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중 교환 전화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중 교환 전화망(PSTN)은 기술 발전에 따라 수동에서 자동, 디지털 교환 방식으로 진화해왔다. 1980년대 후반부터 디지털 교환 방식이 도입되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21세기 초에는 회선 교환과 패킷 교환을 통합하는 차세대 네트워크(NGN)로 전환되었다. 한국은 NTT 그룹의 구조를 참고하여 전화망을 구축했으며, 2024년 12월 PSTN 마이그레이션을 완료하고 메탈 IP 전화로 전환했다. 영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도 PSTN을 폐지하고 있으며, 규제 기관을 통해 서비스 제공을 관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기통신체계 - 유선 통신
유선 통신은 전선이나 케이블과 같은 물리적인 매체를 통해 정보를 전송하며, 무선 통신보다 회선 용량이 크고 도청이 어렵지만 이동에 부적합하고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드는 통신 방식이다. - 전기통신체계 - 고객 경험
고객 경험은 비즈니스와 고객 간의 모든 접점과 상호 작용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전략, 고객 이해, 디자인, 측정, 거버넌스, 문화 등의 핵심 요소를 통해 오락, 교육, 미학, 탈출 등 다양한 가치를 제공하며, 기업은 긍정적인 경험 설계를 통해 고객 충성도를 높이는 데 집중한다. - 전화 - 무선 전화
무선 전화는 음성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통신 기술로, AM, FM 등 다양한 변조 방식을 사용하며 해상 통신에 널리 쓰였으나 위성 통신 발달로 중요성이 감소하고 디지털 시스템으로 대체되는 추세 속에서 규제 및 사회적 논란도 있다. - 전화 - 국제전화
국제전화는 국가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이며, 국제 통신망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다양한 서비스 방식과 국제전화 번호 체계를 가지며, 과거에는 관련 문제들이 발생하기도 했다.
공중 교환 전화망 | |
---|---|
일반 정보 | |
유형 | 공중 교환 전화망 |
약칭 | PSTN |
주요 기능 | 전화 통신 서비스 제공 |
구성 요소 | 전화기 교환기 통신 회선 |
표준 | ITU-T |
관련 기술 | 회선 교환 방식 신호 방식 전송 방식 |
기술적 특징 | |
통신 방식 | 회선 교환 방식 |
신호 방식 | No.7 신호 방식 ISDN |
전송 방식 | 아날로그 전송 디지털 전송 |
역사 | |
개발 | 19세기 후반 |
발전 | 20세기 |
현재 | VoIP로 대체되는 추세 |
장점 | |
통화 품질 | 안정적인 통화 품질 제공 |
신뢰성 | 높은 신뢰성 |
보안 | 비교적 높은 보안 |
단점 | |
확장성 | 낮은 확장성 |
비용 | 높은 유지 보수 비용 |
새로운 서비스 | 새로운 서비스 제공의 어려움 |
미래 | |
발전 방향 | VoIP와의 통합 All-IP 네트워크로의 전환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VoIP All-IP PBX 교환기 통신 회선 |
2. 역사
공중 교환 전화망은 기술 발전과 통신 수요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 초기에는 수동 교환 방식으로 운영되었으나, 자동 교환 방식이 도입되면서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디지털 교환 방식으로 전환되면서 통신 비용 절감, 장비 신뢰성 향상,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졌다.
2. 1. 수동 교환
1870년대 후반 전화 서비스 초기에는 모든 교환이 수동으로 이루어졌다. 중계 조작에 시간이 걸렸으며, 통화를 신청한 다음 통화가 가능해질 때까지 대기 시간이 있었다.2. 2. 자동 교환
통신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자동 교환 방식이 도입되었다.[1] 1880년대에는 스텝 바이 스텝 교환기를 통해 전화 가입 구역의 자동화가 여러 나라에서 서서히 이루어졌다.[1] 가입자 전화 교환기를 통해 가입자 번호를 해석하여 접속하는 방식이었으며, 규모가 큰 나라에서는 네 자리 수, 규모가 작은 나라에서는 세 자리 수의 번호가 이용되었다.[1] 또한, 교환수 호출 등을 위한 특수 기능도 번호 안에 할당되었다.[1]1926년에는 크로스바 교환기가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1] 1960년대에는 제어 부분이 컴퓨터로 처리되는 축적 프로그램 방식의 아날로그 전화 교환기가 도입되었다.[1] 1968년에는 ITU-T가 No.6 신호 방식을 권고하여, 통화에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 쉬워지고 기존의 각 교환기를 통해 전화번호를 해석할 수 있게 되었으며, 요금 계산 시스템과의 온라인 접속도 가능해졌다.[1]
2. 3. 디지털 교환
1980년대 후반부터 통신 수요 증대에 따른 저비용, 통신 기기의 신뢰성,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전반적인 시스템을 디지털로 변경하였다.- 통신 수요 증가에 저비용으로 대응하였다.
- 통신 장비의 신뢰성을 높였다.
- 부가가치 통신망 등,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였다.
통신 자유화에 따른 신규 사업자의 참가를 대응하기 위해서도 필요하였다.
1980년에 ITU-T에 의해 Q.700 시리즈로 공통선 신호 No.7이 권고되었다. 이것은 최대 4096회선에 대응하고, 감시 신호나 선택 신호를 최대 272바이트의 가변 길이 신호 유닛으로, 4.8 또는 64kbps의 패킷 통신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무응답·특정 번호 등의 다기능 전환 전화, 개인 전화 번호, 착신 과금 전화 번호 등 교환기 간에 많은 정보를 쌍방향으로 주고받는 부가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2. 4. NGN (차세대 네트워크)
회선 교환과 패킷 교환 데이터 통신을 통합하는 것으로 제창된 ATM은 복잡하고 구현이 어려운 사양으로 인해 많은 부분이 사업자의 내부망 사용에 그쳤고, 가입자 회선으로 보급되지 않아 비용 절감도 진척되지 않았다.인터넷 프로토콜 폐쇄망을 이용한 차세대 네트워크(NGN)로의 변경이 이루어지고 있다.[10] 2003년부터 표준화가 진행되었으며, 2000년대 중반부터 2010년대에 걸쳐 변경 방침을 제시한 사업자도 많다. 2017년에는 일본만이 PSTN 운용 기한을 2025년으로 설정하고 있다.[10]
3. 한국의 공중 교환 전화망 구성
한국의 공중 교환 전화망은 NTT 그룹의 구조를 참고하여 발전해 왔다.
3. 1. 자동 교환 시대의 아날로그 전화망 (NTT 그룹 참고)
자동 교환 시대의 아날로그 전화망은 가입자선, 단국(EO), 집중국(TC), 중심국(DC), 통괄국(RC)의 4계위 구조였다.[11]계위 | 약칭 | 설명 | 개수 |
---|---|---|---|
가입자선 | 약 7000국 | ||
단국 | EO (End Office) | 약 7000국 | |
집중국 | TC (Toll Center) | 2선-4선 변환 실시 | 526국 |
중심국 | DC (District Center) | 도도부현마다 1~수 개소 설치 | 81국 |
통괄국 | RC (Regional Center) | 삿포로, 센다이, 도쿄, 가나자와, 나고야, 오사카, 히로시마, 후쿠오카 8개소 배치, 트리형 네트워크, 통신망은 최종적으로 RC 레벨에서 상호 접속[11] | 8국 |
가입자선・단국・집중국 사이는 2선식 회선이었고, 집중국에서 2선-4선 변환을 실시했다. 집중국・중심국・통괄국 상호 간은 4선식 회선이었다.[11]
DC는 도도부현마다 1~수 개소, RC는 삿포로, 센다이, 도쿄, 가나자와, 나고야, 오사카, 히로시마, 후쿠오카의 8개소에 배치된 트리형 네트워크로, 통신망은 최종적으로 RC 레벨에서 상호 접속되었다.[11]
칼슨 과금 제어는 발신 측 교환기가 미리 기억해 둔 적산표에 의해 착신 측 시외 국번으로 1통화 시간당 요금을 정하여 적산하는 방식이었다. 자동차 전화・선박 전화는 통화 대상 소재지에 따라 과금 단위를 변화시켰다.
전화 요금 청구서 작성은 전화국 구내에 설치된 가입자 과금 미터 패널을 한 달에 한 번 촬영하여 수작업으로 키 펀치를 했으나, 이후 OCR이 도입되었다.
회선 손실 배분 계획은 효율적으로 망을 정비하기 위해 수가 많은 하위 회선에 많은 손실을 배분했다.
구간 | 손실 (dB) |
---|---|
가입자 - 가입자 | 32 |
가입자 - 단국 | 7.5 |
단국 - 집중국 | 4.5 |
집중국 - 중심국 | 4 |
중심국 - 통괄국 | 0 |
통괄국 - 통괄국 | 0 |
3. 2. 디지털 시대의 전화망 (NTT 그룹 참고)
가입자 선, 군국(GC, Group Unit Center), 중계국(ZC, Zone Center)의 2계위 구조였다. 2001년 당시, ZC는 전국 47개 도도부현에 최소 1개씩 설치되어 있었고, 도쿄도, 시즈오카현, 후쿠오카현에는 2개소, 홋카이도에는 5개소가 있었다.[12] 중계국을 관리하는 특정 중계국(SZC, Special Zone Center)은 삿포로, 센다이, 도쿄, 나고야, 오사카, 히로시마, 후쿠오카에 있었다.[11]타 사업자망과의 상호 접속 기능도 실현되었다. 과금 측 사업자의 교환기가 상대방의 교환기와 통신하여 과금 단위를 결정하는 유연 과금이 가능해져, 휴대 전화 등은 사업자별 과금 단위 설정이 가능해졌고, 착신자 과금 등의 서비스 유연성이 향상되었다.
ADSL의 국 내 단말 장치는 GC국에 설치된다.
3. 3. 현/현 외 분할 후의 전화망 (NTT 그룹 참고)
1999년 7월 시내·시외 분할 후, 가입자 선·군국(GC: Group Unit Center)·현내 통신 담당 구역 내 중계국(IC: Intermediate Center)은 NTT 동·NTT 서가 관리하고, IC 접속 현간 통신 담당 관문 교환기·관문 교환기 관리 특정 중계국(SZC: Special Zone Center) 7국은 NTT 커뮤니케이션즈가 관리하는 형태로 재편되었다.기존 노드인 가입자 계통의 D70형 디지털 교환기·중계 계통의 D60형 디지털 교환기는 2015년에 철거 완료되었다. FTTH로 수요가 이전되어, 남은 회선은 기존의 새로운 노드로 접속 변경했다.
3. 4. PSTN 마이그레이션 (NTT 그룹 참고)
가입 전화 및 INS넷의 음성 통화를 메탈 IP 전화로 대체하고 PSTN을 폐지, NGN으로 갱신하는 '''PSTN 마이그레이션'''이 2024년 1월 중에 진행되었다[18][19]. 2024년 12월 25일, NTT 동서일본은 PSTN 마이그레이션이 모두 완료되었다고 발표했다[20].가입자에게는 여러 차례 서면 통지를 하였으며, 해지 의사를 밝히지 않은 경우 부가 서비스와 함께 "메탈 IP 전화 (가입 전화・INS 넷 상당)" 계약으로 자동 전환되었다. 전기 통신 사업자의 전화망 설비만 변경되므로 가입자 댁내 공사는 없으며, 기존 전화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전화기에 전화선에서 전력을 공급하는 국 급전 기능도 유지된다.
마이 라인은 폐지되었다. 법인 계약으로, 마이 라인 사업자 등록의 통화 구분 등록 전체가 KDDI 또는 소프트뱅크인 경우, KDDI 또는 소프트뱅크의 법인용 통화 서비스로 자동 전환되었다.
메탈 IP 전화에서의 기본적인 음성 서비스는 기본료를 현 상태와 동일하게 하고, 통화 요금을 전국 균일로 한다. 공중 전화는 발신 측인 NTT 동서일본이 전국 일률 요금 설정을 한다.
사업 계속이 기술적으로 어렵거나, 대폭적인 요금 인상이 불가피한 서비스는 가입자 기기에서의 기능 대체・IP망에서의 대체 서비스를 안내한다.
양방향형 번호 이동성을 시작한다.
긴급 통보의 회선 보류・역신 기능은, 모바일・IP 전화 발신 시와 같이 "콜백"과 다음 기능으로 대응한다.
- 1XY 통지 기능
- 전송 해제 기능
- 착신 거부 해제 기능
- 제3자 발착신 제한 기능
- 재해 시 우선 접속 기능
재해 시 우선 전화는 혼잡 발생 시, "단방향 세션 관리 방식"으로 우선 처리한다.
발착 2자 간에 IP 제어망을 국제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로 직접 연결하고, 복수 사업자 간의 종량 정산 기능은 간소화한다. 요구 사업자가 전액 부담하는 것을 전제로, (00XY) 번호의 중계 선택 기능・(00XY)(0AB0) 번호의 부가 서비스를 위한 메탈 IP 전화의 라우팅 기능을 갖춘다.
신규 노드 (NS-8000)의 가입자 메탈 전화 회선 수용 장치를 이용하여, VoIP 변환 장치로 중계 IP 라우터에 접속한다.
전환 공정으로는, 착신 측 준비를 조기화하고, 이행기 이후에는 이용하지 않는 "IP-STM 변환 기능"의 구비를 회피하게 되었다.
- IP-POI 빌딩 환경을 구축
- 준비가 된 사업자부터, IP-IP 접속을 시작 (2021~2024년)
- * 미리 가입자 교환기를 IP망에 접속 (2021~2022년)
- * 서비스 제공 사업자-착신 사업자 간을 IP-POI 경유로 전환 (2023년 전반)
- * 발신 사업자-서비스 제공 사업자 간을 IP-POI 경유로 전환 (2023년 후반)
- 유선 전화 발신의 통화를 IP-POI 경유로 전환 (2024~2025년)
- * 유선 전화 발신 서비스 호출의 전환
- * 유선 전화의 신호망・중계망의 철거
메탈 전화 회선 수용 장치의 유지 한계 시기는 예측하기 어렵다고 여겨진다. 메탈 IP 전화가 폐지될 경우, 국 급전・이용자의 기존 단말의 계속 이용・공중 전화의 과금 등을 어떻게 기술적・경영적으로 확보할 것인지가 과제가 된다.
4. 기술
공중 교환 전화망 기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하여 기능과 용량이 증가했다.
- 수동 교환: 1870년대 후반에는 전화 서비스가 모두 수동으로 이루어졌다. 중계 조작에 시간이 걸리고, 통화를 신청하고 기다려야 했다.
- 자동 교환: 통신 수요 증가에 대응하여 자동 교환이 도입되었다.
- 1880년대 스텝 바이 스텝 교환기를 통해 전화 가입 구역 자동화가 여러 나라에서 진행되었다.
- 1926년 크로스바 교환기가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 1960년대에는 컴퓨터 처리 방식의 축적 프로그램 방식 아날로그 전화 교환기가 도입되었다.
- 1968년 ITU-T가 No.6 신호 방식을 권고하여, 부가 기능 제공, 전화번호 해석, 요금 계산 시스템과의 온라인 접속이 가능해졌다.
- 디지털 전환: 1980년대 후반부터 낮은 비용, 통신 기기 신뢰성,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시스템이 디지털로 전환되었다.
- 1980년 ITU-T가 Q.700 시리즈의 No.7 신호 방식을 권고하여, 교환기 간 정보 교환을 통한 부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졌다.
4. 1. 네트워크 토폴로지
공중 교환 전화망(PSTN)의 구조는 가입자 수, 통화량, 목적지, 기능, 기술의 증가를 지원하기 위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했다. 핵심 개념은 전화 교환기가 계층 구조로 배열되어 있어, 로컬 클러스터에서 통화를 처리할 수 없는 경우 더 높은 계층으로 전달되어 라우팅이 진행된다는 것이다. 현대 기술은 이러한 구조를 단순화시켰다.[11]기술의 진보를 받아들여 대용량화, 다기능화를 꾀해 왔다. 회선과 교환 설비를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 계층 구조를 이루었다. 통신 수요의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적으로 다이얼 즉시 자동화가 이루어졌다. 회로 규모의 제약으로, 일정 자릿수만 해석하고 나머지 자릿수의 해석을 다른 교환기에 맡겼다.
1880년대에 실용화된 스텝 바이 스텝 교환기로, 전화 가입 구역 내 통화의 자동화가 각국에서 진행되었다. 가입자 전화 교환기는 가입자 번호를 해석하여 접속하는 것으로, 대규모 국은 4자리, 소규모 국은 3자리가 사용되었으며, 교환수 호출 등 특수 기능을 번호 안에 할당했다. 자동 다이얼의 구역을 확대하기 위해 다이얼 자릿수가 확대되었고, 상위 자릿수를 해석하여 가입자 교환기 간을 접속하는 중계 탠덤 교환기가 도입되었다.
1926년에 크로스바 교환기가 세계 최초로 스웨덴에서 사용 시작되어, 각국에서 시외 통화・국제 전화의 전면 즉시 자동화에 이용되었다. 유연한 중계 회선 접속이 가능해져, 중계 회선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해졌다. 당시의 전화망 구성은 회선·교환 설비를 유효 활용하기 위해, 통신량이 많은 국을 직결하는 망형의 사선 회선(direct circuit)과, 상위 국과 연결하는 성형의 기간 회선(basic circuit)의 복합 망이었다. 접속 제어는, 착신국에 가장 가까운 사선 회선부터 사용하고, 순차적으로 먼 회선을 사용했다.
당시의 계층 구조는 다음과 같다.
명칭 | 기능 | |
---|---|---|
1 | Regional Center | Sectional Center보다 하위 계층의 혼잡으로 접속할 수 없었던 넘침 호의 접속을 수행하는 최종적인 계층이다. 상호 간이 완전 망형 접속으로 되어 있다. |
2 | Sectional Center | 주에 1 또는 2 설치되어, 주 간의 접속을 수행한다. |
3 | Primary Center | Toll Center 간의 넘침 호의 접속을 수행함과 동시에, Sectional Center에 주 간 접속 호를 중계한다. |
4 | Toll Center | 중계 탠덤 교환기이며, 가입자 교환기 간을 상호 접속함과 동시에, 상위 계층이나 다른 전화망과의 접속을 수행한다. |
Toll Point | ||
Intermediate Point | ||
5 | local exchange | 가입자 교환기이며, 가입자 회선 접속 기능 "BORSCHT"를 제공한다. |
end office |
1960년대에 제어 부분이 컴퓨터화되어, 축적 프로그램 방식이 된 아날로그 전자 교환기가 도입되기 시작했다.
1968년에 ITU-T가 공통선 신호 No.6을 권고했다. 최대 2040 회선에 대응하며, 감시 신호 및 선택 신호를 28 비트 고정 길이의 신호 유닛으로, 아날로그 회선에서 2400 bps의 모뎀 신호로 전송하는 것이다. 교환 가능한 정보량은 증가, 다이얼인 등 부가 기능의 제공이 용이, 전화 번호 전체 자릿수가 각 교환기에서 해석 가능, 전화 요금 계산 시스템과 온라인 연결 등이 실현되었다.
가입자선・단국(EO: End Office) 약 7000국・집중국(TC: Toll Center) 526국・중심국(DC: District Center) 81국・통괄국(RC: Regional Center) 8국의 4계위였다. 가입자선・단국・집중국 사이는 2선식 회선, 집중국에서 2선 - 4선의 변환을 실시하고, 집중국・중심국・통괄국 상호 간은 4선식 회선이었다.
DC는 도도부현마다 1 - 수 개소, RC는 삿포로, 센다이, 도쿄, 가나자와, 나고야, 오사카, 히로시마, 후쿠오카의 8개소에 배치된 트리형 네트워크로, 통신망은 최종적으로 RC 레벨에서 상호 접속되었다.[11]
칼슨 과금 제어는 발신 측의 교환기가 미리 기억해 둔 적산표에 의해 착신 측의 시외 국번으로 1통화 시간당 요금을 정하여 적산하는 것으로, 자동차 전화・선박 전화는 통화 대상의 소재지에 따라 과금 단위를 변화시켰다.
전화 요금 청구서 작성은 전화국 구내에 설치된 가입자 과금 미터 패널을 한 달에 한 번 촬영하여 수작업으로 키 펀치를 했으나, 이후 OCR이 도입되었다.
회선 손실 배분 계획은 효율적으로 망을 정비하기 위해 수가 많은 하위 회선에 많은 손실을 배분했다.
- 가입자 - 가입자: 32dB
- 가입자 - 단국: 7.5dB
- 단국 - 집중국: 4.5dB
- 집중국 - 중심국: 4dB
- 중심국 - 통괄국: 0dB
- 통괄국 - 통괄국: 0dB
4. 2. 디지털 채널
대부분의 자동 전화 교환기는 디지털 스위칭을 사용한다. 교환기를 연결하는 간선도 디지털 방식이며 회선 또는 채널이라고 불린다. 그러나 아날로그 2선 회로는 여전히 교환국에서 가정 내 전화기까지의 가입자 회선(일명 국선)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일반적인 전화 통화가 발신자에서 수신자로 전달되기 위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G.711로 알려진 특수한 유형의 비선형 펄스 부호 변조를 사용하여 8 kHz 샘플링 속도와 8비트 해상도로 디지털화된다. 그런 다음 통화는 전화 교환기를 통해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전송된다. 통화는 전반적인 라우팅 전략에 따라 전화 교환기 간의 통화 설정 프로토콜(일반적으로 ISUP)을 사용하여 전환된다.통화는 원래 벨 연구소에서 설계한 64 kbit/s 채널을 사용하여 공중 전화망(PSTN)을 통해 전송된다. 이 채널에 부여된 이름은 디지털 신호 0(DS0)이다. DS0 회선은 전화 교환기의 회선 교환의 기본 단위이다. DS0은 DS0이 더 높은 용량의 통신 링크를 형성하기 위해 시분할 다중화(TDM) 장비에서 집계되기 때문에 타임 슬롯이라고도 한다.
디지털 신호 1(DS1) 회선은 북미 또는 일본의 T-캐리어(T1) 회선에서 24개의 DS0을, 또는 대부분의 다른 국가에서 사용되는 E-캐리어(E1) 회선에서 32개의 DS0(통화용 30개와 프레이밍 및 신호용 2개)을 전송한다. 현대 네트워크에서는 다중화 기능이 가능한 한 최종 사용자에게 가깝게 이동하며, 일반적으로 주거 지역의 길가에 있는 캐비닛이나 대규모 사업장으로 이동한다.
5. 서비스 종료 및 전환
영국에서는 구리 기반의 단순 전화 서비스(POTS) 및 통합 서비스 디지털망(ISDN) 기반의 공중 교환 전화망(PSTN)이 SIP 전화로 전환되면서 폐지될 예정이며, 원래 완료 예정일은 2025년 12월이었으나 현재 2027년 1월로 연기되었다.[7] 음성 전화는 현재의 이동 통신과 마찬가지로 E.163 및 E.164 표준을 계속 따르며, 최종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에스토니아, 독일, 아이슬란드, 네덜란드, 스페인, 포르투갈을 포함한 여러 다른 유럽 국가들도 PSTN 네트워크를 폐지했거나 폐지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7][8][9] 다른 대륙의 국가들도 이와 유사한 전환을 진행하고 있다.[8]
6. 규제
대부분의 국가에서 정부는 규제 기관을 통해 공중 교환 전화망(PSTN) 서비스 제공을 감독한다. 해당 기관은 기술 표준, 법적 요구 사항을 규제하고 서비스 과제를 설정하며, 예를 들어 독점적 지위가 존재하는 서비스에 대해 최종 고객이 과도한 요금을 지불하지 않도록 보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3][4][5] 이러한 규제 기관은 또한 상호 연결을 통해 상호 접속하는 사업자 간의 요금을 규제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Are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PSTN' and Why You Should Care?
https://www.huffpost[...]
HuffPost
2013-01-07
[2]
논문
No Dialtone: The End of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http://dx.doi.org/10[...]
2013
[3]
문서
Information sheets and timelines. Privatisation
https://www.bt.com/b[...]
[4]
문서
British Telecom Privatisation
https://www.institut[...]
[5]
논문
The privatisation of British Telecom: A case study of the extended process of legislation
https://ejpr.onlinel[...]
[6]
웹사이트
TIA TSB-116
https://global.ihs.c[...]
Telecommunications Industry Association
[7]
웹사이트
Global Learnings For The PSTN Switch Off {{!}} Yay
https://www.yay.com/[...]
[8]
웹사이트
What the UK can learn from the rest of the world when it comes to the shift to IP
https://business.bt.[...]
[9]
웹사이트
Niðurlagning koparheimtaugakerfis Mílu
https://www.mila.is/[...]
[10]
보도자료
情報通信審議会 電気通信事業政策部会 電話網移行円滑化委員会 参考資料
https://www.soumu.go[...]
総務省
[11]
웹사이트
どこまでも徹底取材!! インフラ探検隊
https://bb.watch.imp[...]
インプレス
2001-08-08
[12]
웹사이트
都道府県庁以外のZC所在地は立川市、沼津市、北九州市、函館市、旭川市、北見市、釧路市。静岡が2カ所なのは南海トラフ地震が発生した際に通信を確保するため、フォッサマグナで東西を区分けしている
https://www.ntt-west[...]
[13]
보도자료
加入電話に相当する光IP電話の範囲
https://www.soumu.go[...]
総務省
[14]
보도자료
電気通信サービスの契約数及びシェアに関する四半期データの公表(令和3年度第3四半期(12月末))
https://www.soumu.go[...]
総務省 総合通信基盤局
2022-03-18
[15]
보도자료
固定電話のIP網移⾏後のサービス 及び移⾏スケジュールについて
http://www.ntt-east.[...]
NTT西日本、NTT東日本
2017-04-06
[16]
보도자료
ユニバーサルサービス制度における番号単価の算定について
https://www.tca.or.j[...]
電気通信事業者協会
2021-09-14
[17]
웹사이트
総務省|ユニバーサルサービス制度|適格電気通信事業者への補填額の算定
https://www.soumu.go[...]
[18]
웹사이트
固定電話(加入電話・INSネット)のIP網移行
https://web116.jp/20[...]
NTT東日本
[19]
뉴스
固定電話あすから「3分9・35円」統一、携帯へは現行通り…「便乗詐欺に注意」
https://www.yomiuri.[...]
2023-12-31
[20]
뉴스
NTT東西の固定電話がIP網へ完全に移行、電話交換機が役割を終える
https://xtech.nikkei[...]
2024-1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