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릉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릉로는 2010년 5월 20일 도로명으로 고시되었으며, 서울특별시 중랑구 묵동을 시작으로 노원구 공릉동, 하계동, 중계동을 지난다. 동일로(국도 제3호선)와 교차하며, 숙선옹주로, 중랑역로, 화랑로, 한글비석로, 덕릉로와 만난다. 묵동, 공릉동, 하계동, 중계동 구간에 다양한 건물과 시설이 위치해 있으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동산정보산업고등학교, 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 한천중학교, 서울청계초등학교, 대진여자고등학교 등이 있다. 서울 지하철 7호선 먹골역과 연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노원구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서울 노원구의 교통 - 화랑대역 (폐역)
화랑대역(폐역)은 경춘선의 철도역으로 1939년 태릉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2010년 폐역되었으며, 폐역 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철도공원으로 조성, 증기 기관차 등과 함께 보존, 전시되고 있다. - 서울 중랑구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서울 중랑구의 교통 -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47호선은 경기도 안산시부터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까지 약 100km에 걸쳐 이어지는 국도로, 1981년 신설 이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경기도, 서울특별시, 강원특별자치도의 여러 지역과 주요 시설을 연결하며, 서울 구간은 강남대로, 테헤란로와 인접하고, 2019년 남양주시 일부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도로 - 녹사평대로
녹사평대로는 반포대교 북단에서 시작하여 남산3호터널을 지나 소공로와 연결되며, 이태원 관광특구 등 상권과 남산으로의 접근성을 가지는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도로이다. - 서울특별시의 도로 - 테헤란로
테헤란로는 이란 테헤란에서 명칭이 유래되었으며, 1977년 테헤란 시장의 서울 방문을 기념하여 명칭이 변경되었고, 한국의 주요 비즈니스 및 금융 중심지로 발전했다.
공릉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도로 정보 | |
도로 종류 | 서울특별시도 |
노선명 | 공릉로 |
총 연장 | 3.940 km |
기점 | 서울특별시 중랑구 묵동 176-34 (먹골역 앞) |
주요 경유지 | 서울특별시 중랑구 서울특별시 노원구 |
종점 |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동 514-2 (덕릉로) |
주요 교차 도로 | 동일로 숙선옹주로 중랑역로 화랑로 한글비석로 덕릉로 |
2. 역사
2010년 5월 20일 도로명으로 '''공릉로'''를 고시하였다.
공릉로 묵동 구간에는 대길빌딩(공릉로 8)을 시작으로 여러 건물과 시설이 위치해 있다. 묵동 공감대아파트(공릉로 32), 청진빌딩(공릉로 38), 덕제빌딩(공릉로 53) 등이 있다. 박성택치과(공릉로 58), 태릉원룸텔(공릉로 59), 묵동프라자약국(공릉로 63)이 있고, 미림유치원(공릉로 65)도 이 구간에 있다. 현대슈퍼(공릉로 68), 야전카센타(공릉로 70), 시온스타빌(공릉로 73)이 있으며, 프라임병원(공릉로 76)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3. 주요 경유지
4. 접촉하는 도로
5. 주요 건물 및 시설
공릉로는 묵동과 공릉동, 하계동, 중계동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이다.
묵동 구간에서는 대길빌딩(공릉로 8), 묵동 공감대아파트(공릉로 32), 청진빌딩(공릉로 38) 등이 위치해 있다. 덕제빌딩(공릉로 53), 박성택치과(공릉로 58), 태릉원룸텔(공릉로 59)을 지나면 묵동프라자약국(공릉로 63)과 미림유치원(공릉로 65)이 나타난다. 현대슈퍼(공릉로 68), 야전카센타(공릉로 70), 시온스타빌(공릉로 73)을 거쳐 프라임병원(공릉로 76)이 있다.
공릉동 구간에는 자유고시원(공릉로 95), 서울동아의원(공릉로 99), 경동상가(공릉로 101) 등이 위치하며, 공릉약국(공릉로 102), 성총빌딩(공릉로 105), 애지빌라(공릉로 111)가 이어진다. 중앙철물(공릉로 116)과 약초건강원(공릉로 118)을 지나면 두산힐스빌아파트(공릉로 126)와 구립공릉어르신복지센터(공릉로 129)가 나타난다. 비콘아파트(공릉로 130), 준효약국(공릉로 138), 공릉빌딩(공릉로 144)을 지나면 기업은행 공릉동지점(공릉로 147)이 있다. 대아아파트(공릉로 157), 토템나무교회(공릉로 166), 천일장여관(공릉로 167)을 거쳐 하늘공원아파트(공릉로 170), 반야빌딩(공릉로 172), 언양교회(공릉로 179)가 이어진다. 새벽교회(공릉로 186), 건설빌딩(공릉로 187), 공릉치안센터(공릉로 189), 새봄약국(공릉로 191)을 지나 유성빌딩(공릉로 199), 동부아파트(공릉로 206)가 나타난다. 세림빌딩(공릉로 207), 동신아파트(공릉로 211, 213), 도곡빌딩(공릉로 223)을 지나면 공릉동 비발디캐슬(공릉로 229-1)과 중앙빌딩(공릉로 231)이 위치한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릉로 232)가 이 구간의 주요 시설이다. 동산정보산업고등학교는 공릉로 257(공릉동 481)에 있다.
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는 공릉로 264(하계동 78)에 위치해 있다. 한천중학교는 공릉로 265(공릉동 481)에 위치해있다. 하계1치안센터는 공릉로 290(하계동 141-8)에 있으며, GS칼텍스 하계제일주유소는 공릉로 294(하계동 141-3)에 있다. 하계동 청구빌라 3차는 공릉로 299(하계동 275)에, 대성자동차공업사는 공릉로 305(하계동 135-9)에, 하계동 청구빌라 401동은 공릉로 320(하계동 278)에 있다. 신흥주택은 공릉로 323(하계동 180-19)에, 을지병원은 공릉로 327(하계동 279-5)에, 선경빌라는 공릉로 332(하계동 281)에, 한신청구아파트는 공릉로 351(하계동 284)에, 신흥약국은 공릉로 362(하계동 208-29)에 있다.
청목세루비트(공릉로 390/중계동 510-2)와 중계3동우체국(공릉로 392/중계동 510-3)이 중계동에 위치한다. 중원중학교는 공릉로 420(중계동 511-3)에, 중앙하이츠 아쿠아는 공릉로 430(중계동 514)에 위치한다. 서울청계초등학교는 공릉로 431(중계동 513-1)에, 대진여자고등학교는 공릉로 438(중계동 514-2)에 있다.
5. 1. 묵동 구간
공릉로 묵동 구간에는 대길빌딩(공릉로 8)을 시작으로 여러 건물과 시설이 위치해 있다. 묵동 공감대아파트(공릉로 32), 청진빌딩(공릉로 38), 덕제빌딩(공릉로 53) 등이 있다. 박성택치과(공릉로 58), 태릉원룸텔(공릉로 59), 묵동프라자약국(공릉로 63)이 있고, 미림유치원(공릉로 65)도 이 구간에 있다. 현대슈퍼(공릉로 68), 야전카센타(공릉로 70), 시온스타빌(공릉로 73)이 있으며, 프라임병원(공릉로 76)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5. 2. 공릉동 구간
공릉로는 묵동과 공릉동, 하계동, 중계동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이다.
묵동 구간에서는 대길빌딩(공릉로 8), 묵동 공감대아파트(공릉로 32), 청진빌딩(공릉로 38) 등이 위치해 있다. 덕제빌딩(공릉로 53), 박성택치과(공릉로 58), 태릉원룸텔(공릉로 59)을 지나면 묵동프라자약국(공릉로 63)과 미림유치원(공릉로 65)이 나타난다. 현대슈퍼(공릉로 68), 야전카센타(공릉로 70), 시온스타빌(공릉로 73)을 거쳐 프라임병원(공릉로 76)이 있다.
공릉동 구간에는 자유고시원(공릉로 95), 서울동아의원(공릉로 99), 경동상가(공릉로 101) 등이 위치하며, 공릉약국(공릉로 102), 성총빌딩(공릉로 105), 애지빌라(공릉로 111)가 이어진다. 중앙철물(공릉로 116)과 약초건강원(공릉로 118)을 지나면 두산힐스빌아파트(공릉로 126)와 구립공릉어르신복지센터(공릉로 129)가 나타난다. 비콘아파트(공릉로 130), 준효약국(공릉로 138), 공릉빌딩(공릉로 144)을 지나면 기업은행 공릉동지점(공릉로 147)이 있다. 대아아파트(공릉로 157), 토템나무교회(공릉로 166), 천일장여관(공릉로 167)을 거쳐 하늘공원아파트(공릉로 170), 반야빌딩(공릉로 172), 언양교회(공릉로 179)가 이어진다. 새벽교회(공릉로 186), 건설빌딩(공릉로 187), 공릉치안센터(공릉로 189), 새봄약국(공릉로 191)을 지나 유성빌딩(공릉로 199), 동부아파트(공릉로 206)가 나타난다. 세림빌딩(공릉로 207), 동신아파트(공릉로 211, 213), 도곡빌딩(공릉로 223)을 지나면 공릉동 비발디캐슬(공릉로 229-1)과 중앙빌딩(공릉로 231)이 위치한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공릉로 232)가 이 구간의 주요 시설이다.
5. 3. 하계동 구간
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는 공릉로 264(하계동 78)에 위치해 있다. 한천중학교는 공릉로 265(공릉동 481)에 위치해있다. 하계1치안센터는 공릉로 290(하계동 141-8)에 있으며, GS칼텍스 하계제일주유소는 공릉로 294(하계동 141-3)에 있다. 하계동 청구빌라 3차는 공릉로 299(하계동 275)에, 대성자동차공업사는 공릉로 305(하계동 135-9)에, 하계동 청구빌라 401동은 공릉로 320(하계동 278)에 있다. 신흥주택은 공릉로 323(하계동 180-19)에, 을지병원은 공릉로 327(하계동 279-5)에, 선경빌라는 공릉로 332(하계동 281)에, 한신청구아파트는 공릉로 351(하계동 284)에, 신흥약국은 공릉로 362(하계동 208-29)에 있다.
5. 4. 중계동 구간
청목세루비트(공릉로 390/중계동 510-2)와 중계3동우체국(공릉로 392/중계동 510-3)이 중계동에 위치한다. 중원중학교는 공릉로 420(중계동 511-3)에, 중앙하이츠 아쿠아는 공릉로 430(중계동 514)에 위치한다. 서울청계초등학교는 공릉로 431(중계동 513-1)에, 대진여자고등학교는 공릉로 438(중계동 514-2)에 있다.
6. 철도 연계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