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범자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범자들'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 시기 공영방송 장악 과정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KBS와 MBC 등 공영방송 기자들이 해직되고 '기레기'라는 표현이 등장하는 등 언론 불신이 심화된 배경을 보여준다. 영화는 언론인들의 저항과 투쟁, 공영방송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논쟁을 다루며, 최승호, 이용마, 김용진 등 언론인과 이명박 전 대통령, 김재철 등 정치인, 김미화, 윤도현 등 연예인들의 사례를 통해 언론 탄압의 실태를 고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 김군 (영화)
김군은 1980년 5월 광주에서 촬영된 한 남자의 사진, 즉 '김군'을 중심으로 5.18 민주화운동의 진실을 추적하는 다큐멘터리 영화로, 강상우 감독이 지만원의 주장에 의문을 품고 김군을 찾아 나서는 과정을 담고 있으며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되어 서울독립영화제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 송환 (영화)
김동원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송환》은 비전향 장기수들의 이주를 계기로 전쟁의 상처, 사회 부적응, 탈북 새터민의 삶 등 한국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조명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대한민국의 독립 영화 작품 - 메기 (영화)
2018년에 개봉한 이옥섭 감독의 영화 메기는 엑스레이 사진 유출 사건을 통해 불신과 믿음, 관계의 불안정성을 다루며 사회 문제를 현실적으로 반영하고 이주영, 문소리, 구교환, 천우희 등이 출연하여 부산국제영화제와 서울독립영화제에서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독립 영화 작품 - 김군 (영화)
김군은 1980년 5월 광주에서 촬영된 한 남자의 사진, 즉 '김군'을 중심으로 5.18 민주화운동의 진실을 추적하는 다큐멘터리 영화로, 강상우 감독이 지만원의 주장에 의문을 품고 김군을 찾아 나서는 과정을 담고 있으며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처음 상영되어 서울독립영화제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 2017년 영화 - 노무현입니다
노무현입니다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로, 그의 정치 입문, 좌절, 재기, 그리고 2002년 대통령 선거 경선 과정을 조명한다. - 2017년 영화 - 문영
문영은 말을 못하는 소녀가 카메라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이야기를 그린 2015년 서울독립영화제 공개작으로, 김태리 주연, 서울농아인협회와 영화진흥위원회의 지원을 받았으며, 2017년 확장판이 개봉되었다.
공범자들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품명 | 공범자들 |
원제 | 공범자들 |
로마자 표기 | Gongbeomjadeul |
감독 | 최승호 |
각본 | 정재홍 |
조감독 | 정재원 |
촬영 | 최형석 |
편집 | 윤석민 |
제작사 | 뉴스타파 |
배급사 | 엣나인필름 |
개봉일 | 2017년 8월 17일 |
상영 시간 | 106분 |
언어 | 한국어 |
등급 | 15세 이상 관람가 |
2. 이명박 정부의 언론 장악 시도
2. 1. KBS 사장 교체 논란
2. 2. MBC 장악 시도와 구성원들의 반발
2. 3. YTN 등 기타 언론사 장악 시도
3. 박근혜 정부의 언론 통제 강화
3. 1. 세월호 참사 보도 통제 논란
3. 2. 블랙리스트 작성 및 언론인 사찰 의혹
4. 언론인들의 저항과 투쟁
4. 1. 해직 언론인들의 뉴스타파 활동
4. 2. 언론 노조 파업과 시민 사회 연대
5. 공영방송 몰락과 저널리즘의 위기
2008년 정연주 KBS 사장 퇴진부터 시작된 보수 정권의 공영방송 장악 과정을 통해, 공영방송 기자들이 현장에서 쫓겨나고 '기레기'라는 소리를 듣게 되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곧 언론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언론 상황은 뉴스타파에서 2017년 10월 20일부터 2주간 영화를 무료로 공개하며 대중에게 알려졌다.
5. 1. '기레기'라는 표현의 등장과 언론 불신 심화
2008년 정연주 KBS 사장 퇴진부터 시작된 보수 정권의 공영방송 장악 과정에서, 공영방송 기자들이 현장에서 쫓겨나고 '기레기'라는 소리를 듣게 되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러한 언론 상황은 뉴스타파에서 2017년 10월 20일부터 2주간 영화를 무료로 공개하며 대중에게 알려졌다.5. 2. 공영방송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논쟁
2008년 정연주 KBS 사장 퇴진부터 시작된 보수 정권의 공영방송 장악의 역사를 담았다. 공영방송의 기자들이 현장에서 쫓겨나고, '기레기'라는 소리를 듣게 된 이유를 보여준다. 2017년 10월 20일부터 2주간 뉴스타파에서 무료로 공개한 적이 있다.6. 출연진
- 이명박 전 대통령
- 김재철, 김종국, 안광한, 김장겸 전 MBC 사장, 백종문 전 부사장
- 박상후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MBC 보도국 전국부장
- 길환영 전 KBS 사장, 현 자유한국당 소속
- 고대영 전 KBS 사장
- 최승호 당시 MBC 해직PD, 당시 뉴스타파 소속 PD, 현 문화방송 사장(감독)
- 김보슬 PD수첩 광우병 파동 당시 PD수첩 PD
- 이용마 MBC 기자, 박성제 MBC 보도국 취재센터장(두 사람은 개봉 당시 MBC 해직 기자였음)
- 성재호 전국언론노동조합 KBS본부장
- 김연국 전국언론노동조합 MBC본부장
- 배현진 전 MBC 아나운서, MBC 보도국 국제부 기자, 현 미래통합당(옛 자유한국당) 소속
- 정연주 전 KBS 사장
- 김미화(방송인, 코미디언)
- 윤도현(YB, 가수)
- 손석희 당시 MBC 100분 토론 진행자, 현 JTBC 보도부문사장
- 박대기 KBS 기자
- 신경민 전 MBC 뉴스데스크 앵커, 현 더불어민주당 의원
- 김태호 MBC PD, 무한도전 연출, 현 MBC 예능본부 예능5부장
- 이근행 전 언론노조 MBC본부장, 전 뉴스타파 대표, 현 MBC 시사교양본부장
- 김용진 당시 KBS 보도국 탐사보도팀장, 현 뉴스타파 대표
- 그 외 김시곤 전 KBS 보도국장, 박길배 당시 서울중앙지검 검사 등 다수의 인물 출연
6. 1. 언론인
최승호 당시 MBC 해직PD는 뉴스타파 소속 PD로서 활동하였으며, 현재 문화방송 사장이다. 이용마 MBC 기자와 박성제 MBC 보도국 취재센터장은 개봉 당시 MBC 해직 기자였다. 김용진 당시 KBS 보도국 탐사보도팀장은 현 뉴스타파 대표이다.신경민 전 MBC 뉴스데스크 앵커(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와 손석희 당시 MBC 100분 토론 진행자(현 JTBC 보도부문사장) 등 언론계 주요 인사들의 활동이 조명된다.
배현진 전 MBC 아나운서(현 미래통합당 소속)와 박상후 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MBC 보도국 전국부장 등 권력에 영합한 언론인들의 행태가 비판적으로 다루어진다.
6. 2. 정치인
이명박 전 대통령은 언론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김재철, 김종국, 안광한, 김장겸 전 MBC 사장, 백종문 전 부사장 등이 이와 관련되어 언급된다. 길환영, 고대영 전 KBS 사장은 현 자유한국당 소속이다. 신경민 전 MBC 뉴스데스크 앵커는 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다.6. 3. 기타
김미화(방송인, 코미디언), 윤도현(YB, 가수) 등 언론 탄압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연예인들의 사례를 보여준다. 김태호 MBC PD 등 공영방송 정상화를 위해 노력한 인물들의 활동을 조명한다.참조
[1]
웹사이트
韓国映画、民主化や言論統制描く 前政権の圧力越えて
https://style.nikkei[...]
日本経済新聞社
2018-08-30
[2]
웹사이트
Criminal Conspiracy (2017)
http://www.koreanfil[...]
2018-08-30
[3]
웹사이트
【首都圏】日韓記者が問う権力とメディア あす立大でシンポ
http://www.tokyo-np.[...]
中日新聞社
2018-08-30
[4]
웹사이트
会見リポート 2018年05月30日 17:30 〜 19:15 10階ホール 上映会「共犯者たち」
https://www.jnpc.or.[...]
日本記者クラブ
2018-08-30
[5]
웹사이트
9月22日(日)映像プログラム『共犯者たち』サプライズ・トークイベント緊急開催!!
https://aichitrienna[...]
2021-04-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