므로, 사냥꾼들이 검증된 작업 라인에서 나온 강아지를 찾기가 어려울 수 있다.

8. 유명한 골든 리트리버


  • 리버티는 제럴드 R. 포드 대통령의 반려동물이었다.[14]
  • 베일리는 2020년 미국 대통령 후보 엘리자베스 워런의 반려동물이다.[15]
  • 오르카는 용감함으로 PDSA 골드 메달을 수상했다.[16]
  • 맥스 시장은 캘리포니아주 아이딜와일드 시장으로 선출되었다.[17]
  • 버디는 ''에어 버드''에 출연한 개 배우이다.

참조

[1] 논문 Genetic variation in aggression-related traits in Golden Retriever dogs https://www.scienced[...] 2007-04-01
[2] 논문 Longevity of companion dog breeds: those at risk from early death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24-02-01
[3] 논문 Factors related to longevity and mortality of dogs in Italy 2024
[4] 논문 Mortality in over 350,000 Insured Swedish Dogs from 1995–2000: II. Breed-Specific Age and Survival Patterns and Relative Risk for Causes of Death 2005-09-30
[5] 논문 Association of cancer-related mortality, age and gonadectomy in golden retriever dogs at a veterinary academic center (1989-2016) 2018-02-06
[6] 논문 Breed-Predispositions to Cancer in Pedigree Dogs 2013-01-17
[7] 웹사이트 Understanding Cancer in Golden Retrievers https://grca.org/wp-[...]
[8] 논문 Histopathological frequency of canine hepatobiliary disease in the United Kingdom 2021
[9] 서적 Canine and feline endocrinology http://www.sciencedi[...] Elsevier Saunders 2015
[10] 뉴스 These are the 13 most popular breeds of adorable dog in the UK - according to the Kennel Club https://www.scotsman[...] 2022-01-08
[11] 웹사이트 Most popular dog breeds – full ranking list https://www.akc.org/[...] The American Kennel Club, Inc 2021-12-23
[12] 뉴스 Australia's most popular dog breeds https://www.dailytel[...] 2021-12-23
[13] 뉴스 Canada's most popular dog breed of 2020 is… https://cottagelife.[...] 2021-12-23
[14] 뉴스 'Who pours the kibble?' And other answers about daily life for dogs in the White House https://www.washingt[...] 2021-12-29
[15] 뉴스 'We are all Bailey': Elizabeth Warren's dog goes viral after stealing a burrito https://www.usatoday[...] 2021-12-29
[16] 웹사이트 PDSA Gold Medal – Dogs https://www.pdsa.org[...] 2021-01-16
[17] 웹사이트 Office of the Mayor of Idyllwild http://www.mayormax.[...] 2022-06-05
[18] 서적 増補改訂 最新 世界の犬種大図鑑 誠文堂新光社 2021-01-20
[19] 웹사이트 ゴールデン・レトリーバー https://www.jkc.or.j[...] ジャパンケネルクラブ 2024-01-12
[20] 서적 ビジュアル犬種百科図鑑 緑書房
[21] 웹사이트 ゴールデンレトリバーの基礎知識-1 https://www.grcj.org[...] GRCJ (The Golden Retriever Club of Japan) 2024-01-12
[22] 뉴스 10カ月の女児、飼い犬にかまれ死亡 東京・八王子 http://www.asahi.com[...] 2017-03-10
[23] 웹사이트 ゴールデンレトリバー向けドッグフード(餌)おすすめ人気ランキング10選【専門家が厳選】 https://inunavi.plan[...] 2024-10-02
[24] 웹인용 골든 레트리버 https://terms.naver.[...] 2021-05-2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