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중그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중그네는 공중에서 그네를 타는 곡예 기술과 이를 활용한 공연 예술을 의미한다. 19세기 중반 프랑스에서 쥘 레오타르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종류의 그네와 기술이 발전해 왔다. 정지 트라페제, 스윙 트라페제, 플라잉 트라페제 등 여러 형태가 있으며, 서커스, 현대 무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공중그네는 심리적 긍정적 효과를 가져다주기도 하며, 소설, 영화 등 대중문화 속에서도 중요한 소재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곡예술 - 마상체조
    마상체조는 말을 타고 다양한 기술과 동작을 선보이는 승마 종목으로, 과거 기병 훈련에서 시작되어 현대에는 어린이 승마 교육과 레크리에이션, 치료 목적으로 활용되며 국제 대회도 개최된다.
  • 곡예술 - 스트롱맨 (스포츠)
    스트롱맨은 엄청난 힘을 겨루는 스포츠로, 데드리프트, 스쿼트, 아틀라스 스톤 등 다양한 종목을 통해 순수한 힘을 시험하며, 전신 근력 강화 훈련과 특수 장비 사용, 고강도 식단을 포함한다.
공중그네
개요
공중그네 연기자
공중그네
유형곡예
관련 활동서커스, 공중 연기
위험도높음
설명
정의공중에서 실시하는 곡예 또는 체조 기구
구성고정식 또는 스윙형 바
밧줄
부착물
재료금속
캔버스
가죽
나무
종류
고정식 그네고정된 위치에 설치된 그네
스윙 그네앞뒤로 움직이는 그네
플라잉 그네공중그네에서 사용되는 그네
워싱턴 트라페즈머리 또는 목으로 균형을 잡는 데 사용되는 그네
더블 트라페즈두 명의 연기자가 함께 사용하는 그네
삼중 트라페즈세 명의 연기자가 함께 사용하는 그네
기술
기본 기술매달리기
스윙
릴리즈
캐치
고급 기술플라잉
캐칭
텀블링
발레
위험 요소
추락부상
사망
장비 고장부상
사망
안전 조치
안전 장비안전망
안전 벨트
안전 로프
교육자격증
경험
적절한 장비 유지정기적인 검사
교체

2. 역사

한반도를 비롯하여 인도, 태국 등 세계 각지에는 야외에 그네 모양의 기구를 설치하여 경기나 축제, 유희를 하는 습관이 오래전부터 존재했다.[13] 19세기 중반, 유럽에서 그네가 체조트레이닝 도구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일본에서 공중 비행을 동반하는 본격적인 공중 그네 기술이 처음으로 대대적으로 행해진 것은 1871년에 프랑스에서 일본으로 온 스리에 곡마단의 공연으로 추정된다. 이 극단의 공연에서는 받는 사람이 뛰어드는 사람을 잡는 타입의 공중 비행이 선보였다고 추측된다.[24]

이후 다양한 서커스단이 서양에서 일본에 왔고, 1893년에 오쿠다 벤지로가 흥행 주최를 맡은 서양 곡예단이 "2정 추미 비상 탑승" 등 서양식 공중 그네를 선보였다.[25] 오시마 미키오는 일본에서 러시아식이라고 불리는 "그네에서 다른 그네로 뛰어넘는 기술"을 처음으로 선보인 것은 기노시타 서커스였다고 기술하고 있다.[26] 1917년 무렵에는 기노시타 서커스가 공중 비행을 주력 상품으로 선보였다.[27] 1923년에는 아리타 요코 단에 의해 "미국 바넘식 공중 대비행술"이 선보여졌다.[28] 당시 일본에서는 이러한 기술을 "그네"라고 부르는 일은 별로 없었고, 추미 등의 말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29]

2. 1. 서양의 공중그네 역사

공중그네 공연 예술은 19세기 중반 프랑스 툴루즈의 젊은 곡예사이자 공중 곡예사인 쥘 레오타르에 의해 개발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그는 아버지의 수영장을 연습 장소로 사용했다고 한다.[3] 그러나 "트라페즈(trapeze)"라는 이름은 레오타르가 태어나기 20년 전의 책에서도 발견된다. 1832년에 출판된 조지 롤랜드의 "현대 체조 운동 소개 과정"이 그 예시이다.[4] 롤랜드는 트라페즈가 아모로스 대령에게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시했지만, 기원에 대한 질문은 "현재 주제와는 무관하다"고 결론 내렸다.

이 명칭은 기구가 사다리꼴 또는 불규칙한 사각형과 닮았다는 점에서 프랑스어(trapèze프랑스어)에서 유래했다.[5] 야외에 그네 모양의 기구를 설치하여 경기, 축제, 유희를 하는 관습은 한반도, 인도, 태국 등 세계 각지에 오래전부터 존재했다.[13] 19세기 중반 유럽에서는 그네가 체조 트레이닝 도구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금속 막대로 매달린 그네가 사용되었지만, 곧 밧줄이나 강철 로프 모양으로 만들어 매달아 가동 범위가 넓은 그네가 개발되어 서커스에 도입되었다.[14]

1850년대 초부터는 주로 여성 연예인이 정지된 한 개의 그네를 사용하여 균형 기술을 선보이는 공연이 시작되었다.[15] 1인 공중 비행 퍼포먼스는 프랑스인 곡예사였던 쥘 레오타르가 1800년대 중반에 발전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레오타르는 1859년 파리의 실크 나폴레옹에서 현재 서커스 등에서 볼 수 있는 형태에 가까운 비행 기술을 구사한 공중그네를 처음 선보였다.[14][16] 레오타르의 아버지는 체조 교사였고, 레오타르 자신도 실내 체조장에서 체조를 배우는 운동선수였다. 서커스에서 그네를 던지는 조수 역할은 아버지가 맡았다.[14] 이 공연은 아래에 매트를 깔고 공중에 3개의 매달린 그네 사이 거리를 두고 그 사이를 뛰어넘는 것으로, "하늘을 나는 듯한 인상"을 주었다.[17] 이 퍼포먼스는 큰 호평을 받아 "The Daring Young Man On The Flying Trapeze"라는 노래가 만들어졌고, 레오타르가 착용했던 의상은 레오타드(leotard)라고 불리게 되었다.[16]

레오타르의 퍼포먼스는 큰 인기를 얻어, 여러 곡예사들이 공중그네를 배우게 되었다.[17] 1869년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활동하던 곡예사 리하르트 콘라츠가 공중그네를 상품으로 내세웠다.[17] 공중그네는 세습이 많았던 서커스 현장에 기계 체조 출신자가 들어오는 계기가 되었다.[18] 1850년대 말부터는 2인승 그네도 행해졌지만, "강력한 곡예의 연속"으로 이루어진 것이었다.[19]

19세기 중반 공중그네 기술이 발전하면서 안전 매트가 네트로 바뀌고, 발판 2개와 그네 2개에 그네 타는 사람 2명이 있어 항상 그네를 움직이는 상태로 유지하는 "본격적인 형식"이 확립되었다.[20] 반구형 천장에서 그네가 매달려 어느 객석에서도 비행이 잘 보이는 공중그네는 순식간에 서커스의 대표적인 종목이 되었다.[21] 그네 타는 곡예사 수를 늘리는 방향으로 개발이 이루어지는 한편, 기술적인 혁신도 있었다.[22] 뛰는 사람이 그네에서 그네로 뛰어넘을 뿐만 아니라, 받는 사람이 여러 개 있는 그네 한쪽에 올라타 뛰는 사람을 잡는 형태로 다양한 기술을 선보이는 형태가 발전했다.[23]

20세기 이후에도 다른 종목과 조합하거나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등 새로운 종류의 퍼포먼스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30] 1989년 제2회 중국 오교 국제 잡기 예술절에서 은사자상을 수상한 소련의 엘레나 포포바는 비둘기를 날려 조종하는 쇼에 대일정 그네 퍼포먼스를 조합하여 높은 평가를 받았다.[31]

2. 2. 한국의 그네와 공중그네

한반도를 비롯하여 인도, 태국 등 세계 각지에는 야외에 그네 모양의 기구를 설치하여 경기, 축제, 유희를 하는 습관이 오래전부터 존재했다.[13] 19세기 중반, 유럽에서 그네가 체조트레이닝 도구로 사용되기 시작했고, 처음에는 금속 막대로 매달린 그네가 사용되었지만, 곧 밧줄이나 강철 로프 모양으로 만들어 가동 범위가 넓은 그네가 개발되어 서커스에 도입되었다.[14]

일본에서 공중 비행을 동반하는 본격적인 공중 그네 기술이 처음으로 대대적으로 행해진 것은 1871년에 프랑스에서 온 스리에 곡마단의 공연으로 추정된다.[24] 이 극단의 공연에서는 받는 사람이 뛰어드는 사람을 잡는 타입의 공중 비행이 선보였다고 추측된다.[24] 그 후, 다양한 서커스단이 서양에서 일본으로 왔고, 일본에서도 1893년에 오쿠다 벤지로가 흥행 주최를 맡은 서양 곡예단이 "2정 추미 비상 탑승" 등 서양식 공중 그네를 선보였다.[25] 오시마 미키오는 일본에서 러시아식이라고 불리는 "그네에서 다른 그네로 뛰어넘는 기술"을 처음으로 선보인 것은 기노시타 서커스였다고 기술하고 있다.[26] 1917년 무렵에는 기노시타 서커스는 공중 비행을 큰 상품으로 선보이고 있었다.[27] 1923년에는 아리타 요코 단에 의해 "미국 바넘식 공중 대비행술"이 선보여졌다.[28] 이 무렵에는 일본어로 이러한 기술을 "그네"라고 부르는 일은 별로 없었고, 추미 등의 말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29]

3. 종류


  • 워싱턴 트라페제(Washington Trapeze): 정지 트라페제와 스윙 트라페제의 변형으로, 공중 곡예사가 일반적인 트라페제 바보다 훨씬 무거운 바 위에서 다양한 물구나무 기술을 수행한다. 바에는 약 10cm(4인치) 둥근 물구나무 플랫폼이 있으며, 로프 대신 와이어 케이블로 지지된다. 공연 중에 기구가 들어 올려지고 내려지는 경우가 많다.[1]
  • 댄스 트라페제(Dance Trapeze): 싱글 포인트 트라페제라고도 하며, 많은 현대 무용 단체에서 공중 무용에 사용된다. 트라페제의 로프는 종종 단일 회전고리에 연결되어 트라페제가 작거나 큰 원으로 회전할 수 있다.
  • 더블 트라페제(Double Trapeze): 프렌치 트라페제라고도 하며, 정지 트라페제의 변형이다. 두 명의 공연자가 같은 트라페제 위에서 함께 동작을 수행하고 서로의 무게를 지탱한다. 스윙 트라페제로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스윙 더블 트라페제'''라고 한다.[1]
  • 다중 트라페제(Multiple Trapeze): 더블 트라페제, 트리플 트라페제 및 여러 명의 플라이어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더 큰 다중 트라페제를 포함하여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트라페제를 의미한다. '''모양의 트라페제'''는 상상할 수 있는 거의 모든 모양을 취할 수 있는 장치이다.

트리플 트라페제

  • 듀플렉스 트라페제(Duplex Trapeze): 두 개의 핸드 바 층이 있는 트라페제를 말하며, 하나는 위에 있고 다른 하나는 아래에 있어 곡예사가 위쪽 바에서 뛰어내려 아래쪽에서 착지하거나 할 수 있다.
  • 큰 그네: 양쪽에 공 등을 달아 앞뒤로 진자처럼 흔들 수 있도록 만든 그네에서 하는 공연을 가리킨다.[6][9]
  • 물구나무 그네: 공연자가 평소와는 반대로 머리를 그네에 얹은 상태에서 하는 공연이다.[6][9]
  • 공중 비행: 뛰어가는 사람과 그네에서 그네로 뛰어넘는 등의 기술을 선보이는 공연으로, 많은 경우 뛰어가는 사람이 받는 사람과 짝을 이루어 공연한다.[6][9]
  • 라운더: 그네를 탄 사람이 앞으로 넘어지듯이 보이며 한 바퀴 회전하는 곡예이다.[9]

3. 1. 정지 트라페제 (Static Trapeze)

정지 트라페제는 공연자가 바(bar)와 로프를 중심으로 움직이며 균형, 낙하, 매달리기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는 트라페제 공연을 말하며, 바 자체는 일반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정지 트라페제의 어려움은 모든 동작이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만드는 것이다. 이는 춤과 유사하며, 어느 정도의 힘을 가진 대부분의 사람들은 처음 트라페제 바에 올라 기본 트릭을 수행할 수 있지만, 숙련된 아티스트는 훨씬 더 우아하고 세련되게 수행한다.[1]

3. 2. 스윙 트라페제 (Swinging Trapeze)

스윙 트라페제(또는 스윙 싱글 트라페제)는 앞뒤로 흔들리는 트라페제 위에서 수행되는 공연을 말한다. 공연자는 정지된 자세에서 스윙을 시작하여 스윙의 운동량을 사용하여 트릭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스윙 트라페제의 트릭은 스윙의 최고점에서 수행되며 정확한 타이밍이 필요한 역동적인 동작을 포함한다. 대부분의 트릭은 공연자가 바에 앉거나 서서 시작하여 손으로 바를 잡거나 발목에 걸고 매달리는 것으로 끝난다(로프와 바 사이에 발목을 고정하여 매달리는 것). 이 공연은 상당한 힘, 우아함, 유연성을 요구한다.[1] 트라페제 바는 무게가 있으며, 스윙의 역동적인 힘을 견디기 위해 지지 로프 내부에 케이블이 있는 경우가 많다.

  • 흔들 그네: 공연자가 바나 로프에 매달려 균형을 잡거나 떨어지는 등 다양한 움직임을 선보이는 것이다.[6][9]

3. 3. 플라잉 트라페제 (Flying Trapeze)

플라잉 트라페제는 공연자("플라이어")가 트라페제 바를 잡고 높은 플랫폼이나 페데스탈 보드에서 뛰어내려 중력에 의해 스윙이 만들어지는 트라페제 공연을 말한다. 스윙은 첫 번째 스윙의 끝 부분에서 "힘" (또는 "캐스트 아웃"), 공연자가 페데스탈 보드 위로 다시 스윙하는 동안의 비트 백(beat back)과 라이즈 (일명 "세븐")으로 구성되며, 두 번째 스윙의 끝 부분에서 트릭이 수행된다. 공연자는 종종 바를 놓으면 다른 공연자("캐처")가 잡는데, 캐처는 다른 트라페제에 무릎으로 매달리거나, 정지되어 있거나 스윙할 수도 있는 요람에 매달린다. 어떤 크기의 사람이라도 기본적인 트라페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플라잉 트라페제는 일반적으로 그물 위에서 수행되거나, 드물게 물 위에서 수행된다. 그러나 교육 목적으로 만들어진 일부 소규모 장비는 그물 대신 매트를 사용하기도 한다.[1]

영국에서는 많은 야외 교육 센터에서 '신념의 도약(leap of faith)'이라는 활동을 제공한다. 참가자들은 좁은 기둥 꼭대기까지 올라가 팔을 뻗어 트라페제 바를 잡는다. 플라잉 트라페제와 유사하게, 중력이 스윙을 만든다. 참가자는 로프와 하네스를 통해 연결되며, 트라페제를 넘어 다리를 올리는 추가적인 도전이 포함될 수 있다.

일본 서커스 용어로는 그네에서 그네로 뛰어넘는 것을 "러시아 점프", 서로 오가는 형태의 공연을 "바로스키식" 또는 "바로프스키식"이라고 부른다.[10][11] 이는 1910년에 일본에 온 바로스키 서커스단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1][12]

3. 4. 워싱턴 트라페제 (Washington Trapeze)

워싱턴 트라페제(헤드 트라페제 또는 헤비 트라페제라고도 함)는 정지 트라페제와 스윙 트라페제의 변형이다. 일반적인 트라페제 바보다 훨씬 무거운 바 위에서 공중 곡예사가 다양한 물구나무 기술을 수행하며, 바에는 약 4인치 둥근 물구나무 플랫폼이 있다. 트라페제는 로프 대신 와이어 케이블로 지지되며, 공연 중에 기구가 들어 올려지고 내려지는 경우가 많다.[1]

3. 5. 댄스 트라페제 (Dance Trapeze)

'''댄스 트라페제''' ('''싱글 포인트 트라페제'''라고도 함)는 현대 무용 단체에서 공중 무용에 많이 사용하는 트라페제이다. 트라페제의 로프는 종종 단일 회전고리에 연결되어 트라페제가 작거나 큰 원으로 회전할 수 있다.

3. 6. 더블 트라페제 (Double Trapeze)

더블 트라페제(프랑스어로는 프렌치 트라페제)는 정지 트라페제의 한 종류로, 두 명의 공연자가 같은 트라페제 위에서 함께 동작을 수행하고 서로의 무게를 지탱하는 것이 특징이다. 스윙으로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연을 '''스윙 더블 트라페제'''라고 한다.[1] 2명보다 많은 인원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6][9]

3. 7. 다중 트라페제 (Multiple Trapeze)

'''다중 트라페제'''는 더블 트라페제, 트리플 트라페제 및 여러 명의 플라이어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더 큰 다중 트라페제를 포함하여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트라페제를 의미한다. '''모양의 트라페제'''는 상상할 수 있는 거의 모든 모양을 취할 수 있는 장치이다.

4. 건강에 미치는 영향

2012년에 조안 릭섬이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플라잉 트라피즈 수업에 참여한 사람들은 자존감 향상, 동기 부여 상승, 공포와 같은 정신적 장벽을 극복하는 능력 향상 등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32]

5. 대중문화 속 공중그네

나카하라 주야가 1934년에 간행한 『염소의 노래』에 수록된 시 「서커스」는 공중그네가 중심적인 모티프가 되는 작품으로 유명하다[33]. 여기에 등장하는 그네의 묘기는 물구나무 대 1자세의 퍼포먼스가 아니냐고 말해지고 있다[34]。「공중그네의 흔들림에서 태어난, 호가 그리는 잠과 같은 리듬[35]」이 특징적인 작품이다.

1984년에 앤젤라 카터가 간행한 소설 『밤마다의 서커스』는 날개를 가진 공중그네 곡예사 페더스를 주인공으로 하는 매직 리얼리즘 소설이다[36]. 이 작품은 BBC에 의해 "우리 세계를 만든 소설 100선[37]" 중 한 권으로 선정되었다.

2004년에 동명의 단편 소설집에 수록된 오쿠다 히데오의 소설 『공중그네』는 공중 비행의 비행사가 등장하는 작품이며, 나오키상을 수상하고 2005년에 텔레비전 드라마화되었다[38]. 이 책에서는 정신과 의사인 주요 등장인물인 이라부 이치로가 환자인 공중그네 곡예사 야마시타 고헤이에 대해 "공중그네는 서커스의 꽃이지[39]"라고 발언하고 있다.

공중그네는 "스릴과 스펙터클함을 자아내는 데 안성맞춤인 피사체[8]"라고 여겨져, 종종 영상 작품에 등장한다. 1925년에는 에밀 야닝스가 아내의 불륜 상대와 짝을 이뤄 공중그네의 받침을 맡는다는, "관객을 전율하게 하기에 더할 나위 없는" 내용의 무성 영화 『바리에테』가 제작되었다[40]. 1950년대의 "전형적인 서커스 영화"인 『지상 최대의 쇼』(1952), 『세 개의 사랑 이야기』(1953), 『공중그네』(1956)는 모두 공중그네 곡예사를 주요 등장인물로 하는 이야기이다[41]. 『공중그네』는 원래 서커스에서 일한 경험이 있는 버트 랭커스터가 출연했으며, 그 경험을 살려 제작되었다[42].

1987년 영화인 『베를린 천사의 시』에서는 주인공이 천사와 여성 공중그네 공연자이며, "마치 이러한 캐릭터의 비행 능력이 동서로 분단된 도시를 자유롭게 가로지르기 위한 필요 조건인 것처럼[43]" 묘사되어 있다.

P.T. 바넘의 삶을 다룬 2017년 뮤지컬 영화 『위대한 쇼맨』에서는 젠데이아가 공중그네 공연자 앤 휠러 역을 맡았지만, 감독 마이클 그레이시가 최대한 스턴트를 사용하지 않는 방침이었기 때문에 젠데이아는 이 역할을 위해 공중그네를 배웠다[44].

참조

[1] 웹사이트 Circus Dictionary http://www.nica.com.[...] National Institute of Circus Arts 2009-10-01
[2] 서적 The Cabinet of Linguistic Curiosities: A Yearbook of Forgotten Word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9-10-14
[3] 웹사이트 Jules Léotard http://www.vam.ac.uk[...] 2016-04-12
[4] 서적 "An Introductory Course of Modern Gymnastic Exercises https://books.google[...] G. Roland 1832
[5] 문서 Trapeze
[6] 웹사이트 Circus Dictionary http://www.nica.com.[...] National Institute of Circus Arts 2009-10-01
[7] 서적 サーカス放浪記 岩波書店
[8] 서적 サーカスのフィルモロジー : 落下と飛翔の100年 ありな書房
[9] 서적 サーカスの歴史:見世物小屋から近代サーカスへ 西田書店
[10] 서적 サーカスの歴史:見世物小屋から近代サーカスへ 西田書店
[11] 서적 木下サーカス四代記:年間120万人を魅了する百年企業の光芒 東洋経済新報社
[12] 서적 サーカスの歴史:見世物小屋から近代サーカスへ 西田書店
[13] 서적 サーカスのフィルモロジー : 落下と飛翔の100年 ありな書房
[14] 서적 サーカス:起源・発展・展望 ありな書房
[15] 서적 サーカス:起源・発展・展望 ありな書房
[16] 웹사이트 Almanac: The first flying trapeze act https://www.cbsnews.[...] CBS News 2017-11-12
[17] 서적 サーカス:起源・発展・展望 ありな書房
[18] 서적 サーカス:起源・発展・展望 ありな書房
[19] 서적 サーカス:起源・発展・展望 ありな書房
[20] 서적 サーカス:起源・発展・展望 ありな書房
[21] 서적 サーカス:起源・発展・展望 ありな書房
[22] 서적 サーカス:起源・発展・展望 ありな書房
[23] 서적 サーカス:起源・発展・展望 ありな書房
[24] 서적 サーカスの歴史:見世物小屋から近代サーカスへ 西田書店
[25] 서적 サーカスの歴史:見世物小屋から近代サーカスへ 西田書店
[26] 서적 明治のサーカス芸人はなぜロシアに消えたのか 祥伝社
[27] 서적 サーカス誕生:曲馬團物語 ありな書房
[28] 서적 サーカス誕生:曲馬團物語 ありな書房
[29] 서적 <サーカス学>誕生:曲芸・クラウン・動物芸の文化誌 せりか書房
[30] 서적 サーカス物語 大揚社
[31] 서적 サーカス物語 大揚社
[32] 간행물 Flying high – using trapeze to promote recovery, employment and social inclusion https://www.emerald.[...] 2012-08-17
[33] 서적 <サーカス学>誕生:曲芸・クラウン・動物芸の文化誌 せりか書房
[34] 서적 <サーカス学>誕生:曲芸・クラウン・動物芸の文化誌 せりか書房
[35] 논문 中原中也の音楽作法 - 「サーカス」の場合 1999
[36] 서적 夜ごとのサーカス|国書刊行会 https://www.kokusho.[...] 国書刊行会
[37] 웹사이트 Explore the list of 100 Novels That Shaped Our World BBC 2020-08-11
[38] 웹사이트 文春文庫『空中ブランコ』奥田英朗 {{!}} 文庫 https://books.bunshu[...] 2020-08-11
[39] 서적 空中ブランコ 文藝春秋社
[40] 서적 サーカスのフィルモロジー : 落下と飛翔の100年 ありな書房
[41] 서적 サーカスのフィルモロジー : 落下と飛翔の100年 ありな書房
[42] 서적 サーカス研究 新宿書房
[43] 간행물 "“Europe in the Mist”: The Imaginary of European History in Lars von Trier’s Europa and in Dancer in the Dark" Brill
[44] 웹사이트 Zac Efron and Zendaya bring romance, and a standout duet, to 'The Greatest Showman' https://www.latimes.[...] 2020-08-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