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리트리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리트리버는 총기 사냥에 사용되는 개로, 사냥감을 찾아 회수하는 능력이 뛰어나도록 훈련받는다. 훈련에는 통제 유지, 떨어진 사냥감 마킹, 블라인드 회수, 손으로 회수, 존중, 명령에 따라 털기, 쿼터링, 날개와 샷에 침착하게 대처하는 기술 등이 포함된다. 필드 작업을 위한 리트리버 번식에서는 순종성, 욕구, 마킹 능력, 후각, 부드러운 입, 강인함 등이 고려된다. 리트리버의 평균 수명은 약 10~12년이며, 래브라도 리트리버, 골든 리트리버 등이 대표적인 품종이다. 리트리버 외에도 아메리칸 코커 스패니얼, 푸들 등 다양한 품종이 회수 능력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트리버 - 래브라도 리트리버
    래브라도 리트리버는 캐나다 뉴펀들랜드 섬 출신으로 회수 능력이 뛰어나고 온순한 성격을 지닌 중대형 견종이며, 영국 사냥개와의 교배를 통해 품종이 형성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며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많다.
  • 리트리버 - 골든 리트리버
    골든 리트리버는 19세기 스코틀랜드에서 개발되어 플랫코티드 리트리버와 트위드 워터 스패니얼의 교배로 탄생한 견종으로, 지능이 높고 온순하여 가정견, 안내견, 치료견 등으로 활동하며 긴 털과 다양한 털색, 균형 잡힌 체형, 뛰어난 후각을 가진다.
  • 사냥개 - 코커 스패니얼
    코커 스패니얼은 14세기부터 기록된 스패니얼 사냥개로, 잉글리시 코커 스패니얼과 아메리칸 코커 스패니얼 두 품종으로 나뉘며, 솔개 사냥에 사용되었고, 크기와 체형, 털 색깔에 차이가 있으며, 현재는 반려견으로 사랑받는다.
  • 사냥개 - 라이카 (개 품종)
    라이카는 러시아 북부 지역의 사냥개를 총칭하는 말로, 국제 애견 연맹에서는 여러 북유럽 사냥개를 라이카로 분류하며, 현재 사냥, 목양, 썰매 등에 사용되는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고 국제 축견 연맹은 특정 품종들을 공식적인 라이카 품종으로 인정한다.
  • 개 종류 - 코커 스패니얼
    코커 스패니얼은 14세기부터 기록된 스패니얼 사냥개로, 잉글리시 코커 스패니얼과 아메리칸 코커 스패니얼 두 품종으로 나뉘며, 솔개 사냥에 사용되었고, 크기와 체형, 털 색깔에 차이가 있으며, 현재는 반려견으로 사랑받는다.
  • 개 종류 - 포인터 (개)
    포인터는 스페인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는 사냥개로, 사냥꾼에게 사냥감의 위치를 알리는 역할을 하며, 유럽 대륙에서는 다용도 건견 또는 HPR 품종으로 분류되어 사냥, 조준, 회수 등의 다양한 사냥 작업을 수행하도록 훈련된다.
리트리버
종류사냥개
기원영국
품종 목록
종류래브라도 리트리버
골든 리트리버
플랫 코티드 리트리버
컬리 코티드 리트리버
체서피크 베이 리트리버
노바 스코샤 덕 톨링 리트리버
특징
무게25 ~ 36kg
55 ~ 62cm
털 색깔다양함
성격
성격붙임성이 좋고, 영리하고, 활발하고, 신뢰할 수 있음

2. 기술

리트리버는 사냥감을 회수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훈련받는다. 주요 훈련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물새 사냥 관련 기술:
  • '''통제 유지''': 물새 사냥 시 배가 뒤집히거나, 사냥꾼의 조준을 방해하거나, 총기 오발 사고로 이어져 다른 사냥꾼이나 개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통제하는 훈련이다.
  • '''떨어진 사냥감 마킹''': 떨어지는 사냥감을 관찰하고 그 위치를 기억하는 훈련이다.
  • '''블라인드 회수 수행''': 개가 사냥감의 낙하를 보지 못한 상황에서 핸들러의 지시(손, 음성, 호루라기)를 따라 사냥감을 회수하는 훈련이다.
  • '''손으로 회수''': 사냥감을 회수한 뒤 핸들러에게 넘겨주라는 명령이 있을 때까지 새를 부드럽지만 단단하게 물고 있는 훈련이다.
  • '''존중''': 여러 마리의 개와 함께 사냥할 때, 다른 개가 작업하는 동안 통제를 유지하고 차례를 기다리는 훈련이다.
  • '''명령에 따라 털기''': 회수 후, 핸들러의 명령이 있기 전까지 털에서 과도한 물을 털지 않도록 하는 훈련이다.
  • 개활지 사냥 관련 기술:
  • '''쿼터링''': 개활지 사냥에서 사냥꾼 앞에서 일정한 패턴으로 움직이며 사냥감을 찾는 훈련이다.
  • '''날개와 샷에 대해 침착하게 유지''': 새가 날아오르거나 총성이 들려도 침착하게 앉아 있도록 하는 훈련이다.

  • 기타 기술 훈련 고려 사항:


고려 사항설명
순종성지능적이고, 제어 가능하며, 학습에 열려 있어야 한다.
욕구 및 드라이브회수하려는 강한 욕구를 보이며, 새, 새 깃털, 새 냄새에 대한 탁월한 관심을 보인다.
마킹 및 기억 능력시력과 깊이 인식은 개가 떨어진 사냥감을 정확하게 마킹하고 기억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코를 사용하여 덮개가 무성한 곳에서 떨어진 사냥감을 찾고, 개활지에서 사냥 새를 찾아 플러싱한다.
부드러운 입회수된 사냥감을 손상시키지 않고 부드럽게 잡는다.
강인함극한 조건에서도 기꺼이 물에 들어가 여러 번 회수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2]

2. 1. 통제 유지

리트리버는 주로 물새 사냥에 사용되므로, 물러나 조용히 앉아 있다가 회수 명령을 받을 때까지 통제를 유지하도록 훈련받는다.[2] 이를 "침착함"이라고도 한다. 침착함은 배가 뒤집히거나, 사냥꾼의 조준을 방해하거나, 총기 오발 사고로 이어져 사냥 দলের 다른 구성원이나 개에게 심각한 피해를 주거나 죽음에 이르게 하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침착한 개는 떨어진 사냥감을 정확하게 "마킹"하는 데에도 유리하다.

2. 2. 떨어진 사냥감 마킹

마킹은 리트리버가 떨어지는 사냥감, 특히 새를 관찰하고 그 위치를 기억하는 과정이다. "마크" 명령이 내려지면 리트리버는 날아오는 새를 올려다보고 각 새가 떨어진 위치를 기억해야 한다.[2] 잘 훈련된 리트리버는 총구가 가리키는 방향을 따라 새가 떨어진 위치를 파악하도록 훈련받는다.[2] 사냥감이 떨어지면 핸들러는 개에게 사냥감을 회수하라고 명령한다. 리트리버가 여러 마크를 기억하는 능력은 매우 중요하며, 훈련을 통해 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2]

2. 3. 블라인드 회수 수행

"블라인드 회수"는 개가 사냥감의 낙하를 보지 못한 상황에서 핸들러의 지시(손, 음성, 호루라기)를 따라 사냥감을 회수하는 기술이다. 물새 사냥 시 리트리버의 주요 임무는 떨어진 새를 회수하는 것인데, 때로는 개가 사냥감의 낙하를 보지 못할 수 있다. 이때 리트리버는 핸들러의 손, 음성 및 호루라기 명령을 따라 떨어진 사냥감으로 안내되어 회수하도록 훈련받는다.[2] 개와 핸들러 간의 정확성은 회수 시간을 최소화하고 주변의 방해를 줄이기 위해 매우 유용하다. 현장에서 대부분의 블라인드 회수는 총기에서 약 27.43m-약 73.15m 이내에서 이루어지지만, 숙련된 리트리버/핸들러 팀은 약 91.44m 이상 떨어진 거리에서도 정확한 블라인드 회수를 수행할 수 있다.

2. 4. 손으로 회수

대부분의 핸들러는 리트리버가 사냥감을 손으로 전달하도록 훈련시킨다. 즉, 개가 회수를 완료하면 핸들러에게 넘겨주라는 명령이 있을 때까지 새를 부드럽지만 단단하게 물고 있게 된다.[2] 손으로 전달하면 다친 새가 도망갈 위험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새는 핸들러가 잡을 때까지 개의 입 안에 남아있다.[2]

2. 5. 존중

여러 마리의 개와 함께 사냥할 때, 리트리버는 다른 개가 작업하는 동안 통제를 유지하고 차례를 기다려야 한다. 여러 마리의 개가 동시에 사냥감을 회수하면 혼란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조련사들은 개의 이름을 회수 명령으로 사용한다.[2]

2. 6. 명령에 따라 털기

회수 후, 리트리버는 핸들러의 명령이 있기 전까지 털에서 과도한 물을 털지 않도록 훈련받는다.[2] 이는 작은 보트에서 털을 털 경우 보트가 전복될 위험이 있고, 사냥꾼과 장비에 물이 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냥감을 입에 물고 흔들면 새가 손상되어 식용으로 부적합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훈련자는 개에게 털을 털도록 하는 뚜렷한 명령을 사용한다.

2. 7. 쿼터링

리트리버는 개활지 사냥에서 사냥꾼 앞에서 일정한 패턴으로 움직이며 사냥감을 찾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때 리트리버는 총기 사정거리 안에 머물면서 사격 거리 밖으로 새가 날아가지 않도록 훈련받는다.[2]

2. 8. 날개와 샷에 대해 침착하게 유지

리트리버는 개활지 사냥에서 새가 날아오르거나 총성이 들려도 침착하게 앉아 있어야 한다. 이는 떨어진 새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빗나간 새를 쫓아가 다른 새들을 날려 보내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2]

2. 9. 기타 기술 훈련 고려 사항

리트리버 훈련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중요하게 고려된다.

  • 순종성: 잘 훈련된 리트리버는 지능적이고, 제어 가능하며, 학습에 열려 있어야 한다.
  • 욕구 및 드라이브: 좋은 리트리버는 회수하려는 강한 욕구를 보이며, 새, 새 깃털, 새 냄새에 대한 탁월한 관심을 보인다.
  • 마킹 및 기억 능력: 시력과 깊이 인식은 개가 떨어진 사냥감을 정확하게 마킹하고 기억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 : 좋은 리트리버는 코를 사용하여 덮개가 무성한 곳에서 떨어진 사냥감을 찾고, 개활지에서 사냥 새를 찾아 플러싱한다.
  • 부드러운 입: 부드러운 입을 가진 개는 회수된 사냥감을 손상시키지 않고 부드럽게 잡는다. 이는 사냥감을 식용으로 적합하게 유지하는 데 필요하다.
  • 강인함: 물새 사냥은 추운 날씨와 다양한 환경에서 이루어지므로, 좋은 리트리버는 극한 조건에서도 기꺼이 물에 들어가 여러 번 회수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3. 수명

리트리버의 평균 수명은 약 10~12년이며, 일부는 최대 15년까지 살 수 있다.[3]

4. 리트리버 품종

리트리버에는 다음과 같은 품종이 있다.

4. 1. 주요 품종

4. 2. 기타 품종 (일본어 위키백과 참고)

5. 회수 능력을 가진 다른 개 품종

골든 리트리버의 돌진. 이 개는 원래 습지에서 사냥하기 위해 스코틀랜드에서 개량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10 Best Dogs for Kids and Families https://www.petmd.co[...] 2018-12-31
[2] 웹사이트 Golden Retriever Dog ==> +10.000 Free Articles, Videos & Pictures http://www.golden-re[...] 2016-09-22
[3] 웹사이트 Learn About the Enthusiastic Golden Retriever https://www.thespruc[...]
[4] 웹사이트 レトリバー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VOYAGE MARKETING 2021-11-11
[5] 웹사이트 レトリバーの種類 https://nestle.jp/br[...] ネスレ 2021-11-11
[6] 웹사이트 How Many Types of Retrievers Are There? Get to Know All Six Breeds https://www.akc.org/[...] 2021-04-21
[7] 뉴스 래브라도 리트리버 성격, 개의 지능 순위는 어떻게 될까?…'오호~' https://www.mbn.co.k[...]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