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랑로 (서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화랑로(서울)는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사거리에서 시작하여 노원구 담터사거리에서 불암로와 연결되는 서울특별시도 제47호선이다. 서울 동북부의 주요 간선도로로, 내부순환로, 북부간선도로, 동부간선도로 등 주요 간선도로와 연결된다. 석계역 교차로에 화랑고가차도가 있으며, 월릉교는 동부간선도로와 북부간선도로를 연결하는 분기점 역할을 한다. 주변에는 지하철역과 육군사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태릉선수촌 등 주요 시설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노원구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서울 노원구의 교통 - 화랑대역 (폐역)
화랑대역(폐역)은 경춘선의 철도역으로 1939년 태릉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2010년 폐역되었으며, 폐역 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철도공원으로 조성, 증기 기관차 등과 함께 보존, 전시되고 있다. - 서울 성북구의 교통 - 창경궁로
창경궁로는 서울 중구에서 성북구까지 이어지는 주요 간선도로로, 여러 구간 조정을 거쳐 현재의 모습이 되었으며 서울의 주요 도로들과 교차한다. - 서울 성북구의 교통 - 동부간선도로
동부간선도로는 경기도 의정부시에서 서울특별시를 남북으로 잇는 자동차 전용도로로, 분당수서로와 연결되어 수도권 간선 도로망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며, 이륜차 통행이 금지되고 일부 구간에서 화물차량 진입이 제한되며 지하화 사업이 추진 중이다. - 서울특별시의 도로 - 녹사평대로
녹사평대로는 반포대교 북단에서 시작하여 남산3호터널을 지나 소공로와 연결되며, 이태원 관광특구 등 상권과 남산으로의 접근성을 가지는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도로이다. - 서울특별시의 도로 - 테헤란로
테헤란로는 이란 테헤란에서 명칭이 유래되었으며, 1977년 테헤란 시장의 서울 방문을 기념하여 명칭이 변경되었고, 한국의 주요 비즈니스 및 금융 중심지로 발전했다.
화랑로 (서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도로 정보 | |
도로 종류 | 서울특별시도 |
노선명 | 화랑로 |
노선번호명 | 서울특별시도 제20호선의 일부 (안내용) 서울특별시도 제52호선의 일부 (관리용) |
총연장 | 8.3km |
기점 |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동 (종암사거리) |
주요 경유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서울특별시 노원구 |
종점 |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 (시계) |
주요 교차 도로 | 국도 제3호선 내부순환로 동부간선도로 북부간선도로 |
2. 노선
서울특별시에 있는 도로로, 정릉로와 직결되며 종암사거리에서 시작하여 담터사거리에서 불암로와 직결된다. 성북구의 종암사거리에서 월곡역 교차로, 상월곡역 교차로, 돌곶이역 교차로, 장위사거리, 석계역 교차로를 거쳐 노원구의 월릉교(월릉IC), 태릉입구역 교차로, 화랑대역 교차로, 화랑대사거리(묵동IC)를 지나 담터사거리까지 이어진다.
2. 1. 주요 교차로 및 시설물
(월곡IC)내부순환로
한천로66길
한천로48길
(월릉IC)
북부간선도로
마들로
섬밭로
(묵동IC)
노원로
금강로
담터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